KR20170082910A -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 Google Patents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910A
KR20170082910A KR1020160002223A KR20160002223A KR20170082910A KR 20170082910 A KR20170082910 A KR 20170082910A KR 1020160002223 A KR1020160002223 A KR 1020160002223A KR 20160002223 A KR20160002223 A KR 20160002223A KR 20170082910 A KR20170082910 A KR 20170082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hamber
container body
liquid
out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9598B1 (ko
Inventor
윤욱희
Original Assignee
윤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욱희 filed Critical 윤욱희
Priority to KR102016000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59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3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in the form of a bottle, jar or lik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65D43/0229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only on the inside, or a part turned to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외부챔버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Spray with a dual chamber}
본 발명은 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외부챔버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나 방향제, 또는 살충제 등의 내용물은 액체 또는 기체의 상태로서 일정한 용기(CAN)에 담긴 채로 유통되고 사용된다. 이와 같은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용기는 연료용기, 분사용기 등으로 칭해지기도 한다.
연료 용기에는 액화된 연료만이 충전되나, 분사 용기에는 분사될 내용물(유체 또는 가스)이 분사가스(추진제 또는 추진가스)와 함께 충전되고 분사가스의 압력을 이용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연료용기로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용 연료통 등이 있으며, 분사 용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휴대용 가스용기, 스프레이 모기약, 헤어스프레이, 휴대용 에어로졸 소화기, 가스 라이터용 용기 등이 있다.
이러한 용기는 사용 또는 보관중에 열적, 기계적 또는 화학적 이유로 과압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과압상태는 보다 진전되어 용기의 폭발로 이어질 수 있기에, 폭발 전에 과압상태에 도달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최근들어 상기한 연료용기와 분사용기 외에도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이 분사되는 압력을 발생시키지 않고 누름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외부로 펌핑하여 분사하는 스프레이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는 화장수 분무장치와 비강 스프레이장치 등을 예로 들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수 스프레이 장치는 비교적 점도가 낮은 액체상태의 화장품을 보관토록 하는 용기의 주입구에 스프레이 펌프가 체결되어 내용물을 정량씩 외부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레이 장치는 액상의 화장품 중에서도 특히 방향제, 향수 등의 화장품용기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용기의 주입구에 체결되는 옹기 캡의 중심부에 하우징이 체결되고, 하우징의 하단부에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안내토록 하는 튜브가 끼워 맞춤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내부의 리턴스프링에 의해 탄력 설치되는 피스톤이 삽입 체결되고, 이 하우징의 내부에는 피스톤의 통로를 개폐토록 하는 제1밸브 및 제2밸브가 각각 설치되고, 피스톤의 상부에는 노즐이 형성되는 노즐캡이 조립되어 구성됨에 따라 이 노즐캡을 누르게 되면 밸브들이 하강하면서 밸브가 하우징의 내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내부안 내관의 외경으로 결합되어 용기측을 폐쇄함과 동시에, 계속해서 하강하는 피스톤이 압축실을 압축함으로써 압축실내의 압력에 의해 밸브가 피스톤의 중심 통로를 순간적으로 개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축실내에서 압축되는 내용물은 순간적으로 피스톤의 통로를 거쳐 노즐캡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분무되며, 이 노즐캡을 놓게 되면 리턴스프링의 복귀력에 의해 밸브는 물론 피스톤과 노즐캡 등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비강 스프레이 장치는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의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자가투여치료 및 예방제를 요구하는 환자를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액체 또는 반액체의 약제가 저장되는 용기, 용기에 저장된 약제를 피스톤 펌프 방식으로 펌핑하여 분사하는 펌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펌프부의 조작에 의해 일정량의 약제가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장수 스프레이장치와 비강 스프레이장치는 외부 공기에 포함된 세균 등에 의해 약제가 변질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실온에 노출되어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약제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보존제(방부제)를 첨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방부제를 첨가하지 않는 약제를 사용할 수 있는 스프레이 장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908999호(2009.07.16)의 휴대용 차보온병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6112호(2015.9.22)의 분사조절밸브유닛이 게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프레이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외부챔버를 포함하여,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공간부의 내부를 간단한 조작으로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기밀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단순화하여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스프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는 외부챔버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챔버는 공간부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수단은 외부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공과, 개폐공을 차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마개가 구비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을 마개를 관통해 삽입하여 공간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부챔버는 내부챔버의 측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외부챔버의 외벽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간부를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공간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외부챔버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챔버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프레이에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이 구비되는 내부챔버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외부챔버를 구비하여,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을 삽입하여 공간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바늘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공간부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기밀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공간부를 분할하는 격벽과 보강리브가 구비되는 방법으로 내부챔버와 외부챔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잇으며, 구조적으로 단순화하여 저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절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의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용기의 수평절단면도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2)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내부챔버(10)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되는 외부챔버(20)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부챔버(20)는 공간부(21)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22)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수단(22)은 외부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공(221)과, 개폐공을 차폐하는 덮개(222)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마개(223)가 구비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을 마개(223)를 관통해 삽입하여 공간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외부챔버(20)는 내부챔버의 측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외부챔버의 외벽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간부(21)를 분할하는 격벽(23)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공간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외부챔버(20)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챔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직절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부분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부분의 부분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용기의 수평절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2)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내부챔버(10)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되는 외부챔버(20)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레이는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2)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본체(1)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로서 내부가 수용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펌프(2)는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결합수단(3)은 용기본체의 상부에 펌프를 고정하며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밀봉시키도록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측 모서리에 나사가 형성되며, 펌프의 하단부는 개방된 용기본체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형성되되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파기하기 쉽도록 미끄럼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내측으로는 나사에 대응한 나사산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본체(1)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내부챔버(10)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되는 외부챔버(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챔버(10)는 내측으로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챔버(20)는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된다.
또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챔버(20)는 공간부(21)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22)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수단(22)은 외부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공(221)과, 개폐공을 차폐하는 덮개(222)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마개(223)가 구비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을 마개(223)를 관통해 삽입하여 공간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폐수단(22)은 공간부(21)에 수용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진공상태는 기체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즉 분자밀도가 약 2.5*1019분자/㎤ 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밀폐수단(22)은 외부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공(221)과 개폐공을 차폐하는 덮개(222)를 포함하되, 덮개의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마개(223)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공(221)은 외부챔버(20)의 바닥면에서 일부분이 개방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외부챔버(20)의 바닥면이 전부 개방되어 개폐공(221)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222)는 외부챔버(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개폐공(221)을 차폐하며, 외부챔버(20)의 하단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되고, 덮개(222)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에 대응하는 대응나사가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며 결합되고, 밀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링용 오링(미도시)이 내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223)는 덮개(222)의 내측에 마련되며,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이 관통해 삽입하고 이탈하더라도 공기의 유출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222)의 바닥면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고정돌기(224)와, 고정돌기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관통하는 배출공(225)이 구비되며, 상기 마개(223)는 고정돌기의 단부에 안착되어 배출공을 차폐하는 패킹(226)과, 패킹을 고정돌기의 단부에 고정하는 마감캡(227)을 포함하여 구비되되, 마감캡(227)의 단부 내측과 돌출돌기의 단부 외측에 각각 나사가 형성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패킹(226)은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배출공을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캡(227)의 내측에는 배출공(225)에 대응하는 투입공(228)이 관통되어 형성되어 주사기의 바늘을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내부챔버(10)와 외부챔버(20)를 제조하고 난 후, 덮개(222)를 결합하고 주사기의 바늘을 마개(223)의 패킹(226)을 관통해 배출공(225)으로 삽입하여 공간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바늘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공간부(21)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늘을 패킹(226)에서 뽑아내어 제거한 후에는 패킹의 탄성에 의해 배출공(225)이 차단 되어 공간부(21)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간부(21)에는 단열가스를 채워 넣어 열전달을 낮춰 보온과 보냉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열가스는 일반적으로 흔히 사용되는 단열성이 있는 가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단열가스의 주입은 용기본체(1)의 성형 과정에서 주입하거나, 주사기를 이용하여 공간부(21)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 주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222)는 저면이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저면의 모서리부분만이 저면에 안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덮개의 내측에 구비된 마개(223)가 지면에 닿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덮개(222)의 상부면에는 방사상방향으로 돌출된 보강리브(228)가 추가로 구비되어 공간부(21)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더라도 균열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챔버(20)는 내부챔버의 측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용기본체의 외벽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간부(21)를 분할하는 격벽(23)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공간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외부챔버(20)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챔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23)은 내부챔버(10)의 측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용기본체의 외벽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간부(21)를 분할하며,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공간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되더라도 격벽이 내부챔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2)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내부챔버(10)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되는 외부챔버(20)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100)에 관한 것이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1: 용기본체 2: 펌프
3: 결합수단 10: 내부챔버
11: 저장공간 20: 외부챔버
21: 공간부 22: 밀폐수단
221: 개폐공 222: 덮개
223: 마개 224: 고정돌기
225: 배출공 226: 패킹
227: 마감캡 228: 투입공
229: 보강리브 23: 격벽

Claims (3)

  1. 내부가 수용형태로 이루어진 용기본체(1)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누름작동에 의해 용기본체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하도록 설치된 펌프(2)와, 용기본체와 펌프를 연결하는 결합수단(3)을 포함하는 스프레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1)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장공간(11)이 구비되는 내부챔버(10)와; 내부챔버의 측면과 바닥면을 감싸며 내부에 공간부(21)가 구비되는 외부챔버(20)를; 포함하여, 공간부가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전해지는 열을 차단함으로써 액체를 안정적으로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챔버(20)는 공간부(21)에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밀폐수단(22)을 포함하되, 상기 밀폐수단(22)은 외부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된 개폐공(221)과, 개폐공을 차폐하는 덮개(222)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 마개(223)가 구비되어,
    추가로 구비되는 주사기의 바늘을 마개(223)를 관통해 삽입하여 공간부(2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챔버(20)는 내부챔버의 측부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외부챔버의 외벽 내주면에 연결되어 공간부(21)를 분할하는 격벽(23)을 구비하되,
    상기 격벽은 상부에서 바라볼 때 방사상방향으로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공간부(21)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외부챔버(20)의 내측에 마련된 내부챔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KR1020160002223A 2016-01-07 2016-01-07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KR10180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23A KR101809598B1 (ko) 2016-01-07 2016-01-07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2223A KR101809598B1 (ko) 2016-01-07 2016-01-07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910A true KR20170082910A (ko) 2017-07-17
KR101809598B1 KR101809598B1 (ko) 2017-12-15

Family

ID=5944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2223A KR101809598B1 (ko) 2016-01-07 2016-01-07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5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8701A (zh) * 2020-12-10 2022-06-14 艾尔格林株式会社 喷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221B1 (ko) 2019-07-30 2021-05-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형 미세 액적 분무장치
KR20240008187A (ko) 2022-07-11 2024-01-18 이영환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 억제를 위한 2액형 비강 또는 구강 스프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3877B2 (en) * 2003-01-21 2011-03-29 Aptargroup Inc. Aerosol mounting cup for connection to a collapsible container
KR101534548B1 (ko) * 2015-01-15 2015-07-08 윤효일 액체분사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18701A (zh) * 2020-12-10 2022-06-14 艾尔格林株式会社 喷射装置
KR20220082330A (ko) * 2020-12-10 2022-06-17 에어그린 주식회사 분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598B1 (ko) 2017-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91501B2 (en) Content-accommodating container, content-accommodating product using same, discharge product, and discharge device
US3853157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liquid compositions intended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KR960007219B1 (ko) 분배용 압력 용기를 위한 분배장치
KR101809598B1 (ko) 이중챔버가 구비된 스프레이
JP4966714B2 (ja) 倒立用の定量噴射型エアゾールバルブ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RU2289536C2 (ru) Устройство, регулирующее давление в сосуде для распыления под давлением
JP2005087736A (ja) 化粧製品の包装及び分与装置
JP4863256B2 (ja) 吸引式噴射器
KR200446883Y1 (ko) 수동식 이중 분사장치
KR200482745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180062197A (ko) 스프레이 분사밸브 장치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RU2387485C2 (ru) Насос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вручную текучего вещества, содержащегося в контейнере
KR200469504Y1 (ko) 리필용 화장품 용기
KR101247353B1 (ko) 디스펜서
JP2012236628A (ja) 粉体噴射装置
JP6960436B2 (ja) 液状化粧品のミスト噴射器具
JP2002264978A (ja) 定量バルブ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エアゾール式噴射器
KR101973291B1 (ko) 리필형 화장품 용기
JP2006044710A (ja) 内容物放出機構およびこの内容物放出機構を備えたポンプ式製品
JP2020164232A (ja) 加圧製品の製造方法
US20210030978A1 (en) Cartridge with single-layer container and its nozzle-shaped cap for nebulization inhalation
KR101901756B1 (ko) 휴대용 미스트용 앰플 탄성 장착구
JP7250740B2 (ja) 定量弁、高圧容器及び喘息治療器
JP2016113195A (ja) 噴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