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785A -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785A
KR20170082785A KR1020160001977A KR20160001977A KR20170082785A KR 20170082785 A KR20170082785 A KR 20170082785A KR 1020160001977 A KR1020160001977 A KR 1020160001977A KR 20160001977 A KR20160001977 A KR 20160001977A KR 20170082785 A KR20170082785 A KR 20170082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rea
input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고르 나시엘스키
크르지스토프 노왁
미칼 가예브스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2785A/ko
Publication of KR2017008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M1/7251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영역 내에서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 개시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전자 장치(예: 모바일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전자장치는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장치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융/복합(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타이머 기능, 파일 전송, 음악 재생,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 장치인 스마트폰(smartphone)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스마트폰 이용자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전자 장치의 용도와 기능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도 사용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고화질 화면을 출력하기 위해 그 크기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특히, 넓은 화면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에서는 컨텐츠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키패드를 누름으로써 전자 장치에 입력 및 제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손에 비해 넓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경우,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일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 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스케일 조정 없이 한 손만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영역 내에서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가상 영역 내에서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손만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화면의 스케일 조절없이 한 손만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X축과 Y축을 중심으로 전자 장치가 회전할 때 표시되는 영역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모드로의 진입 및 종료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반한 한 손 모드의 진입 및 종료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에 대한 입력 상태에 기반한 한 손 모드의 진입 및 종료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전 기울기에 따라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울기에 따라 컨텐츠가 다르게 표시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통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에 따라 컨텐츠가 다르게 표시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사용자 입력을 지칭하는 용어, 상태 변화를 지칭하는 용어(예: 모드(mode)), 컨텐츠(contents)를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electronic device)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전화(mobile phone), 이동 패드(mobile pad),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핸드헬드 컴퓨터(handheld computer)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술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기능들을 결합한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어부(control unit) 110, 입력부(input unit) 120, 센서부(sensor unit) 130, 출력부 (output unit) 140, 저장부(storage unit) 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개체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같은 다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도시된 전자 장치의 구성들은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와 출력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결합된 구성은 입/출력부(Input/Output unit) 또는 사용자(user interface)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 110은 입력부 120, 센서부 130, 출력부 140, 및 저장부 150과 결합될 수 있고, 장치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 110은 전자 장치 100의 제어를 위해 저장부 150에 저장된 운영 체제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거나, 입력부 120로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센서부 130으로부터의 센서 신호를 처리하거나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110은 처리되거나 연산된 결과를 저장부 150에 저장하거나 출력부 14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기능에 따라 이미지 프로세서(image processor) 또는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 processing unit, GPU)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 120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고, 입력부 12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 110은 입력 신호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부 1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다양한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 120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122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122는 전자 장치의 표시부 142 또는 디스플레이와 결합되거나 전자 장치의 표시부 142 또는 디스플레이 그 자체를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 122는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검출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이외에도 입력부는 키보드, 키패드(keypad),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 130은 전자 장치 100의 작동 상태를 검출 할 수 있으며, 검출된 정보로부터 신호를 생성하거나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 130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 132 또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 132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또는 각도 센서로 지칭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 132는 전자 장치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양을 검출하여 전자 장치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가속도 센서 134는 가속기(accelerometer)로 지칭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 134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전자 장치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자이로 센서 132 및/또는 가속도 센서 134로부터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물리적 상태, 예를 들면, 전자 장치의 기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출력부 140은 제어부 110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출력부 140은 표시부 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부 142는 전자 장치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 142는 터치 스크린 122와 결합되거나, 동등한 개념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에서는 표시부 142와 터치 스크린 122는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도시되나, 실시 예에 따라 동일한 전자 장치 100의 구성으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과 사용자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 150은 전자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에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제어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 150은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으며,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다양한 예시를 도시한다.
도 2의 (a)와 (b)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엄지로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전자 장치를 쥐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이 넓어서 엄지 손가락으로 스크린의 모든 부분을 터치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는 터치 스크린 122의 아랫 부분을 터치하기 위해서 도 2의 (a)와 같이 전자 장치의 아랫 부분을 쥐고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거나, 터치 스크린의 윗 부분을 터치하기 위해서 도 2의 (b)와 같이 전자 장치 100의 윗 부분을 쥐고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a) 또는 (b)와 같이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때,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을 쥔 상태에서 터치 스크린 122의 모든 부분을 터치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불편을 겪게 되고 사용자 경험이 저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전자 장치 100의 설정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42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스케일링 또는 크기 조절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컨텐츠의 스케일링 또는 크기 조절은 전자 장치 100에 표시되는 컨텐츠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의 부분을 터치하기 더 어렵도록 할 수 있다.
도 2의 (c) 내지 (f)는 사용자가 두 손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도 2의 (c)와 같이 한 손으로 전자 장치를 쥐고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거나, 도 2의 (d)와 같이 한 손으로 전자 장치를 쥐고 검지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하거나, 도 2의 (e)와 같이 세로 모드(portrait mode)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기 위해 두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세로로 쥐고 두 손의 엄지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거나, 도 2의 (f)와 같이 가로 모드(landscape mode)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기 위해 두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가로로 쥐고 두 손의 엄지들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의 (c) 내지 (f)와 같이 두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경우, 도 2의 (a) 및 (b)와 같이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경우에 비해 터치 스크린 122의 모든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한 손을 쓸 수 없어서 다른 한 손으로만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해야 하는 상황 또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것에 익숙한 경우에는, 도 2의 (c) 내지 (f)와 같이 두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것이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한 손만을 이용하면서 전자 장치 100의 전체 컨텐츠를 터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42에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개선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표시부 142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성분들의 스케일링 없이 한 손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한 손으로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자이로 센서 132와 가속도 센서 134를 이용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의 방향과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검출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한 손만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는 상태는 한 손 모드(one-hand mode)로 지칭될 수 있다.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은 피치(pitch),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의 움직임은 롤(roll)로 지칭될 수 있다.
한 손 모드가 활성화 되었을 때, 스크린 영역 주변에 추가적인 경계(border) 영역이 생성된다. 경계 영역은 한 가지 색을 표시하거나 회색의 기본 백그라운드(background), 또는 다른 종류의 시각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계 영역은 가상 영역(virtual area)로 지칭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움직이면(피치 또는 롤), 현재 표시되는 영역이 움직임에 따라 조절된다. 표시되는 이미지는 전자 장치 100의 위치에 따라 이동하는데, 표시되는 이미지가 전자 장치 100의 최초 위치로부터 떠다니는 것(floating)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 100이 한 손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컨텐츠가 표시되는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 영역 340 주변에 가상 영역(virtual area) 320이 추가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원래 전자 장치 100에 컨텐츠가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screen area) 340과 생성된 가상 영역(virtual area) 320이 결합되어 확장된 영역(extended area), 또는 확장된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42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표시되는 전체 화면, 전체 화면의 일부, 또는 컨텐츠의 일부 객체일 수 있다. 한편, 가상 영역 320은 스크린 영역 340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컨텐츠는 스크린 영역 340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 320 상에서 이동하거나, 또는 스크린 영역 340이 고정되고 표시 영역이 이동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린 영역 340은, 전자 장치의 컨텐츠의 영역을 지칭 할 수 있다. 가상 영역 320은 스크린 영역 340의 주변에 생성되는 컨텐츠의 외부 영역 또는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영역을 포함하는 확정된 평면, 또는 확장된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은 전자 장치의 표시부에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가 표시되는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가상 영역 320은 전자 장치 100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영역 320은 전자 장치 100의 기본 설정에 따라 고정된 크기를 갖거나,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에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 340의 크기가 1080x1920 픽셀인 경우, 스크린 영역의 주변에 가로와 세로축으로 각각 300픽셀을 갖는 가상영역 320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린 영역 340의 높이와 폭이 각각 600 픽셀만큼 추가적으로 형성된 확장된 영역이 형성된다. 가상 영역 320의 크기는 사용자의 선호도, 전자 장치의 종류, 또는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가상 영역 320에 대한 스크린 영역 340의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 340 주변에 가상 영역 320이 부가되는 크기 및 모양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크린 영역 340이 전체 확장된 평면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전자 장치 100의 가로축과 세로축, 또는 X축과 Y축에 대한 움직임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 100의 기본 방향은 몇몇 방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의 X축과 Y축들에 관한 기본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면에 대해 평행하는 면이 전자 장치의 X축과 Y축으로 형성되는 면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100의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이 X축과 Y축의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기본 위치(또는 zero position)가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전자 장치 100에 의해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써 전자 장치 100의 기본 위치를 다시 설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의 기본 위치가 다시 설정되면, 다시 설정된 기본 위치로부터의 전자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영역 340은 조절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를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전자 장치 100을 움직이게 되면, 전자 장치 100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때 터치하기 어려웠던 스크린의 부분에 위치했던 아이콘을 쉽게 터치할 수 있는 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자 장치가 X축 또는 Y축으로 회전할 경우, 컨텐츠가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와 주변의 가상 영역 320은 고정된 상태로 있으면서 전자 장치 100의 움직임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스크린 영역 340을 이동시킴으로써 컨텐츠가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가상 영역 320과 스크린 영역 340은 고정된 채, 컨텐츠가 가상 영역 320 상에서 이동함으로써 컨텐츠가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에서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이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roll), 컨텐츠는 왼쪽 또는 오른쪽(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0이 Y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컨텐츠는 왼쪽으로 이동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컨텐츠는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0이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pitch), 컨텐츠는 위쪽 또는 아래쪽(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0이 X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위쪽이 무거운 것처럼) 컨텐츠는 위쪽으로 이동하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아래쪽이 무거운 것처럼) 컨텐츠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X축과 Y축 모두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고(roll과 pitch가 결합), 이 경우 컨텐츠 또한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이 결합되어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가 조절되는 속도와 감도 즉, 컨텐츠가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을 따라서 이동하는 속도와 감도는 전자 장치 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선호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X축 및 Y축을 중심으로 전자 장치 100이 회전할 때 표시되는 영역을 도시한다.
도 4의 (a)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 100는 X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 130 특히, 자이로 센서 132 또는 가속도 센서 134는 전자 장치 100의 회전 운동을 검출할 수 있고 회전 운동시의 속도 또는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와 같은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이 X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텐츠와 가상 평면 320은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린 영역 340이 위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는 화면인 스크린 영역 340에는 컨텐츠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때 터치하기 어려웠던 컨텐츠의 위쪽 부분을 터치할 수 있다.
도 4의 (c)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전자 장치 100는 Y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센서부 130 특히, 자이로 센서 132 또는 가속도 센서 134는 전자 장치 100의 회전 운동을 검출할 수 있고 회전 운동시의 속도 또는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와 같은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이 Y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도 4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컨텐츠와 가상 평면 320은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린 영역 340이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보는 화면인 스크린 영역 340에는 컨텐츠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때 터치하기 어려웠던 컨텐츠의 왼쪽 부분을 쉽게 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된 컨텐츠는 특정 조건에 따라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입력에 의해 컨텐츠가 이동된 후 특정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이후 컨텐츠를 이동시키는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다고 하더라고 이동된 컨텐츠는 이동된 위치로부터 이동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컨텐츠를 스크린의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컨텐츠는 스크린의 우측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기울이더라도 해당 컨텐츠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장치 100이 흔들리거나, 실수로 터치 스크린 122을 스크롤 하더라도 고정된 위치의 컨텐츠를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 사용자는 컨텐츠가 고정되는 것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505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한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결정하고 이후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의 특정 조건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특정 제스쳐일 수 있다. 또는 미리 결정된 객체(object)의 상태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가상 영역 320은 컨텐츠 주변에 추가적으로 생성되는 영역으로서, 가상 영역 320은 가상 영역은 전자 장치 1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선호에 따라 다른 크기, 모양, 또는 색상을 갖도록 결정될 수 있다. 특히, 가상 영역 320의 크기는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 142, 터치 스크린 122, 전체 화면, 또는 컨텐츠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가상 영역 320은 스크린 영역 340을 포함하는 가상의 평면 개념으로도 이해될 수 있다.
510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 100의 자이로 센서 132를 통해 검출되는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기울기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이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일정 각도 이상이 검출될 때만, 표시되는 영역이 갱신되도록 표시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 122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스크롤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컨텐츠가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되도록 표시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조작하기 용이하도록 화면이 이동한 경우, 화면이 해당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515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된 스크린 영역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만약 사용자가 한 손 모드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해, 전자 장치 100은 특정 입력이 검출되면 더 이상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영역이 결정되는 것이 아닌, 원래의 화면이 계속해서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한 손 모드로의 진입 및 종료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가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고자 할 때,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제스쳐를 터치 스크린에 입력하거나 특정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0은 도 6의 (a)와 같이 백그라운드(background) 서비스에서 동작을 하며,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특정 제스쳐(guesture)일 수 있다. 특정 제스쳐가 검출되기 전까지,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은 평상시와 같이 동작한다.
도 6의 (b)는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예시적인 제스쳐를 도시한다. 도 6의 (b)와 같은 특정 제스쳐가 검출되면,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컨텐츠가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회전시켜 기울이게 되면, 전자 장치 100은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 상에서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의 (c)는 한 손 모드의 종료를 위한 종료 아이콘을 도시한다. 한 손 모드에 진입하게 되면, 표시되는 컨텐츠의 내부 또는 외부에, 또는 컨텐츠와 결합된 아이콘이 생성될 수 있다. 아이콘은 한 손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자(indicator)로 지칭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전자 장치의 물리적 버튼을 누름으로써 한 손 모드를 종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종료 아이콘을 스크린 상의 어느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손 모드가 종료되면, 전자 장치 100의 시스템은 원래의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한 손 모드의 이전과 같은 보통 상태의 스크린이 표시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제스쳐에 기반한 한 손 모드의 진입 및 종료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70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스쳐의 입력을 대기한다.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위한 제스쳐는 전자 장치 100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제스쳐가 검출될 때까지 원래의 동작 모드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71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스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통해 미리 설정된 제스쳐를 입력하면,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설정된 제스쳐를 감지하게 된다.
715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한 손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 100의 자이로 센서 132에 의해 검출되는 기울기 또는 터치 스크린 122에서 입력되는 스크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이동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한 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기 용이한 위치에 컨텐츠가 표시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위치에 컨텐츠가 고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한 손 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 아이콘을 터치하면 한 손 모드가 종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료 아이콘은 컨텐츠의 내부 또는 외부에, 또는 컨텐츠와 결합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종료 아이콘을 스크린 상의 어느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72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한 손 모드 종료를 위한 입력이 검출되면, 컨텐츠를 기본 위치로 이동시키고 한 손 모드를 종료시킨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에 대한 입력 상태에 기반한 한 손 모드의 진입 및 종료 절차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805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미리 설정된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상태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 아이콘에 대한 어떤 입력도 없다면 전자 장치 100은 기본 모드로 동작한다.
810 단계에서, 전자 장치 100은 미리 설정된 아이콘에 대한 상태를 확인하여, 아이콘의 상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로부터 어떠한 입력도 없다면, 전자 장치 100은 기본 모드, 또는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아이콘을 탭(tap)하는 경우, 해당 아이콘은 사라지거나 비 활성화 될 수 있다.
815 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아이콘을 누른 상태라는 것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한 손 모드로 동작한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전자 장치의 기울기 또는 스크롤을 포함한다. 전자 장치 100에 표시되는 화면 또는 컨텐츠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이동하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0의 회전 기울기에 따라 전자 장치 10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 100은 자이로 센서 132로부터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에 따라 스크린의 컨텐츠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지나치게 민감하게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에 반응하여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컨텐츠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전자 장치 100은 일정 각도 이상일 때에만 컨텐츠를 이동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0은 도 9와 같이 기울기 각도가 A일 때에는 컨텐츠를 이동시키지 않고, 각도가 A보다 큰 B 이상일 때부터 사용자가 컨텐츠를 이동시키고자 함을 감지하고, 각도가 B이상일 때, 컨텐츠가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100의 기울기에 따라 컨텐츠가 다르게 표시되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0의 (a) 내지 (d)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위쪽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시계 방향)으로 전자 장치 100을 회전시켜서 컨텐츠는 오른쪽으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위쪽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반 시계 방향)으로 전자 장치 100을 회전시켜 컨텐츠가 왼쪽으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아래쪽(시계 방향)으로 전자 장치 100를 회전시켜서, 컨텐츠가 아래쪽으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을 외쪽 (반 시계 방향)으로 전자 장치 100을 회전시켜서, 컨텐츠가 위쪽으로 이동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전자 장치 100은 도 10의 (a) 내지 (d)와 같이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 손 만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합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아이콘을 통한 전자 장치 100를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1의 (a)는 전자 장치 100의 화면 상의 한 위치에서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의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을 도시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하는 경우, 이동 아이콘은 오른쪽 아래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한 손 모드로 전자 장치 100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b)는 전자 장치 100의 화면 상의 다른 위치에서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의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 100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한 손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이동 아이콘을 스크린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 100에 위치한 물리적 버튼을 통해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1의 (c)는 전자 장치 100이 한 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아이콘이 표시되는 경우의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11의 (c)와 같이, 전자 장치 100이 한 손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동 아이콘은 컨텐츠와 함께 이동하거나 컨텐츠와 별개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이 한 손 모드로 동작할 때, 사용자가 이동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전자 장치 100은 한 손 모드를 종료시키고 원래의 스크린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롤에 따라 컨텐츠가 다르게 표시되는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12의 (a) 내지 (d)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크롤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을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크롤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을 위에서 아래로 스크롤하는 경우,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의 터치 스크린을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로 스크롤하는 경우 및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스크롤하는 경우의 전자 장치 100의 스크린을 각각 도시한다.
전자 장치 100은 도 12의 (a) 내지 (d)와 같이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한 손 만으로 전자 장치 1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적합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전자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전자 장치가 본 개시의 방법을 실시하게 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휘발성(volatile) 또는 (ROM: Read Only Memory)과 같은 불휘발성(non-volatile) 저장장치의 형태로,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메모리 칩(memory chips), 장치 또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s)와 같은 메모리의 형태로, 또는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자기 디스크(magnetic disk) 또는 자기 테이프(magnetic tape)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저장 장치 및 저장 미디어는, 실행될 때 일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그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절한 기계-판독 가능 저장 수단의 실시 예들이다.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에 청구된 바와 같은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그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나아가,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어떠한 매체에 의해 전자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은 동등한 것을 적절히 포함한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상술한 실시 에들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실시 예들이 내포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값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되는 영역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기울기 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스크롤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하도록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고정되도록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은, 상기 스크린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한 손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한 손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특정 제스쳐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제스쳐가 입력되면 한 손 모드로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한 손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한 손 모드를 위해 정의된 객체(object)에 대한 터치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객체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가 검출된 경우 상기 한 손 모드로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 영역으로부터 확장된 가상 영역을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 영역 내에서 표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포함되는 스크린 영역의 전체 또는 일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기울기 값을 검출하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기울기 값을 포함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값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큰 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울기 ㄱ밧이 미리 결정된 값보다 클 때,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하도록 표시하는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터치 입력에 따른 스크롤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롤의 방향과 동일하거나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이동하도록 결정하는 장치.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결정된 입력이 검출되면 상기 표시되는 영역이 고정되도록 결정하는 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영역은, 상기 스크린 영역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한 손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는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특정 제스쳐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특정 제스쳐가 입력되면 한 손 모드로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 손 모드를 위해 정의된 객체(object)에 대한 터치 입력을 확인하고, 상기 객체에 대한 연속적인 터치가 검출된 경우 상기 한 손 모드로 진입할 것을 결정하는 장치.


KR1020160001977A 2016-01-07 2016-01-07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82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77A KR20170082785A (ko) 2016-01-07 2016-01-07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77A KR20170082785A (ko) 2016-01-07 2016-01-07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85A true KR20170082785A (ko) 2017-07-17

Family

ID=5944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77A KR20170082785A (ko) 2016-01-07 2016-01-07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278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843A1 (ko) * 2020-01-21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9843A1 (ko) * 2020-01-21 2021-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슬라이드 이동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2062B2 (ja) 画像の表示方向を制御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304577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170068325A1 (en) Scrolling and zooming of a portable device display with device motion
TWI571790B (zh) 依感測信號更改圖示座標值的方法與電子裝置
EP3241095B1 (en) Adjusting the display area of application icons at a device screen
JP5920869B2 (ja) 入力制御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CN203250304U (zh) 信息处理装置
US20150116363A1 (en)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 Including Dynamic Orientation Display
KR100950080B1 (ko) 소프트웨어 기능들을 제어하는 방법, 전자 장치, 그리고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US20190095068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13009749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스크롤 방법 및 그 장치
TW201028913A (en) Input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ontrol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KR20140137996A (ko) 휴대 단말기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02649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TWI502471B (zh) 游標控制方法與電腦程式產品
CN106445334B (zh) 显示界面的调节方法及调节系统
JP5007835B2 (ja) 端末装置
KR20100136289A (ko)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4962741B2 (ja) 端末装置
CN109033100A (zh) 提供页面内容的方法及装置
KR20170082785A (ko) 전자 장치의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9096182A (ja) 電子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64500B2 (e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auto scroll of content as a function of tilting the device
JP6014420B2 (ja) 操作制御装置、操作制御方法、および、操作制御装置用プログラム
JP5007836B2 (ja) 端末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