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406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406A
KR20170082406A KR1020160001761A KR20160001761A KR20170082406A KR 20170082406 A KR20170082406 A KR 20170082406A KR 1020160001761 A KR1020160001761 A KR 1020160001761A KR 20160001761 A KR20160001761 A KR 20160001761A KR 20170082406 A KR20170082406 A KR 20170082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door
mounting bracket
mounting
oper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6688B1 (ko
Inventor
민혜성
손태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688B1/ko
Priority to AU2016384531A priority patent/AU2016384531B2/en
Priority to PCT/KR2016/013913 priority patent/WO2017119610A1/en
Priority to CN201611100569.0A priority patent/CN106943100B/zh
Priority to CN202010042731.8A priority patent/CN111166265B/zh
Priority to US15/377,687 priority patent/US10064538B2/en
Priority to EP16205524.8A priority patent/EP3189765B1/en
Publication of KR20170082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406A/ko
Priority to US16/050,606 priority patent/US1048539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47L15/0034Drying phases, including dripping-off ph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5Arrangements of door covering/decoration panels or plinths, e.g. for integrated dishwash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4Piezoelectric touch switches
    • H03K17/9643Piezoelectric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1/00Manual input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information entered by a user
    • A47L2301/08Other manual inpu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20Time, e.g. elapsed operating ti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과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 사용자가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며, 상기 조작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센서가 실장된 피시비 어셈블리; 상기 아웃 플레이트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를 상기 조작부 배면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 Dish washer }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사용된 식기류에 남아있는 음식물이나 오물 등을 화학적인 분해작용과 기계적인 수압의 조적에 의해 제거하는 기기로서, 식기세척은 물론 헹굼, 살균, 건조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하여 그 수요가 점점 늘어가는 추세이다.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간편하게 조작하도록 하는 한편 외관이 보다 개선되고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78276에는 식기세척기의 케이스를 차폐하는 도어 전면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의 조작 및 상태의 표시를 위한 구조가 제공되어 높이가 낮은 식기세척기의 특성상 조작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도어의 전면에 많은 수의 버튼이 노출되어 외관이 복잡한 형상을 가지며, 이로 인하여 식기세척기 전체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인식률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의 상면에 조작부가 구비되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금속 소재로 도어의 외관이 형성되고, 도어의 테두리 부분에 터치 조작 가능한 조작부가 제공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터치 입력을 위한 피시비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과도한 터치 조작에 의한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로 내구성이 향상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과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 사용자가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며, 상기 조작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센서가 실장된 피시비 어셈블리; 상기 아웃 플레이트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를 상기 조작부 배면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 각각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의 표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처리에 의해 조작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보다 낮은 장착부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는 상기 하면과 접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 다른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사이 거리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터치센서의 사이 영역과 대응하는 하방에 배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의 중앙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미세한 다수의 제 1 관통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홀들은 7 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 피시비에는 각각의 상기 터치센서 측방에 엘이디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빛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전면에는 상기 도어의 회동 조작을 위한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틸팅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양단은 상기 푸쉬로드와 연동되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상기 틸팅 모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상기 식기세척기의 도어의 외관이 금속소재로 형성되고, 둘레면 특히 상면에 터치 조작이 가능한 조작부를 형성함으로써 전체적이 외관이 매우 간결하고 뛰어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전면으로 돌출된 조작을 위한 구성이 제거되어 디자인이 미려하며, 둘레면에 조작을 위한 조작부를 배치하여 전면의 외관을 한층더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가 상기 도어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조작을 위한 적절한 높이를 제공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터치 센서가 실장된 피시비 어셈블리가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며,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조작부의 터치 조작 인식률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피시비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보다 높도록 하여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에 항상 압축력을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가 상기 조작부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폭이 좁고 테두리가 절곡된 도어 상면은 그 구조상 터치 조작시의 변위가 크게 나타날 수 없으나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밀착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터치센서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피시비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과도한 하중이 전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지지부와 연결부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변형이 용이하도록 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가해지는 하중을 한층 더 분산시켜 상기 마운팅 브라켓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 하면은 보강 리브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하중이 가해지게 될 때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지지부가 연결부에 의해 연속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에는 장착부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게 되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조작부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도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과 탄성부재 및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시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8-8'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상기 조작부의 터치 조작시 탄성부재의 상태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식기세척기(1)는 캐비닛(10)과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내부에는 세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세축수를 회수 및 저장하는 섬프가 구비되며, 세척수의 유동을 위한 펌프와 유로, 그리고 세척수의 분사를 위한 노즐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구조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상기 캐비닛(10)은 전면이 개구되며, 상기 도어(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의 개방시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터브가 노출될 수 있으며, 세척을 위한 식기가 출입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단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전면 상단에는 핸들(21)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21)을 잡고 당기는 것으로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위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핸들(21)은 상기 도어(20)의 전면을 관통하여 장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도어(20) 내부의 틸팅모듈(23)과 연결되어 상기 도어(2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0)와 캐비닛(10)의 외관은 고급스러운 외관을 표현할 수 있도록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표면 처리된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20) 및/또는 캐비닛(10)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상단에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구동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고, 상기 식기세척기(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도어(20)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도어(2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식기세척기(1)의 앞에 서게 되었을 때 상기 조작부(22)가 조작을 위한 적절한 높이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조작부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부(22)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도어(20) 상면 대부분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디스플레이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21)의 양측방으로 다수의 표시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1)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상태 정보를 숫자 또는 문자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한 다수의 제 1 타공홀(221a)들로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 형상으로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21)는 상기 제 1 타공홀(221a)들을 통해 조사되는 빛에 의해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빛이 투과되는 상기 제 1 타공홀(221a)들의 조합에 따라 숫자 또는 문자의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22)는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다수의 터치센서(62)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문자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22)는 인쇄 또는 에칭과 같은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기호로 표현되어 조작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표시부(222)는 상기 각각의 터치센서(6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62)가 위치된 정확한 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다수의 상기 표시부(222) 상측에는 제 2 타공홀(222a)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타공홀(222a)들은 상기 표시부(222)에 나타나는 기능의 활성화 또는 선택 여부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제 2 타공홀(222a)의 점등 및 소등 또는 점등된 상기 제 2 타공홀(222a)의 개수에 의해 쉽게 확인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조작부(22)의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20)의 전체면은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특히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상기 도어(20)는 간결하고 단정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도어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는 전면 및 둘레면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30)와,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와 결합되며, 상기 도어(20)의 배면을 형성하는 백 패널(27)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웃 플레이트(30)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회 절곡되어 상기 도어(20)의 둘레면 즉, 상면과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31)가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1)는 상기 백 패널(27) 및 상기 도어(20) 내부의 구성들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1)에는 다수의 스크류 홀(311)이 개구되어 상기 백 패널(27)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31) 중 상기 도어(20)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푸쉬로드(231)가 출입되는 로드 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20)의 내부 상측에는 마운팅 브라켓(40)이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절곡된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상단에 위치되며,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전면과 둘레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도어(20) 내측의 가로 폭과 대응하는 가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도어(20) 내측의 두께와 대응하는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20) 내측의 전면과 상면 그리고 좌우 양측면과 밀착 지지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20) 내부에 구비되는 틸팅모듈(23)과 메인 컨트롤러(24), 프론트 인디게이터(25) 그리고 디스플레이(26)와 피시비 어셈블리(60)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도어(20)의 전면과 접하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도어(2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하는 테두리(4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4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틸팅모듈(23)과 메인 컨트롤러(24), 프론트 인디게이터(25)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핸들(21)의 좌우 양측단과 대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전면에는 핸들 홀(32)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 홀(32)에 의해 상기 핸들(21)의 양단이 상기 도어(20) 내부에 장착되는 틸팅모듈(23)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 홀(32)과 대응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베이스(41)에는 틸팅 홀(411)이 구비되며, 상기 틸팅 홀(411)의 위치에는 상기 틸팅모듈(23)이 장착된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40) 양측에 상기 틸팅모듈(23)이 고정장착되며, 상기 핸들(21)의 단부는 상기 핸들 홀(32)과 틸팅 홀(411)을 관통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40) 내측의 틸팅모듈(23)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틸팅모듈(23)에는 상기 핸들(21)의 틸팅조작에 연동하는 상기 푸쉬로드(231)가 형성되며, 상기 핸들(21)을 틸팅 조작하게 되면 상기 푸쉬로드(231)가 상기 푸쉬로드 홀(312)을 통해서 상기 도어(20)의 배면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로드(231)는 상기 캐비닛(10)을 밀어 상기 도어(20)의 개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41)의 중앙에는 인디게이터 홀(412)이 형성되며, 상기 인디게이터 홀(412)과 대응하는 마운팅 브라켓(40)에는 프론트 인디게이터(2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인디게이터 홀(412)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미세한 크기의 제 3 관통홀(미도시)과 연통된다. 상기 제 3 관통홀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인디게이터(25)에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상기 도어(20)의 전방으로 상기 식기세척기(1)의 상태 표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식기세척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24)가 장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상면에는 탄성부재(50)와 피시비 어셈블리(60) 및 디스플레이(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6)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21)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 상기 탄성부재(50)가 장착되며,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상면 즉 상기 조작부(2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26)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에 의해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작부(22)의 배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마운팅 브라켓과 탄성부재 및 피시비 어셈블리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상면 중앙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디스플레이 장착부(43)가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는 상기 디스플레이(2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방으로 함몰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에는 제 1 전선홀(43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선홀(431)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26)와 연결된 전선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을 통과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24)로 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6) 장착의 좌우 양측면에는 탄성부재 장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는 상기 탄성부재(5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5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장착부 리브(44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 리브(441)의 높이는 상기 탄성부재(50)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50)의 압축 변형 과정에서 상기 장착부 리브(441)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와 접하여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 리브(441)는 상기 탄성부재(5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탄성부재(5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브라켓(40) 상면에는 전체적으로 함몰된 함몰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5)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와 탄성부재 장착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와 탄성부재 장착부(44)는 상기 함몰부(45)의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5)는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의 배치 영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함몰부(45)의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함몰부(45) 일측에는 제 2 전선홀(45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45) 상방에 배치되는 피시비 어셈블리(60)에서 연장되는 전선이 상기 제 2 전선홀(451)을 통과하여 상기 마운팅 브라켓(40) 내측에 배치된 상기 메인 컨트롤러(24)와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26)는 상기 제 1 타공홀(221a)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다수의 엘이디(261)로 구성될 수 있으며, 7 세그먼트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26)의 양측방에는 다수의 터치센서(62)가 실장된 피시비 어셈블리(60)가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연속된 절곡에 의해 형성되며, 그 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터치 조작을 하게 되더라도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변위의 발생이 매우 적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조작부(22)의 터치 조작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를 위해,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에 접착시트(65)를 이용하여 부착한 후 지그 또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가압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40)과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가압 지지한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조작부(22)의 배면에 완전히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22)의 터치 조작에 의한 미세한 변위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피시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터치센서(62)가 실장된 센서 피시비(61)와, 상기 센서 피시비(61) 상면에 부착되는 스페이서(63), 상기 스페이서(63)의 상면에 부착되는 컨덕티브 포일(64)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64) 상면에 부착되는 접착시트(65)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센서 피시비(61)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에는 회로를 구성하는 구리 도막(611)이 인쇄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 피시비(6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누름 변위를 감지하는 터치센서(62)가 구비된다.
상기 터치센서(62)는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판(621)의 상면에 세라믹 소자(622)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판(621)은 사용자의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터치 조작 압력에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세라믹 소자(622)는 이 압력에 따른 전기량의 변화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터치센서(62)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터치센서(62)의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센서(62)는 상기 센서 피시비(61)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센서(62)가 장착되는 상기 센서 피시비(61)에는 센서 홀(612)이 형성된다.
상기 센서 홀(612)은 상기 터치센서(62)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61)를 관통하거나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홀(612)은 상기 터치센서(62)의 크기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센서 홀(612)의 둘레가 상기 터치센서(62)의 둘레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금속판(621)의 둘레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터치 조작부(22)의 조작시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에 변위가 발생되면 상기 터치센서(62)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금속판(621)의 둘레만 지지되고 있으므로 상기 터치센서(62)는 보다 용이하게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조작부(22)의 터치시 발생되는 압력이 상기 세라믹 소자(622)에 집중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 조작부(22)의 터치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62) 및 센서 홀(612)은 상기 조작부(22)에 형성된 각각의 표시부(222)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222) 영역 조작을 통해 상기 터치센서(62)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피시비(61)에는 다수의 엘이디(613)가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엘이디(613)는 상기 제 2 타공홀(222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타공홀(222a)을 통과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센서 피시비(61)의 상면면에는 스페이서(63)가 부착된다. 상기 스페이서(63)는 상기 센서 피시비(61)와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이 접합될 수 있도록 간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성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63)는 상기 센서 피시비(61) 및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3)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이 적정한 높이에서 상기 터치센서(62)의 상면 및 상기 센서 피시비 상의 공통 접점)과 접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3)에는 상기 터치센서(62)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 홀(631)이 형성된다. 상기 스페이서 홀(631)은 상기 터치센서(6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터치센서(62)가 상기 스페이서 홀(631)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센서(62)의 탄성 변형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63)에는 상기 엘이디(6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엘이디 홀(632)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6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스페이서(63)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 2 타공홀(222a)을 향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63)의 상면에는 컨덕티브 포일(64)이 접착된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은 피이티(PET)와 같은 수지 필름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피시비(61) 및 상기 스페이서(63)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에는 다수의 상기 터치센서(62)들의 상면과 상기 공통 접점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도체 라인(641)이 형성된다. 상기 도체 라인(641)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의 하면에 실버 소재로 인쇄되며, 상기 도체 라인(641)이 인쇄된 면이 상기 스페이서(63)와 접착되고 동시에 상기 터치센서(62) 및 공통 접점과 접하도록 연장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에는 상기 터치센서(62)가 정확한 위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너 가이드 라인(642)과 아우터 가이드 라인(643)이 인쇄 형성된다.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642)은 상기 세라믹 소자(622)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643)은 금속판(621)의 크기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센서(62)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세라믹 소자(622)는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642)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금속판(621)은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643)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의 전체 면에는 격자형상의 라인들로 구성되는 메쉬(644)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쉬(644)에 의해 신호 발생시의 노이즈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가이드 라인(643)과 이너 가이드 라인(642)의 사이에는 메쉬(644)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변형시 도체 라인(641)에 의한 변형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이너 가이드 라인(642)의 중앙에는 접촉부(6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645)는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의 배면에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645)는 상기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 또는 점과 같은 형태로 인쇄되며, 상기 세라믹 소자(622)의 중앙을 누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누름 조작시 누르는 힘이 상기 터치센서(62)의 중앙을 향하여 집중될 수 있도록 하여 터치 조작을 보다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에는 상기 엘이디(6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엘이디 홀(646)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엘이디(613)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에 의해 간섭되지 않고 상기 제 2 타공홀(222a)을 향하게 된다.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의 상면에는 접착시트(65)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시트(65)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컨덕티브 포일(64)을 포함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 전체가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탄성부재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탄성부재(50)는 고무 또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의 배면과 접하여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상기 조작부(22)측으로 가압 밀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0)는 자체의 탄성력과 구조에 의해 터치 조작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통해 전해지는 압력을 분산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50)는 전체적으로 사다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51)와 연결부(52)가 연속하여 반복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1)와 연결부(52)는 모두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지지부(51)는 중앙에 개구(511)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51)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의 장착부 리브(441)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51)의 하면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의 바닥면과 접하며, 상기 지지부(51)의 상면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51)는 압축된 상태가 되며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아웃 플레이트(30)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51)의 높이는 상기 도어(20) 내부에 상기 마운팅 브라켓(40)과 피시비 어셈블리(6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 사이의 거리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마운팅 브라켓(40)과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 그리고 탄성부재(50)가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50)에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51)는 상기 센서 피시비(61)에 장착된 다수의 터치센서(62) 사이에 위치된다. 즉, 이웃하는 상기 지지부(51)의 사이에 상기 터치센서(62)가 배치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조작부(22)의 터치시 상기 터치센서(62)측으로 변형이 집중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51)의 사이에는 연결부(5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2)는 이웃하는 상기 지지부(51)를 연결하는 것으로 사각형 형상으로 형정되며 중앙에 개구(521)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센서 피시비(61)와 대응하는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센서 피시비(61)와 동일 개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지지부(51)의 연결이 가능한 구조이면 되므로 상기 지지부(51) 및 장착부 리브(441)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52)의 폭은 상기 지지부(51)의 폭과 같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연결부(52)는 상기 지지부(51)의 사이를 연결하는 기능을 하며, 동시에 상기 지지부(51)의 측방향 탄성 변형을 용이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51)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도 1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20)의 내측 상부에는 마운팅 브라켓(40)이 장착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은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조작부(22)의 배면에 접착 고정되는 한편,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가압 지지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는 상기 지지부(51)가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의 하면을 지지하는 상태가 되며 터치 조작 전 상태에서도 압축력이 작용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탄성부재(50)의 높이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상면과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 배면의 사이 거리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40)과 탄성부재(50) 및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의 조립시 상기 탄성부재(50)는 항상 압축력이 작용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를 상기 조작부(22) 배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상면과 전면을 형성하는 모서리에는 보강 리브(4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46)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가 형성된 하면과 마운팅 브라켓(40)의 내측 전면을 연결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상기 조작부(22)를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식기세척기의 터치 조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상기 조작부의 터치 조작시 탄성부재의 상태 변화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상기 식기세척기(1)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22)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의 조작 전에는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변위가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터치 센서(62)는 아무런 신호도 감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50)는 압축된 상태로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가 항상 상기 조작부(22)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식기 세척기의 디스플레이부(221) 또는 상기 조작부(22) 상의 제 2 타공홀(222a)에 표시되는 불빛을 통해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원하는 운전을 위해 상기 조작부(22)의 표시부(222) 영역을 눌러 조작하게 된다.
도 9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2)의 표시부 영역을 터치하게 되면,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에는 미세한 변위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치센서(62)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의 변위에 반응하여 터치 조작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누르는 힘에 의해 상기 지지부(51)가 더 압축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51)는 그 형상의 특성상 측방향의 변형이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누르게 되더라도 상기 지지부(51)의 변형에 의해 하중이 분산될 수 있게 된다. 하중의 분산으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44) 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40)의 파손이나 변형이 감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222)의 영역이 아닌 표시부(222)와 표시부(222) 사이를 누르거나 인접한 위치를 누르게 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51)에 의해 하중이 분산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터치센서(62)가 오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51)의 변형에도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압축력에 의해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60)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터치 조작이 종료되면 상기 지지부(51)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게 된다.

Claims (15)

  1. 식기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금속 판재가 절곡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과 둘레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 플레이트;
    상기 도어의 둘레면에 사용자가 터치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배면에 밀착되며, 상기 조작부의 변위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센서가 실장된 피시비 어셈블리;
    상기 아웃 플레이트 내측면에 고정 장착되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장착되며,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를 상기 조작부 배면으로 가압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도어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치 센서 각각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의 표면에는 인쇄 또는 표면처리에 의해 조작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탄성부재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탄성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는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보다 낮은 장착부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는 상기 하면과 접하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 다른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는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되며, 일정간격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높이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상기 피시비 어셈블리의 사이 거리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터치센서의 사이 영역과 대응하는 하방에 배치되며, 중앙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중앙은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지지부의 높이보다 더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동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와 대응하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는 미세한 다수의 제 1 관통홀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 1 관통홀들은 7 세그먼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피시비에는 각각의 상기 터치센서 측방에 엘이디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엘이디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 빛이 선택적으로 투과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전면에는 상기 도어의 회동 조작을 위한 핸들이 구비되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의 배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비닛을 밀어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푸쉬로드를 포함하는 틸팅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핸들의 양단은 상기 푸쉬로드와 연동되도록 상기 아웃 플레이트와 상기 마운팅 어셈블리를 관통하여 상기 틸팅 모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160001761A 2016-01-06 2016-01-06 식기세척기 KR10241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761A KR102416688B1 (ko) 2016-01-06 2016-01-06 식기세척기
AU2016384531A AU2016384531B2 (en) 2016-01-06 2016-11-29 Dish washer
PCT/KR2016/013913 WO2017119610A1 (en) 2016-01-06 2016-11-29 Dish washer
CN201611100569.0A CN106943100B (zh) 2016-01-06 2016-12-02 洗碟机
CN202010042731.8A CN111166265B (zh) 2016-01-06 2016-12-02 洗碟机
US15/377,687 US10064538B2 (en) 2016-01-06 2016-12-13 Dish washer
EP16205524.8A EP3189765B1 (en) 2016-01-06 2016-12-20 Dish washer with a user interface
US16/050,606 US10485399B2 (en) 2016-01-06 2018-07-31 Dish wa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761A KR102416688B1 (ko) 2016-01-06 2016-01-06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406A true KR20170082406A (ko) 2017-07-14
KR102416688B1 KR102416688B1 (ko) 2022-07-05

Family

ID=5759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761A KR102416688B1 (ko) 2016-01-06 2016-01-06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064538B2 (ko)
EP (1) EP3189765B1 (ko)
KR (1) KR102416688B1 (ko)
CN (2) CN106943100B (ko)
AU (1) AU2016384531B2 (ko)
WO (1) WO201711961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526A1 (ko) * 2019-02-18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1145495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3167443A1 (ko) * 2022-03-04 2023-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688B1 (ko) * 2016-01-06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D841370S1 (en) * 2017-08-11 2019-02-26 Target Brands, Inc. Display unit
US10687686B2 (en) 2018-08-23 2020-06-2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doors and light assemblies
US20200129040A1 (en) * 2018-10-26 2020-04-3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ishwasher appliance with a side-fire indicator lens
US11278179B2 (en) 2019-04-23 2022-03-2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Status indicator and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US10945582B1 (en) * 2019-10-24 2021-03-1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Consumer appliances and methods of operation
US11484182B2 (en) * 2020-10-06 2022-11-0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ront indicator lighting assembly for an appliance door
US11849898B2 (en) * 2021-08-26 2023-12-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do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485A (ja) *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の扉装置
KR20110100383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식기세척기
KR20130039457A (ko) * 2011-10-12 2013-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JP2014031978A (ja) * 2012-08-06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操作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3061B2 (en) * 2001-08-09 2005-05-1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 for securing a dishwasher door
US7731806B2 (en) * 2003-02-25 2010-06-08 Illinois Tool Works, Inc. Automatic door for dishwasher
KR101176072B1 (ko) * 2005-02-28 2012-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작부가 구비된 식기세척기의 도어손잡이
DE602005003793T2 (de) * 2005-04-22 2008-12-2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Einbaufähige Geschirrspülmaschine
EP2228969B1 (en) * 2005-06-09 2017-04-19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KR101241872B1 (ko) 2006-01-26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용 버튼 어셈블리와 컨트롤 패널의 결합구조
DE102006024739B4 (de) 2006-05-26 2012-04-1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aushaltsgerät, insbesondere Haushaltsofen
ES2333634B1 (es) * 2007-11-28 2011-01-17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Disposicion de soporte de pletina para la sujecion de una pletina de conexiones con sensores de contacto.
DE102008052816B4 (de) 2008-10-13 2015-11-26 E.G.O. Control Systems Gmbh Bedieneinrichtung
KR101030459B1 (ko) * 2009-02-18 2011-04-25 에이디반도체(주) 정전용량 터치 센서 모듈
JP5347913B2 (ja) * 2009-11-06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装置、電子機器、及びセンサ装置の製造方法
US20110181516A1 (en) * 2010-01-22 2011-07-28 General Electric Company Touch-screen control panel for a dishwasher
US8347902B2 (en) * 2010-02-10 2013-01-08 Whirlpool Corporation Lever handle mechanism for a dishwasher
EP2721627A4 (en) * 2011-05-27 2015-04-15 Diehl Ako Stiftung Gmbh & Co INDUCTIVE TOUCH BUTTON SWITCH WITH A DEFLECTION TRANSMISSION MECHANISM
DE102011077896A1 (de) * 2011-06-21 2012-1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 und Anzeigeeinrichtung für ein Haushaltsgerät und Haushaltsgerät
US10004379B2 (en) * 2011-11-23 2018-06-26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transforming door
US9462926B2 (en) * 2011-11-23 2016-10-11 Whirlpool Corporation System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interface and a controller of a dishwasher
EP2610389B1 (en) * 2011-12-29 2014-06-25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ic appliance with control-panel assembly
US9439552B2 (en) * 2012-03-12 2016-09-13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for improving door robustness in a dishwasher
KR101183144B1 (ko) * 2012-05-25 2012-09-14 실력산업 (주) 정전용량 감지형 터치 스위치
US9170659B2 (en) * 2013-05-23 2015-10-27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US9084527B2 (en) * 2013-06-24 2015-07-21 Wolf Appliances, Inc. Door for an appliance
US9220394B2 (en) * 2013-08-15 2015-12-29 Whirlpool Corporation LED console assembly with light reflector
KR101659180B1 (ko) 2014-12-22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KR102416688B1 (ko) * 2016-01-06 2022-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0485A (ja) * 2005-03-14 2006-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の扉装置
KR20110100383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식기세척기
KR20130039457A (ko) * 2011-10-12 2013-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JP2014031978A (ja) * 2012-08-06 2014-02-20 Panasonic Corp 冷蔵庫及び操作表示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1526A1 (ko) * 2019-02-18 2020-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U2020226014B2 (en) * 2019-02-18 2023-03-23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WO2021145495A1 (ko) * 2020-01-14 2021-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23167443A1 (ko) * 2022-03-04 2023-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85399B2 (en) 2019-11-26
KR102416688B1 (ko) 2022-07-05
AU2016384531A1 (en) 2018-07-12
CN111166265A (zh) 2020-05-19
US10064538B2 (en) 2018-09-04
CN111166265B (zh) 2023-02-28
EP3189765B1 (en) 2023-05-24
CN106943100A (zh) 2017-07-14
AU2016384531B2 (en) 2019-08-29
US20170188787A1 (en) 2017-07-06
WO2017119610A1 (en) 2017-07-13
EP3189765A1 (en) 2017-07-12
CN106943100B (zh) 2020-02-18
US20180333038A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2406A (ko) 식기세척기
US9739527B2 (en) Refrigerator door
EP3664296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EP3037760B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557312B2 (en) Keyboard assembly
EP2048779B1 (en) Capacitive touch switch and domestic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EP3037758A1 (en) Touch sensor assembly and door including the same
US9954525B2 (en) Touch- and/or proximity-sensitive input device, and household appliance having the input device
KR101662941B1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터치 센서 어셈블리
EP2048780A1 (en) Capacitive touch switch and domestic appliance provided with such switch
US8009434B2 (en) Touch control panel
JP2003272816A (ja) 加熱調理器
JP2016220719A (ja) 洗濯機
CN213484840U (zh) 触摸按键装置和家用电器
KR100792515B1 (ko) 세탁기 및 건조기
CN213879796U (zh) 控制面板组件及家用电器
JP7161983B2 (ja) 洗濯機および操作パネル装置
JP2003297165A (ja) 洗濯機等の操作ボタン装置
KR102280561B1 (ko) 컨트롤 패널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JP2021174636A (ja) 操作装置
KR20040020219A (ko) 소형 디지털제어기기의 스위치 배치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