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67443A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67443A1
WO2023167443A1 PCT/KR2023/001754 KR2023001754W WO2023167443A1 WO 2023167443 A1 WO2023167443 A1 WO 2023167443A1 KR 2023001754 W KR2023001754 W KR 2023001754W WO 2023167443 A1 WO2023167443 A1 WO 202316744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light emitting
case
us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17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동휘
김경래
강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6744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6744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74Arrange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e.g. control units or cab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hwas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hwasher having an input unit capable of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a user can conveniently touch the dishwasher even while the dishwasher is in operation. .
  • a dishwasher is a device that cleans dishes by spraying washing water on dishes, which are objects to be washed, stored therein.
  • the washing water used for washing may include a detergent.
  • Dishwashers generally include a washing tub forming a washing space, a storage unit for accommodating objects to be washed in the washing tub, a spray arm for spraying washing water into the storage unit, and a sump storing washing water and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pray arm.
  • the dishwasher may include a manipulation unit so that a user may input commands for operating the dishwasher.
  • a user may generally input a command signal to the dishwasher by touching a button provided on a control unit.
  • the operation buttons for operating the dishwash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which is the most convenient location for the user.
  • Dishwashers are generally placed indoors in a built-in manner. Therefore, it may be most convenient for the user to touch the operation button if the operation butt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space of the dishwasher. For this reason, the control buttons are general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is covered by an indoor structure or by the upper structure of the dishwasher, so that the operation buttons may be moved to a location out of reach of the user.
  • the input unit need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access even while the dishwasher is operating, rather tha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which is a position that the user cannot touch while the dishwasher is operating.
  • an input unit for inputting a pause command needs to be displayed so that i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 a display device may be implemented using a light emitting unit so that a user can visually recognize a position even in a dark environment.
  • the sensing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s touch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Therefore, the user recognizes the input position through the light emitting unit and inputs a command signal to stop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sensing unit sepa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 the light emitting unit requires a space in which a light emitting element such as an LED is mounted. Therefore,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that detects the user's touch cannot be placed at the same location.
  • the user may try to input a command signal for temporarily stopping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light emitting part displaying the input position, but since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sensing part are not placed in the same position, the user cannot operate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light emitting part. Problems can arise.
  • a separate display such as marking may be made at a location where the sensing unit is located.
  • markings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when the surroundings are dark.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n input unit capable of temporarily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conveniently touch the dishwasher even while the dishwasher is in oper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can touch the light emitting part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even when the light emitting part for displaying the touch position and the sensor part for detecting the user's touch are separated. .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hwasher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nhancing design aesthetics by omitting a separate marking for displaying the location of a sensing unit that senses a user's touch.
  •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signal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door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a second input unit, a timer device, and a handle unit.
  • the first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and can receive a user's operation command.
  • the first input unit may be mounted to face the front of the dishwasher.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put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so as to face the front panel.
  • the second input unit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may be mounted upward in the dishwasher.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put unit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so as to face the upper panel.
  • the timer device may provide the user with, for example, remaining time until washing is completed. Therefore, the timer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tim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until washing is completed.
  • the timer device may be disposed inside the operation unit so that the front side provided with the time display unit faces the front panel.
  • the handle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mounted on the manipulation unit and a lower portion is open.
  • a recessed portion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oor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and the control unit, and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may be placed in the recessed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n or close the door by putting his/her hand into the open lower part of the handle.
  • the first input unit may receive a command to pause the dishwasher.
  • the first input unit recognizes the touch and the dishwasher stops operating. If the user again touches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unit, the first input unit recognizes the touch and the dishwasher operates again.
  • the first input un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 sensing unit, and a conductive member.
  • the light emitting unit may guide a user to a touch position by emitting light.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passes through the front panel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ight and the touch position with his/her eyes.
  • the sens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detect a command signal by a user.
  • the user's command signal may be sensed by the sensing unit, for example, using a capacitive touch recognition method. That is, when the user's hand touches the front panel, the sensing unit may sense a user's command signal by detecting a current change caused by the user's hand.
  •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 a user's command signal to the sensing unit.
  •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made of a carbon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other conductive materials.
  • a dishwasher hav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 washing space.
  • the doo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and a first input unit mounted on the control unit, and the first input unit emits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to guide the user to a touch position, and a light emitting unit. It may include a sensing unit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nsing unit to detect a command signal by a user, and a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user's command signal to the sensing unit.
  •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unit,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penetrates.
  • a user's command signal may be input to the light emitting unit of the manipulation unit, and the input comma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through the conductive member.
  • the first input unit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faces the front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conductive member When viewing the door from the front of the door, the conductive member may surround the light emitting unit and cover the sensing unit.
  • the first input unit may include a case coupled to the manipulation unit, accommodating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and having a conductive membe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circuit board accommodated in the case and coupl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nsing unit.
  • the case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nd through which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passes, and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sensing unit is disposed and into which the sensing unit is inserted. there is.
  • the conductive member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sheet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is disposed and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passes.
  • the case includes a mounting guide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to defin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and guiding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and a first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case into the case and supporting the circuit board.
  • the case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case and contacting an inne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to support the case.
  •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 front panel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and having a case disposed therein, and a lower panel bent from the front panel and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the front panel protruding from the inner side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se.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to.
  • the conductive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and the case, and have one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and the other sid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nsing unit.
  • the dishwashe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at least partially mounted on the manipulation unit and having an open lower portion, and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lower panel of the manipulation unit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is disposed.
  • the cas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part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dishwas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rib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and having an e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 the light emitting part and the sensing par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disposed at separate positions due to having a certain volume, and they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conductive member. Due to this, even if the user recognizes the light emitting unit and touches a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is located, a command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ing unit.
  • the user can conveniently pause the dishwasher or release the pause and restart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is located.
  •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neatly, so that the aesthetic sense of design can be enhanced.
  • the dishwasher since the first input unit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in the operation unit,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n the door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of the dishwasher or indoor structures.
  •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can be conveniently stopped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unit and touching it without receiving the input.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7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input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
  • 11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do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in FIG. 11A.
  •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unit 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operation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2B is a view of FIG. 12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13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12A.
  • FIG. 1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2B.
  • Figure 1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2a.
  • Figure 1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2b.
  •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 up and down direction means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dishwasher in a state where the dishwasher is installed to be used daily.
  • Left-righ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up-and-down direction
  • front-back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both the up-down and left-right directions.
  • Bidirectional or “lateral” has the same meaning as left-right, and these term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dishwasher is rotatable on a housing forming an exterior, a tub 2 (tub) that forms a washing space 21 inside the housing and accommodates dishes, which are objects to be washed, and a base 4.
  • a door 3 that is combined and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space 21, a sump 4 provided under the tub 2 to store washing water, and a sump 4 provided inside the tub 2 to accommodate the washing object
  • It may include a storage unit 5 and spray arms 6 , 7 , and 9 for spraying washing water toward the object to be washed stored in the storage unit 5 .
  • the tableware may be, for example, a bowl, plate, spoon, chopsticks, or other cooking utensils.
  • the tub 2 forms a washing space 21 and accommodates dishes, and the washing space 21 may include a storage unit 5 and spray arms 6, 7, and 9.
  • the tub 2 has one side open, and the open side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door 3.
  • the door 3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ousing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washing space 21 .
  • a lower portion of the door 3 may be hinged to the housing.
  • the door 3 rotates around the hinge to open and close the tub 2 .
  • the storage unit 5 can be drawn out of the dishwasher, and the storage unit 5 drawn out can be supported by the door 3 .
  • the sump 4 includes a storage unit 41 for storing washing water, a sump cover 42 separating the storage unit 41 from the tub 2, and a water supply unit 43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storage unit 41 from the outside. ), a drainage unit 44 for discharging washing water from the storage unit 41 to the outside, and a water supply pump 45 and a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storage unit 41 to the spray arms 6, 7, and 9 (46) may be included.
  • the sump cover 42 is provided above the sump 4, and can distinguish the tub 2 and the sump 4.
  • the sump cover 4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covery holes for recovering the washing water sprayed into the washing space 21 through the spray arms 6 , 7 , and 9 .
  •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spray arms 6, 7, and 9 fall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space 21, passes through the sump cover 42, and is returned to the storage unit 41 of the sump 4. .
  • the water supply pump 45 is provided on the side or bottom of the storage unit 41, and can supply washing water to the spray arms 6, 7, and 9.
  •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ump 45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4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ly passage 46 .
  • An impeller 451 and a motor 453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upply pump 45 .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motor 453, the impeller 451 rotates, and washing water in the storage unit 41 may be supplied to the spray arms 6, 7, and 9 via the supply passage 46.
  • the supply passage 46 may selectively supply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ump 45 to the spray arms 6 , 7 , and 9 .
  • the supply passage 46 includes a first supply passage 461 connected to the lower spray arm 6, a second supply passage 463 connected to the upper spray arm 7 and the top nozzle 9, and supply passages. It may include a supply oil conversion valve 465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461, 467). At this time, the supply passage switching valve 465 may control each of the supply passages 461 and 463 to open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 At least one storage unit 5 for storing dishes may be provided in the washing space 21 .
  • 1 shows a dishwasher equipped with two accommodating parts 2,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dishwasher may include only one compartment or may include three or more compartments.
  • the number of spray arms may v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accommodating units.
  • the storage unit 5 may include a lower rack 51 and an upper rack 53 for storing dishes.
  • the lower rack 51 is disposed in the washing space 21 and can store dishes.
  • the upper rack 53 is disposed above the lower rack 51 and can store dishes.
  • a top rack is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rack 53 and the top nozzle 9, and dishes can be stored therein.
  • the lower rack 51 may be located above the sump 4, and the upper rack 53 may be located above the lower rack 51.
  • the lower rack 51 , the upper rack 53 , and the top rack may be drawn out through an open surface of the tub 2 .
  • a rail-type cradl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 2, and wheels may be provided below the racks 51 and 53. The user can store dishes or take out washed dishes by pulling the storage part 5 out.
  • the spray arm is provided in the tub 2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ward the dishes in the storage part 5 .
  • the spray arm may include a lower spray arm 6 , an upper spray arm 7 and a top nozzle 9 .
  • the lower spray arm 6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rack 51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 dishes.
  • the upper spray arm 7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3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 dishes.
  • the lower spray arm 6 is rotatably mounted on the sump cover 42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ward dishes stored in the lower rack 51 .
  • the upper spray arm 7 is located above the lower spray arm 6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ward dishes stored in the upper rack 53 .
  • the top nozzle 9 is provided above the washing space 21 and can spray washing water to the lower rack 51 and the upper rack 53 .
  • the first supply passage 461 may supply washing water to the lower spray arm 6, and the second supply passage 463 may supply washing water to the upper spray arm 7 and the top nozzle 9.
  • the dishwasher may include a base 8 .
  • the base 8 is disposed under the tub 2, and the tub 2 may be mounted thereto.
  • the base 8 may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mp 4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devices provided in the dishwasher, such as a pump, a drying air supply device, and the like.
  • the base 8 may have an outer wall to support the entire dishwasher, and a space for accommodating various devices may be formed by the outer wall.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hwa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3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door 3 opens and closes the tub 2 forming the washing space 21 and may include a body part 30 , a control part 100 and a hinge part 35 .
  • the body portion 30 occupies most of the area of the door 3 and can open and close the front opening portion of the tub 2 .
  • the hinge part 35 may be composed of a pair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body part 30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part 30, respectively.
  • the hinge part 35 is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ub 2 so as to be hingedly rotatable, and the door 3 is hinged with respect to the tub 2 by the hinge part 35, so that the door 3 rotates with respect to the tub 2 ) can be opened and closed.
  • the body portion 30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the outer panel 31 and the liner 32 with each other.
  • the outer panel 31 is disposed outside the door 3, and a control unit 10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mounted on the top.
  • the liner 3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panel 31 and the tub 2 and coupled to the outer panel 31 .
  • the liner 32 is the body part 30 of the tub 2 and the door 3 so that the washing water inside the tub 2 does not leak out of the dishwasher when the door 3 closes the tub 2. It can act as a seal between them.
  • the liner 32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3 to seal the space between the tub 2 and the door 3 .
  •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32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device 33 in which detergent or the like is put and accommodated. Detergen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device 33 may be injected into the tub 2 in an amount requir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and mixed with the washing water.
  • hinge parts 35 may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liner 32 .
  • a steam spraying unit 34 for spraying steam into the tub 2 during operation of the dishwasher may be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liner 32 .
  • the steam spraying unit 34 may be mounted below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32 facing the washing space 21 so that the nozzle faces the washing space 21 inside the tub 2 .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liner 32 .
  • the control unit 100 is provided on the door 3 and can receive an operation command from a user.
  • the control unit 100 may have a rectangular bar shape as a whole.
  • th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for example, an upper end of the body unit 30 .
  • the control unit 10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body 30, and the control unit 100 can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outer panel 31 and the liner 32 constituting the body 30, respectively. Accordingly, when the outer panel 31 and the liner 3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positioned on top of the outer panel 31 and the liner 32 .
  • the control unit 100 may serve as a handle that a user can hol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3 .
  •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31 is inclined, and the control unit 100 can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inclined portion.
  • a recessed 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oor 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31 and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user grabs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unit 100 through this recessed part and moves the door 3
  • the door 3 of the dishwasher can be opened or closed by rotating the hinge.
  • a handle portion 500 with an open bottom may be mounted on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open and close the door 3 .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operate in a touch recognition method so that a user touches the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to receive an input of an operation command. Accordingly,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user's operation comm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unit 100 .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nipulation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 the operation unit 100 has a rectangular bar shape as a whole, has a space for mounting parts therein, and one surface may be open. The opened portion may be closed by the liner 32 when mounted on the door 3 .
  • Panels of the control unit 1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mounting space for parts. These panels may be provided as a front panel 110, a lower panel 120, an upper panel 130, and a side panel 140. At this time, the rear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opened.
  • the front panel 110 forms the front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a case 240 may be disposed inside.
  • the lower panel 120 is bent from the front panel 110 and may form a lowe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front panel 1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the lower panel 120 is disposed under the operation unit 100, the upper panel 130 is disposed above the operation unit 100, and the side panels 140 may close both sides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Each panel may be combined to form an outer shap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a space in which parts are disposed.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implemented in a capacitive touch input method, for example. Accordingly, the user may input a command signal to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control unit 100 .
  • Each panel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needs to be semi-transparent in order to prevent embedded components from being visible in terms of design and to allow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to pass through and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is light.
  • each panel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BS material, translucent so that light passes through but internal parts are not visible.
  • the control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input unit 200, a second input unit 410, a timer device 420, and a handle unit 500.
  • the first input unit 200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unit 100 and can receive a user's operation command.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mounted to face the front of the dishwasher. Accordingly,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100 so as to face the front panel 110 .
  • the second input unit 410 receives a user's operation command and may be mounted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input unit 4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100 so as to face the upper panel 130 .
  • the second input unit 410 may receive an overall command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Therefore, the second input unit 410 provides a device for receiving power on/off, setting of washing time, commands for water intake and drainage of washing water, and other various commands, and information for inputting operation commands to the user. Various devices may be provided, such as a marker for displaying the dishwasher and a lighting device for notif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dishwasher.
  • the second input unit 410 Since the second input unit 410 is disposed to face upward from the top of the door 3, the user opens the door 3 and conveniently touches the upper panel 130 on which the second input unit 410 is mounted to serve dishes. You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shing machine.
  • the timer device 420 may provide the user with, for example, remaining time until washing is completed. Accordingly, the timer device 420 may include a time display unit 421 displaying the remaining time until washing is completed.
  • the timer device 4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the front side of the time display unit 421 faces the front panel 110 .
  • the user cannot see the second input unit 410 disposed toward the top of the door 3. This is because when the door 3 is closed, the second input unit 410 is covered by an upper part of the dishwasher or an indoor structure.
  • the time display unit 421 of the timer may be disposed facing the front of the door 3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ime information while the dishwasher is operating.
  • the time display unit 421 of the timer device 420 faces the front of the door 3,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tim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timer device 420 even when the door 3 is closed.
  • the handle part 5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is mounted on the manipulation part 100 and a lower part is open. As described above, a recessed part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oor 3 is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31 and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open lower part of the handle part 500 can be placed in this recessed part. there is. Accordingly, the user can conveniently open or close the door 3 by putting his/her hand into the open lower part of the handle part 500 .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receive a command to pause the dishwasher. When the user once touches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0 of the control unit 10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unit 200, the first input unit 200 recognizes the touch and the dishwasher stops operating. If the user again touches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put unit 200, the first input unit 200 recognizes the touch and the dishwasher operates again.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3 according to one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7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input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
  • 11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 of the door 3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1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portion A in FIG. 11A.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210 , a sensing unit 220 , and a conductive member 230 .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guide a user to a touch position by radiating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3 . Sinc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passes through the front panel 110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ight and the touch position with his/her eyes.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n LED.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E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first input unit 200 . Therefore, in order for the light emitting unit 210 to face the front of the door 3 ,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put unit 200 needs to be mounted inside the control unit 100 so as to face the front of the door 3 .
  •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which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faces the front of the door 3. .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emit light toward the front of the dishwasher. Therefore, when the door 3 is closed,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can be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without being hindered by a structure disposed above the dishwasher or a part provided above the dishwasher itself. there is.
  • the user visually recogniz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ouches the light emitting unit 210 to stop the dishwasher.
  • the sensing unit 220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can detect a command signal by a user.
  • the user's command signal may be sensed by the sensing unit 220 by,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recognition method. That is, when the user's hand contacts the front panel 110, the sensing unit 220 may sense a user's command signal by detecting a change in current caused by the user's hand.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unit 220 and transmit a user's command signal to the sensing unit 220 .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made of a carbon material.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using other conductive materials.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may occupy a certain volu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plac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t the same position in the first input unit 200 . For this reason, in th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input unit 200 .
  • the sensing unit 220 In order for the sensing unit 220 to detect the user's command signal, the user needs to accurately touch the position where the sensing unit 220 is disposed on the front panel 110 .
  • the user can recognize the touch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by looking at the light emitting unit 210 .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re spaced apart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to input a command signal to the sensing unit 220 in a separate position. ne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include a conductive member 23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have a thin film shape. Sinc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conductive member 230, even if the user touches the light emitting unit 210, the sensing unit 220 at a spaced apart position receives the user's command. signal can be input.
  • the user's command signal from the first input unit 200 is input to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f the operation unit 100 and the input comma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220 through the conductive member 230 .
  •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due to having a certain volume and are disposed at separate positions, and they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ve member 230 . Due to this, even if the user recognizes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ouches a posi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located, a command signal may be input to the sensing unit 220 .
  • the user can conveniently pause the dishwasher or cancel the pause and restart the dishwasher by touching the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located.
  • the surface of the control unit 100 can be manufactured simply and neatly, so that the aesthetic sense of design can be enhanced.
  • the conductive member 23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ensing unit 220 to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unit 220,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penetrates. may be provided.
  • a light diffusion sheet 231 may be disposed on the conductive member 230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ight emitting unit 210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passes through the conductive member 230 .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the light emitting unit 210 faces the front of the door 3 when the door 3 is closed.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mounted on the operation unit 100 so that the front side faces the back side of the front panel 110 of the operation unit 100 .
  •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door 3, and the first input unit 200 is directed toward other parts and the interior of the room.
  • the door 3 is arranged to face forward without interference by a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touch the light emitting unit 210 without opening the door 3 .
  • the user can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210 with his eyes without opening the door 3 and touch the light emitting part 210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there is.
  • the first input unit 200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of the door 3 in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the user does not have to open the door 3 even during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nd other parts of the dishwasher.
  •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can be conveniently stopped by recogniz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input unit 200 and touching it without being interfered with by an indoor structure.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cover the sensing unit 220 when the door 3 is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door 3 .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part 210 at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210 . Therefore, the touch area effective for the user by the conductive member 230 is greater than the area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so that the user touches the light emitting unit 210 or a position adjacent to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n a relatively wide area and commands it. signal can be entered.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sensing unit 220 at the position of the sensing unit 220 .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nductive member 230 and the sensing unit 220 can be maximized, and a command is sent from the conductive member 230 to the sensing unit 220 due to poor contact between the conductive unit and the sensing unit 220. The possibility of signal transmission failure may be significantly reduced.
  • the sensing unit 22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arge elastic deformation. Therefore, the sensing unit 220 is fabricated to have a relatively large volume and disposed on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the sensing unit 220 can adhere to the conductive member 230 while being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ly, occurrence of contact failure between the conductive part and the sensing part 220 can be suppressed.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include a case 240 and a circuit board 250 .
  • the case 240 may be coupled to the manipulation unit 100, accommodat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and have a conductive member 230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thereof.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panel 110 and the case 240 .
  • one side of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and the other side may contact the sensing unit 220 . Accordingly, when a user touches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part 210 of the front panel 110, a command signal may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110 and the conductive member 230 and be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220.
  • the circuit board 250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se 240 and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may be coupled.
  • the circuit board 250 may b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dishwasher and transmit a command signal input from a user to the control unit.
  • a first through hole 244 and a second through hole 245 may be formed in the case 240 to expos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nd the sensing unit 220 .
  • the first through hole 244 may be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disposed, and may be provided to pas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
  • the second through hole 245 is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sensing unit 220 is disposed, and the sensing unit 220 may be inserted.
  • the first through hole 244 and the second through hole 245 may be covered by the conductive member 230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240 .
  •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may pass through the case 240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244 and be directed toward the front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sensing unit 220 is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case 240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245 ,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ing unit 22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ductive member 230 .
  • the conductive member 230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sheet 231 .
  •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is formed at a location where the light emitting unit 210 is disposed and is formed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can pass through.
  •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can uniformly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210 . Accordingly,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can have a uniform pattern, roughness, and the like over the entire optical acid sheet.
  •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ccordingly, when a user touches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unit 210, a command signal may be input to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and transmitted to the sensing unit 220.
  • the light diffusion sheet 231 may be made of, for example, indium thin oxide (ITO).
  • the liner 32 of the door 3 may have a higher upper portion than the outer panel 31 . Due to this structure, a space in which the manipulation unit 100 can be mounted may be formed at the top of the liner 32 and at the front of the top of the outer panel 31 .
  • the control unit 100 is disposed on the top of the outer panel 31 and the upper front of the liner 32 and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anel 31 and the liner 32, respectively. Due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conveniently approach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easily touch the manipulation unit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 the rear por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liner 32 .
  • the operation unit 100 and the liner 32 and, for example, firmly coupled by a coupling mechanism such as bolts,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detachably.
  • an insertion protrusion 161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rol unit 100 , and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may be inserted into a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31 .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be mounted on the top of the outer panel 31 by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
  • control unit 100 When mounting the control unit 100 to the door 3, first mount the control unit 100 to the outer panel 31 using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and then connect the control unit 100 and the liner to the outer panel 31 using a coupling mechanism. (32)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00 can be stably and firmly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door 3 .
  • FIG. 1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trol unit 100 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control un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FIG. 12B is a view of FIG. 12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FIG. 13A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FIG. 12A.
  • FIG. 13B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12B.
  • Figure 1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2a.
  • Figure 1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2b.
  • 15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4A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 the case 240 may include a mounting guide 241 and a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
  • the mounting guide 241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40 to define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240 and guides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ircuit board 250 .
  • a part of the circuit board 250 can be stab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se 240 by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guide 241 .
  • the circuit board 250 is mounted on a mounting portion formed by the sidewall of the case 240 and the mounting guide 241 . Therefore, this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ircuit board 250 .
  • the mounting guide 241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formed on a portion thereof, and the circuit board 250 may have an inclined side corresponding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portion. Due to this structure, the shape in which the circuit board 250 is mounted on the mounting guide 241 can be easily distinguished. Therefore, a worker assembling the first input unit 200 can conveniently mount the circuit board 250 on the case 240 by aligning the shape of the circuit board 250 to the inclined portion of the mounting guide 241 .
  •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may protrude from an inner wall of the case 240 into the case 240 and support the circuit board 250 .
  •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hook.
  • the circuit board 250 is mounted on the case 240 by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and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 242 may prevent the circuit board 25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ase 240 so that the circuit board 250 may remain attached to the case 240 .
  • the first support protrusions 242 may be formed on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case 240 and protrude toward the inside of the case 240 .
  • the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240 may be provid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 the upper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When a worker places the circuit board 250 on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ase 240 and presses it, the upper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us the circuit board 250 can be placed on the mounting position. When the circuit board 250 is placed in the mounting position, the upper first support protrusion 242 may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 the upper and lower first support protrusions 242 may press and support the rea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250 . Accordingly, the circuit board 250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first support protrusions 242 .
  • a gap may occur between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case 240 . Moisture coming from the tub 2 of the dishwasher may flow into the sensing unit 220 through this gap.
  • Moisture introduced into the sensing unit 220 may degrade the performance of the sensing unit 220 or cause a malfunction or failure of the sensing unit 220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sensing unit 220 .
  • a gap generated between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case 240 may be sealed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sensing unit 220 through the gap.
  • Such a sealing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by disposing a sealing part made of silicon at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250 .
  • a sealing structure may be formed by applying silicon to a gap between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250 and the case 240 .
  • the manipulation unit 100 may include an insertion protrusion 161 and a fastening hole 162 .
  •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protrudes from the lower panel 120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Each insertion protrusion 161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is inserted into a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er panel 31 , and thus the manipulation unit 100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anel 31 .
  • the fastening hole 162 may be formed from the edg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toward the liner 32 and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Each fastening hole 16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a coupling mechanism such as a bolt may be fastened. The coupling mechanism may be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iner 32 and the fastening hole 162 and couple the operation unit 100 to the liner 32 .
  • the insertion protrusion 161 is mounted on the outer panel 31 so that the operation unit 100 and the outer panel 31 are coupled, and a coupling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62 to combine the operation unit 100 and the liner 32. can Due to this structure, the control unit 100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door 3 .
  • the front panel 110 forms the front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nd a case 240 may be mounted therein.
  • the lower panel 120 is bent from the front panel 110 and may form a lowe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front panel 1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ortion 111 protruding from an inner surface and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ase 240 .
  • a plurality of support units may b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case 240 may maintain a state of being mounted inside the manipulation unit 100 by the first support unit 111 .
  • the first support part 111 may be provided in a hook shape. Therefore, when the operator brings the case 240 to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ontrol unit 100 and presses it, the case 240 is mounted on the control unit 100 by the first support unit 111, and the first support unit 111 The case 240 may be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ase 240 is mounted on the operation unit 100 by preventing 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ration unit 100 .
  • the handle part 5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lower part is opened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manipulation part 100 .
  • a through hole 121 may be formed in the lower panel 120 of the control unit 100 at a position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unit 500 is disposed.
  • the handle unit 500 is disposed inside the control unit 100, but the user puts his/her han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unit 100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and holds the hand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3. can do.
  • the handle part 500 is the upper central part of the door 3 and the control unit 100 so that the door 3 can be opened and closed smoothly by transmitting a uniform force to each of the pair of hinge parts 35 an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the through part 121 may also b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case 240 and the handle portion 500 are disposed at the same location, and due to the volume of each of the case 240 and the handle portion 500, the door (3) The overall volume may increase.
  • the case 24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andle part 5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hwasher. Thus, the case 2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ither end of either end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away from the center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distance between the case 240 and the handle 500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hwasher can prevent the user's thumb from unintentionally contacting the first input unit 200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500. It needs to be long enough to be there.
  • the first input unit 20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unit 500 based on the position facing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100 .
  •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unit 500 based on a position facing the rear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first input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100 need to be sufficient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dishwasher so that the user's finger does not touch the first input unit 200 unintentionally.
  • the first input unit 200 is mounted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handle unit 500 to diversify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input unit 200, thereby increasing space efficiency in the operation unit 100. can increase
  • the first support unit 111 for mounting the first input unit 200 may also b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handle unit 500.
  • the first support part 11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first support portion 111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except for the position where the handle portion 500 is disposed as a whole.
  • the case 240 may include a second support protrusion 243 .
  •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243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240 and support the case 240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100 .
  •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24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243 contacts the control unit 100 on the top of the case 240 to support the case 240.
  • the first support part 111 provided on the control unit 100 may contact the case 240 to support the case 240 .
  • the case 240 is s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rotrusion 243 and the first support part 111 and can mainta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the control unit 100 .
  • the control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reinforcing ribs 150 .
  • the reinforcing rib 150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nel 120 and have an end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anel 110 .
  •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150 may be provided, and each of the reinforcing ribs 15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rol unit 100, that is, in both directions of the door 3.
  • the lower panel 120 may support loads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accommodated in the manipulation unit 100, including the first input unit 200.
  • the lower panel 120 needs to be stably coupled to the outer panel 31 . For this reason, the lower panel 120 needs to be provided so as not to b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 the reinforcing rib 150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lower panel 120 and the portion where the front panel 110 and the lower panel 120 of the control unit 100 are b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lower panel 120 is not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can do.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도어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조작부에 장착되는 제1입력부를 포함하고, 제1입력부는, 도어의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터치위치를 안내하는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부로 전달하는 도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작동중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입력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내부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인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하는 기기이다. 이때,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에는 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 세척조 내에서 세척대상물을 수용하는 수납부,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 및 세척수를 저장하고 분사암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기세척기를 사용함으로써, 식사 후 세척대상물을 세척하는 설거지에 드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이바지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에는 사용자기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조작부에 구비되는 버튼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식기세척기에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10-2017-0082406에 개시된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은 사용자에게 가장 편리한 위치인 도어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빌트인 방식으로 실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의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상면에 조작버튼이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가 조작버튼을 터치하기에 가장 편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버튼은 도어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어가 닫히면 도어의 상면은 실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거나, 식기세척기의 상단구조물에 의해 가려져 조작버튼은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없는 위치로 옮겨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의 위치로 인해, 식기세척기가 작동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경우에 도어의 상면에 위치한 일시정지 버튼을 터치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식기세척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면,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정지되는 구조가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따라서, 식기세척기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식기세척기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도어의 개방시 식기세척기 내부에 있는 세척수 분사장치, 가열된 스팀의 분사장치는 아직 작동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 세척수, 가열된 스팀, 식기세척기의 내부에서 부유하는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위해, 작동하는 식기세척기를 일시정지 시키는 입력부를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러한 입력부는 식기세척기의 작동중에 사용자가 터치할 수 없는 위치인 도어의 상단면이 아니라, 식기세척기의 작동 중에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의 위치가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표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주위가 어두워도 사용자가 육안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발광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는 감지부는 발광부와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부를 통해 입력위치를 인식하고, 발광부와 분리된 감지부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를 정지시키는 명령신호를 입력한다.
발광부는 LED 등의 발광소자가 장착되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발광부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는 동일한 위치에 놓일 수 없다.
사용자는 입력위치를 표시하는 발광부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일시정지를 위한 명령신호를 입력하려 할 것이지만, 발광부와 감지부는 동일한 위치에 놓이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발광부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감지부가 있는 위치에 마킹 등의 별도의 표시를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킹 등은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 식별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입력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와 실제 터치해야 하는 감지부가 있는 위치에 표시된 마킹의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어디를 터치해야 할지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마킹은 시각적으로 혼란을 주므로 식기세척기의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고, 식기세척기의 작동중에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터치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입력부를 구비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위치를 표시하는 발광부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가 분리된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발광부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감지부의 위치를 표시하는 별도의 마킹을 생략하여 디자인적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도어 상단에는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는 조작부가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는 제1입력부, 제2입력부, 타이머장치,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입력부는 조작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입력부는 식기세척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입력부의 전면은 전방패널을 향하도록 조작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입력부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식기세척기의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입력부의 상면은 상부패널을 향하도록 조작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타이머장치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세척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장치에는 세척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타이머장치는 시간표시부가 구비되는 전면이 전방패널을 향하도록 조작부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조작부에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우터패널의 상단과 조작부 사이에는 도어의 측방향으로 함몰된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부위에 손잡이부의 개방된 하부가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손잡이부의 개방된 하부에 넣고 도어를 편리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1입력부는 식기세척기의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의 전방패널에서 제1입력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한번 터치하면 제1입력부는 터치를 인식하고 식기세척기는 작동을 정지한다. 다시 사용자가 전방패널의 제1입력부에 대응하는 부위를 터치하면 제1입력부는 터치를 인식하고 식기세척기가 다시 작동한다.
제1입력부는 발광부, 감지부, 도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는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터치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은 반투명재질의 전방패널을 통과하므로, 사용자는 눈으로 광의 위치를 알고 터치위치를 알 수 있다.
감지부는 발광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인식방식으로 감지부에 감지될 수 있다. 즉, 감지부는 사용자의 손이 전방패널에 접촉하면 이에 의한 전류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가 카본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도전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개시한다. 도어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조작부에 장착되는 제1입력부를 포함하고, 제1입력부는, 도어의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터치위치를 안내하는 발광부, 발광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부로 전달하는 도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감지부의 전면에 접촉하고, 발광부의 전방에 배치되되,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조작부의 발광부에 입력되고, 입력된 명령신호는 도전부재를 통해 감지부로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입력부는, 도어가 닫힌 경우에 발광부가 도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작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전부재는, 도어의 전방에서 도어를 바라본 경우, 발광부를 둘러싸고 감지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입력부는, 조작부에 결합하고, 발광부 및 감지부를 수용하고, 외측표면에 도전부재가 배치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에 수용되고 발광부 및 감지부가 결합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발광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감지부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발광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광확산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회로기판의 장착위치를 가이드하는 장착가이드, 및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고,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는, 케이스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조작부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는, 조작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내측에 케이스가 배치되는 전방패널, 및 전방패널로부터 절곡되고 조작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고, 전방패널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전부재는, 전방패널과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은 전방패널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감지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는 조작부에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고 하부가 개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조작부의 하부패널에는 손잡이부의 하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는 식기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손잡이부와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하부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가 전방패널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일정한 부피을 가짐으로 인해 발광부와 감지부가 서로 이격되고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고, 도전부재에 의해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인해, 사용자가 발광부를 인식하여 발광부가 있는 위치를 터치하여도 명령신호는 감지부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부가 있는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편리하게 식기세척기를 일시정지시키거나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재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가 있는 위치에 마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감지부의 위치를 별도로 알릴 필요가 없다. 또한, 감지부가 있는 위치에 표시된 마커로 인해, 사용자가 발광부를 터치해야 하는지, 마커를 터치해야 하는지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의 위치를 알리는 마킹을 생략하므로, 조작부의 표면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제작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제1입력부는 조작부에서 도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작동중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할 필요없이, 식기세척기의 다른 부품 또는 실내의 구조물에 간섭을 받지않고 제1입력부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터치하여 편리하게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조작부에 장착된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2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2b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식기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이들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혼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세척대상물인 식기를 수용하는 터브(2)(tub), 베이스(4)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 터브(2)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수를 저장하는 섬프(4)(sump), 터브(2)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대상물을 수납하는 수납부(5), 및 수납부(5)에 수납된 세척대상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암(6, 7, 9)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기는 예를 들어, 그릇, 접시, 숫가락, 젓가락, 기타 조리기구일 수 있다.
터브(2)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고 식기를 수용하며, 상기 세척공간(21)에는 수납부(5) 및 분사암(6, 7, 9)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2)는 일면이 개방된 형상이며,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3)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척공간(2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어(3)의 하부가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3)는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3)가 개방되면 수납부(5)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외부로 인출된 수납부(5)는 도어(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섬프(4)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장부(41), 저장부(41)를 터브(2)와 구분하는 섬프 커버(42), 외부로부터 저장부(41)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43), 저장부(41)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44), 및 저장부(41)의 세척수를 분사암(6, 7, 9)으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펌프(45)와 공급유로(46)를 포함할 수 있다.
섬프 커버(42)는 섬프(4) 상부에 구비되며, 터브(2)와 섬프(4)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섬프 커버(42)에는 분사암(6, 7, 9)을 통해 세척공간(21)으로 분사된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복수개의 회수홀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분사암(6, 7, 9)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공간(21)의 하부로 낙하하고, 섬프 커버(42)를 거쳐 다시 섬프(4)의 저장부(41)로 회수될 수 있다.
급수펌프(45)는 저장부(41)의 측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며, 분사암(6, 7, 9)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급수펌프(45)의 일단은 저장부(41)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유로(46)에 연결될 수 있다. 급수펌프(45) 내부에는 임펠러(451) 및 모터(45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모터(453)에 전력이 공급되면 임펠러(451)가 회전하고, 저장부(41)의 세척수가 공급유로(46)를 거쳐 분사암(6, 7, 9)으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급수펌프(45)에서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암(6, 7, 9)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공급유로(46)는 하부 분사암(6)에 연결되는 제1공급유로(461),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에 연결되는 제2공급유로(463), 및 공급유로들(461, 46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공급유로 전환밸브(465)는 각 공급유로들(461, 463)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거나 또는 동시에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세척공간(21)에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2개의 수납부(2)가 구비된 식기세척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식기세척기는 하나의 수납부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3개 이상의 수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수납부의 수에 따라서 분사암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수납부(5)는 식기를 수납하기 위한 하부 랙(51)과 상부 랙(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상기 세척공간(21)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상부 랙(53)은 상기 하부 랙(51)의 상측에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랙(53)의 상측과 탑노즐(9) 사이의 공간에는 탑 랙이 배치되고, 식기가 수납될 수 있다.
하부 랙(51)은 섬프(4)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은 하부 랙(51)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하부 랙(51)과 상부 랙(53) 및 탑 랙은 터브(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터브(2) 내주면에는 레일형태의 거치대가 구비되고, 랙(51, 53) 하부에는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납부(5)를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식기를 수납하거나, 또는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꺼낼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터브(2) 내에 구비되어 수납부(5)의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암은 하부 분사암(6),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상기 하부 랙(51)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상기 하부 랙(51)과 상기 상부 랙(53)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하부 분사암(6)은 섬프 커버(4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하부 랙(51)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부 분사암(7)은 하부 분사암(6) 상부에 위치하며, 상부 랙(53)에 수납된 식기를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탑노즐(9)은 세척공간(21)의 상부에 구비되며, 하부 랙(51) 및 상부 랙(53)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급유로(461)는 하부 분사암(6)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고, 제2 공급유로(463)는 상부 분사암(7) 및 탑노즐(9)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는 베이스(8)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8)는 상기 터브(2)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터브(2)가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8)는 섬프(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펌프, 건조풍공급장치 기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8)는 외벽을 가지고 식기세척기 전체를 지지하고, 상기 외벽에 의해 각종 장치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어(3)는 세척공간(21)을 형성하는 터브(2)를 개폐하고, 몸체부(30), 조작부(100) 및 힌지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도어(3)의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터브(2)의 전방 개방부위를 개폐할 수 있다. 힌지부(35)는 몸체부(30)의 하부에 장착되고 몸체부(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35)는 터브(2)의 하부에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힌지부(35)에 의해 도어(3)가 터브(2)에 대하여 힌지회전 함으로써, 도어(3)는 터브(2)를 개폐할 수 있다.
몸체부(30)는 아우터패널(31)과 라이너(32)가 서로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패널(31)은 도어(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단에 후술하는 조작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라이너(32)는 아우터패널(31)과 터브(2) 사이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31)과 결합할 수 있다. 라이너(32)는 도어(3)가 닫혀 터브(2)를 폐쇄하는 경우에 터브(2) 내부의 세척수가 식기세척기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터브(2)와 도어(3)의 몸체부(30)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32)는 터브(2)와 도어(3)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도어(3)의 내부면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라이너(32)의 내부면에는 세제 등이 투입되고 수용되는 수용장치(33)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장치(33)에 수용된 세제는 세척과정에서 필요한 양만큼 터브(2) 내부로 투입되어 세척수에 섞일 수 있다.
한편, 라이너(32)의 하부 양측에는 힌지부(35)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2)의 하부에는 식기세척기의 작동과정에서 터브(2)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분사부(34)가 장착될 수 있다.
스팀분사부(34)는 노즐이 터브(2) 내부의 세척공간(21)을 향하도록, 라이너(32)가 세척공간(21)을 바라보는 면인 내측면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2)의 상단에는 조작부(10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도어(3)에 구비되고,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조작부(100)가 도어(3)에 장착된 경우에, 조작부(100)는 전체적으로 직육각형의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조작부는 예를 들어, 몸체부(30)의 상단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몸체부(30)의 상단에 장착되는데, 몸체부(30)를 구성하는 아우터패널(31)과 라이너(32)의 상단에 조작부(100)가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패널(31)과 라이너(32)가 서로 결합하면 조작부(100)는 아우터패널(31)과 라이너(32)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가 도어(3)를 개폐할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100)를 편리하게 잡도록 하기 위해, 아우터패널(31)의 상단은 경사가 형성되고 이러한 경사진 부위의 단부에 조작부(100)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패널(31)의 상단과 조작부(100) 사이에는 도어(3)의 측방향으로 함몰된 부위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함몰부위를 통해 조작부(100)의 하부를 잡고 도어(3)를 힌지회전시켜 식기세척기의 도어(3)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도어(3)를 개방, 폐쇄하도록, 조작부(100)에는 후술하는 하부가 개방된 손잡이부(500)가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사용자가 손으르 조작부(100)의 표면을 터치하여 조작명령을 입력받도록 터치인식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1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조작부(1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조작부(100)는 전체적으로 직육각형의 바 형태를 가지고 내부게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개방된 부위는 도어(3)에 장착되면 라이너(3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패널들이 서로 결합하여 부품의 장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패널들은 전방패널(110), 하부패널(120), 상부패널(130), 측면패널(140)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00)의 후방은 개방될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조작부(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내측에 케이스(240)가 배치될 수 있다. 하부패널(120)은 전방패널(110)로부터 절곡되고 조작부(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조작부(100)의 전방에 배치되고, 하부패널(120)은 조작부(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부패널(130)은 조작부(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측면패널(140)은 조작부(100)의 양측을 폐쇄할 수 있다. 각 패널이 결합하여 조작부(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부품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입력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부(100)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에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조작부(100)의 각 패널들은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내장되는 부품이 보이지 않도록 하고,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여 사용자가 이러한 광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 반투명하게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작부(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각 패널들은 예를 들어, ABS재질로 광이 통과하되 내부부품이 보이지않도록 반투명하게 제작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제1입력부(200), 제2입력부(410), 타이머장치(420), 손잡이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입력부(200)는 조작부(100)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1입력부(200)는 식기세척기의 전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입력부(200)의 전면은 전방패널(110)을 향하도록 조작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입력부(41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고, 식기세척기의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입력부(410)의 상면은 상부패널(130)을 향하도록 조작부(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입력부(410)는 식기세척기의 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명령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입력부(410)에는 전원의 온/오프, 세척시간의 설정, 세척수의 취수와 배수에 관한 명령, 기타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 사용자에게 작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마커, 식기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알리는 조명장치 등 다양한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입력부(410)는 도어(3)의 상단에서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사용자는 도어(3)를 개방하여 편리하게 제2입력부(410)가 장착된 상부패널(130)을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다.
타이머장치(420)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세척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이머장치(420)에는 세척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표시하는 시간표시부(421)가 구비될 수 있다.
타이머장치(420)는 시간표시부(421)가 구비되는 전면이 전방패널(110)을 향하도록 조작부(1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식기세척기가 작동하는 경우에 도어(3)가 폐쇄되면, 도어(3)의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입력부(410)는 사용자가 눈으로 볼 수 없다. 도어(3)가 폐쇄된 상태에서 제2입력부(410)는 식기세척기의 상부부품 또는 실내의 구조물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기세척기가 작동하는 동안에 사용자가 시간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타이머의 시간표시부(421)는 도어(3)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이머장치(420)의 시간표시부(421)는 도어(3)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도어(3)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사용자는 타이머장치(420)가 제공하는 시간정보를 눈으로 인식할 수 있다.
손잡이부(500)는 조작부(100)에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우터패널(31)의 상단과 조작부(100) 사이에는 도어(3)의 측방향으로 함몰된 부위가 형성되고, 이러한 함몰부위에 손잡이부(500)의 개방된 하부가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손잡이부(500)의 개방된 하부에 넣고 도어(3)를 편리하게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제1입력부(200)는 식기세척기의 일시정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100)의 전방패널(110)에서 제1입력부(200)에 대응하는 부위를 한번 터치하면 제1입력부(200)는 터치를 인식하고 식기세척기는 작동을 정지한다. 다시 사용자가 전방패널(110)의 제1입력부(200)에 대응하는 부위를 터치하면 제1입력부(200)는 터치를 인식하고 식기세척기가 다시 작동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조작부(100)와 제1입력부(200)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도 7 이하의 도면에서는 제2입력부(410)와 타이머장치(420)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을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부(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3)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에서 A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입력부(200)는 발광부(210), 감지부(220), 도전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210)는 도어(3)의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터치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은 반투명재질의 전방패널(110)을 통과하므로, 사용자는 눈으로 광의 위치를 알고 터치위치를 알 수 있다. 발광부(210)는 예를 들어, LED로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210)는 복수의 LED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부(210)는 제1입력부(2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210)가 도어(3)의 전방을 향하기 위해 제1입력부(200)의 전면은 도어(3)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작부(100)의 내부에 장착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해, 제1입력부(200)의 전면은 조작부(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어(3)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전방패널(110)의 후면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발광부(210)는 식기세척기의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발광부(210)의 광은 식기세척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조물 또는 식기세척기 자체에서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식기세척기의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발광부(210)의 위치를 인식하여 발광부(210)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감지부(220)는 발광부(2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인식방식으로 감지부(220)에 감지될 수 있다. 즉, 감지부(220)는 사용자의 손이 전방패널(110)에 접촉하면 이에 의한 전류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감지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예를 들어, 적어도 일부가 카본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도전성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는 일정한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는 제1입력부(200)에서 동일한 위치에 놓이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실시예에서는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는 제1입력부(200)에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감지부(220)가 감지하려면, 사용자는 전방패널(110)에서 감지부(220)가 배치된 위치를 정확히 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발광부(210)를 보고 발광부(210)를 터치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발광부(210)를 터치하면 발광부(210)와 이격되고 분리된 위치에 있는 감지부(220)에 명령신호가 입력되게 하기 위해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제1입력부(200)에는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도전성 재질로 제작되고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전부재(230)에 의해 발광부(210)와 감지부(220)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사용자는 발광부(210)를 터치하더라도 이와 이격된 위치에 있는 감지부(220)가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발광부(210), 감지부(220) 및 도전부재(230)가 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제1입력부(200)에서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조작부(100)의 발광부(210)에 입력되고, 입력된 명령신호는 도전부재(230)를 통해 감지부(220)로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일정한 부피을 가짐으로 인해 발광부(210)와 감지부(220)가 서로 이격되고 분리된 위치에 배치되고, 도전부재(230)에 의해 이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로인해, 사용자가 발광부(210)를 인식하여 발광부(210)가 있는 위치를 터치하여도 명령신호는 감지부(220)에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부(210)가 있는 위치를 터치함으로써 편리하게 식기세척기를 일시정지시키거나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재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0)가 있는 위치에 마커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감지부(220)의 위치를 별도로 알릴 필요가 없다. 또한, 감지부(220)가 있는 위치에 표시된 마커로 인해, 사용자가 발광부(210)를 터치해야 하는지, 마커를 터치해야 하는지 혼란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20)의 위치를 알리는 마킹을 생략하므로, 조작부(100)의 표면을 단순하고 깔끔하게 제작할 수 있어 디자인적인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감지부(220)의 전방에 배치되어 감지부(220)의 전면에 접촉하고, 발광부(210)의 전방에 배치되되, 발광부(21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2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도전부재(230)를 관통하기 위해, 도전부재(230)에는 발광부(210)에 대응하는 부위에 광확산시트(23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전부재(230)의 전면은 전방패널(110)의 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패널(110)을 터치하면 명령신호는 도전부재(230)를 통해 감지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입력부(200)는, 도어(3)가 닫힌 경우에 발광부(210)가 도어(3)의 전방을 향하도록 조작부(10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입력부(200)는 전면이 조작부(100)의 전방패널(110) 후면을 바라보도록 조작부(1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 식기세척기가 세척작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은 도어(3)의 전방으로 향하고, 제1입력부(200)는 다른 부품, 실내의 구조물에 의한 간섭없이 도어(3)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도어(3)의 개방없이 사용자가 발광부(210)를 터치할 수 있다.
이때, 식기세척기를 일시 정지시킬 필요가 있으면, 사용자는 도어(3)를 개방하지 않고 눈으로 발광부(210)의 위치를 인식하고 발광부(210)를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입력부(200)는 조작부(100)에서 도어(3)의 전방을 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식기세척기의 작동중에도 사용자는 도어(3)를 개방할 필요없이, 식기세척기의 다른 부품 또는 실내의 구조물에 간섭을 받지않고 제1입력부(200)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터치하여 편리하게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도어(3)의 전방에서 도어(3)를 바라본 경우, 발광부(210)를 둘러싸고 감지부(220)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전부재(230)는 발광부(210)의 위치에서 발광부(21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부재(230)에 의해 사용자에게 유효한 터치면적은 발광부(210)의 면적보다 증가하여, 사용자는 비교적 넓은 영역에서 발광부(210) 또는 발광부(210)에 인접한 위치를 터치하여 명령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전부재(230)는 감지부(220)의 위치에서 감지부(220)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전부재(230)와 감지부(220)의 접촉면적은 최대가 될 수 있고, 도전부와 감지부(220) 사이의 접촉불량으로 인해 도전부재(230)로부터 감지부(220)로 명령신호의 전달이 실패할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한편, 감지부(220)는 탄성변형이 큰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큰 부피를 가지도록 감지부(220)를 제작하여 조작부(100)에 배치하고, 감지부(220)는 탄성변형하면서 도전부재(230)에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전부와 감지부(220) 사이의 접촉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제1입력부(200)는 케이스(240), 회로기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40)는 조작부(100)에 결합하고, 발광부(210) 및 감지부(220)를 수용하고, 외측표면에 도전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의 내부에 장착되면, 도전부재(230)는 전방패널(110)과 케이스(2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전부재(230)는 일측면은 전방패널(110)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감지부(220)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방패널(110)의 발광부(210) 위치를 접촉하면 명령신호가 전방패널(110)과 도전부재(230)를 통과하여 감지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은 케이스(240)에 수용되고 발광부(210) 및 감지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은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케이스(240)에 회로기판(250)이 장착되면, 회로기판(250)에 구비된 발광부(210)와 감지부(220)는 케이스(240)로부터 노출되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발광부(210)와 감지부(220)의 노출을 위해, 케이스(240)에는 제1관통홀(244)과 제2관통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홀(244)은 발광부(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발광부(2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관통홀(245)은 감지부(220)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감지부(22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입력부(200)의 전방을 바라보면 제1관통홀(244)과 제2관통홀(245)은 케이스(240)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전부재(230)에 의해 덮이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광은 제1관통홀(244)을 통해 케이스(240)를 통과하여 조작부(100)의 전방을 향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제2관통홀(245)을 통에 케이스(24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감지부(220)의 전면은 도전부재(230)와 접촉할 수 있다.
도전부재(230)는 광확산시트(231)를 포함할 수 있다. 광확산시트(231)는 발광부(210)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발광부(21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다.
광확산시트(231)는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광확산시트(231)를 통과한 광은 광학산시트 전체에 걸쳐 무늬, 조도 등이 균일해질 수 있다.
광확산시트(231)는 도전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광부(210)의 위치를 터치할 경우에 광확산시트(231)에 명령신호가 입력되어 감지부(220)로 전달될 수 있다. 투명 또는 반투명하고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기 위해, 광확산시트(231)는 예를 들어, ITO(indium thin oxide)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도 11a를 참조하면, 도어(3)의 라이너(32)는 아우터패널(31)보다 상부의 높이가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라이너(32)의 상단과 아우터패널(31)의 상부 전방에 조작부(1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아우터패널(31)의 상단과 라이너(32)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아우터패널(31)과 라이너(32)에 각각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조작부(100)에 편리하게 접근하여 조작부(100)를 용이하게 터치하여 식기세척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100)의 후방부는 라이너(32)의 상부 전면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조작부(100)는 라이너(32)와 예를 들어 볼트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견고히 결합하고, 서로 착탈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00)의 하부에는 삽입돌기(161)가 구비되고, 삽입돌기(161)는 아우터패널(31)의 상단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돌기(161)에 의해 조작부(100)는 아우터패널(31)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00)를 도어(3)에 장착하는 경우, 먼저 삽입돌기(161)를 이용하여 조작부(100)를 아우터패널(31)에 장착하고, 다음으로 결합기구를 사용하여 조작부(100)와 라이너(32)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작부(100)는 도어(3)의 상부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100)와 조작부(100)에 장착된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a는 도 12a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b는 도 12b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a는 도 12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b는 도 12b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a를 다른 방향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회로기판(250)을 케이스(240)에 안정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케이스(240)에는 장착가이드(241)와 제1지지돌기(242)가 구비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241)는 케이스(240)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케이스(24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회로기판(250)의 장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의 일부는 장착가이드(241)에 끼워져서 케이스(240)의 수용공간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은 케이스(240)의 측벽과 장착가이드(241)에 의해 형성되는 장착부위에 장착되는데, 따라서 이러한 장착부위는 회로기판(25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241)는 일부에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회로기판(250)은 이러한 경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경사진 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회로기판(250)이 장착가이드(241)에 장착되는 모양은 용이하게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입력부(200)를 조립하는 작업자는 회로기판(250)을 장착가이드(241)의 경사부에 맞추어 그 모양을 정렬시켜 편리하게 케이스(240)에 장착할 수 있다.
제1지지돌기(242)는 케이스(240)의 내벽으로부터 케이스(240)의 내부로 돌출되고, 회로기판(250)을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돌기(242)는 후크(hook)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회로기판(250)을 케이스(240)의 장착위치에 가져다 놓고 가압하면 제1지지돌기(242)에 의해 회로기판(250)이 케이스(240)에 장착되고, 제1지지돌기(242)는 회로기판(250)이 케이스(24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회로기판(250)이 케이스(24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1b를 참조하면, 제1지지돌기(242)는 케이스(24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형성되고 케이스(240)의 내부를 향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240)의 상부에 형성된 제1지지돌기(242)는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케이스(240)의 장착위치에 회로기판(250)을 가져다 놓고 가압하면 상부의 제1지지돌기(242)는 탄성변형하고 이에 따라 회로기판(250)은 장착위치에 놓일 수 있다. 회로기판(250)이 장착위치에 놓이면 상부의 제1지지돌기(242)는 다시 원형으로 복원될 수 있다.
회로기판(250)이 케이스(240) 내부에 장착이 완료되면, 상부와 하부의 제1지지돌기(242)는 회로기판(250)의 후면을 가압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250)은 상부와 하부 제1지지돌기(24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250)이 케이스(240)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로기판(250)의 가장자리와 케이스(24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틈새를 통해 식기세척기의 터브(2)로부터 오는 습기가 감지부(220)로 유입될 수 있다.
감지부(220)에 유입된 습기는 감지부(220)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오작동,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220)로 습기 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입력부(200)에서는 회로기판(250)의 가장자리와 케이스(240) 사이에 발생하는 틈새를 실링하여 이러한 틈새를 통해 습기가 감지부(2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링구조는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의 실링부를 회로기판(250)의 가장자리에 배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실리콘을 회로기판(250)의 가장자리와 케이스(240) 사이의 틈새에 도포하여 실링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삽입돌기(161)와 체결홀(16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돌기(161)는 조작부(100)의 하부패널(120)로부터 돌출되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삽입돌기(161)는 조작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삽입돌기(161)는 아우터패널(31)의 상단에 형성되는 홀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조작부(100)는 아우터패널(31)에 결합할 수 있다.
체결홀(162)은 조작부(100)의 가장자리에서 라이너(32)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체결홀(162)은 조작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볼트 등의 결합기구가 체결될 수 있다. 결합기구는 라이너(32)의 상단에 형성되는 홀과 체결홀(162)에 삽입되고, 조작부(100)를 라이너(32)에 결합시킬 수 있다.
삽입돌기(161)가 아우터패널(31)에 장착되어 조작부(100)와 아우터패널(31)이 결합하고, 체결홀(162)에 결합기구 삽입되어 조작부(100)와 라이너(32)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조작부(100)는 도어(3)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조작부(100)에서 전방패널(110)은 조작부(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내측에 케이스(240)가 장착될 수 있다. 하부패널(120)은 전방패널(110)로부터 절곡되고 조작부(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방패널(110)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케이스(24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조작부(1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40)는 제1지지부(111)에 의해 조작부(100)의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지지부(111)는 후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케이스(240)를 조작부(100)의 장착위치에 가져다 놓고 가압하면, 제1지지부(111)에 의해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에 장착되고, 제1지지부(111)는 케이스(240)가 조작부(10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손잡이부(500)는 조작부(100)에 수용되고 하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작부(100)의 하부패널(120)에는 손잡이부(500)의 하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손잡이부(500)는 조작부(100)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사용자는 통공부(121)를 통해 조작부(100)의 하부에 손을 넣어 손잡이를 잡고, 도어(3)를 개폐할 수 있다.
손잡이부(5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그리고 한 쌍의 힌지부(35) 각각에 균일한 힘이 전달되어 도어(3)가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도어(3)의 상단 중앙부 그리고 조작부(10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에 대응하여 통공부(121)도 조작부(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경우, 케이스(240)와 손잡이부(500)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케이스(240)와 손잡이부(500) 각각의 부피로 인해, 도어(3) 전체의 부피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의 중앙부에 배치될 경우, 사용자가 손을 손잡이부(500)의 개방부위에 넣어 손잡이를 잡으면, 엄지 손가락이 동일 또는 인접한 위치에 있는 제1입력부(200)와 의도하지 않게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으로 인해 식기세척기가 의도하지 않게 작동이 정지되거나 정지된 상태로부터 재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240)는 식기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손잡이부(500)와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40)는 조작부(100)의 중앙부로부터 떨어진 조작부(100)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40)와 손잡이부(500)의 식기세척기 측방향 이격거리는, 사용자가 손잡이부(500)를 잡은 경우에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제1입력부(200)를 의도치 않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길 필요가 있다.
도 12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제1입력부(200)는 조작부(1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위치를 기준으로 손잡이부(500)의 왼쪽에 배치되었다. 다른 실시예로 제1입력부(200)는 조작부(100)의 후방을 바라보는 위치를 기준으로 손잡이부(500)의 오른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도 의도치 않게 제1입력부(200)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지 않도록 제1입력부(200)와 조작부(100)는 식기세척기 측방향으로 충분히 이격될 필요가 있다.
조작부(100)의 내부에 다른 부품이 장착될 수 있으므로, 조작부(100)에는 제1입력부(200)가 장착되는 부위가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유용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100)에서 제1입력부(200)가 손잡이부(5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위치에도 장착되도록 하여 제1입력부(200)의 배치위치를 다양화하여 조작부(100)에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손잡이부(500)의 우측에 제1입력부(200)를 장착하기 위해, 손잡이부(500)의 우측에도 제1입력부(200)의 장착을 위한 제1지지부(111)가 구비될 수 있고, 이러한 제1지지부(111)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부(111)는 전체적으로 손잡이부(500)가 배치되는 위치를 제외한 부위에서 조작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40)는 제2지지돌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돌기(243)는 케이스(240)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조작부(100)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케이스(240)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돌기(243)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240)가 조작부(100)에 장착된 경우에, 케이스(240)의 상부에서는 제2지지돌기(243)가 조작부(100)와 접촉하여 케이스(240)를 지지하고, 케이스(240)의 하부에서는 조작부(100)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11)가 케이스(240)와 접촉하여 케이스(240)를 지지할 수 있다. 케이스(240)는 제2지지돌기(243)와 제1지지부(1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조작부(10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부(100)는 보강리브(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150)는 하부패널(1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가 전방패널(110)의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보강리브(15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보강리브(150)는 조작부(100)의 길이방향, 즉 도어(3)의 양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하부패널(120)은 제1입력부(200)를 비롯하여 조작부(100)에 수용되는 다수의 부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패널(120)은 아우터패널(31)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하부패널(120)은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
보강리브(150)는 조작부(100)의 전방패널(110)과 하부패널(120)이 서로 절곡된 부위와 하부패널(120)의 강성을 보강하여 하부패널(120)이 외력에 의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세척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사용자로부터 조작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제1입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도어의 전방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에게 터치위치를 안내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한 명령신호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사용자의 명령신호를 상기 감지부로 전달하는 도전부재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감지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감지부의 전면에 접촉하고,
    상기 발광부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신호는 상기 조작부의 상기 발광부에 입력되고, 입력된 명령신호는 상기 도전부재를 통해 상기 감지부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도어가 닫힌 경우에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도어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도어의 전방에서 상기 도어를 바라본 경우, 상기 발광부를 둘러싸고 상기 감지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에 결합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감지부를 수용하고, 외측표면에 상기 도전부재가 배치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감지부가 결합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발광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홀; 및
    상기 감지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가 삽입되는 제2관통홀
    을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발광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광확산시트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의 장착위치를 가이드하는 장착가이드; 및
    상기 케이스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돌출되고, 상기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조작부의 내측면에 접촉하여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제2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의 전면을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케이스가 배치되는 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로부터 절곡되고 상기 조작부의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패널은,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부재는,
    상기 전방패널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고,
    일측면은 상기 전방패널의 내측면에 접촉하고, 타측면은 상기 감지부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식기세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적어도 일부가 장착되고 하부가 개방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상기 하부패널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가 배치되는 위치에 통공부가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식기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와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부패널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단부가 상기 전방패널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PCT/KR2023/001754 2022-03-04 2023-02-07 식기세척기 WO202316744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872A KR20230130819A (ko) 2022-03-04 2022-03-04 식기세척기
KR10-2022-0027872 2022-03-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43A1 true WO2023167443A1 (ko) 2023-09-07

Family

ID=8788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1754 WO2023167443A1 (ko) 2022-03-04 2023-02-07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30819A (ko)
WO (1) WO2023167443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213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물튐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0146780A (ja) * 2008-12-17 2010-07-01 Panasonic Corp 家庭電化製品の入力表示装置
KR20110100383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식기세척기
JP2017033564A (ja) * 2015-07-28 2017-02-09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少なくとも1つ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含む家庭機器用の操作面、家庭機器、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含む操作面の製造方法
KR20170082406A (ko) * 2016-01-06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4213A (ko) * 2004-01-13 2005-07-18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물튐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2010146780A (ja) * 2008-12-17 2010-07-01 Panasonic Corp 家庭電化製品の入力表示装置
KR20110100383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빌트인 타입의 식기세척기
JP2017033564A (ja) * 2015-07-28 2017-02-09 ショット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Schott AG 少なくとも1つ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含む家庭機器用の操作面、家庭機器、及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含む操作面の製造方法
KR20170082406A (ko) * 2016-01-06 2017-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0819A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37172A1 (ko) 세탁기
WO2018048255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7022974A1 (en) Dishwasher
WO2018044067A1 (en) Oven
WO2013032263A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605290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99404A1 (ko) 세탁기
WO2015105332A1 (ko) 냉장고
WO2017052110A1 (ko) 가전 제품용 외장 부재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22985A1 (en) Dishwasher
WO2016099223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WO2021145496A1 (ko) 식기세척기
WO2023167443A1 (ko) 식기세척기
WO2021029608A1 (ko) 블렌더
WO2022225163A1 (en) Refrigerator door
WO2019172495A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WO2020218825A1 (ko) 냉장고
WO202324402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0171393A1 (ko) 식기세척기
WO2024005365A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도어 업그레이드 키트
WO2022124810A1 (ko) 식기세척기
WO2023113371A1 (ko) 식기세척기
WO2022149736A1 (ko) 냉장고
WO2023013913A2 (ko) 식기세척기
WO2023146379A1 (ko) 가전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636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