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959A -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959A
KR20170081959A KR1020160001027A KR20160001027A KR20170081959A KR 20170081959 A KR20170081959 A KR 20170081959A KR 1020160001027 A KR1020160001027 A KR 1020160001027A KR 20160001027 A KR20160001027 A KR 20160001027A KR 20170081959 A KR20170081959 A KR 2017008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ion
pollution degree
outside
display unit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성
이성호
변종영
Original Assignee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81959A/ko
Publication of KR2017008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9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5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the housing or parts thereof being integrated in other devices, e.g.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탑승자가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외부 오염 공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AQS센서와, 상기 AQS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가 표시되는 LED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은, 차량 외부에 AQS센서가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분진 농도를 AQS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부에서 전달받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LED표시부에 표시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내기모드가 실행되어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EASURING/INTERCEPTING THE NOXIOUS GAS OF VEHICLE OUTSID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여 탑승자가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외부 오염 공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운행중에는 차량 외부의 대기중에 존재하는 유해가스(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탄화수소 및 일산화탄소 등)가 차량의 도어, 윈도우 등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거나 공기순환모드가 외기순환모드인 경우 공기유입배관을 통해 차량 실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차량 실내로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운전자는 운전 도중 피로, 졸음, 두통, 무기력 등을 느낄 수 있고, 미세먼지의 경우 심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을만큼 인체에 유해하므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안전과 건강을 심각히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최근 들어 차량 내 편의성 및 환경을 고려한 AQS(Air Quality System) 기술이 다양하게 발전하고 있다.
AQS란 자동차가 오염도가 높은 지역으로 들어설 경우, 가스 감지센서가 공기 오염도를 검출해 내기·외기 순환 모드가 자동으로 바뀌면서 외부의 유해가스가 차단되고, 자동차가 다시 오염도가 낮은 지역으로 진입하면 외기유입 모드로 돌아가도록 하고,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필터를 통해 정화시킨 후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차량 실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위치에 가스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유해가스농도를 측정하여야 하나, 창문 및 도어의 틈새를 통해 오염된 공기 및 먼지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가스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농도를 측정할 수 없고 유입된 유해가스 및 먼지를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차량의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없어 운전자 및 동승자의 건강을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외부의 공기 오염도에 대한 영향으로 인한 내부 공기 오염도에 대해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없어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을 때도 인식하지 못해 오염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739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탑승자가 오염 농도에 따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오염 농도가 높으면 내기모드를 구동하여 외부 공기의 실내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은,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AQS센서와, 상기 AQS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가 표시되는 LED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ED표시부는 외부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적색LED와 황색LED 및 녹색LE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LED표시부는 외부 공기 오염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 부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내기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LED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직접 내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수동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LED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을 때 내기모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토모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알려주는 소리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리알림부는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 농도에 따라 소리의 세기를 달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은, 차량 외부에 AQS센서가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분진 농도를 AQS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부에서 전달받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LED표시부에 표시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내기모드가 실행되어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 농도에 따라 공기 분진 농도가 50%이상이면 적색LED가 발광되고, 공기 분진 농도가 30%이상이면 황색LED가 발광되며, 공기 분진 농도가 30% 미만이면 녹색LED가 발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AQS센서를 통해 차량 외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면 제어부에서 제어하고 차량 실내에 설치된 LED표시부에 분진 농도에 따라 다른 색깔의 LED가 표시되어 차량 실내에서 탑승자가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을 해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의 LED표시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의 작동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을 도시한 플로챠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의 LED표시부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의 작동부를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을 도시한 플로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은, AQS센서(100)와, 제어부(200)와, LED표시부(3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AQS(Air Quality System)센서(100)는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게 된다.
즉, 상기 AQS센서(100)를 차량 외부 즉 전후,좌우에 상관없이 일정 부위에 설치한 상태에서 차량 외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분진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AQS센서(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100)에 의해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전달받아 제어하게 된다.
이에 상기 AQS센서(100)를 통해 차량 외부의 분진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어부(200)로 상시 신호를 보낼 때 상기 AQS센서(100)에서 외부 공기 분진 농도의 정도에 따라 제어부(200)에서 제어하여 하기에 설명된 LED표시부(300)에 표시되고 작동부(40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통상 차량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여결되며, 이에 대한 구조적인 내용은 이미 널리 통용되고 있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LED표시부(300)는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100)로부터 측정된 신호를 제어부(200)에서 제어하여 외부 공기 오염도가 표시되어지게 된다.
상기 LED표시부(300)는 외부 공기의 오염도를 탑승자가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도시하지 않음) 부위에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AQS센서(100)를 통해 외부 공기 오염도가 측정되면 제어부(200)에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하면서 LED표시부(300)로 신호를 보내 LED표시부(300)에서 표시되어질 때 LED표시부(300)를 대쉬보드에 설치함에 따라 즉시 외부 공기 오염도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ED표시부(300)는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의 오염농도에 따라 발광되는 적색LED(310)와 황색LED(320) 및 녹색LED(330)로 구비되어지게 된다.
일 예로, 상기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50% 이상일 경우에는 적색LED(310)가 발광되며,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30% 이상일 경우에는 황색LED(320)가 발광되고,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녹색LED(330)가 발광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내기모드(500)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부(400)는 LED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직접 내기모드(500)를 실행시킬 수 있는 수동모드(41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상기 작동부(400)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LED표시부(300)에서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을 때 내기모드(500)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토모드(420)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오토모드(420)를 선택하게 되면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높아 적색LED(310) 또는 황색LED(320)가 발광되어질 때 제어부(200)에서 제어하여 자동으로 내기모드(500)를 실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탑승자에게 소리로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소리알림부(600)를 더 포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리알림부(600)는 차량에 설치되는 스피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리알림부(600)는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분진 농도에 따라 소리의 세기를 달리하게 된다.
즉, 상기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소리가 발산되어지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은, 차량 외부에 AQS센서(100)가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공기 분진 농도를 AQS센서(100)에서 측정하는 단계(S100)와, 상기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부(200)에서 전달받아 제어하는 단계(S200)와,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300)에서 표시하는 단계(S300)와, 상기 LED표시부(300)에 표시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작동부(400)의 작동에 따라 내기모드(500)가 실행되어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S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300)에서 표시하는 단계(S300)에 있어, 상기 AQS센서(100)를 통해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에 따가 공기 분진 농도가 50% 이상일 경우에는 적색LED(310)가 발광되며, 공기 분진 농도가 30% 이상일 경우에는 황색LED(320)가 발광되고, 공기 분진 농도가 30% 미만일 경우에는 녹색LED(330)가 발광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LED표시부(300)의 적색LED(310), 황색LED(320), 녹색LED(330)의 발광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탑승자가 실시간으로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AQS센서(100)를 차량 외부에 설치하여 AQS센서(100)를 통해 차량 외부의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AQS센서(100)에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면 제어부(200)에서 측정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하면서 상기 LED표시부(30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LED표시부(300)에서 제어부(200)의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 공기 분진 농도에 따라 LED 색깔을 달리하여 표시되어지게 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AQS센서(100)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50% 이상이면 적색LED(310)가 발광되어 외부 공기 오염도가 매우 높음을 파악할 수 있으며, 황색LED(320)가 발광되면 조금 높음을 파악할 수 있고 녹색LED(330)가 발광되면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낮음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AQS센서(100)를 통해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 정도에 따라 LED표시부(300)에 LED의 색깔을 달리 표기하여 탑승자가 외부 공기 오염도 정도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LED표시부(300)에 표시되는 LED 발광색에 따라 작동부(400)가 작동되면서 내기모드(500)를 실행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AQS센서(100)를 통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LED표시부(300)를 통해 외부 공기 분진 농도를 즉시 파악하여 외부 공기 분진 농도가 상승하면 내기모드(500)를 실행시켜 차량 실내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차량 실내 환경을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AQS센서
200 : 제어부
300 : LED표시부
310 : 적색LED
320 : 황색LED
330 : 녹색LED
400 : 작동부
410 : 수동모드
420 : 오토모드
500 : 내기모드
600 : 소리알림부

Claims (10)

  1.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 오염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AQS센서;
    상기 AQS센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가 표시되는 LED표시부;
    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는 외부 공기 오염도에 따라 적색LED와 황색LED 및 녹색LE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표시부는 외부 공기 오염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 실내의 대쉬보드 부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내기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작동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LED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를 확인하고 탑승자가 직접 내기모드를 실행시키는 수동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LED표시부에 표시되는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을 때 내기모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오토모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알려주는 소리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알림부는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 농도에 따라 소리의 세기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9. 차량 외부에 AQS센서가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분진 농도를 AQS센서에서 측정하는 단계;
    상기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도를 제어부에서 전달받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LED표시부에 표시된 외부 공기 오염도가 높으면 작동부의 작동에 따라 내기모드가 실행되어 외부 오염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외부 공기 오염도를 LED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AQS센서에서 측정된 외부 공기 오염 농도에 따라 공기 분진 농도가 50% 이상이면 적색LED가 발광되고, 공기 분진 농도가 30% 이상이면 황색LED가 발광되며, 공기 분진 농도가 30% 미만이면 녹색LED가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방법.
KR1020160001027A 2016-01-05 2016-01-05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19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27A KR20170081959A (ko) 2016-01-05 2016-01-05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027A KR20170081959A (ko) 2016-01-05 2016-01-05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959A true KR20170081959A (ko) 2017-07-13

Family

ID=5935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027A KR20170081959A (ko) 2016-01-05 2016-01-05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819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984A (ko) 2021-10-27 2023-05-04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9984A (ko) 2021-10-27 2023-05-04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차량의 공조제어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8789A (ko) 차량용 미세먼지 자동 제거 장치
US201501363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t least on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a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07147592A (ja) 化学蒸気センサー測定に影響を及ぼす環境変動を補償するためのトレーサー
JP2009119928A (ja) 車両用換気装置
CN104691281B (zh) 一种监测滤净系统和控制方法
KR20180028336A (ko) 차량용 실내 공기질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08065870A1 (fr) Alarme d'état de l'air
CN103851756A (zh) 一种用于汽车的空气污染物防护装置
KR101115021B1 (ko) 자동차 실내 환경의 복합 가스 제어를 위한 복합 가스측정 장치
KR20210138293A (ko) 차량의 실내 공기 정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40278A (ko) 차량용 공조 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10030800A (ko) 차량용 유해가스 감지시스템
KR20170081959A (ko) 차량 외부 유해가스 측정/차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99703A (ko) 차량 실내의 유해가스 배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132347A (ja) 飲酒運転防止装置
JP496777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6132353A (ja) 車載用空気清浄機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車
US20180058996A1 (en)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a motor vechicle
JP2009220728A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KR20140086690A (ko) 차량 내 환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70832A1 (en) 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6060429A (ja) 車両用救援装置
KR20180058482A (ko) 차량의 실내 유해물질 제거 시스템
KR100836348B1 (ko) 음향정보를 이용한 차량의 공조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제어방법
CN114829932A (zh) 用于对空气调节器的污染情况进行测量的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