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0623A - 연료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0623A
KR20170080623A KR1020177014402A KR20177014402A KR20170080623A KR 20170080623 A KR20170080623 A KR 20170080623A KR 1020177014402 A KR1020177014402 A KR 1020177014402A KR 20177014402 A KR20177014402 A KR 20177014402A KR 20170080623 A KR20170080623 A KR 2017008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iston
pressure
flow path
regula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브라운
Original Assignee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filed Critical 델피 인터내셔널 오퍼레이션즈 룩셈부르크 에스.에이 알.엘.
Publication of KR2017008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02Arrangement of leakage or drain conduits in or from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20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 F02M59/34Varying fuel delivery in quantity or timing by throttling of passages to pumping elements or of overflow passages, e.g. throttling by means of a pressure-controlled sliding valve having liquid stop or abu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6Throttling valves, e.g. having variable opening positions throttling the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7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the groups F02M63/0014 - F02M63/0059
    • F02M63/0073Pressure balanc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2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several injectors fed by a common pumping element, or having several pumping elements feeding a common injecto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cutting-out pumps, pumping elements, or injectors;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rovisions for variably interconnecting pumping elements and injectors alternatively
    • F02M63/022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a common rail feeding several injectors ; 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Pumps feeding common rails
    • F02M63/023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 F02M63/0235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by bleeding fuel pressure
    • F02M63/024Means for varying pressure in common rails by bleeding fuel pressure between the low pressure pump and the high pressure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커먼레일 내연기관의 연료 전달 시스템을 위한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와 벤튜리(100, 200) 구성요소로서, 조합된 유닛의 외측 바디(102, 202) 내에서 왕복 운동가능한 피스톤(104, 204)과, 인젝터 리크 리턴 흐름 경로(32)를 위한 저압부를 형성하기 위한 벤튜리를 포함하는,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와 벤튜리 구성요소.

Description

연료 전달 시스템{FUEL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연료 전달 시스템, 특히 디젤 연료 분사 시스템과 같은 커먼레일 연료 분사 시스템을 위한 연료 전달 시스템용 압력 조절 수단에 관한 것이다.
단일의 플런저 커먼레일 디젤 펌프 적용과 같은 커먼레일 적용을 위한 공지된 연료 전달 시스템은 캠박스로부터 연료 탱크로의 연료의 리턴 흐름을 제어하는 저압 레귤레이터(low pressure regulator)와, 인젝터 리크 리턴 흐름 경로를 위해 저압(depression), 즉 압력 저감부를 형성하는 별개의 벤튜리를 포함한다. 벤튜리를 통한 연료 흐름은 레귤레이터의 개폐 기능에 따라 변경된다.
종래기술의 펌프의 별개의 저압 레귤레이터와 벤튜리는 다수의 내부 드릴링(internal drillings)과, 2개의 별개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비교적 큰 펌프 엔벨로프(pump envelope)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적어도 완화하는 개선된 연료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관점에서, 청구항 1에 따른 압력 조절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압력 조절 수단은 일체형 구성요소의 외측 바디 내의 운동을 왕복하도록 위치된 피스톤을 포함하며; 제2 입구 연료 흐름으로부터의 연료는 엔트리 포트를 통해 상기 압력 조절 수단의 리세스에 들어가고; 상기 피스톤은 스프링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된 흐름 포트를 통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로의 연료의 배출 흐름을 방지하고, 적어도 하나의 백리크 리턴 포트를 통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로의 연료의 배출 흐름이 가능한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되고; 사전결정된 입구 연료 압력에서, 상기 피스톤은 각각의 조절된 흐름 포트를 통해 그리고 각각의 백리크 리턴 포트를 통해 상기 리세스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로의 연료 배출 흐름이 가능한 완전 개방 위치로 상기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해 가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세스는 상기 피스톤 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스프링 챔버 내에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와 상기 스프링 챔버는 상기 피스톤의 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압력 조절 수단은 상기 스프링 챔버와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 사이에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댐핑 오리피스(damping orifice)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챔버와 상기 댐핑 오리피스는 상기 피스톤의 운동을 댐핑하는 댐핑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상기 벤튜리는 상기 피스톤 내에 제공된 환형 내측 돌출부 내에 내측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에 따른 압력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전달 시스템을 포함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본 발명을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벤튜리 구성요소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달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벤튜리 구성요소에 대한 단면도.
본 발명에서, 단일의 압력 조절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저압 레귤레이터 피스톤에는 벤튜리가 내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을 포함하는 압력 조절 수단은 연료 전달 시스템(2)의 일부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디젤과 같은 연료는 연료 탱크(10)를 포함하는 연료 공급부로부터 캠박스(12)로 저압으로 공급된다. 캠박스(12)로부터, 연료는 필터(14), 입구 미터링 밸브(16) 및 입구 밸브(18)를 통해 제1 입구 연료 흐름 경로(6)를 따라 펌핑 챔버(20)로 제공된다. 그 후, 연료는 펌핑 챔버(20) 내에서 고압으로 가압되고, 고압 연료는 출구 밸브(22) 및 커먼레일 어큐뮬레이터 용적부(24)를 통해 고압 연료 경로(32)를 따라 하나 이상의 인젝터(26)로 공급된다.
또한, 캠박스(12)로부터 제2 입구 흐름 경로(8)가 제공되고, 제2 흐름 경로(8)는 입구 압력으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에 연료를 제공한다.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연료의 리턴 흐름의 압력을 조절하여, 캠박스 내의 평균 연료 압력을 제어한다. 조합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에서 배출된 후에, 백리크 압력에서의 연료 흐름은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를 따라 연료 탱크(10)로 복귀한다.
또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인젝터 백리크 흐름 경로(32)를 통해 인젝터(26)로부터 연료의 백리크 흐름을 수용한다. 벤튜리는 이러한 인젝터 백리크 흐름에 작용하고, 그 후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를 통해 연료 탱크(10)로 복귀된다.
이하,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후술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조합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피스톤(104)을 포함하는 내측 부재가 그 내에서의 운동을 왕복하도록 하도록 배치된 외측 바디(102)를 포함한다. 피스톤(104)의 내부는 리세스(106)를 형성한다.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제1 엔트리 단부(108)와, 상기 제1 단부(108)의 말단에서 스프링 챔버(120)를 제공하는 제2 단부(100)를 포함한다. 스프링 챔버(120)는 피스톤의 반경방향 벽(112)에 의해 피스톤(104)의 리세스(106)로부터 분리된다. 코일 스프링(122)을 포함하는 바이어싱 수단(biasing means)은 스프링 챔버(120) 내에 제공되고, 스프링(122)은 유닛(100)의 제2 단부(110)를 형성하는 외측 바디(102)의 반경방향 벽(160)의 내부면(162)에 의해 제공된 제1 스프링 시트(124)와, 피스톤(104)의 단부면(116)에 의해 제공된 제2 스프링 시트(126)와 인접한다.
피스톤(104)은 환형 내측 돌출부(118) 내의 갭에 의해 형성된 내측 오리피스(130)를 포함한다.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캠박스(12)로부터의 제2 입구 흐름 경로(108)에서 연료를 수용하도록 엔트리 단부(108)에 엔트리 포트(134)를 포함한다. 유닛(100)의 외측 단부를 통해 복수의 포트가 제공되는데, 유닛(100)의 제1 단부(108)를 향해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가 제공되고, 유닛(100)의 제2 단부(110)를 향해 백리크 리턴 포트(144)가 제공되고,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와 백리크 리턴 포트(144)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는 벤튜리 포트(132)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외측 바디의 축방향 측벽(166) 내에는 백리크 리턴 포트(144)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외측 바디(102)를 통해 제2 단부(110)를 향해 댐핑 오리피스(146)가 제공되어, 스프링 챔버(120)와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 사이의 흐름 경로를 댐핑한다.
캠박스(12)로부터 제2 입구 흐름 경로(8)에서의 연료는 엔트리 포트(134)를 통해 입구 압력으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리세스(106) 내로 흐른다.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에 들어가는 연료의 압력 하에서 그리고 더욱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 같이, 피스톤(104)은 완전 개방 위치(fully open position)와 완전 폐쇄 위치(fully closed position)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완전 개방 위치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104)은 (도 1 및 2의 배향에서) 최저측 위치에 있고, 폐쇄 위치에서, 피스톤(104)은 최상측 위치에 있다.
피스톤(104)은 스프링에 의해 완전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되고, 즉 스프링(122)은 유닛(100)의 외측 바디(102)의 내측 단부면(162)로부터 멀어지게 피스톤을 바이어스한다. 완전 폐쇄 위치에서,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는 피스톤(104)의 축방향 벽(164)의 상부 섹션(168)의 외부면에 의해 밀봉되어,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리세스(106) 외부로 흐름 경로를 폐쇄한다.
완전 폐쇄 위치에서, 벤튜리 포트(132)를 통해, 피스톤(104)의 축방향 측벽(166) 내에 제공된 대응하는 벤튜리 포트(170)를 거쳐 리세스(106)의 벤튜리 섹션(172) 내로 연료 흐름 경로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은 벤튜리 포트(170) 위아래에서 피스톤(104)의 외벽(164) 내에 제공된 절결부(152, 154)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저압부(depression)를 형성하여, 외벽(164)이 외측 바디(102)의 벤튜리 포트(132)를 밀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벤튜리 포트(132, 170)는 리세스(106) 내에 수용되는 인젝터 역류의 압력을 사전결정된 레벨로 감소시키도록 작용한다. 마찬가지로, 백리크 리턴 포트(144)를 통해, 백리크 리턴 포트(172) 위아래에서 피스톤(104)의 외벽(164) 내에 제공된 또 다른 절결부(156, 158)로 인해 피스톤(104)의 축방향 벽 내에 제공된 대응하는 백리크 리턴 포트(172)를 거쳐 리세스(106) 외부로 흐름 경로가 가능해짐으로써, 외벽(164)이 백리크 리턴 포트(144)를 밀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벤튜리 포트(132, 170)를 통해 인젝터 백리크 흐름 경로(32)로부터 리세스(106)에 들어가는 연료는 입구 압력보다 높은 압력에 있다. 벤튜리 포트(132, 170)는 인젝터 리턴 흐름 내에 저압부(depression)를 형성하여, 연료의 인젝터 리턴 흐름의 압력을 사전결정된 레벨로 감소시킨다.
엔트리 포트(134)를 통해 리세스(106)에 들어가는 연료는 캠박스(12)에서 배출되는 연료 압력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이 입구 압력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리세스(106)에 들어가는 연료에 의해 피스톤(104)에 제공되는 힘은 입구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를 것이다.
입구 연료 압력에 의해 피스톤(104)에 가해진 힘이 스프링(122)에 의해 피스톤(104)에 가해진 힘보다 낮다면, 피스톤(104)은 이동하지 않고 완전 폐쇄 위치에 유지될 것이며,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리세스 외부로 연료가 흐를 수 없다.
사전결정된 입구 연료 압력 이상에서, 피스톤(104)에 가해진 힘은 스프링(122)의 바이어스력을 초과할 것이다. 그 다음, 피스톤(104)은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종축(A)을 따라 외측 바디(102)의 내측 단부면(162)을 향해 가압되고, 즉 피스톤(104)은 완전 폐쇄 위치로부터,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 외부로 연료가 흐를 수 있는 완전 개방 위치로 가압된다. 도 2의 배향에서, 피스톤(104)은 하측방향으로 푸시된다.
스프링 챔버(120)와 댐핑 오리피스(146)는 외측 바디(102)의 내측 단부면(162)을 향해 피스톤(104)의 운동을 댐핑하는 댐핑 기구(damping mechanism)로서 작용한다.
피스톤(104)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는 피스톤(104)의 외벽(164)에 의해 더 이상 방해/밀봉되지 않으므로,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캠박스(12)로부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로 추가적인 흐름 경로가 가능해지고, 즉 개방 위치에서, 백리크 리턴 포트(144)와 더불어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로 연료가 배출된다.
피스톤(104)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인젝터 백리크 흐름 경로(32)로부터 리세스(106) 내로의 흐름 경로는 벤튜리 포트(132, 170)를 통해 유지되고, 상기 벤튜리 포트는 인젝터 리턴 흐름 경로(32)로부터 사전결정된 백리크 압력으로 수용되는 흐름의 압력을 계속하여 감소시킨다.
(피스톤(10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백리크 리턴 포트(144)를 통해, 또는 (피스톤(10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백리크 리턴 포트(144) 및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 양자를 통해,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의 리세스(106)에서 배출되는 연료는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를 통해 사전결정된 백리크 압력으로 연료 탱크(10)로 복귀된다.
피스톤(104)이 부분 개방 위치, 즉 완전 개방 위치와 완전 폐쇄 위치 사이에 있을 때,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연료의 부분 흐름이 배출될 수 있고, 즉 피스톤(104)이 완전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보다는 감소된 용적의 연료가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100)은 캠박스(12) 내의 연료 압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한다. 캠박스(12) 내의 연료 압력이 너무 높으면, 즉 사전결정된 값을 초과하면, 피스톤(104)은 개방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백리크 리턴 경로(30)를 통해 더 많은 연료가 흐르게 하므로, 캠박스(12) 내의 연료 압력을 사전결정된 압력으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캠박스(12) 내에는 선택된 사전결정된 평균 연료 압력이 유지된다.
레귤레이터/벤튜리 구성요소(100)를 위한 개방 압력, 즉 피스톤(104)이 완전 개방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되는 압력은, 피스톤 내측 오리피스(130)의 사이즈, 스프링(122)의 비율 및 프리로드,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의 위치, 및 댐핑 오리피스(146)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들 변수는 캠박스(12)의 요구되는 사전결정된 평균 연료 압력에 따라 선택된다.
또한, 내측 오리피스(130)의 사이즈는 조절된 압력 설정으로의 필요한 감소를 얻기 위해 벤튜리 섹션(172)을 통해 연료의 정확한 용적을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된 제2 실시예에 따른 조합된 저압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은 도 3에서의 연료 전달 시스템(202)의 일부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변형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은 도 4에 별개로 완전 개방 위치에서 도시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는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의 외측 바디(202)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배치된 피스톤(204)을 포함하는 조합된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제2 실시예에서, 피스톤(204)은 리세스(206)를 스프링 챔버로부터 분리하는 반경방향 벽을 구비하지 않는다. 따라서, 리세스(206)는 피스톤(106) 내에 형성된 내부 영역과, 스프링 챔버 영역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에서, 백리그 리턴 포트(244)는 제1 엔트리 단부(208)로부터 이격된 유닛(200)의 제2 단부(210)를 형성하는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의 외측 바디(202)의 반경방향 벽(260) 내에 위치된다.
제2 실시예가 별개의 스프링 챔버 또는 그로부터 연장되는 댐핑 오리피스를 구비하지 않음에 따라, 피스톤의 개방, 즉 외측 바디(202)의 내측 단부면(262)을 향한 피스톤(204)의 운동이 댐핑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피스톤(20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조절된 흐름 포트(240, 242)는 피스톤(204)의 외벽(264)의 상부 섹션(168)의 외부면에 의해 밀봉되지만, 백리크 리턴 포트(244)를 통해 연료가 흐를 수 있고, 피스톤(20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조절된 흐름 포트(240, 242)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백리크 리턴 포트(244)를 통해서도 리세스(206)로부터 연료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는 벤튜리 포트(232, 270)의 하류측(즉, 유닛(200)의 제2 단부(210)를 향해) 상에 더 적은 구속을 갖는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200)을 연료 흐름이 통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양자의 실시예들에서, 벤튜리를 통해 흐르는 연료의 압력은 레귤레이터 내에 내장됨에 따라 종래기술의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일관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실시예에서보다 벤튜리에 의해 연료 압력에 대한 더욱 일관된 강하(depression)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비해 요구되는 내부 드릴링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또한, 벤튜리와 레귤레이터를 하나의 구성요소로 조합하는 것은 종래기술의 실시예에 비해 감소된 전체 펌프 패키징 사이즈를 허용한다.
2: 연료 전달 시스템
6: 제1 입구 흐름 경로
8: 제2 입구 흐름 경로
10: 연료 탱크
12: 캠박스
14: 필터
16: 입구 미터링 밸브
18: 입구 밸브
20: 펌핑 챔버
22: 출구 밸브
24: 커먼레일 어큐뮬레이터 용적부
26: 인젝터
28: 고압 연료 경로
30: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
32: 인젝터 백리크 흐름 경로
100, 200: 레귤레이터/벤튜리 유닛
102, 202: 외측 바디
104, 204: 피스톤
106, 206: 리세스
108, 208: 유닛의 제1 엔트리 단부
110, 210: 제2 단부
112, 212: 피스톤 반경방향 벽
116: 피스톤의 단부면
118: 피스톤의 환형 내측 돌출부
120: 스프링 챔버
122: 스프링
124: 제1 스프링 시트
126: 제2 스프링 시트
130: 외측 바디의 벤튜리 오리피스
132, 232: 벤튜리 포트
134: 엔트리 포트
140, 142, 240, 242: 조절된 흐름 포트
144, 244: 외측 바디의 백리크 리턴 포트
146: 댐핑 오리피스
152, 154: 피스톤 절결부(벤튜리 영역)
156, 158: 피스톤 절결부(백리크 리턴 포트 영역)
160, 260: 외측 바디의 반경방향 벽
162, 262: 외측 바디의 내측 단부면
164, 264: 피스톤의 축방향 외벽
166: 외측 바디의 측벽
168: 축방향 외벽의 상부 섹션
170: 피스톤의 벤튜리 포트
172: 피스톤의 백리크 리턴 포트
174: 벤튜리부
A: 유닛의 종축

Claims (4)

  1. 내연기관을 위한 연료 전달 시스템(2)용 압력 조절 수단(100, 200)으로서, 상기 연료 전달 시스템은 캠박스(12)와 적어도 하나의 연료 인젝터(26)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료 인젝터(26)에 공급되는 연료를 가압하도록 제1 입구 연료 흐름 경로(6)는 상기 캠박스(12)로부터 펌핑 챔버(20)로 입구 압력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상기 압력 조절 수단(100, 200)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수단(100, 200)은,
    제2 입구 연료 흐름 경로(8)를 통해 상기 캠박스(12)로부터 수용된 연료를 입구 입력으로 조절하여, 상기 캠박스(12) 내의 연료 압력을 사전결정된 레벨로 유지하는 압력 레귤레이터; 및
    인젝터 백리크 흐름 경로(injector back leak flow path)(32)를 통해 상기 인젝터(26)로부터 수용된 연료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벤튜리
    를 포함하며,
    백리크 압력(back-leak pressure)에서의 연료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140, 142, 144, 240, 242, 244)를 통해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로 상기 압력 조절 수단에서 배출되고,
    상기 벤튜리 및 상기 압력 레귤레이터는 일체형 구성요소(100, 200)로서 형성되고, 상기 압력 조절 수단(100, 200)은 상기 일체형 구성요소(100, 20))의 외측 바디(102, 202) 내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위치된 피스톤(104, 2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입력 연료 흐름 경로(8)로부터의 연료는 엔트리 포트(134)를 통해 상기 압력 조절 수단(100, 200)의 리세스(106, 206)에 들어가고,
    상기 피스톤(104, 204)은 스프링(12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 240, 242)를 통해 상기 리세스(106, 206)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로의 연료의 배출 흐름을 방지하는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되고, 적어도 하나의 백리크 리턴 포트(144, 244)를 통해 상기 리세스(106, 206)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로의 연료의 배출 흐름이 가능하고,
    사전결정된 입구 연료 압력에서, 상기 피스톤(104, 204)은 각각의 조절된 흐름 포트(140, 142, 240, 242)를 통해 그리고 각각의 백리크 리턴 포트(144, 244)를 통해 상기 리세스(122)로부터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200)로의 연료 배출 흐름이 가능한 완전 개방 위치로 상기 스프링(122)의 바이어스에 대해 가압되는,
    압력 조절 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106)는 상기 피스톤(104) 내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122)은 스프링 챔버(120) 내에 제공되고, 상기 리세스(106)와 상기 스프링 챔버(120)는 상기 피스톤(104)의 벽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압력 조절 수단(100)은 상기 스프링 챔버(120)와 상기 백리크 리턴 흐름 경로(30) 사이에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댐핑 오리피스(14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챔버(120)와 상기 댐핑 오리피스(146)는 상기 피스톤(104)의 운동을 댐핑하는 댐핑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압력 조절 수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벤튜리는 상기 피스톤(104) 내에 제공된 환형 내측 돌출부(118) 내에 내측 오리피스(130)를 포함하는,
    압력 조절 수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압력 조절 수단(100, 200)을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연료 전달 시스템(2).
KR1020177014402A 2014-11-04 2015-09-29 연료 전달 시스템 KR20170080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419607.5A GB201419607D0 (en) 2014-11-04 2014-11-04 Fuel delivery system
GB1419607.5 2014-11-04
PCT/EP2015/072353 WO2016071046A1 (en) 2014-11-04 2015-09-29 Fuel delivery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623A true KR20170080623A (ko) 2017-07-10

Family

ID=5211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402A KR20170080623A (ko) 2014-11-04 2015-09-29 연료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15733A1 (ko)
KR (1) KR20170080623A (ko)
CN (1) CN107002619A (ko)
GB (1) GB201419607D0 (ko)
WO (1) WO20160710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174A (en) * 2016-07-12 2018-01-17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Hydraulic fuel circuit of a fuel injection equipment
US11299035B2 (en) 2018-06-13 2022-04-12 Volvo Truck Corporation Flow regulation device, fuel managing system comprising such a device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uch a system
US11092126B2 (en) * 2019-09-03 2021-08-17 Pratt & Whitney Canada Corp. Common-rail fuel system with ejector pump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22020693A1 (en) * 2020-07-24 2022-01-27 Cummins Inc. Modular and scalable common rail fuel system architecture
DE102021002134B3 (de) * 2021-04-22 2022-09-29 Daimler Truck AG Kraftstoffsystem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Kraftstoffsystem
DE102021002127B3 (de) * 2021-04-22 2022-09-29 Daimler Truck AG Kraftstoffsystem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fahrzeugs, sowie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Kraftstoffsystem
CN114017223B (zh) * 2021-11-03 2023-03-24 南岳电控(衡阳)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排油结构及供油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484A1 (de) * 2003-07-17 2005-02-10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system für Verbrennungskraftmaschinen
DE102007053275B4 (de) * 2007-11-08 2019-09-05 Robert Bosch Gmbh Kraftstoff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JP4968037B2 (ja) * 2007-12-13 2012-07-04 株式会社デンソー 背圧制御弁およびそれを用いた低圧燃料システム
US8800594B2 (en) * 2012-02-02 2014-08-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Gas turbine engine fuel return valve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1046A1 (en) 2016-05-12
EP3215733A1 (en) 2017-09-13
CN107002619A (zh) 2017-08-01
GB201419607D0 (en)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0623A (ko) 연료 전달 시스템
WO2009128176A1 (ja) 燃料供給装置
JP2008309015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US9228550B2 (en) Common rail injector with regulated pressure chamber
JP4825842B2 (ja) 燃料ポンプ
US20170152822A1 (en) Fuel Injec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07247B2 (en) Method of suppressing cavitation in a fuel injector
KR20110051826A (ko) 고압 연료 펌프의 토출 밸브와 압력 릴리프 밸브 일체형 구조
JP2013133753A (ja) 圧力調整弁
CN105765209B (zh) 燃料喷射系统及用于运行燃料喷射系统的方法
JP2007138903A (ja) 燃料供給圧力調整装置
JP2010071266A (ja) 高圧燃料供給装置
WO2016088340A1 (ja) 高圧ポンプ
CN108291513B (zh) 安全阀装置以及使用该安全阀的高压泵
JP2005188432A (ja) 燃料供給装置
CN106838400B (zh) 释放阀
JP2017015034A (ja) 高圧ポンプ
JP4519143B2 (ja) インジェクタ
JP6146365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CN108884947B (zh) 具有压力放大装置的比例顺序阀
JP5846448B2 (ja) 気体燃料用圧力制御装置
JP4355640B2 (ja) 燃料噴射装置
JP2012149571A (ja) 高圧ポンプ
JP2016079857A (ja) オーバーフローバルブ装置
JP3884665B2 (ja) 蓄圧式分配型燃料噴射ポン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