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014A -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014A
KR20170079014A KR1020150189106A KR20150189106A KR20170079014A KR 20170079014 A KR20170079014 A KR 20170079014A KR 1020150189106 A KR1020150189106 A KR 1020150189106A KR 20150189106 A KR20150189106 A KR 20150189106A KR 20170079014 A KR20170079014 A KR 2017007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indoor
concentration
vehic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9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9014A/ko
Publication of KR2017007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including features for automatic and non-automatic control, e.g. for changing from automatic to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환기를 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플랩을 작동시키는 플랩 작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블로우 팬을 동작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 팬 작동부를 포함하여,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Ventil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vehicle interior}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환기를 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는 거주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소음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이렇게 밀폐된 차량의 실내는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은 차량 내부의 전면에 위치된 대쉬 보드 양쪽 끝에 형성된 공기순환 덕트를 통해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차량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자연환기방식과 강제환기방식으로 대별된다.
상기 자연환기방식은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차량의 실내로 유도하여 환기시키는 방식이고, 상기 강제환기방식은 공조시스템의 팬을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강제 유동시키는 방식이다.
이처럼,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은 자동차의 실내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개방함에 따라 실내 공기를 외부공기와 순환시켜 차량의 실내공기의 쾌적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외부공기의 유입 여부는 대부분 운전자의 결정에 따라 이루어진다.
차량의 실내 환기를 위한 종래의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 내부의 실내공기의 오염원을 기준으로 실내 오염도를 검출하는 실내 오염도 검출부, 차량의 주행 특성 및 주변 환경을 기반으로 차량 주변의 실외 오염도를 추정하는 실외 오염도 추정부, 상기 실내 오염도 검출부에서 검출된 실내 오염도와 상기 실외 오염도 추정부에서 추정된 실외 오염도를 서로 비교하는 비교부, 미리 저장된 오염원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영향도를 기반으로 입력된 탑승자 건강정보를 대입하여 탑승자의 건강 영향도를 검출하는 건강 영향도 검출부,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실내 오염도 및 실외 오염도와 탑승자의 건강 영향도를 기반으로 실외공기 유입 여부를 판단하여 공조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공기 조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운행 중인 차량의 주행 특성(연료소비, 속도, 가속, 감속, 등)에 따른 배출 오염량 추정을 기준으로 주변환경(교통량, 밀도 등)을 고려한 주변 공기 오염도 추정을 통한 유입 및 차량 실내 공기가 탑승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지표화하고 이에 따라 실외공기 유입을 조절하여 차내 실내공기를 탑승자의 건강에 최적화한다.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블로워; 상기 블로워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된 인버터; 상기 블로워에 실외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제1공기유입라인, 및 실내공기가 흡입되도록 설치된 제2공기유입라인; 상기 제1공기유입라인과 제2공기유입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열어주도록 설치된 제1밸브; 상기 인버터를 통과한 공기가 차량 실내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공기공급라인, 및 차량 실외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공기 배출라인; 상기 공기공급라인과 공기배출라인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열어주도록 설치된 제2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차량의 폐열을 난방용으로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효율적
인 실내난방을 수행하고, 특히 종래의 PTC 히터와 같은 난방장치를 삭제할 수 있어 실내난방을 위한 차량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주행거리와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127055호(2014.11.03. 공개)(발명의 명칭: 주행 특성 및 환경에 따른 배출 오염량 추정을 통한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060030호(2011.06.08. 공개)(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차량 실내 오염도와 외기의 오염도를 모두 검출하고, 이를 비교하여 차량 실내를 환기하기 때문에, 실내 오염 환기를 위한 장치의 구현이 복잡하고, 환기 시스템의 구현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일반적인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대중적이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공지조화장치는 차량 실내의 주 오염원인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으로 공기조화를 하지 않기 때문에,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이산화탄소는 운전 집중력 저하 및 졸음운전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특히 한국 환경 공단은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2,000ppm 이상이면, 집중력이 저하되고 졸음운전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추정하였다.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창문을 닫고 에어컨이나 히터를 장시간 가동할 경우,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환기를 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를 항상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제1 실시 예는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플랩을 작동시키는 플랩 작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블로우 팬을 동작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 팬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의 제2 실시 예는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윈도를 개방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윈도우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1 실시 예는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공기 순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이면 자동으로 외기로 변경하고 플랩을 개방하는 단계; (e) 상기 플랩 개방 후 또는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로 설정된 경우,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농도 미만이면 상기 작동시킨 블로우 팬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2 실시 예는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도어 윈도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도어 윈도우가 폐쇄된 상태이면, 도어 윈도우를 자동으로 소정량 개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농도 미만이면 상기 개방시킨 도어 윈도우를 원래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1 기준 농도는 2,000ppm이고, 상기 제2 기준 농도는 1,5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규정치 이상이면 자동으로 도어 윈도우를 개방하거나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동작시켜,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어, 이산화탄소에 의한 졸음운전이나 운전 집중력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는 실내공기 배출 스위치(101), 이산화탄소 측정부(102),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 제어부(104), 윈도우 작동부(105), 윈도우(106), 내/외기 선택부(107), 플랩 작동부(108), 증발기부(111), 블로우 작동부(110), 정/역방향 선택부(109)를 포함한다.
실내 공기 배출스위치(101)는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해 운전자가 조작하는 선택 스위치이다. 실내 공기 배출 스위치(101)가 온(on) 상태로 조작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환기장치가 동작한다.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는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co2)를 검출하는 역할을 하며,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는 검출한 이산화탄소량을 시각적으로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는 실내 공기 배출 기능의 동작 여부도 표시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4)는 상기 실내공기 배출 스위치(101)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제1 기준농도(예를 들어, 2,000ppm)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내/외기 선택부(107)는 공기 순환 모드를 내기 또는 외기로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조작한다. 플랩(flap) 작동부(108)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정/역방향 선택부(109)는 공기 흐름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역할을 하며, 증발기부(111)는 증발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블로우 팬 작동부(110)는 외기를 흡입하거나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윈도우(106)는 통상의 차량에서 도어에 설치된 창문을 의미하고, 윈도우 작동부(105)는 상기 제어부(105)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윈도우(106)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는 블로우 팬을 이용한 강제순환방식과 윈도우를 이용한 자연순환방식을 이용하여 환기를 한다.
먼저, 강제순환방식은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101)가 온(on) 상태이면, 제어부(104)는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차량 실내 공기배출 기능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는 클러스터 등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배출 심벌 램프를 점등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상기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클러스터에 표시해준다. 이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4)는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예를 들어, 2,000ppm)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공기 배출 기능으로 전환한다. 이어, 현재 공기 순환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이면 자동으로 외기로 변경하고, 플랩(flap) 작동부(108)를 제어하여 플랩을 개방한다.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로 선택되어있으면 플랩 작동부(108)를 제어하여 플랩을 개방한다.
다음으로, 상기 플랩 개방 후 블로우 팬 작동부(110)를 제어하여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실내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농도(예를 들어, 1,500ppm) 미만이면 상기 작동시킨 블로우 팬을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자연순환방식은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101)가 온(on) 상태이면, 제어부(104)는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 배출기능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는 클러스터 등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배출 심벌 램프를 점등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상기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클러스터에 표시해준다. 이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4)는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예를 들어, 2,000ppm)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기준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공기 배출 기능으로 전환한다.
이어, 윈도우 작동부(105)를 제어하여 윈도우(106)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자연순환방식으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윈도우(106) 개방량은 10%로 설정한다. 윈도우 제어 시 미리 윈도의 개방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윈도우의 개방상태를 확인하여, 윈도우가 열린 상태의 도어 윈도우는 제어하지 않고, 윈도우가 닫혀있는 도어의 윈도우만 10% 정도 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환기 방식에 의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환기를 하여, 항상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 농도 이하로 낮춤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하고, 졸음운전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로서,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S101 ~ S104);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2,000ppm)를 비교하는 단계(S105);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공기 순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S106); (d)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이면 자동으로 외기로 변경하고 플랩을 개방하는 단계(S107 ~ S108); (e) 상기 플랩 개방 후 또는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로 설정된 경우,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109); (f) 상기 (e)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농도(1,500ppm) 미만이면 상기 작동시킨 블로우 팬을 오프시키는 단계(S110 ~ S1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1 실시 예는, 단계 S101에서 차량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단계 S102에서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101)가 온(on) 상태이면, 제어부(104)는 단계 S103에서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배출 기능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는 클러스터 등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배출 심벌 램프를 점등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단계 S104에서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상기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클러스터에 표시해준다. 이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4)는 단계 S105에서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예를 들어, 2,000ppm)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공기 배출 기능으로 전환한다. 이어, 단계 S106에서 현재 공기 순환 모드를 확인하여,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이면 단계 S107로 이동하여 자동으로 외기로 변경하고, 단계 S108에서 플랩(flap) 작동부(108)를 제어하여 플랩을 개방한다.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로 선택되어있으면 단계 S109로 이동하여 플랩 작동부(108)를 제어하여 플랩을 개방하고, 블로우 팬 작동부(110)를 제어하여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실내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하는 상태에서, 단계 S110에서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농도(예를 들어, 1,500ppm) 미만이면 단계 S111로 이동하여 상기 작동시킨 블로우 팬을 오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흐름도로서,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S201 ~ S204);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2,000ppm)를 비교하는 단계(S205);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도어 윈도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S206); (d) 상기 도어 윈도우가 폐쇄된 상태이면, 도어 윈도우를 자동으로 소정량 개방하는 단계(S207); (e) 상기 (d)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농도(1,500ppm) 미만이면 상기 개방시킨 도어 윈도우를 원래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단계(S208 ~ S20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의 제2 실시 예는, 단계 S201에서 차량의 시동이 온(on) 상태이고, 단계 S202에서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101)가 온(on) 상태이면, 제어부(104)는 단계 S203에서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차량의 실내공기 배출기능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이는 클러스터 등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공기 배출 심벌 램프를 점등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이어, 단계 S204에서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상기 이산화탄소량 출력부(103)를 통해 클러스터에 표시해준다. 이로써 운전자는 용이하게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량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4)는 단계 S205에서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예를 들어, 2,000ppm)를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공기 배출 기능으로 전환한다.
이어, 단계 S207로 이동하여 윈도우 작동부(105)를 제어하여 윈도우(106)를 자동으로 개방시켜, 자연순환방식으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킨다. 여기서 윈도우(106) 개방량은 10%로 설정한다. 윈도우 제어 시 미리 윈도의 개방 상태를 확인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각각의 윈도우의 개방상태를 확인하여, 윈도우가 열린 상태의 도어 윈도우는 제어하지 않고, 윈도우가 닫혀있는 도어의 윈도우만 10% 정도 열게 되는 것이다.
이후, 실내 공기를 자연적으로 환기시키는 상태에서, 단계 S208에서 지속적으로 이산화탄소 측정부(102)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이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기준농도(예를 들어, 1,500ppm) 미만이면 단계 S209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시킨 윈도우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킨다. 즉, 폐쇄된 상태이면 열린 윈도우를 자동으로 닫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환기 방식에 의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환기를 하여, 항상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기준 농도 이하로 낮춤으로써, 운전자의 운전 집중력 저하를 방지하고, 졸음운전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공기를 강제순환 또는 자연순환 방식으로 환기시키는 기술에 적용된다.
101: 실내공기 배출 스위치 102: 이산화탄소 측정부
103: 이산화탄소량 출력부 104: 제어부
105: 윈도우 작동부 106: 윈도우
107: 내/외기 선택부 108: 플랩 작동부
109: 정/역방향 선택부 110: 블로우 팬 작동부
111: 증발기부

Claims (5)

  1.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플랩을 작동시키는 플랩 작동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블로우 팬을 동작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블로우 팬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2.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는 이산화탄소 측정부;
    상기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상기 이산화탄소 측정부를 통해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검출하고,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 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차량 윈도를 개방시켜 차량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 윈도우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3.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1 기준농도 이상이면, 공기 순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내기이면 자동으로 외기로 변경하고 플랩을 개방하는 단계;
    (e) 상기 플랩 개방 후 또는 상기 공기 순환 모드가 외기로 설정된 경우, 블로우 팬을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농도 미만이면 상기 작동시킨 블로우 팬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
  4.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자동으로 환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실내 공기 배출을 선택하기 위한 실내 공기배출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차량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를 검출하는 단계;
    (b) 상기 검출한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실내 co2)와 공기 배출을 위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농도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상기 제2 기준농도 이상이면, 도어 윈도우의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d) 상기 도어 윈도우가 폐쇄된 상태이면, 도어 윈도우를 자동으로 소정량 개방하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 후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미리 설정된 제2 기준농도 미만이면 상기 개방시킨 도어 윈도우를 원래의 상태를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서, 상기 제1 기준농도는 2,000ppm이고, 상기 제2 기준농도는 1,500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방법.

KR1020150189106A 2015-12-30 2015-12-30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79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106A KR2017007901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106A KR2017007901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014A true KR20170079014A (ko) 2017-07-10

Family

ID=5935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106A KR20170079014A (ko) 2015-12-30 2015-12-30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90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548A (zh) * 2018-12-26 2019-04-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汽车乘员舱内co2浓度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91548A (zh) * 2018-12-26 2019-04-0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汽车乘员舱内co2浓度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463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90017419A (ko) 차량용 공조장치 제어 방법
KR101491243B1 (ko) 자동차의 지능형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464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079014A (ko) 차량의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른 환기장치 및 그 방법
JP4377187B2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20170023434A (ko) 차량의 환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6000442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10002713A (ko) 차량용 자동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4556707B2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58846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80080759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디프로스트 모드 제어방법
KR20110089574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28598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1385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5546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0615118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041356A (ja) 車両用換気システム
JP43408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309191B1 (ko) 차량의 실내 환기 제어장치
JPH053212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0076667A (ja) 車両用電気機器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53985A (ko) 차량 실내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