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8761A -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 Google Patents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8761A
KR20170078761A KR1020177014561A KR20177014561A KR20170078761A KR 20170078761 A KR20170078761 A KR 20170078761A KR 1020177014561 A KR1020177014561 A KR 1020177014561A KR 20177014561 A KR20177014561 A KR 20177014561A KR 20170078761 A KR20170078761 A KR 20170078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ing
healing element
implant
gingiva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4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825B1 (ko
Inventor
아르만드 스템머
티오 레거
벤자민 칼바트
세드릭 란시에우스
Original Assignee
유로테크니카
아르만드 스템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1460368A external-priority patent/FR3027792B1/fr
Application filed by 유로테크니카, 아르만드 스템머 filed Critical 유로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7007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60)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지주 기저(1) 및 치은(63)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설계된 치유 요소(10)를 포함하는, 치아 수복 방법의 치유 단계 중에 치아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세트에 관한 것으로,
치유 요소는 치은의 치유 중에 치은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치은 내에 일체구성된 횡방향 표면(13) 및 말단 표면(14)을 가지며, 말단 표면(14)과 횡방향 표면(13)의 일 부분은 치은 외측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노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 표면은 수직 정중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지주 기저는 임플란트(60)의 축과 정렬될 수 있는 이의 전체 길이에 대한 종방향 축(L)을 갖는다.

Description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WOUND-HEALING UNIT FOR A DENTAL RESTORATION}
본 발명은 치아 수복을 위한 치유 요소를 포함한 치료 세트 및 이러한 치유 요소 상의 치아 수복 지주 기저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 수복은 일부 또는 모든 치아가 손실된 환자에게 인공 의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골 구조에 도달하고 이를 침투하기 위해 치은의 절개에 의해 수행된 골 구조 내에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의 이식을 기초로 한다. 그 후에, 치유 요소는 일반적으로 임플란트에 고장되고 이는 임플란트가 치유 요소 주위에서 치은의 치유 및 골유합에 의해 골 구조 내로 통합될 때까지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된다. 치아 수복은 의치가 고정되는 임플란트에 대한 수복 지주의 고정에 의해 완료될 수 있다. 지주 및 의치는 이상적이고 자연적인 치아 상태에 가능한 근접한 결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교체될 치아 및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개별화되고 적용된다. 이를 위해, 수복될 공간의 정밀한 부피가 일반적으로 의치의 개별화된 제조를 허용하는 임플레션을 취함으로써 고려된다.
종래 기술에서, 치아 수복의 현존 방법은 일부 및 모든 다음의 기술적 문제점에 직면한다:
-많은 기존 방법에서, 치은에 대한 새로운 개재(intervention)는 정밀한 형상의 의치 및 지주를 제작하기 위하여 전체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정밀하게 허용되는 치은 및 임플란트를 고려하여 수복되는 공간의 물리적 또는 디지털 임프레션을 취하도록 치유 이후 임플란트 고정 기간에 수행되며(이 방법은 물론 외상을 야기함),
-이들 방법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표준 형상 및 때때로 임플레션을 취함으로써 임플란트 위의 일부 또는 모든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할 수 있도록 통합 표시자 및/또는 몇몇의 보조 구성요소의 특정 치유 요소를 이용한다. 이는 외상이 덜한 방법이지만 치유 단계의 최적화가 저하되고 및/또는 복잡해지는 다른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 일부 또는 모두 없는 치아 수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수복 방법 중에 환자의 외상을 최소화하는 치아 수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가능한 적합한 수복을 허용하는 치아 수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모든 임플란트 및 모든 수복에 적합한 가능한 보편적인 치아 수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가능한 단순한 치아 수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지주 기저 및 치은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설계된 치유 요소를 포함하는, 치아 수복 방법의 치유 단계 중에 치아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세트에 관한 것으로,
치유 요소는 치은의 치유 중에 치은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치은 내에 일체구성된 횡방향 표면 및 말단 표면을 가지며, 말단 표면과 횡방향 표면의 일 부분은 치은 외측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노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 표면은 수직 정중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지주 기저는 임플란트의 축과 정렬될 수 있는 이의 전체 길이에 대한 종방향 축을 갖는다.
치유 요소는 치아 임플란트와의 연결이 가능하고, 이는 치유 요소는 치은의 치유 중에 치은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치은 내에 일체구성된 횡방향 표면 및 말단 표면을 가지며, 말단 표면과 횡방향 표면의 일 부분은 치은 외측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노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 표면은 수직 정중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구강의 외측 및 내측에 배향되어 배치하기 위한 노출 표면의 부분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출 표면의 평행한 평면 상으로 돌출부 또는 횡방향 표면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마름모꼴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난형 형상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형상 및/또는
내측을 향하여 배향되어 배치하기 위한 부분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 구강의 외측을 향하여 배향된 배치를 위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치유 요소의 말단 표면 및/또는 노출 표면은:
비평면형, 만곡된 표면 및/또는
볼록한 표면 및/또는
거친 부분이 없는 표면 및/또는
관통 개구가 없는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치유 요소는 지주 기저와 협력하도록 말단 표면에 마주보는 표면 내에 개구를 포함하는 캡일 수 있다.
치유 요소는 지주 기저 주위에서 회전이 없도록 지주 기저에 고정하기 위한 회전-방지 요소, 구체적으로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치유 요소의 말단 표면 또는 이의 노출 표면은 치유 요소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치유 요소는 이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치유 요소는 임플란트에 연결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 치유 지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캡 및 지주 기저의 제거가능 조합에 의해 형성된 세트에 관한 것으로, 캡은 전술된 바와 같은 치유 요소이다.
지주 기저는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을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캡의 말단 표면 또는 노출 표면은 연결 장치의 평면형 표면에 평행한 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일련의 치유 요소에 관한 것으로, 치유 요소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 전술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치유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이한 형상의 3개 이상의 치유 요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단부에서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의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치아 수복 지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전술된 바와 같은 치유 요소를 포함하는, 구강 공간의 수동 또는 디지털 임프레션을 취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 외측의 노출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식별된 치유 요소의 축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축,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의 외측의 노출된 표면의 배향을 기초한 임플란트의 배향, 및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 외측의 노출된 표면의 표시자 또는 색상을 기초로 치유 요소의 높이 결정에 의한 임플란트의 높이의 식별에 의해 임플란트의 배치의 자동 감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더욱 구체적으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제시된 특정 실시 형태의 하기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에서 사용된 지주 기저의 각각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에서 지주 기저 상의 캡의 연계의 중간 단계의 각각의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에서 지주 기저에 대한 캡의 고정 이후에 수득된 세트의 각각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지주 기저를 나타내기 위하여 캡이 투명하게 보이는 동일한 사시도.
도 9는 상면도에서 하부 및 상부 치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치은 섹션 내의 치아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 관찰된 대응 캡 및 치은 높이에서 치아 상태의 수평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d 및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일련의 캡의 각각의 상면도 및 저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일련의 캡의 각각의 측면도.
도 15a 내지 도 15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일련의 캡의 상면도.
도 16a 내지 도 16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일련의 캡의 저면도.
도 17a 내지 도 17d 및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에서 지주 기저와 일련의 캡의 연계의 중간 단계의 상면도 및 저면도.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지주 기저와 조립된 일련의 캡의 각각의 측면도.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는 수직 정중면을 통한 단면도.
도 23은 임플란트 내에 고정된 지주 기저 상에 배열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캡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 내에 고정된 지주 기저 상에 배열되고 치은에 의해 둘러싸인 캡을 포함하는 치료 세트의 단면도.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치료 세트가 고정된 치은의 두 가지의 도식적 도면.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수복 방법(restoration method)은 전술한 바와 같이 2 가지 단계를 포함하는데, 즉 제1 소위 치유 단계(cicatrisation phase) 중에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들)가 골유합(osteointegration)에 의해 환자의 골 구조 내에 통합되고 이 중에 지주 기저(post base)와 연계된 특정 치유 캡이 사용되며, 그 뒤에 제2 수복 단계 중에 의치(denture)가 수복 지주(restoration post)에 의해 하나 이상의 임플란트 상의 제 위치에 배열된다.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1 치유 단계에서 치아 수복(dental restoration)은 지주 기저(1)로 불리며, 종종 간단히 지주 또는 T-기저 또는 에스테티베이스(esthetibase)로 불리는 중간 구성요소를 이용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지주 기저(1)는 칼라(2)에 의해 분리된 2개의 주요 부분을 포함한다. 제1 부분은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3)를 포함한다. 제2 크라운 부분은 치유 캡(10)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캡에 대한 연결 장치(4)가 제공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이 연결 장치(4)는 지주 기저(1)의 종방향 축(L) 주위에서 캡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 방지 요소(6) 및 클리핑 요소(5)를 포함하고, 이 종방향 축(L)은 임플란트의 축과 정렬되도록 설계된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회전 방치 요소(6)는 탭(tab)이다. 이 회전 방지 요소(6)는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3)의 특정 표면과 정렬된다. 게다가, 실시 형태에 따라서, 클리핑 요소(5)가 칼라(2)의 주변에서 지주 기저(1)의 주변에 배열된 복수의 요홈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리핑 요소(5)는 치유 캡(10)의 클리핑에 의해 고정 시에 들을 수 있는 클릭음(audible click)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된 지주 기저(1)가 최종적이지 않고, 이는 단지 제1 치유 단계에서 기능을 하며(participate), 바람직하게는 수복의 완료 동안에 제거되고 최종 수복물 지주(또 다른 기저의 형태일 수 있음)에 의해 교체되는 것으로 주목해야 한다. 변형예로서, 동일한 지주 기저(1)가 선택적으로 최종 수복물 내에서 제거, 세척 및 재사용될 수 있고, 그 뒤에 수복물 지주의 제2 기능을 수행한다.
게다가, 지주 기저(1)는 바람직하게는 보편적이며, 이는 회전축을 형성하는 종방향 축(L) 주위에서 대칭 또는 더욱 정밀하게 반-대칭 형상(역-회전 요소는 예를 들어 대칭에 대한 예외임)을 갖는다. 따라서, 이 축(L)은 특히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3)의 중심 대칭 축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동일한 축(L)이 또한 캡에 대한 연결 장치(4)의 대칭 축을 형성한다. 따라서, 지주 기저(1)는 단일의 종방향 축(L)에 의해 형성된 단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지주 기저는 임플란트(60)의 축과 정렬되도록 이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되는 종방향 축(L)을 갖는다. 특히, 지주 기저(1)의 2개의 연결 장치(3, 4)는 이 동일한 종방향 축(L) 주위에서 상이한 레벨로 배열된다.
치아 수복 방법 중에 임플란트(60)의 고정 후에, 지주 기저(1)는 이의 연결 장치(3) 및 나사(61)에 의해 임플란트(60)에 고정되고 그 뒤에 캡(10)이 지주 기저의 제2 크라운 부분에 고정된다. 이 조립은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다. 도 3 및 도 7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캡(10)은 지주 기저의 제2 크라운 부분의 삽입을 위해 설계된 중공 내부 부피 및 연결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개구(11)를 갖는다. 이 개구(11)의 윤곽은 지주 기저에 캡(10)의 클립고정 이후에 도 5 내지 도 8 및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된 조립된 세트를 형성하기 위하여 지주 기저의 칼라(2)의 대응 평면형 표면에 대해 지지되도록 설계된 표면(12)을 갖는다.
각각의 현존 임플란트에 대해 연결 장치(3)를 갖는 지주 기저를 제공하기 위하여 현존 임플란트에 대한 다양한 연결 장치만큼 다양한 지주 기저가 있다. 이 해결방법의 이점은 지주 기저에 대응하는 임플란트를 고려하지 않고 변경되지 않은 칼라(2)에서 시작하여 지주 기저의 전체 제2 크라운 부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또한 이의 고려된 사용에 따라 다양한 지주 기저에 대해 다양한 제2 크라운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지주 기저의 제2 크라운 부분은 임플란트와 독립적이고 임플란트의 고정 장치와 상관되지 않는다.
캡(10)의 기능은 임플란트의 고정 이후에,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에 연결된 지주 기저에 대한 제거가능한 고정에 의해 절개된 치은 내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최종 형상이 도 24에 도시된다. 이 형상에서, 임플란트(60)는 골 부분(62)에 연결되고 지주 기저(1)는 임플란트(6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칼라(2)가 골 부분(62)과 치은(63) 사이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열된다. 캡(10)은 칼라(2)까지 지주 기저(1)를 덮고, 이에 따라 치은(63)이 거의 전적으로 캡(10)과 접촉한다. 따라서, 지주 기저 상의 캡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세트는 수복 방법에서 일시적으로 포함된 치료 세트이며 이에 따라 후술된 바와 같이 최종적 의치의 치유 및 비외상성 제작이 허용된다.
따라서, 치은(63)은 캡(10)의 횡방향 표면(13) 주위에서 치료된다. 이를 위해, 이 횡방향 표면(13)은 환자의 구강 주변에 대응하도록 선택된다. 캡의 개구(11)에 마주보는 말단 표면(14)은 치은(63)의 잇몸 표면(64) 위에서 보일 수 있도록 설계되며 이는 치은이 캡의 횡방향 표면(13)과 전체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이다. 말단 표면(14)과 횡방향 표면(13)의 상부 부분은 캡의 노출 표면을 형성한다. 이 노출 표면은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다. 이를 위해, 상이한 높이의 캡이 구강의 기하학적 형상의 상이한 형태에 적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시로서, 이들 상이한 표준 높이에 따라 모든 환경에서의 우수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 높이는 3 내지 7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의 기능을 하는 지주 기저의 사용에 따라, 동일한 캡(10)이 이에 따라 모든 현존 임플란트에 보편적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캡의 형태는 구강 공간을 점유하는 의치 및 교체된 치아에 최상으로 대응하는 해부학적 형태로의 치은의 치유를 돕도록 선택된다. 이 형상은 횡방향 표면(13)의 평면형 단면을 특징으로 하고, 이 단면은 도 23에 도시된 횡방향 표면(13)에 수직이고 실질적으로 말단 표면(14)에 대해 평행한 평면(P)을 통과하는 단면이다. 이 단면은 말단 표면(14)의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잇몸 표면(64)에 평행한 수직 평면 상으로 말단 표면(14)의 돌출에 의해 실질적으로 도시된다.
채택된 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도 9는 상부 및 하부 치아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도 10은 치아 발생부의 기저의 높이에서 도 24에 도시된 치아 상태의 잇몸 영역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직사각형 및/또는 정사각형 및/또는 삼각형 형상으로 단순화될 수 있지만 더욱 정밀하게는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선택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이한 형상의 일련의 캡(10)이 이들 상이한 형상의 도시를 가능하게 한다. 도 11은 이에 따라 각각의 치아와 연계된 캡(10)의 상면도 및 모든 치아의 단면의 상면도를 도시한다. 일련의 치아의 형상은 도면에서 11 내지 18, 21 내지 28, 31 내지 38 및 41 내지 48로 넘버링되며, 이들 숫자는 본 발명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다른 도면에서 사용된 도면부호와 혼동되어서는 안되며, 이는 A 내지 D로 참조된 4개의 상이한 캡(10)의 사용에 의해 근사화된다. 특정 치아 또는 심지어 모든 치아의 경우에, 복수의 캡, 특히 캡(A 내지 D)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도 11에 도시되고 선택된 실시 형태에서, 캡(A)은 상부 측면 앞니 및 모든 하부 앞니의 수복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캡(B)은 송곳니와 앞어금니의 수복을 위해 구성되고 캡(C)은 중간 어금니의 수복을 위해 구성되고 캡(D)은 가장 큰 어금니의 수복을 위해 구성된다. 이들 캡은 추가로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캡(A)은 특히 도 12a 내디 도 16a에 도시되며, 캡(B)은 도 12b 내지 도 16b에 도시되고, 캡(C)은 도 12c 내지 도 16c에 도시되고 캡(D)은 도 12d 내지 도 16d에 도시된다. 도면을 불명확해지게 하지 않기 위하여, 도면부호다 이들 모면의 모든 캡에 대해 도시되지 않지만 이들 모든 캡은 기재될 동일한 특성을 갖는다.
도 12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잇몸 형성부 위에 배치하도록 설계된 이들 캡(10)(A 내지 D)의 말단 표면(14)은 도 9의 단면 평면에 대응하는 수평 평면(이 평면 위에 포함된 1 내지 2 mm, 잇몸 평면(PJ)에 평행함)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설계되고 실질적으로 평면형이다. 그러나, 이는 다소 볼록하고 중심 부분(145)을 가지며 더욱 구체적으로 주변 부분(146)보다 치은 위로 더 상승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된다.
치유 이후 치은에 대해 최종 형상을 제공하는, 전술된 바와 같은 횡방향 표면(13)에 대해 수직인 평면(P)을 통한 캡의 가로방향 섹션은 이의 연장부인 캡의 말단 표면(14)에 의해 실질적으로 도시된다. 모든 캡의 섹션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섹션은 구강의 외부 측면(천정) 상에 있는 큰 측면(141), 2개의 측면(143, 144)에 의해 결합된 구강의 내측(혀 측)에 배열되는 마주보는 및 평행한 작은 측면(142)을 포함한다. 사다리꼴의 대각선의 교차부는 중심(15)을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캡(10)의 마주보는 표면의 실질적으로 원형 개구(11)의 중심(17)을 고려할 때, 2개의 중심 지점(15, 17)을 통과하는 캡의 중심 축(18)을 형성할 수 있다. 캡(10)의 이 축(18)은 말단 표면(14)에 수직이다. 지주 기저 및 연계된 캡의 전체 구조는 캡의 축(18)이 지주 기저의 종방향 축(L) 및 임플란트의 축에 대응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4가지 타입의 캡(10)(A, B, C, D)은 이의 횡방향 표면(13)의 단면의 사다리꼴 형상이 상이하다. 가장 작은 캡(A)의 사다리꼴은 삼각형에 유사하며, 이는 이의 작은 측면(142)이 매우 작기 때문이다. 캡(B)의 사다리꼴은 측면(143, 144)에 대응하고 큰 측면이 구강의 내측으로 외측으로부터 이어지는 직사각형과 유사하다. 역으로, 캡(C, D)의 사다리꼴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에 근접하며(이의 큰 측면은 상반된 방향으로 형성됨), 유사하지만 상이한 길이를 갖는 측면(141, 142)에 대응한다. 실시 형태로서, 도 16a 내지 도 16d는 밀리미터로 이들 캡의 치수를 도시한다.
물론, 채택된 이 실질적인 사다리꼴 형상은 치은에 대해 외상이 없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둥근 모서리 및 만곡된 측면을 갖는다. 게다가, 각각의 캡의 말단 표면(14)은 릴리프가 없고 및/또는 중공 부분이 없고 및/또는 요홈이 없고 및/또는 리지가 없고 및/또는 거친 부분(roughness)이 없는 연속적인 표면을 나타낸다. 이 표면은 볼록하다. 특히, 이는 중공 형상을 갖지 않고 물론 관통 개구가 없고, 고정 나사에 의해 캡에 부착되도록 선택된다. 거친 부분을 갖는 이 기하학적 형상은 예를 들어, 치태의 증착 및 음식의 끼임을 방지하도록 구강 위생에 선호된다.
변형예로서, 일련의 캡이 다양한 개수의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 예를 들어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단순화된 변형예에서, 단일 형상의 캡이 모든 치아에 적합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따라서, 횡방향 표면(13)의 영역에서 캡의 가로방향 섹션은 임의의 다각형, 예컨대 3개, 5개 또는 6개의 측면을 갖는 다각형과 유사할 수 있다. 변형예로서, 이들 다각형의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어서 전체 형상이 기다란 형상 또는 난형 단면, 또는 임의의 다른 다각형의 신장된 형상과 유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중심을 포함하거나 또는 중심(15)을 형성하기 위한 소정의 가하학적 지점 또는 캡의 축(18)을 포함하고, 이 중심은 지주 기저의 종방향 축(L)의 정렬에 선호되지만 필수적이지는 않다.
실시 형태에 따라서, 구강의 내측 상의 캡의 가시 노출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치은의 곡률을 고려하여 외측에서의 기하학적 형상과 상이하다. 캡의 노출 표면의 이 형상은 도 15a 내지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정밀하게 수복되는 하나의 치아(50)를 고려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은의 접선(T)을 포함한 중간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이 중간 평면 또는 접선(T)은 캡의 중간(15) 아래를 이동하고 잇몸 평면(PJ)에 수직인 치은에 대한 접선(T)에 평행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원통형 캡과 연계된 캡의 단면에 대한 원형 형상은 접합하지 않다. 더욱 일반적으로, 축 또는 지점 주위에서 대칭인 임의의 평면 곡선은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캡의 전술된 단명에 대해 적합하지 않고, 이는 구강의 해부학적 구조에 적합하지 않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 주위에서 이의 원형 배향이 더 이상 식별되지 않기 때문이다. 동일한 이유로, 캡의 노출 및 가시 표면은 축(18)에 평행하고 및/또는 이 축(18)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심지어 복수의 평면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이는 수직 정중면으로 부르는 중심(15)을 통과하는 노출 표면에 대해 수직인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평면에 대해 대칭이 아니다. 도시된 예시에서, 2개의 측면(141, 142)의 중간 아래를 통과하는 전술된 접선(T)에 대해 수직인 평면만이 대칭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기재는 캡의 노출 표면 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단면 평면(P)을 통한 가로방향 섹션, 또는 이러한 평면(P) 상으로의 노출 표면의 돌출부에 적용된다. 수직 정중면은 이에 따라 캡의 특정 기하학적 형상의 중심을 통과하고 평면(P)에 수직인 임의의 평면이다.
대안적으로, 수직 정중면은 캡의 축(18)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캡의 이 노출 표면은 후술된 제2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의 배향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된 캡을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식별가능 3-차원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캡의 말단 표면(14)은 이의 주변(146)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장되고, 이 주위에서 횡방향 표면(13)에 의해 치은이 치유되고 이에 따라 추후의 의치에 대해 치은이 적절히 형상화된다. 이 횡방향 표면(13)은 캡의 말단 표면(14)의 상이한 측면(141, 142, 143, 144)에 대해 각각 연장되고, 지주 기저의 종방향 축(L)에 대해 평행하고 및/또는 캡의 축(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반향으로 연장되며, 다소 만곡되고,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복수의 표면(131, 132, 133, 134)을 갖는다. 횡방향 표면(13)의 이들 상이한 부분과 말단 표면(14) 사이의 계면은 거친 부분, 특히 볼록한 부분이 없는 둥근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캡의 횡방향 표면(13)은 전술된 원형 개구(11)까지 실질적으로 절두 원추형 표면(19)에 의해 말단을 이룬다. 이 개구(11)는 지주 기저의 제2 크라운 부분의 고정을 허용하는 캡(10)의 중공 부분 상으로 형성된다. 이 중공 부분은 지주 기저에 추가로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실시 형태에서, 이는 지주 기저의 요홈(5) 상으로 클립고정되도록 제공된 벌지(bulge)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종방향 요홈(16)이 탭과 협력하도록 캡의 중공 부분 내에 배열되고, 이에 따라 회전이 고정되고 완벽히 인덱싱되는 연결이 형성되고 캡의 배향은 고유하고 완벽히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8 및 도 17a 내지 도 17d, 도 18a 내지 도 18d, 및 도 19a 내지 도 19d는 지주 기저(1)와 캡(10)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세트를 도시한다.
캡은 의료용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연분홍색, 백색, 및 크림색일 수 있다. 변형예로서, 캡은 티타늄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지르코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치유 캡의 사용에 따라 구강 해부학적 구조와 조합하여 허용된 기하학적 형상을 고려하여 언급된 치아 수복 방법에서 치은의 이상적 치유가 허용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기저와 별개의 제거가능 캡을 이용한 해결방법이 기재된다. 따라서, 캡은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고 하기에서는 더욱 일반적으로 치유 요소(10)로 불린다. 변형예로서 이 치유 요소는 전체적으로 잇몸 아래에 있을 수 있고 보이지 않고, 그 뒤에 후술된 검사 방법(reconnaissance process)의 나머지를 수행하기 위하여 치은 상에서의 수술에 의해 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캡의 단부 부분은 항시 적절하지 못하게 노출 부분으로 불린다. 이에 따라 캡은 더욱 일반적으로 "치유 요소"로 불릴 것이다.
전술한 이점 외에서, 치유 요소는 치은의 외상화를 최소화하면서 최종적인 의치 및 지주의 제작 방법을 포함하는, 선호되는 수복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사실상, 구강으로부터 치유 요소를 제거하지 않고 이에 따라 치은을 손상시키지 않고 수복되는 구역의 디지털 또는 물리적 임프레션을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제1 치유 기능 이외에, 캡은 제거에 앞서 의치 및/또는 수복 지주의 형상의 선호되는 형성을 허용함으로써 수복 방법 중에 제2 기능을 수행한다. 이 기능은 제1 치유 기능에 보충적이며, 이는 선호적으로 선택된 해부학적 형태로의 치은의 치유 이후에 치은에 외상을 입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치아 수복 방법의 치유 단계의 종료 시에, 의사는 치유 요소(캡)의 제거 없이 환자의 구강의 디지털 임프레션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 스캐너와 같은 임의의 설비에 의해 수득된 디지털화 데이터는 치아 수복 소프트웨어를 갖는 컴퓨터에 자동으로 전송된다. 이 소프트웨어에는 작업자가 사용했던 캡 모델, 또는 일반적으로 치유 요소의 기준과 선택적으로 사용된 임플란트 및/또는 지주 기저의 기준을 나타낼 수 있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가 함께 제공된다.
디지털화 데이터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캡의 중심(15)의 식별 및 이 중심(15)을 통과하는 말단 표면(14)에 수직인 방향에 기초하여, 기하학적 구성에 의해, 치유 요소의 축을 자동을 결정한다. 이 구성에 따라 임플란트의 축을 직접 시각화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임플란트의 축을 결정할 수 있다. 실제로, 치유 요소는 유리하게는 임플란트와 정렬되고, 그 축은 임플란트의 축과 통합된다.
다음으로, 치유 요소의 기하학적 형상이 구강 환경, 특히 외측을 향하는 기하학적 형상과 상이한 구강의 내측(설측)을 향하는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지주 기저의 종방향 축(L) 주위에서 또는 축(18) 주위에서의 고유 배치에 대응하기 때문에, 이의 배향으로부터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의 축의 배향, 예를 들어, 임플란트에 대한 지주 기저의 연결 장치(3)의 배향을 추론할 수 있고, 이는 직접 시각화할 필요 없이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의 배치를 자동으로 추론할 수 있다. 예시로서, 구성 동안, 캡의 가시 표면(14)의 사다리꼴 형상의 평행한 측면 중 하나가 임플란트의 고정 장치의 육각형의 측면에 평행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상이한 높이의 치유 요소가 있는 경우, 보이지 않는 임플란트를 완벽하게 배치하기 위해 이 높이를 결정한다. 제1 방법은 상이한 높이의 상이한 색상의 치유 요소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방법은 이 높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치유 요소의 가시 표면(14) 상에서 임의의 표시자의 배열로 구성되며, 이 표시자는 숫자 및/또는 문자 및/또는 임의의 기호 및/또는 색상 및/또는 레이저 마킹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 코드 및/또는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및/또는 임의의 식별 코드로 구성된다. 제3 방법은 높이에 따라 상이한 가시 표면(14)을 갖는 치유 요소를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로서, 캡(A, B, C, D)은 더 높은 높이에 대해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면서 약간 더 큰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는 자동으로 차별화되고 이들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변형예 또는 보충예에서, 작업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 의해, 소프트웨어가 치유 요소의 높이, 중심 및/또는 축과 같은 치유 요소의 특성을 라이브러리로부터 검색할 수 있게 하는 치유 요소의 기준을 입력하고, 상기 라이브러리는 참고될 수 있는 전자 메모리 내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존재한다. 도 20은 수복 소프트웨어와 연관된 라이브러리에 메모리화된 가상 캡(10 ')을 예시를 도시한다. 공간(51 ') 내의 기준은 캡과 연계되어, 공간에서의 이의 배치를 허용한다. 변형예로서, 소프트웨어는 이의 기준을 수동으로 입력하지 않고도 기하학적 특성으로부터 치유 요소를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습니다. 작업자는 전술된 디지털화 단계에 의해 획득되고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의 스크린 상의 작업자에게 제시된 이미지 상에 노출 표면의 하나 이상의 지점을 입력함으로써 실제 캡의 기준(51)의 적절한 배치, 즉 실제 배치의 인식에서 소프트웨어를 보조할 수 있다.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그리고 아마도 조작자가 수동으로 지시한 치유 요소의 표면의 하나 이상의 지점을 이용하여, 그 뒤에 소프트웨어는 그 라이브러리로부터 얻은 가상 치유 요소를 디지털화된 구강 환경과 연관시킬 수고, 이에 따라 더 완벽한 디지털 모사를 얻기 위해 실제 치유 요소가 대체된다.
실제 치유 요소의 형상은 특히 이전에 언급된 것처럼 비대칭 형상으로 인해 배향을 결정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캡(10)의 실제 기준(51)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된다.
구강 임프레션 및 치유 요소를 시각화할 수 있게 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작업자가 개입하여 자동 또는 선택적으로 디지털 임프레션에 가상 치유 요소를 완벽하게 배치할 수 있다. 가상 치유 요소의 이 완벽한 배치는 임플란트(60)의 위치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기저 또는 캡(10)이 없는 상태에서 치유된 치은의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한, 당해 정밀한 치유 요소와 연계된 데이터베이트 내에 저장된 알려진 기준을 기초로 모든 주변 기하학적 형상을 추론할 수 있다.
수복 소프트웨어가 숨겨진 임플란트의 배치를 정확히 재조정할 때, 이 정보로부터 제작될 수복 지주의 최종 기하학적 형상 및 그 뒤에 공지된 방식으로 이 지주에 고정될 의치의 기하학적 형상을 추론하고, 수복 지주는 임플란트에 부착되어야 하고 치유 요소에 의해 형성된 전체 잇몸 부피를 차지한다.
이 수복 방법은 전적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실상 또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터(plaster)에 모델을 구성하는 단계가 포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실리콘으로 제조된 물리적 임프레션을 취할 수 있으며, 플라스터는 임프레션으로 캐스팅되어 마스터 모델이 형성될 수 있고 즉, 복원될 치아 궁의 복제물이 디지털 이미지를 재구성하기 위하여 제조소(laboratory)에서 스캐닝된다.
상기 기재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복 방법의 최종 단계는 수복 장치를 수반하며, 수복 장치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전자 메모리에 접속된 중앙 처리 장치 및 제어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전술한 수복 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 단계가 구현된다.
이 중앙 장치는 통신 장치에 의해 구강 스캐너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환자의 치아 상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를 얻기 위한 모듈에 연결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자와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스크린 및/또는 키보드를 포함하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 연결된다. 그 뒤 중앙 유닛은 서피스 수단(surface means)을 통해 필요한 모든 처리, 계산 및 다른 작업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이는 수복 지주 및/또는 의치의 제조를 위해 장치에 제조 명령을 발생시키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제2 통신 장치에 의해 제작 장치 예컨대 기계 공구에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3)

  1. 임플란트(60)에 고정되도록 설계된 지주 기저(1) 및 치은(63)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도록 설계된 치유 요소(10)를 포함하는, 치아 수복 방법의 치유 단계 중에 치아 임플란트에 연결될 수 있는 치료 세트로서,
    치유 요소는 치은의 치유 중에 치은을 형상화하기 위하여 치은 내에 일체구성된 횡방향 표면(13) 및 말단 표면(14)을 가지며, 말단 표면(14)과 횡방향 표면(13)의 일 부분은 치은 외측에 배열되도록 구성된 노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 표면은 수직 정중면에 대해 비대칭이며,
    지주 기저는 임플란트(60)의 축과 정렬될 수 있는 이의 전체 길이에 대한 종방향 축(L)을 갖는 치료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의 노출 표면은 치유 요소(10)의 중심 축(18)을 갖거나 또는 노출 표면의 중심을 통과하고 노출 표면에 수직인 정중면에 대해 비대칭인 치료 세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주 기저(1)는 종방향 축(L) 주위에서 대칭 또는 반-대칭인 치료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 및 지주 기저(1)는 2개의 개별 요소를 형성하고 제거가능 방식으로 조립되며, 지주 기저(1)는 치유 요소(10)에 대한 연결 장치(4) 및 임플란트에 대한 연결 장치(3)를 포함하고, 이들 2개의 연결 장치는 지주 기저(1)의 종방향 축(L)과 일치되고 이와 정렬된 축 주위에 배열되고, 치유 요소(10)는 지주 기저(1)의 종방향 축(L)과 정렬된 중심 축(18) 주위에 배열되는 치료 세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의 노출 표면 또는 말단 표면(14)은 이의 배향으로부터 연결 장치(3)의 배향을 추론하기 위하여 지주 기저(1)의 연결 장치(3)의 평면형 표면에 평행한 일 측면을 포함하는 치료 세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는 지주 기저(1)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고 고유 배향으로 치유 요소(10)의 고정을 보장하고 회전-방지 요소(6), 특히 지주 기저(1)의 탭과 협력하는 회전-방지 요소(6), 특히 요홈(16)을 포함하는 치료 세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는 지주 기저(1) 상이 클립고정되는 치료 세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의 외측 및 내측에 대해 배향되어 배치하기 위한 치유 요소(10)의 노출 표면의 부분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치료 세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의 노출 표면의 평행한 평면 상의 돌출부 또는 치유 요소의 횡방향 표면(13)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마름모꼴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또는 삼각형, 또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난형 형상 또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실질적으로 다각형 형상 및/또는
    내측을 향하여 배향되어 배치하기 위한 부분보다 더 큰 치수를 갖는 구강의 외측을 향하여 배향된 배치를 위한 부분을 포함하는 치료 세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의 말단 표면(14) 및/또는 노출 표면은
    비평면형, 만곡된 표면 및/또는
    볼록한 표면 및/또는
    거친 부분이 없는 표면 및/또는
    관통 개구가 없는 표면을 갖는 치료 세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유 요소(10)의 노출 표면 또는 말단 표면(14)은 이의 높이를 나타내는 표시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치유 요소(10)는 이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해 레이저 마킹 및/또는 하나 이상의 바코드 및/또는 데이터매트릭스 코드 또는 이의 높이를 나타내기 위한 색상을 갖는 치료 세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형상을 갖는 2개 이상의 치유 요소(10) 또는 동일한 형상의 지주 기저(1)에 고정될 수 있는 상이한 형상의 3개 이상의 치유 요소(10)를 포함하는 치료 세트.
  13. 제1 단부에서 치아 임플란트에 고정되고 제2 단부에서 의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치아 수복 지주의 제조 방법으로서,
    임플란트에 고정되는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유 요소를 포함하는, 구강 공간의 수동 또는 디지털 임프레션을 취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10)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63) 외측의 노출 표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식별된 치유 요소의 축(18)에 대응하는 임플란트의 축,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10)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의 외측의 노출된 표면의 배향을 기초한 임플란트의 배향, 및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되고 메모리화된 치유 요소(10)와의 연계를 기초로, 특히 사람/기계 인터페이스에서 그래픽 표면으로 노출 표면의 복수의 지점의 배치의 수동 입력에 의해 및/또는 노출 부분의 형상에 의한 자동 인식 또는 사람/기계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기준을 기초로 또는 치은 외측의 노출된 표면의 표시자 또는 색상을 기초로 치유 요소의 높이 결정에 의한 임플란트의 높이의 식별에 의해 임플란트의 배치의 자동 감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77014561A 2014-10-29 2015-10-22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KR102582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60368 2014-10-29
FR1460368A FR3027792B1 (fr) 2014-10-29 2014-10-29 Element de cicatrisation pour une restauration dentaire
FR1460889 2014-11-12
FR1460889 2014-11-12
PCT/EP2015/074476 WO2016066516A1 (fr) 2014-10-29 2015-10-22 Ensemble de cicatrisation pour une restauration denta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761A true KR20170078761A (ko) 2017-07-07
KR102582825B1 KR102582825B1 (ko) 2023-09-25

Family

ID=5433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561A KR102582825B1 (ko) 2014-10-29 2015-10-22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70319299A1 (ko)
EP (2) EP3865085B1 (ko)
KR (1) KR102582825B1 (ko)
CN (2) CN115089329A (ko)
BR (1) BR112017009018A2 (ko)
ES (1) ES2873048T3 (ko)
IL (1) IL252020B (ko)
WO (1) WO2016066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65085B1 (fr) 2014-10-29 2024-05-15 Armand Stemmer Ensemble de cicatrisation, série d'ensenble de cicatrisatio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pilier de restauration dentaire, dispositif de restauration dentaire
FR3063884B1 (fr) * 2017-03-20 2021-12-17 Euroteknika Procede de restauration dentaire
FR3067587B1 (fr) * 2017-07-07 2021-06-25 Euroteknika Ensemble de prise d'empreinte dentaire
FR3067589B1 (fr) * 2017-06-20 2022-04-29 Euroteknika Element de cicatrisation dentaire
WO2018234249A1 (fr) * 2017-06-20 2018-12-27 Euroteknika Elément de cicatrisation dentaire
FR3067586B1 (fr) * 2017-06-20 2021-11-12 Euroteknika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temporaire
FR3074030B1 (fr) * 2017-11-24 2019-10-25 Euroteknika Procede de fabrication d'un ensemble de restauration dentaire
EP3781079B1 (de) * 2018-04-20 2022-12-21 Rapid Shape GmbH Dentalmodell und zahnstumpf für ein dentalmodell
US11737858B2 (en) 2018-11-14 2023-08-29 Terry B. Philibin Healing abutment system for configuring crown abutments at an implant site
KR102099062B1 (ko) * 2019-12-10 2020-04-08 장천석 교합고경의 안정적인 치수 조절이 가능한 임플란트의 어뷰트먼트
CN111938849B (zh) * 2020-08-20 2021-12-21 深圳市亚能美邦医疗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数字化基台切削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TR2022000251A2 (tr) * 2022-01-10 2022-02-21 Si̇s Dental İmplant Teknoloji̇leri̇ Sanayi̇ Veti̇caret Li̇mi̇ted Şi̇rketi̇ Di̇ş eti̇ formu i̇le uyumlu premi̇l abutment ve uygulama yöntemi̇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645A1 (en) * 2008-08-26 2010-03-04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96290A1 (en) * 2011-05-16 2013-08-01 Biomet 3I, Llc Healing Abutment Assembly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WO2014012973A2 (de) * 2012-07-18 2014-01-23 Bruno Spindler Zahnimplantataufbausystem
KR101419519B1 (ko) * 2013-10-10 2014-08-13 (주)교보테크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446072B1 (ko) * 2014-01-08 2014-10-0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7157A (en) * 1983-04-20 1985-10-15 Miter, Inc. Submergible post-typ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SE468500B (sv) * 1990-01-18 1993-02-01 Nobelpharma Ab Laekhaetta foer ett dentalt implantat
US5527182A (en) * 1993-12-23 1996-06-18 Adt Advanced Dental Technologies, Ltd.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5492471A (en) 1994-03-23 1996-02-20 Gary Singer Healing cap system
ES2265155T3 (es) 1996-02-02 2007-02-01 Implant Innovations, Inc. Sistema de perfil de emergencia que tiene en combinacion un soporte de curacion y una corona de impresion.
US5810592A (en) * 1996-05-06 1998-09-22 Daftary; Fereidoun Anatomical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with healing abutment member and matching abutment member
US5759036A (en) * 1996-07-29 1998-06-02 Hinds; Kenneth F. Complete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AU1476101A (en) * 1999-11-10 2001-06-06 Implant Innovations, Inc. Healing components for use in taking impress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US6790040B2 (en) * 1999-11-10 2004-09-14 Implant Innovations, Inc. Healing components for use in taking impression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DE102004035091B4 (de) * 2004-07-20 2017-10-26 Sirona Dental Systems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Lage und Orientierung der Achse eines direkt im Patientenmund befindlichen dentalen Implantats sowie Aufsatzteil hierfür
EP2218423B1 (en) * 2009-02-12 2012-05-02 Straumann Holding AG Determining position and orientation of a dental implant
KR101375154B1 (ko) 2012-07-16 2014-04-2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EP3636208B1 (en) * 2013-04-09 2022-03-02 Biomet 3i, LLC Method of using scan data of a dental implant
EP3865085B1 (fr) 2014-10-29 2024-05-15 Armand Stemmer Ensemble de cicatrisation, série d'ensenble de cicatrisation, procédé de fabrication d'un pilier de restauration dentaire, dispositif de restauration dentai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55645A1 (en) * 2008-08-26 2010-03-04 Zest Anchors, Inc. Dental anchor apparatus and method
US20130196290A1 (en) * 2011-05-16 2013-08-01 Biomet 3I, Llc Healing Abutment Assembly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WO2014012973A2 (de) * 2012-07-18 2014-01-23 Bruno Spindler Zahnimplantataufbausystem
KR101419519B1 (ko) * 2013-10-10 2014-08-13 (주)교보테크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1446072B1 (ko) * 2014-01-08 2014-10-01 라파바이오 주식회사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2020A0 (en) 2017-06-29
CN107106266A (zh) 2017-08-29
ES2873048T3 (es) 2021-11-03
WO2016066516A1 (fr) 2016-05-06
EP3865085B1 (fr) 2024-05-15
IL252020B (en) 2021-08-31
US20170319299A1 (en) 2017-11-09
EP3212118B1 (fr) 2021-04-14
KR102582825B1 (ko) 2023-09-25
US20220338962A1 (en) 2022-10-27
CN115089329A (zh) 2022-09-23
EP3212118A1 (fr) 2017-09-06
BR112017009018A2 (pt) 2018-02-06
EP3865085A1 (fr)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8761A (ko) 치아 수복을 위한 치료 유닛
US11389275B2 (en)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US11925517B2 (en) Dental tool and guidance devices
KR20180071343A (ko) 치아 수복용 치유 요소
US10327869B2 (en) Attachment members with internally located radiopaque information markers for CT scan
KR20150056819A (ko) 최종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는 데에 사용하기 위한 일시적 치과 보철물
JP2012521236A (ja) ジンジバルフォーマーおよびジンジバルフォーマー構造の製造方法
KR102653126B1 (ko) 치아 수복 방법
RU2757636C1 (ru) Способ создания индивидуального профиля прорезывания десны при проведении дентальной имплантации
AU2015201244B2 (en)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