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770A - 패스너 및 고정 기구 - Google Patents

패스너 및 고정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770A
KR20170077770A KR1020160134919A KR20160134919A KR20170077770A KR 20170077770 A KR20170077770 A KR 20170077770A KR 1020160134919 A KR1020160134919 A KR 1020160134919A KR 20160134919 A KR20160134919 A KR 20160134919A KR 20170077770 A KR20170077770 A KR 20170077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hole
cylindrical portion
sleev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추시 다케다
Original Assignee
뉴프리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프리 엘엘씨 filed Critical 뉴프리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7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16B5/025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using resiliently deformable sleeves, grommets or inse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 F16B13/063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 F16B13/066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06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combined with expanding sleeve by the use of an expander fastened by extracting a separate expander-part, actuated by the screw, nail or the like expanded in two or more 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고정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시판되는 공구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패스너.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부착 구멍(53,54)들을 가진 공작물(51,52)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는, 볼트 헤드(11) 및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으로 형성되고 수나사(13)를 가진 샤프트(12)를 가지는 볼트(10)를 포함하고 육각형 횡단면을 가지며 외부 너트 구멍(26)을 가지는 외부 너트(20)를 포함하며, 슬리브 구멍(36)을 가지는 원통형의 구근형상 슬리브(30)를 포함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43)를 가진 내부 너트 구멍(46)을 포함한 원통형 부분(41,42)을 가지고 너트 헤드(44)를 가진 내부 너트(40)를 포함한다.
볼트의 수나사는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된다.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외부 너트 구멍내에서 지지되어 원통형 부분들은 외부 너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지만 회전할 수 없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너트의 너트 헤드의 스텝(45) 및 외부 너트사이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패스너 및 고정 기구{FASTENER AND FASTENING MECHANISM}
본 발명은 패스너(fastener) 및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패스너 및 공작물의 한쪽 측부에 패스너를 부착시키고 또한 부착된 패스너를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고정 기구에 관한 것이다.
슬리브를 가지고 상기 슬리브의 한쪽 단부에서 리벳 헤드(rivet head)를 가지는 중공 금속 리벳 몸체를 포함한 블라인드 리벳(blind rivet) 및 금속 맨드릴(mandrel)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금속 맨드릴의 샤프트는 상기 리벳 몸체의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된다. 블라인드 리벳들은 한쪽 측부에서 다수의 공작물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블라인드 리벳의 리벳 몸체는 한쪽 측부에 형성된 리벳 헤드 및 상기 리벳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중공의 관형 슬리브를 가진다. 상기 블라인드 리벳의 맨드릴은 한쪽 단부에서 상기 슬리브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좁고 긴 샤프트를 가진다. 상기 맨드릴 헤드는 리벳 헤드와 마주보는 측부에서 슬리브의 한쪽 단부에 연속적으로 배열되도록 맨드릴이 조립된다. 상기 샤프트는 리벳 몸체의 관통 구멍내에 삽입되고 맨드릴의 샤프트는 상기 리벳 헤드로부터 연장된다.
조립된 블라인드 리벳은 패널(panel) 등과 같은 공작물의 구멍속으로 삽입되고 맨드릴의 헤드가 우선 이동하고 리벳 헤드는 공작물의 원주부를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렇게 하여, 리벳 헤드는 고정 공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맨드릴의 샤프트가 고정되는 동안 리벳 헤드의 측부를 강하게 끌어당기면 상기 리벳 몸체의 슬리브의 한쪽 단부는 변형되고 직경이 증가되며, 맨드릴은 상기 샤프트의 파괴될 수 있는 좁은 부분에서 파괴되며, 직경이 확대된 상기 슬리브의 확대된 직경 부분 및 리벳 헤드사이에서 상기 공작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
현재 존재하는 블라인드 리벳은, 강한 하중에 의해 맨드릴의 샤프트를 끌어당겨서 파괴될 수 있는 좁은 부분을 파괴시키고 그 결과, 특수 고정 공구가 필요하다. 파괴되는 동안 하중은 미리 정해지지 않기 때문에 공작물은 때때로 변형된다.
상기 이유 때문에, 맨드릴을 파괴하기 위해 고정 공구를 이용하지 않는 패스너들이 이용되었다. 상기 형태의 패스너는, 수나사를 가진 볼트, 및 리벳 헤드 및 볼트의 수나사와 연결되는 암나사를 가진 슬리브를 가진 리벳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서 상기 슬리브의 암나사와 상기 수나사를 연결시키면, 상기 슬리브는 리벳 헤드 측부를 향해 끌어 당겨지고 직경을 확대시키며, 공작물은 상기 리벳 헤드 및 확대된 직경 슬리브사이에서 고정되어 부착된다.
특허 문헌 1은, 고정 부품(리벳 몸체), 볼트 부품(볼트) 및 확대되는 직경 부품을 포함한 블라인드 리벳(패스너)를 공개한다. 상기 고정 부품은 원통형 부분, 상기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 위치한 헤드 및 축 방향으로 형성된 관통 구멍인 볼트용 구멍을 가진다. 상기 볼트 부품은 볼트를 위한 구멍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수나를 가진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한쪽 단부에 위치한 헤드를 가진다. 확대되는 직경 부분은 수나사와 나사 체결될 수 있게 연결된 암나사를 가지고, 한쪽 단부는 축 방향으로 상기 볼트 구멍속을 관통하고, 다른 한쪽 단부는 볼트 구멍의 내경보다 크다.
특허 문헌 1에 공개된 블라인드 리벳을 부착할 때, 볼트의 샤프트가 고정 부품의 헤드의 측부로부터 볼트 구멍속으로 삽입되고, 팽창 직경 부품은 상기 고정 부품의 다른 한쪽 단부로부터 나오는 샤프트와 나사 체결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볼트가 회전하면, 상기 확대 직경 부분은 상기 볼트 구멍속을 관통하고 원통형 부분을 확대시킨다. 보드(공작물)가 상기 고정 부품의 헤드 및 확대 직경 원통형 부분사이에 고정된다.
특허 문헌 1에 공개된 블라인드 리벳을 가진 고정 공구를 이용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상기 블라인드 리벳은 한쪽 측부로부터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해서 부착될 수 있다.
보드가 고정된 후에, 상기 볼트와 팽창 직경 부품은 상기 볼트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드는 상기 고정 부품의 머리 및 확대된 직경 원통형 부분사이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보드가 분리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허 문헌 2에 공개되고 공작물을 부품에 부착시키기 위한 블라인드 리벳에 대하여 볼트, 칼라, 버클링 너트(buckling nut)(리벳 몸체) 및 와셔를 포함한 부착부가 형성된다. 상기 볼트는 대직경 플랜지, 상기 플랜지와 연속으로 형성된 칼럼(columnar) 부분 및 상기 칼럼 부분에 대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수나사 부분을 가진다. 상기 칼라는 상기 칼럼 부분이 통과하는 원형 구멍 및 다각형 구멍을 가진다. 상기 버클링 너트는 다각형 구멍내에 고정된 다각형 헤드, 확대된 직경이 주어질 수 있고 상기 다각형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관형 부분 및 상기 관형 부분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수나사와 나사 체결되는 암나사를 가진다. 상기 와셔는 상기 볼트의 칼럼 부분 주위에서 칼라의 다각형 구멍내측부에 수용된다.
특허 문헌 2에 공개된 블라인드 리벳을 부착할 때, 상기 볼트의 수나사는 와셔의 중심 구멍 및 칼라의 원통형 구멍속으로 삽입되고 상기 버클링 너트(buckling nut)속으로 삽입된다. 수나사가 상기 볼트를 회전시켜서 상기 버클링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 리벳이 공작물의 부착 구멍내에 삽입되면, 볼트는 회전하고 수나사 부분은 다시 상기 버클링 너트의 암나사 부분내에 나사 체결된다. 확대된 직경을 가진 상기 버클링 너트의 관형 부분은 확대된 직경 부분을 형성한다. 공작물은, 확대된 직경 부분 및 버클링 너트의 다각형 헤드사이에 클램핑(clamped)되어 고정된다. 상기 볼트가 다시 회전하면, 상기 와셔는 전단되고 부착부가 형성된 부품은 상기 칼라의 단부 및 공작물사이에 부착된다.
특허 문헌 2에 공개된 블라인드 리벳을 가진 고정 공구를 이용할 필요가 없고 상기 블라인드 리벳은 전기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부착될 수 있다.
부착부가 형성된 부품이 부착된 후에 반대방향으로 볼트를 회전시켜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공작물은 상기 확대된 직경 부분 및 버클링 너트의 다각형 헤드 부분사이에 클램핑되기 때문에 공작물은 분리될 수 없다.
특허 문헌 1에서와 같이, 상기 블라인드 리벳이 공작물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없다는 점에서 특허 문헌 2도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부착부가 형성된 부품의 부착 구멍은 공작물의 부착 구멍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특허 문헌 3은, 볼트, 슬리브(리벳 몸체), 너트 및 구동 너트를 포함한 블라인드 볼트를 공개한다. 상기 볼트가 구동 너트 및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너트와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블라인드 볼트 패스너가 조립된다.
구동 너트에 의해 상기 슬리브를 가압하여, 볼트의 수나사는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되고 너트는 슬리브의 헤드 측부로 끌어 당겨진다. 확대된 직경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슬리브의 직경이 확대되고 공작물(부착되어야 하는 부품)이 고정된다. 볼트가 다시 회전하면 볼트 헤드는 파괴 그루브(breaking groove)에서 파괴되고 볼트 헤드와 구동 너트가 분리될 수 있다.
특허 문헌 3의 블라인드 볼트 패스너가 부착될 때, 공작물이 확대된 직경 부분 및 슬리브의 헤드사이에 클램핑되기 때문에, 상기 블라인드 볼트 패스너는 공작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특허 문헌 1 내지 3에 공개된 패스너에서 맨드릴은 고정 공구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확대된 직경 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볼트내에 나사 체결되고 볼트를 고정하기 위해 상업시판되는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공작물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패스너는 상기 공작물에 부착된 후에 공작물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공작물이 부착된 후에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패스너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 문헌
특허 문헌들
특허 문헌 1 미심사된 특허 공개 공보 제2012-82892호,
특허 문헌 2 미심사된 특허 공개 공보 제2013-249850호,
특허 문헌 3 제US 2012/0011702A1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판되는 전기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공작물을 부착한 후에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패스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패스너는 네 개의 부분들을 포함한다. 볼트, 외부 너트, 구근형상 슬리브 및 내부 너트. 내부 너트가 외부 너트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지만 내부너트는 회전하지 않는다. 볼트의 수나사가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될 때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나사의 헤드 및 외부 나사 사이에서 압축되고 확대된 직경 부분을 형성한다. 공작물은 상기 확대된 직경 부분 및 외부 너트사이에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부착구멍을 가진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로서,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를 가진 샤프트를 포함하는 볼트,
축 방향을 향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다각형 외부 표면을 가진 외부 너트 구멍을 포함한 외부 너트,
원통 형상을 가지고 슬리브 구멍을 가지는 구근 형상 슬리브,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너트 구멍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을 가지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너트 구멍의 내측부는 암나사를 가지고, 너트 헤드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볼트의 샤프트는 내부 너트의 내부 너트 구멍내에 삽입되고, 볼트의 수나사 부분은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된다.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슬리브 구멍내에 배열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내에 배열되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 구멍내에서 지지되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지만 회전운동할 수 없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너트의 너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텝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서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측 원주부에 고정된다.
볼트, 외부 너트, 구근형상 슬리브 및 내부 너트의 네 개의 부품들은 패스너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결합한다. 상기 패스너 조립체는 한쪽 측부에서 공작물의 부착 구멍속으로 삽입되고 볼트의 수나사는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체결되도록 형성될 때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직경은 확대되고 내부너트의 헤드 및 외부 너트사이에서 양쪽 단부들로부터 압축되며 공작물은 확대된 직경 부분 및 외부 너트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공작물은, 전용 고정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시판되는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패스너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동일한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로부터 작업하여 고정된 공작물을 분리할 수도 있다.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의 횡단면은 다각형인 것이 선호된다.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에 평면 슬라이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이 가지는 각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가지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 내부 표면을 지지하는 것이 선호된다.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은 다각형 횡단면을 가지고, 평면 슬라이드들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에 형성되고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이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의 내부 표면과 일치하면 내부 너트를 지지할 수 있어서, 내부 너트는 외부 너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지만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은 육각형이고 6개의 평면 슬라이드들을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 부분들 및 상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상에 형성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승된 부분들을 가지며, 상기 상승된 부분들은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오목한 부분들과 결합하고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것이 선호된다.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 부분들이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내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외부 너트 구멍의 오목한 부분들과 일치하는 복수 개의 상승된 부분들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상에 형성되면, 상기 내부 너트가 지지되어 내부 너트는 외부 너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지만 회전하지 못한다.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키 요홈들이 상기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상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키들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키들은 외부 너트 구멍의 키 요홈들내에 결합되며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이 선호된다.
구근형상 슬리브의 축 방향 중심부분이 가지는 외경 및 내경은 축 방향의 단부 부분들이 가지는 각각의 외경 및 내경보다 크고,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되어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되는 것이 선호된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된다. 축 방향 중심 부분은 외경 방향으로 팽창되고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된다. 또한, 확대된 직경 부분이 확대되어 공작물과 일치하기 위한 보드(board) 두께의 범위가 용이하게 증가된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되고 축 방향 중심 부분은 축 방향 단부부분보다 얇아서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된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축 방향 중심부분은 축 방향 단부 부분보다 얇으면,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부착 구멍을 가진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패스너를 이용하는 고정 기구로서,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를 가진 샤프트를 포함하는 볼트,
축 방향을 향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외부 너트 구멍을 가진 외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너트의 외부표면은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외부 너트는 공작물의 표면 및 볼트 헤드사이에 배열되며,
슬리브 구멍을 가지는 원통형의 구근 형상 슬리브를 포함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너트 구멍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을 가지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너트 구멍의 내측부는 암나사를 가지고, 너트 헤드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볼트의 샤프트는 내부 너트의 내부 너트 구멍내에 삽입되고, 볼트의 수나사는 상기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된다.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슬리브 구멍 및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내에 배열되고,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외부 너트 구멍내에서 지지되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회전운동할 수 없다.
공작물의 부착 구멍내부의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너트의 너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텝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서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부에 고정된다.
공작물의 표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근형상 슬리브의 확대된 직경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확대된 직경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 공작물이 고정된다.
외부 너트 구멍의 횡단면은 다각형이고,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에 평면 슬라이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이 가지는 각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가지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 내부 표면을 지지하는 것이 선호된다.
본 발명은, 시판되는 전기 공구를 가지고 한쪽 측부로부터 작업하여 공작물을 부착한 후에 한쪽 측부로부터 작업하여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패스너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패스너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2는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고 도 1의 패스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패스너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4는 도 1의 패스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패스너의 외부 너트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도 5의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된 외부 너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패스너의 구근형상 슬리브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구근형상 슬리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패스너의 내부 너트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내부너트의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된 정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되고 공작물에 부착된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패스너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패스너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패스너의 상태로부터 분리할 때 중간 단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패스너의 상태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단계에 있는 패스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패스너(1)가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상기 패스너(1)는 볼트(10), 외부 너트(20), 구근(bulbous) 형상의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되기 전에 조립상태의 볼트(10), 외부 너트(20), 구근 형상의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는 패스너 조립체(1a)라고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패스너 조립체(1a)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된 패스너 조립체(1a)의 전방 측면도이다. 도 3은 패스너 조립체(1a)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패스너 조립체(1a)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패스너(1)를 형성하는 볼트(10), 외부 너트(20), 구근 형상의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가 순서대로 설명된다.
볼트(10)는 시판되는 볼트이고 도면들에서 볼트(10)는 별도의 부품으로서 도시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볼트(10)는 육각형 칼럼(columnar) 형상을 가지고 짧은 볼트 헤드(11) 및 상기 볼트 헤드(11)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샤프트(12)를 가진다. 상기 샤프트(12)의 외측 원주 표면에 수나사(13)가 형성된다. 볼트(10)는 철, 스테인레스 강 등과 같은 강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볼트 헤드(11)는 육각형 단면을 가질 필요는 없고 볼트 헤드가 공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은 사각형일 수 있다. 볼트 헤드에 형성된 단면 슬롯(slot)을 가지고 나사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회전되는 부품일 수도 있다.
도 5는 실시예의 패스너(1)의 외부 너트(20)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6은 외부 너트(20)의 일부분을 단면으로 도시한 전방 측면도이다. 외부 너트(20)의 외측부는 일반적인 육각 너트와 동일한 육각형 칼럼 형상을 가지며, 제1 표면(21), 제2 표면(22) 및 육각형 단면을 가진 외부 표면(23)을 가진다. 외부 너트 구멍(26)이 중심 부분에서 외부 너트(20)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육각형 단면을 가진다. 외부 너트(26)의 육각형 단면이 가지는 마주보는 측부들사이의 거리는 d26이다. 외부 너트(26)의 육각형 단면이 가지는 마주보는 꼭지점들사이의 거리는 26D이다. 외부 너트의 마주보는 측부들 사이의 거리(d26)는 볼트(10)의 샤프트(12)가 가지는 외경보다 크고, 볼트(10)의 샤프트(12)는 외부 너트 구멍(26)내에 삽입될 수 있다.
나중에 설명되듯이,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외부 너트 구멍(26)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나중에 설명되듯이,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이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면, 외부 너트 구멍(26)의 형상은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부 너트(20)는 강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외부 너트(20)가 육각형의 칼럼 형상을 가지더라도, 외부 너트가 육각형의 칼럼 형상을 가질 필요는 없으며 외부 너트(20)가 회전 없이 지지되는 동안 상기 볼트(10)가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모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너트는 직사각형의 칼럼 형상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를 따르는 패스너(1)의 구근형상 슬리브(30)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상기 "구근 형상의 슬리브"는 슬리브가 팽창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구근형상 슬리브(30)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가진다. 구근형상 슬리브(30)는 외경(D31) 및 내경(d31)을 가진 제1 원통형 부분(31),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보다 약간 큰 내경 및 외경을 가진 제2 원통형 부분(32) 및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과 대략 동일한 내경과 외경을 가진 제3 원통형 부분(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 및 제2 원통형 부분(32)사이에 테이퍼 구조를 가진 제1 테이퍼 부분(34)이 배열된다. 상기 제2 원통형 부분(32) 및 제3 원통형 부분(33)사이에 테이퍼 구조를 가진 제2 테이퍼 부분(35)이 배열된다.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 및 제2 원통형 부분(32) 및 제3 원통형 부분(33), 제1 테이퍼 부분(34) 및 제2 테이퍼 부분(35)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슬리브 구멍(36)이, 제1 원통형 부분(31)의 단부로부터 제3 원통형 부분(33)의 단부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2 원통형 부분(32)의 내경은 제1 원통형 부분(31)의 내경(d31)보다 약간 크다. 상기 제3 원통형 부분(33)의 내경은 제1 원통형 부분(31)의 내경(d31)과 대략 동일하다.
구근 형상의 슬리브(30)가 양쪽 단부로부터 압축될 때 상기 제1 테이퍼 부분(34) 및 제2 테이퍼 부분(35)은 용이하게 소성 변형되어 구부러지고 제2 원통형 부분(32)의 직경은 확대된다.
얇은 제1 테이퍼 부분(34), 제2 원통형 부분(32) 및 제2 테이퍼 부분(35)를 형성하면, 제2 원통형 부분(32)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의 내경(d31)은 상기 외부 너트(20)의 외부 너트 구멍(26)의 마주보는 내부 표면들사이에서 거리(d26)와 대략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은 외부 너트(20)의 외부 너트 구멍(26)속으로 들어가지 않고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의 단부가 상기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에 지지될 때 정지한다.
나중에 설명되는 것처럼, 패스너(1)가 고정될 때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는 상기 내부 너트(40)및 외부 너트(20)에 의해 축 방향으로 압축되고 제2 원통형 부분(32)의 직경이 확대되어 확대된 직경 부분(32d)을 형성한다. 공작물(51,52)들이 상기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 및 확대된 직경 부분(32d)사이에서 클램핑되어 고정된다.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2 원통형 부분(32)이 가지는 내경 및 외경은 각각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의 내경(d31) 및 외경(D31)(제3 원통형 부분(33)의 내경(d33) 및 외경(D33))보다 커서, 제2 원통형 부분(32)은 소성변형되고 직경을 확대시킨다. 또한,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된다.
상기 제1 원통형 부분(31)은 공작물(51,52)의 전체 두께보다 축 방향으로 약간 더 길어서, 제1 원통형 부분(31)은 축 방향 압축에 의해 좌굴(buckle)되고 접촉할 수 있다. 제1 테이퍼 부분(34)이 소성변형되고 제2 원통형 부분(32)은 확대된 직경 부분(32d)을 형성한다.
도 9는 실시예에서 패스너(1)의 내부 너트(40)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된 내부 너트(40)의 정면도이다. 내부 너트(4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진 원통형 부분 및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서 너트 헤드(44)를 가진다.
상기 내부 너트(40)의 원통형 부분은 한쪽 단부에서 원통형 너트 미끄럼 부분(41)을 가지고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원통형 너트 실린더(42)를 가진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6개의 평면 슬라이드(41a)들이 외측 원주 표면상에서 동일한 이격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외경(D41)은 상기 외부 너트(20)의 외부 너트 구멍(26)의 마주보는 표면들사이에서 거리(d26)보다 약간 더 크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마주보는 평면 슬라이드(41a)들사이에 형성된 거리(E41)는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외경(D41)보다 약간 더 작다. 상기 거리(E41)는 외부 너트 구멍(26)의 마주보는 표면들사이에서 거리(d26)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작다.
상기 평면 슬라이드(41a)의 각위치가 상기 외부 너트 구멍(26)의 마주보는 표면들의 각위치와 일치하면,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육각형 외부 너트 구멍(26)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이 외부 너트 구멍(26)의 내부 표면상에서 외부 너트 구멍(26)을 통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며 이동할 수 있지만 너트 미끄럼 부분은 외부 너트 구멍(26)내에서 회전할 수 없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내부 너트 구멍(46)이 가지는 내경(d41)은 상기 볼트(10)의 샤프트(12)가 가지는 외경보다 약간 더 크고, 볼트(10)의 샤프트(12)는 내부 너트 구멍(46)속에 삽입될 수 있다.
내부 너트(40)의 원통형 부분이 너트 미끄럼 부분(41)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원통형 너트 실린더(42)를 가진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은 동일한 외경(D41)을 가진다. 내부 너트 구멍(46)이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내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 실린더(42)의 내부 표면에서 암나사(43)가 내부 너트 구멍(46)내에 형성된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측부로부터 상기 내부 너트 구멍(46)속으로 볼트(10)의 샤프트(12)가 삽입되면, 볼트(10)의 수나사(13)는 상기 내부 너트 구멍(46)의 암나사(43)와 나사 체결된다.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평면 슬라이드(41a)에 의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너트 실린더(42)의 암나사(43)가 시작되는 축 방향 위치는 상기 평면 슬라이드(41a)가 종료하는 축 방향 위치와 일치하지 않고 심지어 오프셋(offset)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는 모두 합쳐서 원통형 부분이라고 설명된다.
너트 헤드(44)는 너트 실린더(42)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너트 헤드(44)는, 상기 너트 실린더(42)의 외경(D42)보다 큰 외경(D44)을 가진다. 상기 너트 헤드(44) 및 너트 실린더(42)사이에 스텝(45)이 형성된다.
내부 너트 구멍(46)은 블라인드 구멍이고 너트 헤드(44)에서 종료한다. 내부 너트 구멍(46)은 관통 구멍일 수도 있다.
상기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의 외경(D41)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1 원통형 부분(31)이 가지는 내경(d31) 및 제3 원통형 부분(33)의 내경(d33)과 대략 동일하거나 경미하게 더 작아서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1 원통형 부분(31), 제2 원통형 부분(32) 및 제3 원통형 부분(33)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너트헤드(44)의 외경(D44)은 상기 제3 원통형 부분(33)의 외경(D33)과 대략적으로 동일하거나 경미하게 더 크다. 상기 제3 원통형 부분(33)의 단부가 스텝(45)에 의해 압축될 수 있도록 상기 너트 헤드(44)의 외경(D44)의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3 원통형 부분(33)의 측부로부터 삽입될 때 상기 내부 너트(40)의 너트 헤드(44)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텝(45)은 제3 원통형 부분(33)의 단부와 지지하여 정지된다.
상기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 및 너트 실린더(42)가 결합될 때 원통형 부분의 축 방향 길이는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전체 길이보다 경미하게 더 길다.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3 원통형 부분(33)의 측부로부터 우선 삽입될 때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1 원통형 부분(31)의 단부로부터 경미하게 돌출한다.
내부 너트(40)는 강성 금속으로 제조된다.
볼트(10), 외부 너트(20), 구근형상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의 조립이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2의 우측부는 블라인드 측부이고 좌측부는 작업이 수행되는 측부이다. 상기 패스너를 고정하는 작업은 작업 측부인 좌측부로부터 수행된다.
상기 내부 너트(40)가, 우선 삽입된 너트 미끄럼 부분(41)에 의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3 원통형 부분(33)의 측부로부터 삽입될 때, 내부 너트(40)의 스텝(45)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3 원통형 부분(33)의 단부와 지지되어 정지된다. 다음에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1 원통형 부분(31)의 측부로부터 경미하게 돌출한다.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평면 슬라이드(41a)의 각 위치는, 외부 너트(20)의 외부너트 구멍(26)의 마주보는 표면들의 각 위치와 일치한다. 외부 너트(20)가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외측 원주부상에서 좌측부로부터 미끄럼 운동하도록 형성되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1 원통형 부분(31)의 단부는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에 지지되고 외부 너트(20)는 정지한다. 외부 너트(20)는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의 외측 원주부상에 회전하지 않도록 외부 너트(20)가 고정된다.
상기 외부 너트(20), 구근형상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가 조립될 때 볼트(10)가 외부 너트(20)의 측부로부터 삽입된다. 볼트(10)의 샤프트(12)의 수나사(13)가 내부 너트(40)의 내부 너트 구멍(46)의 암나사(43)와 나사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볼트 헤드(11)의 표면은 외부 너트(20)의 제1 표면(21)상에 지지된다. 구근형상 슬리브(30)는 내부 너트(40)의 스텝(45) 및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사이에서 클램핑된 상태를 가진다.
이렇게 조립될 때 볼트(10), 외부 너트(20), 구근형상 슬리브(30) 및 내부 너트(40)는 패스너 조립체(1a)를 형성한다.
패스너 조립체(1a)의 고정 작업이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11은 공작물(51,52)의 부착 구멍(53,54)에 고정된 패스너(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다른 방향으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고 고정될 때 패스너(1)의 일부분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공작물(51,52)들이 중첩된다. 공작물(51)의 부착구멍(53)이 가지는 내경 및 공작물(52)의 부착 구멍(54)이 가지는 내경은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2 원통형 부분(32) 및 내부 너트(40)의 너트 헤드(44)보다 더 크다. 상기 내부 너트(40) 및 구근형상 슬리브(30)를 좌측부로부터 부착 구멍(53,54)속으로 삽입할 수 있다. 외부 너트(20)의 외경은, 공작물(51,52)의 부착 구멍(53,54)이 가지는 내경보다 더 크다.
패스너 조립체(1a)는, 우선 들어가는 너트 헤드(44)에 의해 공작물(51,52)의 부착 구멍(53,54) 속으로 삽입된다.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은 공작물(52)의 부착 구멍(54)주위에서 표면을 지지하고 정지한다.
외부 너트(2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외부 너트가 고정되고 볼트(10)가 회전하도록 형성되면, 볼트(10)의 암나사(13)는 내부 너트(40)의 암나사(43)와 나사 체결된다.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양쪽 단부들이 너트 헤드(44)의 스텝(45) 및 외부 너트(20)의 제2 표면(22)에 의해 압축된다. 상기 압축 하중에 의해 구근형상 슬리브(30)의 제2 원통형 부분(32)의 직경이 확대되고 상기 제2 원통형 부분은 확대된 직경 부분(32d)을 형성하며 공작물(51)의 부착 구멍(53) 주위에서 표면을 지지한다.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은 회전운동없이 외부 너트(20)의 외부 너트 구멍(26)을 통해 미끄럼 운동한다. 내부 너트(40)는 외부 너트(20)에 대해 회전운동하지 못한다.
미리 정해진 축 방향 하중이 도달하면, 볼트(10)의 조임작업이 종료되고 고정 작업은 완료된다. 볼트(10)의 조임 하중을 조절하여 패스너(1)의 축 방향 하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패스너(1)가 공작물(51,52)에 고정된다.
다음에, 도 14 및 도 15를 참고하여 패스너(1)의 분리작업이 설명된다. 도 14를 참고할 때 패스너(1)의 볼트(1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내부 너트(40)의 암나사(43)와 볼트(10)의 수나사(13)의 나사체결은 풀어지고 볼트(10)는 외부로 끌어 당겨진다. 볼트(10)가 분리된 후에, 외부 너트(20)는 외부 너트(20)를 회전시키지 않고도 내부 너트(40)의 너트 미끄럼 부분(41)으로부터 끌어 당겨질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할 때 공작물(51,52)들이 공작물(51,52)의 부착 구멍(53,54)으로부터 구근형상 슬리브(30)와 내부 너트(40)를 가압하여 분리시킬 수 있다. 구근형상 슬리브(30)와 내부 너트(40)는 블라인드 측부에 떨어지고 그 결과 구근형상 슬리브 및 내부 너트는 바닥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후에 볼트(10) 및 외부 너트(20)는 다시 이용될 수 있고 상기 공작물(51,52)에 다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종래의 전기 공구를 이용하여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한쪽 측부에서 작업하여 공작물을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부 너트(20)의 외부 너트 구멍(26)은 육각형이고 5개의 평면 슬라이드(41a)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외부 너트의 내측부 형상이 외부 너트 구멍의 외측부 형상과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지만 회전하지 않는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이 직사각형이고 네 개의 평면 슬라이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indented) 부분들이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에 형성될 수 있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오목한 부분과 일치하는 복수 개의 상승된 부분들이 내부 너트의 너트 미끄럼 부분의 외측 원주방향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한 부분과 연결되는 상기 상승된 부분에 의해 내부 너트는 회전운동 없이 외부 너트(20)에 대해 미끄럼 운동하도록 형성된다.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오목한 키 요홈(key grooves)들이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키 요홈과 일치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승된 키(key)들이 내부 너트의 너트 미끄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 요홈과 연결된 키들에 의해 상기 내부 너트는 회전운동 없이 외부 너트에 대해 미끄럼 운동할 수 있다.
1....패스너, 10....볼트, 11....볼트 헤드, 12....샤프트, 13....수나사,
20....외부 너트, 21....제1 표면, 22....제2 표면, 23....외부표면,
26....외부 너트 구멍,
30....구근 형상의 슬리브,
31....제1 원통형 부분, 32....제2 원통형 부분,
32d....확대된 직경 부분,
33....제3 원통형 부분,
34....제1 테이퍼 부분, 35....제2 테이퍼 부분,
36....슬리브 구멍,
40....내부 너트,
41....너트 미끄럼 부분,
41a....평면 미끄럼부,
42....너트 실린더,
43....암 나사,
44....너트 헤드,
45....스텝,
46....내부 너트 구멍,
51, 52....공작물,
53, 54....부착물 구멍.

Claims (9)

  1. 부착 구멍을 가진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로서,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를 가진 샤프트를 포함하는 볼트,
    축 방향을 향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다각형 외부 표면을 가진 외부 너트 구멍을 포함한 외부 너트,
    원통 형상을 가지고 슬리브 구멍을 가지는 구근 형상 슬리브,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너트 구멍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을 가지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너트 구멍의 내측부는 암나사를 가지고, 너트 헤드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의 샤프트는 내부 너트의 내부 너트 구멍내에 삽입되고, 볼트의 수나사 부분은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되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슬리브 구멍내에 배열되고, 상기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내에 배열되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 구멍내에서 지지되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팁은 외부 너트에 대해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지만 회전운동할 수 없고,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너트의 너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텝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서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측 원주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2. 제1항에 있어서,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의 횡단면은 다각형이고,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에 평면 슬라이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이 가지는 각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가지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 내부 표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은 육각형이고 6개의 평면 슬라이드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4.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오목한 부분들이 상기 외부 너트의 왼부 너트 구멍상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상승된 부분들이 상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상승된 부분들은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오목한 부분들과 결합하고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5. 제1항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키 요홈들이 상기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상에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키들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상에 형성되며 상기 키들은 상기 키 요홈들내에 결합되며 축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근형상 슬리브의 축 방향 중심부분이 가지는 외경 및 내경은 축 방향의 단부 부분들이 가지는 각각의 외경 및 내경보다 크고,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되어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축 방향 중심부분은 축 방향 단부 부분보다 얇고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는 부드러운 금속으로 제조되어 축 방향 중심 부분의 직경은 용이하게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너.
  8. 부착 구멍을 가진 공작물을 고정하기 위해 패스너를 이용하는 고정 기구로서,
    볼트 헤드 및 상기 볼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수나사를 가진 샤프트를 포함하는 볼트,
    축 방향을 향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외부 너트 구멍을 가진 외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너트의 외부표면은 다각형 단면을 가지고, 상기 외부 너트는 공작물의 표면 및 볼트 헤드사이에 배열되며,
    슬리브 구멍을 가지는 원통형의 구근 형상 슬리브를 포함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너트 구멍을 가지며 원통형 부분을 가지는 내부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너트 구멍의 내측부는 암나사를 가지고, 너트 헤드는 상기 원통형 부분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볼트의 샤프트는 내부 너트의 내부 너트 구멍내에 삽입되고, 볼트의 수나사는 상기 내부 너트의 암나사와 나사 체결되며,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상기 구근형상 슬리브의 슬리브 구멍 및 외부 너트의 외부 너트 구멍내에 배열되고,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외부 너트 구멍내에서 지지되어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은 회전운동할 수 없고,
    공작물의 부착 구멍내부의 구근형상 슬리브는 내부 너트의 너트 헤드와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텝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서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부에 고정되며,
    공작물의 표면과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근형상 슬리브의 확대된 직경 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확대된 직경 부분 및 외부 너트의 표면사이에 공작물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 너트 구멍의 횡단면은 다각형이고, 내부 너트의 원통형 부분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에 평면 슬라이드들이 형성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이 가지는 각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를 가지며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평면 슬라이드들은 외부 너트 구멍의 다각형 내부 표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기구.
KR1020160134919A 2015-12-28 2016-10-18 패스너 및 고정 기구 KR20170077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6046 2015-12-28
JP2015256046A JP6709049B2 (ja) 2015-12-28 2015-12-28 締結具及び締結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770A true KR20170077770A (ko) 2017-07-06

Family

ID=5927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919A KR20170077770A (ko) 2015-12-28 2016-10-18 패스너 및 고정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9049B2 (ko)
KR (1) KR20170077770A (ko)
CN (1) CN107023547A (ko)
TW (1) TW20172332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0429B2 (ja) * 2017-10-27 2022-01-26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ボルト
JP7139183B2 (ja) * 2018-07-31 2022-09-2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ボルト
JP7282421B1 (ja) 2022-09-07 2023-05-29 株式会社東日製作所 軸力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29862A1 (de) * 1974-06-21 1976-01-02 Ahrends Befestigungstechnik Gm Spreizduebel
JPS58182008U (ja) * 1982-05-31 1983-12-0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ブラインドナツト
JPS62128216U (ko) * 1986-02-06 1987-08-14
DE69801722T2 (de) * 1997-06-07 2002-07-11 Emhart Inc Blindmutter mit Gewinde
KR200358617Y1 (ko) * 2004-05-24 2004-08-09 지영화 건축외장용 석재 고정구
JP2007232156A (ja) * 2006-03-03 2007-09-13 Inax Corp 締結装置及び洋風水洗式便器
DE202013005407U1 (de) * 2013-06-14 2013-06-28 Alfred Stelz Variabler- Befestigungsanker mit Rechts- und Linksgewinde, und zwei axial variabel positionierbaren Spreizkörpern, mit je einem Rechts- und Linksgewinde
CN204591908U (zh) * 2015-01-30 2015-08-26 庞平原 易拆卸膨胀螺栓
CN204572676U (zh) * 2015-03-02 2015-08-19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一种可拆除膨胀螺栓的膨胀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709049B2 (ja) 2020-06-10
TW201723325A (zh) 2017-07-01
CN107023547A (zh) 2017-08-08
JP2017120096A (ja)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3067B2 (en) Connection device for connection between pipe and connection member
US7722303B2 (en) Frangible blind rivet
AU2015253377C1 (en) Swage lock fasteners
US10495131B2 (en) Blind nut, a blind nut assembly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KR20170077770A (ko) 패스너 및 고정 기구
EP2034197A1 (en) Fixation device
EP2522862A1 (en) Fastening assembly
TW200307092A (en) Method of fastening
US20170218996A1 (en) Fastening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US9194412B2 (en) Lock bolt collar with high standoff internal bead
KR20180001424A (ko) 적어도 두 개의 가공대상물들을 연결하는 연결 요소, 및 방법
KR101449188B1 (ko) 안정적인 헤드를 갖는 블라인드 볼트 체결구조체
US11821448B2 (en) Blind bolt
WO2018221343A1 (ja) ブラインドボルト
KR101870317B1 (ko) 익스팬딩 육각렌치
WO2019082984A1 (ja) ブラインドボルト
JP2012107663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その締結方法
JP2013249850A (ja) ブラインドリベット及びその締結方法
JP2003239925A (ja) ボルトアセンブリ
JP2018035941A (ja) 締結構造およびピン部材
KR101959456B1 (ko) 체결부재
JP2013221616A (ja) ロックナット
JP2006064095A (ja) ファスナー装置及び鋼板または建造物骨組の結合方法
GB2514627A (en) Expandable connecting plug for castor whe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