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317B1 - 익스팬딩 육각렌치 - Google Patents

익스팬딩 육각렌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317B1
KR101870317B1 KR1020170028830A KR20170028830A KR101870317B1 KR 101870317 B1 KR101870317 B1 KR 101870317B1 KR 1020170028830 A KR1020170028830 A KR 1020170028830A KR 20170028830 A KR20170028830 A KR 20170028830A KR 101870317 B1 KR101870317 B1 KR 10187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ench
rod
adjusting nut
expanding
w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문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8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10Spanners; Wrenches with adjustabl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007Connections or joints between too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익스팬딩 육각렌치에 관한 것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레일로 이루어진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전단에 연장 형성된 쐐기부,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 너트와 결합되고, 전방에는 복수의 렌치날개가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렌치날개는 상기 쐐기부에 접하여 상기 로드의 측방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익스팬딩 육각렌치는 다양한 크기로 변환이 이루어져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여러 사이즈의 육각렌치를 구비하는 번거로움이 없으며 소장하기 간편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익스팬딩 육각렌치{A EXPANDING HEXAGONAL WRENCH}
본 발명은 육각렌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육각볼트의 조임과 풀림을 단일의 육각렌치로 가능하게 하는 익스팬딩 육각렌치(expanding hexagonal wrench)에 관한 것이다.
육각렌치는 볼트 머리부의 중앙에 육각홈이 형성된 육각 볼트를 회전시키기 쉽게 만들어진 공구로서, 물체를 조립하고 분해할 때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볼트는 분리가 필요한 건축재료나 기계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계요소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건축재료나 기계부품의 두께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볼트가 사용된다.
종래에는 다양한 육각볼트의 사이즈에 따라 알맞은 육각렌치를 각각 구비하여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시중에 판매되는 렌치 세트를 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렌치 세트는 복수개의 렌치를 소지해야 하므로, 무겁고 부피를 많이 차지하여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볼트머리의 육각 홈에 맞는 공구를 직관적으로 선정하는데 불편함이 있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다단 육각렌치는 내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를 형성해야 함으로 제조가 어렵고, 쉽게 고장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48516호 (2002.06.24.)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사용될 수 있고, 육각볼트의 파손으로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레일로 이루어진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전단에 연장 형성된 쐐기부,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 너트와 결합되고, 전방에는 복수의 렌치날개가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렌치 날개는 상기 로드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쐐기부에 접하여 상기 로드의 측방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쐐기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의 후단에는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 너트의 전방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의 전방에는 상기 렌치 날개를 수용하는 렌치 날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치 날개는 전면, 후면,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에 접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모서리를 이루는 모서리부, 및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의 양 측면과 접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부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 렌치는 다양한 크기의 볼트에 사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여러 사이즈의 육각렌치를 구비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소장하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볼트 머리의 육각 홈의 사이즈에 맞는 육각 렌치를 선정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면 단위의 접촉 비중이 높은 육각 렌치와 달리 모서리에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육각 볼트의 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로드가 분리된 상태의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 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렌치 날개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렌치 날개가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로드가 분리된 상태의 도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전방 및 후방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렌치 날개를 두 가지 각도에서 도시한 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10)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상태의 익스팬딩 육각렌치(10)는 일반적인 육각렌치의 형태와 유사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익스팬딩 육각렌치(10)의 구성을 크게 분류하면 조절부(100) 와 로드(2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절부(10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레일(106)로 이루어진 나사부(109), 및 나사부(109)의 전단에 연장 형성된 쐐기부(102), 나사부(109)에 나사결합되는 조절 너트(150)를 구비한다.
로드(200)는 조절 너트(150)와 결합되며, 전방에 복수의 렌치 날개(250)가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이러한 렌치 날개(250)는 쐐기부(102)에 접하여 로드(200)의 측방으로 확장된다.
나사부(109)는 조절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나사레일(106)로 이루어진다. 나사레일(106)은 6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조절부(100)의 축을 중심으로 등각을 이루어 배치된다.
인접한 나사레일(106)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을 따라 로드(200)가 삽입 및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나사부(109)와 로드(200)의 관계에 대해서는 뒤에서 더 자세히 기술한다.
한편, 쐐기부(102)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쐐기부(102)의 전단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자석 삽입공(103)이 형성되고, 자석 삽입공(103) 내부에는 자석(110)이 구비된다.
자석(110)은 원기둥 형태일 수 있으며, 렌치 날개(250)를 축소된 상태로 변화시킬 때 자력을 이용하여 렌치 날개(250)를 로드(200)의 내측으로 끌어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때 자석(110)은 자력이 강한 네오디움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쐐기부(102)와 나사부(109) 사이에는 스토퍼(104)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104)는 외주면이 다각형의 모양일 수 있으며, 나사부(109)에서 조절 너트(150)가 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고 조절 너트(15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조절 너트(150) 후방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09)에 맞물리도록 구성된 암나사(157)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조절 너트(150)는 나사부(109)와 나사 결합되어 나사부(109)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조절 너트(150) 전방의 내주면에는 로드(20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158)이 형성된다.
이때, 조절 너트(150)의 외경은 스토퍼(104)의 외경보다 크고, 조절 너트(150)의 내경의 지름은 스토퍼(104) 단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가장 긴 대각선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조절 너트(150)는 스토퍼(104)를 통과하지 않고 나사부(109) 상에서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드(200)의 후단에는 조절 너트(150)의 결합홈(158)에 결합하기 위하여 로드(2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결합 돌출부(208)가 구비된다.
결합홈(158)은 결합 돌출부(208)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의해, 조절 너트(150)와 로드(200)의 이동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조절 너트(150)가 나사부(109)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조절 너트(150)와 결합된 로드(200)도 조절 너트(150)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절 너트(150)의 조작만으로 육각렌치(10)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결합 돌출부(208)에는 쐐기부(102) 및 나사부(109)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부 관통홀(209)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결합 돌출부(208)의 외주면은 원형이고, 나사부 관통홀(209)은 나사부(109)의 외형 윤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로드(200)의 내부에는 나사부 관통홀(209)을 통해 삽입된 쐐기부(102) 및 나사부(109)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로드(200)의 몸체(201)에는 나사 레일(16)이 지나갈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로드 몸체(201) 내부로 나사부(109)가 삽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드(200)의 전방에는 렌치 날개(250)를 수용하기 위한 렌치 날개 수용홈(202)이 구비된다.
렌치 날개(250)가 축소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200) 전단부의 단면은 렌치 날개(250)가 삽입된 상태에서 정육각형을 이루는데, 이때 정육각형의 모서리가 형성되는 부분에 렌치 날개 수용홈(202)이 구비된다.
또한, 렌치 날개 수용홈(202)은 일측면에 측방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203)을 구비하여 렌치 날개(250)가 측방으로 슬라이드 되게 한다.
렌치 날개(250)는 전면(251), 후면(252), 렌치 날개 수용홈(202)으로 삽입되어 쐐기부(102)에 접하는 경사부(254), 경사부(254)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로드(200) 전단의 모서리를 포함하는 모서리부(253), 렌치 날개 수용홈(202)의 양 측면과 접하는 제1 슬라이드 면(255) 및 제2 슬라이드 면(257)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슬라이드 면(255)에는 가이드 홈(203)에 부합하는 가이드 돌기(256)가 구비된다. 또한, 렌치 날개(250)의 전방에는 로드(200)의 전방 내측에 접하는 고정턱(258)이 형성된다(도 5 참고).
구체적으로, 전면(251)은 로드(200) 전단면의 일부분이고, 후면(252)은 전면(251)에 대항하는 면이다.
경사부(254)는 쐐기부(102)에 접하는 부분으로서 후면(252)으로부터 전면(251)으로 갈수록 중심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연장된다.
모서리부(253)는 두 면과 모서리로 이루어진다. 두 면이 60도의 각도로 만나 형성되는 모서리는 익스팬딩 육각렌치(10)의 모서리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볼트 구멍에 삽입하여 사용할 때 작용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렌치 날개(250)는 렌치 날개 수용홈(202)의 양 측면과 접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면(255, 257)을 구비하며, 제1 슬라이드 면(255)에는 가이드 홈(203)에 부합하는 가이드 돌기(256)가 돌출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56)는 렌치 날개(250)가 측방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경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가이드 돌기(256)와 고정턱(258)은 렌치 날개(250)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10)의 축소된 상태 및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1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치 날개(250)가 렌치 날개 수용홈(202)에 완전히 삽입되어 렌치(10)가 축소된 상태일 때 조절 너트(150)와 스토퍼(104)는 서로 가까이 배치된다.
익스팬딩 육각렌치(10)를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조절 너트(150)를 회전하여 스토퍼(104)에서 멀어지도록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나사 레일(106)들은 로드 몸체(201)로 삽입되고, 쐐기부(102)는 렌치 날개(250)들의 경사면에 접촉하면서 전방으로 더욱 전진하게된다.
이렇게 해서, 쐐기부(102)에 접하는 렌치 날개(250)는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가게 되어, 렌치가 확장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적용하고자 하는 볼트 홈의 크기에 맞춰진 익스팬딩 육각렌치(10)는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익스팬딩 육각렌치(10)는 적용하고자 하는 볼트의 사이즈에 따라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육각렌치로 다양한 크기의 볼트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따라서, 여러 사이즈의 육각렌치를 일일이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익스팬딩 육각렌치 100 : 조절부
102 : 쐐기부 103 : 자석 삽입공
104 : 스토퍼 106 : 나사 레일
109 : 나사부 110 : 자석
150 : 조절 너트 157 : 암나사
158 : 결합홈 200 : 로드
201 : 로드 몸체 202 : 렌치 날개 수용홈
203 : 가이드 홈 208 : 결합 돌출부
209 : 나사부 관통홀 250 : 렌치 날개
251 : 전면 252 : 후면
253 : 모서리부 254 : 경사부
255 : 제1 슬라이드 면 256 : 가이드 돌기
257 : 제2 슬라이드 면 258 : 고정턱

Claims (5)

  1. 나사산이 형성된 복수의 나사레일로 이루어진 나사부,
    상기 나사부의 전단에 연장 형성된 쐐기부,
    상기 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 너트를 구비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 너트와 결합되고, 전방에는 복수의 렌치날개가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된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렌치 날개는 상기 로드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쐐기부에 접하여 상기 로드의 측방으로 확장되며,
    상기 로드의 전방에는 상기 렌치 날개를 수용하는 렌치 날개 수용홈이 구비되고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의 측면에는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렌치 날개는 전면,
    후면,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쐐기부에 접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로드의 모서리를 이루는 모서리부, 및
    상기 렌치 날개 수용홈의 양 측면과 접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슬라이드 면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부합하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딩 육각렌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고, 전단 내부에는 자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딩 육각렌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후단에는 결합돌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 너트의 전방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돌출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익스팬딩 육각렌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8830A 2017-03-07 2017-03-07 익스팬딩 육각렌치 KR10187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0A KR101870317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팬딩 육각렌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830A KR101870317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팬딩 육각렌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317B1 true KR101870317B1 (ko) 2018-06-22

Family

ID=62768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830A KR101870317B1 (ko) 2017-03-07 2017-03-07 익스팬딩 육각렌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3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97B1 (ko) 2021-12-06 2022-05-02 정시진 크기 조절이 가능한 육각렌치
KR20220130849A (ko) 2021-03-19 2022-09-27 (주)대한솔루션 육각 렌치 세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1067A (en) * 1955-10-20 1957-10-29 James B Greer Internal expanding pipe wrench
US4213355A (en) * 1979-03-01 1980-07-22 Colvin David S Adjustable socket
KR20020048516A (ko) 2000-12-18 2002-06-24 장근호 다단 육각렌치
KR20040028339A (ko) * 2002-09-30 200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런너용 소켓
US20140102265A1 (en) * 2012-10-13 2014-04-17 Devin Lee Looijen Expandable drivers and bi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11067A (en) * 1955-10-20 1957-10-29 James B Greer Internal expanding pipe wrench
US4213355A (en) * 1979-03-01 1980-07-22 Colvin David S Adjustable socket
KR20020048516A (ko) 2000-12-18 2002-06-24 장근호 다단 육각렌치
KR20040028339A (ko) * 2002-09-30 2004-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너트 런너용 소켓
US20140102265A1 (en) * 2012-10-13 2014-04-17 Devin Lee Looijen Expandable drivers and bi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849A (ko) 2021-03-19 2022-09-27 (주)대한솔루션 육각 렌치 세트
KR102393097B1 (ko) 2021-12-06 2022-05-02 정시진 크기 조절이 가능한 육각렌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6644B2 (ja) 切削工具
EP1526293B1 (en) Pair of threaded members
JPH05118307A (ja) 成形ロツドの横結合部
US6669420B2 (en) Nut assembly including frame having a flange portion and opposed arms supporting a pivotable nut
US20130142582A1 (en) Head Replaceable Cutting Tool
KR101870317B1 (ko) 익스팬딩 육각렌치
US8096212B2 (en) Two-section tool joint
US7389713B1 (en) Adjustable socket for use with a socket wrench
US9884411B2 (en) Tool structure
US20060251493A1 (en) Screw with a double thread and a recess in the side of the shank
JP5968387B2 (ja) フレーム連結具
KR101973178B1 (ko) 유동 볼트머리턱 걸쇠와 조절나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볼트의 체결과 해체가 가능한 가변 복스 스패너
KR20170077770A (ko) 패스너 및 고정 기구
JP4748821B2 (ja) フレーム構造のコーナー部用連結装置
KR20170057999A (ko) 드라이버 비트
JP2003194031A (ja) ロックナット
WO2006123844A1 (ja) 中間挿入ナット
US20060017238A1 (en) Collet system for use in lens production
JP4170769B2 (ja) 切削加工用工具
US11103982B2 (en) Wrench structure
KR200475993Y1 (ko) 스패너
CN210087796U (zh) 一种卡扣式螺栓
KR20110108230A (ko) 그루브가공용 인서트홀더
CN201288749Y (zh) 一种快速螺钉副
EP1403004B1 (en) Multi-functional fastener driv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