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378A -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378A
KR20170076378A KR1020150186552A KR20150186552A KR20170076378A KR 20170076378 A KR20170076378 A KR 20170076378A KR 1020150186552 A KR1020150186552 A KR 1020150186552A KR 20150186552 A KR20150186552 A KR 20150186552A KR 20170076378 A KR20170076378 A KR 20170076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ar body
module
led modul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근
강대석
Original Assignee
성남도시개발공사
김의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남도시개발공사, 김의근 filed Critical 성남도시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15018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378A/ko
Publication of KR20170076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05B37/0218
    • H05B37/0227
    • H05B37/028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차단기 바(gate bar) 구동 장치에 장착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gate bar)에 있어서, 바(bar) 몸체; 상기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 상기 바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SMPS 모듈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바 몸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여 도로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운전자가 바 몸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바 몸체를 차량에 의해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 보행자의 안전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 몸체에 조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주야간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점등 제어하고 각도 감지 센서와 타이머에 의해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작 상태에 적절하게 절전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SMART POWER SAVING GATE BA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단기 바(gate bar)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차단기 바 스스로 주야를 감지하고 그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차단기 바에 구비된 LED(light emitting didoe)의 점등을 제어하여 절전 기능을 구현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이나 철길 건널목 등에는 차단기 바(gate bar)가 설치되어 차량의 이동이나 출입을 제한하거나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등록특허공보 10-1351329 및 등록특허공보 10-0919455는 이러한 차단기 바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위 문헌에서 보듯이 차단기 바는 차단기 바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데, 어두운 밤에는 그 식별이 여의치 않아 이동하는 차량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이에, 차단기 바만 새로 구입하여 차단기 바 구동 장치에 새로 장착하여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10-0919455는 야간에 식별이 어려운 차단기 바에 조명을 달아 차량 운행자는 물론 보행자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10-0919455는 LED 모듈을 차단기 바에 구비하여 식별성을 높이고 있지만, 24시간 조명등을 점등하여 전력 소모가 많고, 조명등이 운전자를 그대로 향하고 있어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단기 바는 그 설치된 장소의 특성에 따라 24시간 운행되기도 하고 심야에는 그 작동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철긴 건널목에는 24시간 운행해야 하지만, 공공 주차장 출입구라든가 출입 제한 구역 등에서는 필요에 따라 심야에 그 작동을 중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차단기 바의 조명등 역시 불필요하게 켜져 있게 되는 경우 전력을 불필요하게 소비하게 된다.
10-1351329 10-0919455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는, 차단기 바(gate bar) 구동 장치에 장착되며, 바(bar) 몸체; 상기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 상기 바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SMPS 모듈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서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상기 바 몸체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상기 바 몸체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timer)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은,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gate bar)에 구비된 조도 감지 센서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이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압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바(bar)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제어 모듈이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이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각도 감지 센서가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상기 바 몸체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상기 바 몸체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타이머(timer)가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이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바 몸체에 LED 모듈을 부착하여 도로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운전자가 바 몸체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바 몸체를 차량에 의해 훼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 보행자의 안전 사고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 몸체에 조도 감지 센서를 구비하여 주야간을 자동으로 식별하여 점등 제어하고 각도 감지 센서와 타이머에 의해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상태에 따라 광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작 상태에 적절하게 절전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 몸체에 SMPS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차단기 바 구동 장치에 차단기 바만 교체 장착하면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 교체 비용이 줄어들고 그 확장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smart power saving gate bar)(100)는 바(bar) 몸체(110),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120),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130), 조도 감지 센서(140), 각도 감지 센서(150), 타이머(timer)(160) 및 제어 모듈(17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는 기존의 바 구동 장치(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기존의 바 구동 장치(10)를 교체하지 않고도 차단기 바만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는 기존의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와 별개로 전원 변환, 조도 감지, 각도 감지, 제어 등의 기능이 구현됨으로써, 기존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와 별개로 조명, 조명 제어, 밝기 제어, 동작 상태 감지 등의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는 야간 식별성을 높이고 절전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호환성이나 확장성을 가진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 몸체(110)는 그 일단이 바 몸체(110)의 동작을 구동하는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MPS 모듈(120)은 바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외장 또는 내장될 수 있다. SMPS 모듈(120)은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원을 LED 모듈(130)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SMPS 모듈(120)은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에 구비된 SMPS 모듈(미도시)로서 대체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경우 LED 모듈(130)은 차단기 바 구동 장치(10)에 구비된 SMPS 모듈(미도시)에 의해 전선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SMPS 모듈(120)은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의 호환성과 확장성을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 모듈(130)은 바 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며 SMPS 모듈(120)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ED 모듈(130)은 광을 운전자의 방향으로 방사하지 않고 지면의 하방으로 방사함으로써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행자들도 LED 모듈(130)의 광을 통해 쉽게 바 몸체(110)를 식별하여 보행자의 안전 사고도 방지된다.
또한, 바 몸체(110)가 위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중에 LED 모듈(130)의 광이 하방을 향하므로 운전자는 물론 보행자도 바 몸체(110)의 위치와 움직임을 보다 쉽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다.
조도 감지 센서(140)는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도 감지 센서(140)는 조도를 통해 주로 주야간을 식별하게 되며, 주간이라도 흐린날이나 비오는 날에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무엇보다도 조도 감지 센서(140)는 주간에는 LED 모듈(130)의 동작을 중지하고 어두운 야간에만 동작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없던 절전 효과를 구현하는 데 이용된다.
각도 감지 센서(140)는 바 몸체(110)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 감지 센서(140)는 기울기 각도를 소정 각도 단위로 감지하여 바 몸체(110)가 현재 어떠한 각도로 움직이거나 정지해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도 감지 센서(140)는 바 몸체(110)의 동작 상태나 현재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타이머(160)는 각도 감지 센서(140)에 의해 감지된 바 몸체(110)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타이머(160)는 어떠한 기울기 각도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바 몸체(110)가 정지 상태로 있는지 가늠하기 위한 구성이다.
타이머(160)에 의해 바 몸체(110)가 현재 오랫동안 차단 상태로 있는지 아니면 오랫동안 열린 상태로 있는지 인식할 수 있다.
제어 모듈(170)은 바 몸체(110)에 부착된 LED 모듈(130)의 점등과 밝기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어 모듈(170)은 기본적으로 조도 감지 센서(140)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LED 모듈(130)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야간이나 어두운 때에는 LED 모듈(130)을 점등 제어하고 주간이나 밝은 때에는 LED 모듈(130)을 소등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70)은 각도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LED 모듈(130)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 몸체(110)의 기울기가 0도로서 차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보다 그 밝기를 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바 몸체(110)의 기울기가 높아져 열린 상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LED 모듈(130)의 하방향의 광이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할 수 있으므로 그 밝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 모듈(170)은 각도 감지 센서(150)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바 몸체(110)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LED 모듈(130)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바 몸체(110)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LED 모듈(130)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100)는 경우에 따라 심야에 그 작동을 중지하고 바 몸체(110)를 열린 상태로 두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인위적인 작동 중지를 스스로 판단하여 LED 모듈(130)을 소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어 모듈(170)은 바 몸체(110)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타이머(160)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LED 모듈(130)을 소등하고, 바 몸체(110)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타이머(160)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LED 모듈(130)의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 몸체(110)가 열린 상태에서 10분 이상 지속되면 그 작동을 인위적으로 중지한 것으로 보고 LED 모듈(130)을 소등할 수 있고, 바 몸체(110)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도 대략 30분 이상 다른 동작이 없으면 LED 모듈(130)의 밝기를 대략 최대 밝기의 30% 정도로 낮추어 최소한의 적정한 밝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gate bar)에 구비된 조도 감지 센서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한다(S101).
다음으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이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압을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바(bar)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공급한다(S102).
다음으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제어 모듈이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한다(S103).
다음으로,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LED 모듈이 하방으로 광을 방사한다(S104).
다음으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각도 감지 센서가 바 몸체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한다(S105).
다음으로, 제어 모듈이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한다(S106).
이때,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바 몸체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 모듈이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바 몸체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타이머(timer)가 바 몸체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한다(S107).
다음으로, 바 몸체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LED 모듈을 소등하고, 바 몸체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LED 모듈이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한다(S108).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바 몸체
120: SMPS 모듈
130: LED 모듈
140: 조도 감지 센서
150: 각도 감지 센서
160: 타이머
170: 제어 모듈

Claims (8)

  1. 차단기 바(gate bar) 구동 장치에 장착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gate bar)에 있어서,
    바(bar) 몸체;
    상기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
    상기 바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SMPS 모듈로부터 DC 전원을 공급받아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 감지 센서;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는 각도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서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상기 바 몸체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상기 바 몸체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timer)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5.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gate bar)에 구비된 조도 감지 센서가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모듈이 차단기 바 구동 장치로부터 AC 전원을 공급받아 DC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DC 전압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바(bar)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LED(light emitting diode) 모듈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제어 모듈이 상기 조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이 하방으로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각도 감지 센서가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에 따른 기울기 각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따라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각도 감지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 각도에 의해 상기 바 몸체가 올라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모듈이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낮추고 상기 바 몸체가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LED 모듈의 밝기를 점점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에 구비된 타이머(timer)가 상기 바 몸체의 동작 상태별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올라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을 소등하고, 상기 바 몸체가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의해 상기 LED 모듈이 밝기를 소정 밝기로 줄여 광을 방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의 동작 방법.
KR1020150186552A 2015-12-24 2015-12-24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63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52A KR20170076378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552A KR20170076378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78A true KR20170076378A (ko) 2017-07-04

Family

ID=5935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552A KR20170076378A (ko) 2015-12-24 2015-12-24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3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781A (zh) * 2021-06-04 2021-10-08 滴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备超低功耗无线电通信功能的门禁开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7781A (zh) * 2021-06-04 2021-10-08 滴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备超低功耗无线电通信功能的门禁开关
CN113487781B (zh) * 2021-06-04 2022-06-21 滴翠智能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具备超低功耗无线电通信功能的门禁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3359B1 (ko) 가로등 디밍 제어 시스템
KR101255482B1 (ko) 교통신호 시스템
KR100962309B1 (ko) 횡단보도용 신호등 어셈블리
KR101843434B1 (ko) 맞춤식 조도 설정기능을 갖는 절전형 가로등 시스템
KR20120080442A (ko) 가로등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1007A (ko)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KR20100107618A (ko) 절전형 led 가로등
KR101219104B1 (ko) 횡단보도용 가로등 장치
KR102192593B1 (ko) 압전 블록을 이용한 보행 신호등 구동 제어 시스템
KR101943016B1 (ko) 도로 표지병 제어 장치
KR101184624B1 (ko) 디밍 기능을 갖는 횡단보도용 엘이디 투광등
KR100997539B1 (ko) 에너지 절약형 가로등
KR100682076B1 (ko) 도로 조명등장치
KR101270126B1 (ko) 횡단보도용 조명 제어장치 및 과속 단속시스템
KR20170076378A (ko) 스마트 절전 차단기 바 및 그 동작 방법
KR101899492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어 장치
JP2008269505A (ja) Led式交通信号灯器における制御機構
KR20120130424A (ko) 절전 시스템이 구비된 엘이디 가로등 및 그 절전 시스템
KR20080092796A (ko) 횡단보도 조명강도 자동조절 시스템
KR20140022324A (ko) 보행자를 위한 횡단보도 조명 장치
KR20200127570A (ko) 배터리 잔량에 의한 밝기제어와 보행자 및 신호대기자 조사가 가능한 태양광 횡단보도 조명시스템
KR20210007729A (ko) 보안등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15178B1 (ko) 엘이디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373784B2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130064282A (ko) 절전형 led 가로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