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327A -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327A
KR20170076327A KR1020150186451A KR20150186451A KR20170076327A KR 20170076327 A KR20170076327 A KR 20170076327A KR 1020150186451 A KR1020150186451 A KR 1020150186451A KR 20150186451 A KR20150186451 A KR 20150186451A KR 20170076327 A KR20170076327 A KR 20170076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il
wire
support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탁
Original Assignee
(주)세아특수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특수강 filed Critical (주)세아특수강
Priority to KR102015018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6327A/ko
Publication of KR20170076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1/00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 C23G1/02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with solutions or molten salts with aci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1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by di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5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5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 C23G3/026Details of the apparatus, e.g. linings or sealing means for guiding the obje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재코일을 효과적으로 산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는, 상기 후크본체(23b)에 선재코일(1)을 걸고, 상기 크레인(20)을 이동시켜 상기 선재코일(1)이 상기 저수탱크(10)의 염산액에 잠기도록 하면, 상기 후크(23)의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4)를 구동시키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이에 따라, 상기 후크(23)와 후크(23)에 걸려진 선재코일(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10)에 저장된 염산액이 함께 진동되어 상기 선재코일(1)의 틈 사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게 됨으로, 선재코일(1)에서 선재가 밀착된 부위까지 염산액이 침투하여, 선재코일(1) 전체에 균일하게 산세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pickling apparatus having vibrator}
본 발명은 선재코일을 효과적으로 산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을 통해 생산된 선재는 코일형태로 감은 상태로 운반이나 보관된다.
한편, 이러한 코일형태로 감긴 선재, 즉, 선재코일을 출하할 때는, 선재코일을 염산액에 침적하여 선재코일에 발생된 스케일이나 녹 또는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는 산세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선재코일을 산세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선재코일을 들어올린 후, 염산액이 저장된 저수탱크에 상기 선재코일이 침적되도록 하여, 선재코일을 산세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재코일은 길이가 긴 선재를 코일형태로 벤딩한 것임으로, 감겨진 선재가 상호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재코일을 단순히 염산액에 침적하기만 할 경우, 선재가 밀착된 부위까지는 염산액이 침투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산세가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543883호, 등록특허 10-114385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재코일을 효과적으로 산세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재를 코일형태로 감아 구성된 선재코일(1)을 산세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염산액이 저장된 저수탱크(10)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크레인(20)과,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에 올려져 가이드레일(2)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 대차(21)와, 상기 대차(21)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22a)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권상장치(22)와,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23)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23)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단부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후크안착대(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바(23a)와, 상기 수평바(23a)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본체(23b)로 구성되며, 상기 후크안착대(30)는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하부후크안착대(31)와,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후크안착대(32)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와 하부후크안착대(3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3)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구비되어 상부후크안착대(32)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31a)와, 상기 수직바(31a)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바(31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3)는 상하면이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과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고정된 에어백을 이용하며,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어 전후단이 상기 탄성부재(33)의 상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구비된 상부지지판(35)과,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에 구비되고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36)과, 상기 상부지지판(35)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관통공(36a)을 통해 상기 하부지지판(36)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봉(37)과, 상기 지지봉(37)의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38)와, 상기 스토퍼(38)와 상기 하부지지판(3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봉(3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는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올려진 수평바(23a)의 양단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a,32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2a,32b)는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재(32a)와, 상기 측면지지부재(32a)에 비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단부지지부재(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의 바이브레이터(3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구동되어, 상기 후크(23)에 결려진 선재코일(1)이 측방향으로 진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는, 상기 후크본체(23b)에 선재코일(1)을 걸고, 상기 크레인(20)을 이동시켜 상기 선재코일(1)이 상기 저수탱크(10)의 염산액에 잠기도록 하면, 상기 후크(23)의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4)를 구동시키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이에 따라, 상기 후크(23)와 후크(23)에 걸려진 선재코일(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10)에 저장된 염산액이 함께 진동되어 상기 선재코일(1)의 틈 사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게 됨으로, 선재코일(1)에서 선재가 밀착된 부위까지 염산액이 침투하여, 선재코일(1) 전체에 균일하게 산세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후크안착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후크안착대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후크안착대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후크안착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의 후크안착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산세장치는 선재를 코일형태로 감아 구성된 선재코일(1)을 이송하여 산세를 하도록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염산액이 저장된 저수탱크(10)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크레인(20)과,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로 구성된다.
상기 저수탱크(10)는 바닥면(4)에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에는 내부에 저장된 염산액을 배출하는 드레인(11)이 구비된다.
상기 크레인(20)의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에 올려져 상기 선재코일(1)을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지지프레임(3)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에 올려져 가이드레일(2)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 대차(21)와, 상기 대차(21)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22a)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권상장치(22)와,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23)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23)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단부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후크안착대(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바(23a)와, 상기 수평바(23a)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본체(23b)로 구성된다.
상기 후크안착대(3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하부후크안착대(31)와,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후크안착대(32)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와 하부후크안착대(3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3)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구비되어 상부후크안착대(32)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34)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31a)와, 상기 수직바(31a)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바(31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31a)는 하단이 상기 바닥면(4)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어 전후단이 상기 탄성부재(33)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는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올려진 수평바(23a)의 양단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a,32b)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32a,32b)는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재(32a)와, 상기 측면지지부재(32a)에 비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단부지지부재(32b)로 구성되어, 상기 수평바(23a)의 단부를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놓으면, 상기 수평바(23a)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2a,32b)에 의해 둘러 쌓여져 상기 바이브레이터(34)에 의해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될 때, 수평바(23a)의 단부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33)는 상하면이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과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고정된 에어백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에어백의 상하면에는 금속재의 평판(33a)이 구비되어, 상기 평판(33a)을 상, 하부후크안착대(31)를 관통하여 상기 평판(33a)에 결합되는 볼트(33b)에 의해 상기 상, 하부후크안착대(31)에 고정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34)는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무게추를 편심지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구동모터로 무게추를 회전시키면 고속의 진동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기 탄성부재(33)에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진동된다.
이때, 상기 저수탱크(10) 양측의 후크안착대(30)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34)는 동시에 상호 동일한 타이밍으로 진동되도록 하여, 양측의 후크안착대(30)에 구비된 상부후크안착대(32)가 동시에 승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3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는 상부지지판(35)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에는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36)이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판(35)과 하부지지판(36)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판(35)에는 하단부가 상기 관통공(36a)을 통해 상기 하부지지판(36)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봉(37)이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37)의 하단에는 스토퍼(38)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37)의 외측에는 상기 스토퍼(38)와 상기 하부지지판(3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압축코일스프링(39)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4)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진동될 때, 상기 지지봉(37)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만 진동되도록 안내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9)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산세장치는, 상기 후크본체(23b)에 선재코일(1)을 걸고, 상기 크레인(20)을 이동시켜 상기 선재코일(1)이 상기 저수탱크(10)의 염산액에 잠기도록 하면, 상기 후크(23)의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평바(23a)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바이브레이터(34)를 구동시키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되면서, 이에 따라, 상기 후크(23)와 후크(23)에 걸려진 선재코일(1)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10)에 저장된 염산액이 함께 진동되어 상기 선재코일(1)의 틈 사이로 효과적으로 침투하게 됨으로, 선재코일(1)에서 선재가 밀착된 부위까지 염산액이 침투하여, 선재코일(1) 전체에 균일하게 산세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구비된 상부지지판(35)과,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에 구비되고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36)과, 상기 상부지지판(35)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관통공(36a)을 통해 상기 하부지지판(36)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봉(37)과, 상기 지지봉(37)의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38)와, 상기 스토퍼(38)와 상기 하부지지판(3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봉(3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39)이 구비되어, 상기 바이브레이터(34)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진동될 때, 상기 지지봉(37)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만 진동되도록 안내되며, 상기 압축코일스프링(39)에 의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과도하게 상측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가 일정한 진폭을 유지하면서 상하방향으로만 진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는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올려진 수평바(23a)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a,32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2a,32b)는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재(32a)와, 상기 측면지지부재(32a)에 비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23a)의 단부를 지지하는 단부지지부재(32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바(23a)의 단부를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올려놓으면, 상기 수평바(23a)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재(32a,32b)에 의해 둘러 쌓여져, 상기 바이브레이터(34)에 의해 상부후크안착대(32)가 상하방향으로 진동될 때, 수평바(23a)의 단부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수탱크(10) 양측의 후크안착대(30)에 구비된 바이브레이터(34)는 동시에 상호 동일한 타이밍으로 진동되도록 하여, 양측의 후크안착대(30)에 구비된 상부후크안착대(32)가 동시에 승강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의 바이브레이터(3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의 바이브레이터(34)는 동시에 구동되지 않고, 어느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측의 바이브레이터(34)만 구동될 경우, 일측의 상부후크안착대(32)만 승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23)와 후크(23)에 걸려진 선재코일(1)의 일단만 승강됨으로, 상기 선재코일(1)이 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진동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바와 같이, 양측의 바이브레이터(34)가 동시에 구동되어 선재코일(1) 전체가 승강되도록 하는 작업과, 일측의 바이브레이터(34)만이 구동되어 선재코일(1)이 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도록 진동되도록 하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저수탱크(10)에 저장된 염산액이 상기 선재코일(1)을 구성하는 선재사이의 틈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침투되도록 할 수 있다.
10. 저수탱크 20. 크레인
30. 후크안착대

Claims (5)

  1. 선재를 코일형태로 감아 구성된 선재코일(1)을 산세하는 것으로,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염산액이 저장된 저수탱크(10)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선재코일(1)을 이송하는 크레인(20)과,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를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20)은
    상기 저수탱크(1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2)에 올려져 가이드레일(2)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구성된 대차(21)와,
    상기 대차(21)에 구비되어 와이어로프(22a)를 감거나 풀 수 있도록 된 권상장치(22)와,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하단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23)로 구성되고,
    상기 후크(23)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로프(22a)의 단부에 결합되며 양단이 상기 후크안착대(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바(23a)와,
    상기 수평바(23a)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선재코일(1)을 걸 수 있도록 된 후크본체(23b)로 구성되며,
    상기 후크안착대(30)는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하부후크안착대(31)와,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의 상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 하측면을 지지하는 상부후크안착대(32)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와 하부후크안착대(31)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33)와,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에 구비되어 상부후크안착대(32)를 상하방향으로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크안착대(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호 전후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수직바(31a)와,
    상기 수직바(31a)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개의 수평바(31b)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3)는 상하면이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과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고정된 에어백을 이용하며,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바형태로 구성되어 전후단이 상기 탄성부재(33)의 상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하측면에 구비된 상부지지판(35)과,
    상기 수직바(31a)의 상단에 구비되고 둘레부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36a)이 형성된 하부지지판(36)과,
    상기 상부지지판(35)에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하단부는 상기 관통공(36a)을 통해 상기 하부지지판(36)의 하측으로 연장되는 지지봉(37)과,
    상기 지지봉(37)의 하단에 구비된 스토퍼(38)와,
    상기 스토퍼(38)와 상기 하부지지판(36)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봉(37)의 외측에 결합된 압축코일스프링(39)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는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올려진 수평바(23a)의 양단 둘레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2a,32b)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2a,32b)는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상면에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재(32a)와,
    상기 측면지지부재(32a)에 비해 상기 상부후크안착대(32)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평바(23a)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단부지지부재(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탱크(10)의 양측에 구비된 후크안착대(30)의 바이브레이터(34)는 서로 번갈아 가면서 구동되어, 상기 후크(23)에 결려진 선재코일(1)이 측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진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KR1020150186451A 2015-12-24 2015-12-24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KR20170076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51A KR20170076327A (ko) 2015-12-24 2015-12-24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51A KR20170076327A (ko) 2015-12-24 2015-12-24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327A true KR20170076327A (ko) 2017-07-04

Family

ID=5935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451A KR20170076327A (ko) 2015-12-24 2015-12-24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63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33B1 (ko) * 2018-02-23 2018-04-25 (주)토인 방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방청방법
KR20190101843A (ko) * 2018-04-10 2019-09-02 (주)토인 금속재 방청방법
KR20190101844A (ko) * 2018-04-10 2019-09-02 (주)토인 방청장치
KR102290319B1 (ko) * 2021-04-26 2021-08-19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진동기를 갖는 산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133B1 (ko) * 2018-02-23 2018-04-25 (주)토인 방청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속재 방청방법
KR20190101843A (ko) * 2018-04-10 2019-09-02 (주)토인 금속재 방청방법
KR20190101844A (ko) * 2018-04-10 2019-09-02 (주)토인 방청장치
KR102290319B1 (ko) * 2021-04-26 2021-08-19 신우이엔지 주식회사 진동기를 갖는 산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6327A (ko) 진동장치가 구비된 산세장치
KR101267115B1 (ko) 용접 와이어의 수납 방법
JPH05508744A (ja) 複数の孔を有する被処理製品をその湿式化学処理時、例えば電気メッキ時に運動させる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施する装置
JP2011042866A (ja) メッキ用搬送装置
JP6020429B2 (ja) 鋼板吊具及び鋼板吊下方法
RU2008141979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596951B2 (en) Shaker table
CN205346154U (zh) 一种输送支承架
CN205500106U (zh) 一种摆动装置
KR101479442B1 (ko) 습식표면처리 라인용 캐리어
CN205496162U (zh) 一种工件清洗设备
CN211679048U (zh) 晶圆湿制程设备中晶圆清洗用挂篮抖动装置
CN208601542U (zh) 一种输送鸡蛋的蛋爪
CN210122344U (zh) 卧式设备框架内移动用工装
CN205500107U (zh) 一种动力摆动装置
US6508450B2 (en) Hanging and transport device
JP3963322B2 (ja) 長尺材料の移送装置
CN205366880U (zh) 一种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
KR100792222B1 (ko) 통신 중계기용 테스트 거치대
CN205500108U (zh) 自动化生产振动输送机底座
CN216104761U (zh) 自动下料机构
JP6851592B2 (ja) キャリア式めっき装置
JPH06212465A (ja) 酸洗装置
CN216989822U (zh) 一种大型球墨铸铁件悬空除尘设备
CN216369244U (zh) 一种便于清洗的硅棒安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6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2

Effective date: 2018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