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234A -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234A
KR20170076234A KR1020150186261A KR20150186261A KR20170076234A KR 20170076234 A KR20170076234 A KR 20170076234A KR 1020150186261 A KR1020150186261 A KR 1020150186261A KR 20150186261 A KR20150186261 A KR 20150186261A KR 20170076234 A KR20170076234 A KR 20170076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el sheet
alloy
coating
alloy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725B1 (ko
Inventor
양지훈
정재인
정용화
김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8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25B1/ko
Priority to US16/064,705 priority patent/US20190001623A1/en
Priority to CN201680075926.4A priority patent/CN108463574A/zh
Priority to PCT/KR2016/015248 priority patent/WO2017111561A1/ko
Priority to EP16879428.7A priority patent/EP3396017A4/en
Priority to JP2018533192A priority patent/JP6744413B2/ja
Publication of KR20170076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25B1/ko
Priority to US16/790,061 priority patent/US20200180272A1/en
Priority to US17/217,219 priority patent/US1173139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4Metallic material, boron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24Vacuum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5Sputtering by application of a magnetic field, e.g. magnetron sput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06Therm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8/0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23C8/60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solids, e.g. powders, pastes
    • C23C8/62Solid state diffusion of only non-metal elements into metallic material surfaces; 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gas,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using solids, e.g. powders, pastes only one element being appli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Other Surface Treatments For Metallic Materials (AREA)

Abstract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강판;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합금 코팅 강판이되, 상기 코팅층은,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ALLOY-COAT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은 풍부한 자원과 우수한 특성 및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산업적으로 가장 폭 넓게 이용되는 금속이다. 철은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기 중에서 부식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철의 부식은 철과 산소 또는 물이 전기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철 이온이 용출하는 현상으로 이러한 반응이 진행되면 용출된 부분에 철의 산화물(FeOOH)이 생성되는데, 이것을 녹이라고 부른다. 철의 녹은 다양한 화학양론의 산화물 및 수산화물로 이루어지며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산화가 일어나는 것이 철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철은 여러 가지 형태로 가공하여 사용되는데, 자동차나 건자재 및 가전 제품의 경우 냉간 압연된 강판 즉, 냉연강판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표적인 것이 강판의 표면에 다른 금속을 도금하는 것이다. 도금 피막의 종류는 희생방식형 피막과 차단방식형 피막으로 나눌 수 있다. 희생방식형 피막에는 아연이나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과 같이 철보다 산화가 용이하고, 녹이 발생하기 쉬운 금속을 피복하는 것으로 피복한 금속이 우선적으로 부식되어 강판을 보호해 준다. 차단방식형 피막은 납이나 주석 등 강판보다 부식하기 어려운 금속으로 피복하여 물과 산소가 철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이다.
현재 강판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가장 널리 행해지고 있는 것이 아연도금이다. 아연도금 강판이 개발된 이후 내식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었는데 그 중의 하나가 아연 합금을 피복하는 것이다. 합금을 이용한 고내식성 물질계로는 Zn-Al, Zn-Ni, Zn-Fe, Zn-Al-Mg 등이 있다. 이러한 아연 또는 아연합금도금강판은 자동차를 비롯하여 건자재 및 가전제품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 또한 강판의 부식 방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알루미늄은 아연과는 달리 그 응용분야가 더욱 다양하다. 알루미늄 피막은 색상이 미려하고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화장품 케이스나 액세서리 등의 장식용 피막은 물론 반도체의 도전막, 자성재료나 강판의 보호피막, 온열 계통의 가전제품, 자동차용 머플러 등의 코팅에 이용되고 있다.
알루미늄의 피막은 진공코팅이나 전기도금 또는 용융도금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전기도금의 경우는 그 효율이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 용융도금법과 진공코팅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알루미늄 도금강판은 내식성이 우수한 반면 피막에 결함이 발생하면 그 부위에서 집중적으로 부식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는데, 이는 알루미늄이 아연에 비해 희생방식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의 경우 두께를 15미크론(㎛) 이상으로 두껍게 하여 이를 극복하고 있다.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은 또한 고온에서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계면에 Al-Fe-Si 합금이 만들어지면서 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진공코팅을 이용한 알루미늄 피막은 대부분의 용도에서는 두께를 얇게 하여 응용이 되고 있으며 내식성 코팅에 있어서도 수 미크론 정도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알루미늄 피막의 경우 두께가 수 미크론 이하가 되면 염수분무시험에서 72시간 정도에서 적청이 발생한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내식성 코팅으로 강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특성 향상이 필요하다. 또한 아연에 비해 희생방식 특성이 약하기 때문에 한번 적청이 발생하면 짧은 시간에 전체로 퍼져가는 단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강판 상에 희생방식형 합금 피막을 형성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고내식성 특성을 갖는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강판;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합금 코팅 강판이되, 상기 코팅층은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코팅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2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2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Fe-Si 합금층; 및 상기 Al-Fe-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여 Mg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는 단계;의 코팅은, 물리기상증착(PVD)으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Fe-Si 합금층; 및 상기 Al-Fe-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강판 상에 희생방식형 합금 피막을 형성하여, 얇은 두께에서도 고내식성 특성을 갖는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금 코팅 강판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금 코팅 강판의 코팅층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합금 코팅 강판 시편에 대한 글로우 방전 분광기(glow discharge light spectroscopy: GDLS)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X-선 회절(X-ray diffraction: XRD) 분석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합금 코팅 강판 시편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의 "상부"에 있다고 하거나,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의 "상부"에 있다고 하거나,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A 층"은, 해당 층이 A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A를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별다른 정의가 없는 한, "A-B합금층" 은, 해당 층이 A-B합금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뿐만 아니라, A-B합금을 포함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최근, 상기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리콘이 함유된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에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내식성과 함께 희생방식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 용융도금으로 Al-Mg-Si 도금강판을 제조하여 내식성이 우수한 코팅강판을 제조하려는 연구가 있다. 그러나 용융도금 방식으로 제조하는 경우, Mg 함량 제어에 한계가 있고 20g이하 박도금의 경우 내식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Mg2Si 합금상이 내식성 향상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 경우 Mg이 6%내외의 좁은 범위에서만 특성이 향상되는 문제가 있다. Al-Mg-Si 도금강판은 Mg2Si상이 도금층에 형성되어 우수한 내식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g2Si상은 도금층 내에 면적비로 0.5% 이상, 및 30% 이하, Mg2Si상의 장경은 10 ㎛ 이하일 때 Al-Mg-Si 도금강판의 내식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용융도금 방법으로 제작되는 Al-Mg-Si 도금강판은 제작 공정상 Mg 함량 조절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일정 함량 이상의 Mg 함량(약 15% 이상)을 갖는 Al-Mg-Si 도금강판을 제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또 다른 예로, 알루미늄이 코팅된 기판을 진공 중에서 350℃ 이상, 및 500℃ 이하로 가열한 상태에서 Mg을 증착하여 Al-Mg 합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진공 중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기판에 Mg을 증착하므로 증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으며 Al-Mg-Si 층에 대해서는 정확한 합금상에 따른 특성변화 자료가 제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이 갖는 문제점 및, Al-Mg 합금 강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Mg를 용융도금강판 위에 물리기상증착 방법으로 코팅하기 때문에 Al-Mg-Si 코팅층의 Mg 함량 제어에 한계가 없고 다양한 코팅층의 구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실리콘이 함유된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에 마그네슘을 증착하여 열처리를 통해 다층형의 합금 피막을 형성하여 희생방식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얇은 두께에서도 고내식성 특성을 가지는 합금코팅 강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합금 코팅 강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여 Mg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은,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도금층 총량 100중량%에 대하여, Si : 8중량% 이상, 및 10중량% 이하; Al : 88중량% 이상, 90중량% 이하; 및 잔부인 Fe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도금층은, 알루미늄 도금시 형성된 Al-Fe-Si 합금층, 및 Al-Si 합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합금층들은 강판상에 Al-Fe-Si 합금층, 및 Al-Si 합금층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l-Fe-Si 합금층은, Al 도금강판 제조시, 강판 내 Fe가 Al-Si도금층 내로 확산해 들어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는 단계;의 코팅은, 물리기상증착(PVD)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기부양 물리기상증착(EML-PVD)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자빔 증발장치, 열 증발장치, 스퍼터링 소스 등 물리적인 방법으로 Mg 증착이 가능하다면, 다양한 방법을 채용하여 Mg를 코팅할 수 있다.
상기 합금 도금 강판의 제조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에서의 열처리 방법은, 유도가열 장치에 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다른 열처리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 방식 이외의 방식으로 열처리를 실시하면, 열처리 방법에 따라 열처리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강판 표면으로부터 순서대로 Mg 층(또는 Al-Mg 합금층)/Al-Mg-Si 합금층/Al-Si 합금층/Al-Fe-Si 합금층 형태의 층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각각의 층에 존재하는 금속 또는 합금이, 부식을 일으키는 물질이 강판까지 도달하는 것을 차단(Al-Si)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희생방식성(Mg, Al-Mg-Si, Al-Mg)에 따른 부식방지로, 순차적인 방식으로 부식을 막아줄 수 있다. 그 결과 물리적인 차단 방식, 또는 희생방식성 등 단일한 방식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알루미늄 또는 아연 도금층보다 우수한 내부식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강판 표면부터 순서대로 Al-Mg-Si 합금층/Al-Si 합금층/Al-Fe-Si 합금층 형태의 층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각각의 층에 존재하는 금속 또는 합금이, 부식을 일으키는 물질이 강판까지 도달하는 것을 차단(Al-Si)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희생방식성(Al-Mg-Si)에 따른 부식 방지로, 순차적인 방식으로 부식을 막아줄 수 있다. 그 결과, 물리적인 차단 방식, 또는 희생방식성 등 단일한 방식으로 부식을 방지하는 일반적인 알루미늄 또는 아연 도금층보다 우수한 내부식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금 코팅 강판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합금 코팅 강판의 예시적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의 장치는, 연속코팅 장치로, 대기 중에서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17)을 공급하는 강판 공급장치(11), 진공 중에서 강판을 전처리할 수 있는 역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소스(Inverse Magnetron Source)(12), 전처리 후에 Mg를 코팅하는 물리기상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장치(13), 그리고 대기 중으로 배출된 강판을 열처리할 수 있는 유도가열 장치(14), 열처리된 코팅강판을 다시 되감는 강판 배출장치(15)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기상증착 장치(13)는 전자기부양(electromagnetic levitation; EML) 소스일 수 있다. 역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소스(12)와 물리기상증착 장치(13)는 진공용기(16) 내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를 이용하는 예시적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17)을 준비하고, 상기 강판의 표면 위에 묻어 있는 방청유와 같은 잔류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알카리 탈지를 실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강판을 강판 공급장치(11)를 통해 이송시키면서 진공용기(16)에 공급한다. 그 다음, 진공용기(16) 내에 설치된 역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소스(12)에 전력을 인가하여 강판 표면 청정을 실시할 수 있다.
청정을 완료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송시키면서, 진공용기(16) 내에 설치된 전자기부양 소스(13)를 통해 Al 도금층 상에 Mg를 진공코팅할 수 있다.
코팅이 완료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송시켜 대기중으로 배출 한 뒤, 대기중에서 유도가열장치(14)를 이용하여 일정 온도 및 시간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
열처리가 완료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송시켜 제조된 합금 코팅 강판을 수득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합금 코팅 강판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현예는, 강판;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합금 코팅 강판이되, 상기 코팅층은,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을 제공한다.
상기 강판은 냉연강판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저온의 온도에서 열처리 하는 경우, 강판 표면의 Mg 코팅층의 Mg 일부가 알루미늄 도금층 내로 확산될 수 있으며, 확산되지 않은 Mg는 표면에 남아 Mg 층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또는, 표면의 Mg층은 사라지고, 표면에 Al-Mg 합금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은, Mg 함량이 Al 함량과 비교하여 높을 때 생성되는 Al12Mg17 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표면의 Mg 층, 또는 Al12Mg17상을 포함하는 Al-Mg 합금층을 포함함으로써 도금층의 차단 방식에 의한 내식성과 더불어 희생방식성이 부여되어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내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2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2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한 결과 표면 Mg가 코팅층 내부로 확산되는 양이 증가하여 표면 Mg 코팅층이 사라지고, Mg 가 Al-Si 합금층으로 보다 깊숙이 확산되기 때문에 Mg 함량이 Al 함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에, Mg 함량이 높을 때 생성되는 Al12Mg17상이 사라지고 Al3Mg2상이 형성된다. 또한, 높은 Mg 함량으로 Si 및 Mg가 반응하여 Mg2Si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Mg2Si상, 및 Al3Mg2상을 포함하는 Al-Mg-Si 합금층;이 형성됨으로써, 희생방식성이 증가되어 도금 강판의 내식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내식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은, 강판에 알루미늄 도금시 형성된 Al-Fe-Si 합금층, 및 Al-Si 합금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합금층들은 강판상에 Al-Fe-Si 합금층, 및 Al-Si 합금층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l-Fe-Si 합금층은, Al 도금강판 제조시, 강판 내 Fe가 Al-Si도금층 내로 확산해 들어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열처리 온도 범위 조절에 따라 형성될 수 있는 합금 코팅 강판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체적인 합금 코팅 강판의 구조를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20은 냉연강판, 21은 Al-Fe-Si 합금층, 그리고 22는 Al-Si 합금층을 나타내며 25는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의 일반적인 구조이다. 또한 2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형성된 코팅층이다.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 위에 Mg를 코팅한 후 300℃로 열처리하면 도 2의 (a)와 같이 표면의 Mg 코팅층이 Al-Si 합금층(22)과 반응하여 Al-Mg-Si 합금층(23)을 형성한다. 300℃의 열처리 온도에서는 표면에 Mg가 그대로 남아 있으며 Al-Si 합금층도 존재하는 3층 구조를 보인다.
도 2의(b)는 Mg를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 위에 코팅한 후 375℃에서 열처리한 코팅층 구조의 개략도이다.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 위에 코팅된 Mg가 375℃에서 열처리하면 모두 Al-Si 합금층(22)으로 확산된다. 표면에 존재하는 Mg 코팅층의 Mg가 Al-Si 합금층으로 모두 확산 되어 Mg 층이 사라지고, Al-Mg-Si 합금층(23) 및 Al-Si층(22)만 남게된다. 하지만 Mg가 Al-Si-Fe 합금층과의 계면까지 확산되지 않으며 Al-Si 합금층이 남아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
실시예 1
냉연강판 상에 Si 9 중량%, Al 88 중량%, 및 잔부로 Fe를 포함하는 Al 도금층이 편면도금량 15g/m2 형성된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였다. Al 도금층의 두께는 약 6 um이었다.
상기 강판의 표면 위에 묻어 있는 방청유와 같은 잔류 오일을 제거하기 위해 알카리 탈지를 실시하였다.
이후, 상기 강판을 강판 공급장치를 통해 진공용기에 공급하면서, 진공용기 내에 설치된 역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소스로 강판 표면 청정을 실시하였다.
청정을 완료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동시키면서, 진공용기 내에 설치된 전자기부양 소스를 통해 Al 도금층 상에 Mg를 0.5um 두께로 진공코팅하였다.
코팅이 완료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동시켜 대기중으로 배출 한 뒤, 대기중에서 유도가열장치를 이용하여 375℃로 열처리하였다. 열처리가 완료된 후 계속해서 강판을 이송시켜 제조된 합금 코팅 강판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Mg을 1um 두께로 진공코팅하고, 열처리를 300℃로 수행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금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Mg을 1um 두께로 진공코팅하고, 열처리를 375℃로 수행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금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Mg을 1.5um 두께로 진공코팅하고, 열처리를 375℃로 수행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합금 코팅 강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강판 상에 Si 9 중량%, Al 88 중량%, 및 잔부로 Fe를 포함하는 Al 도금층이 편면도금량 15g/m2 형성된 용융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편면 도금량 40g/m2의 전기 아연도금강판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3
편면 도금량 137.5g/m2의 용융 아연도금강판을 준비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시편들에 대한 정보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도금 물질 도금량
(편면,g/m2)
코팅 물질 코팅 두께
(um)
열처리 온도
(℃)
실시예 1 Al-Si 15 Mg 0.5 375
실시예 2 Al-Si 15 Mg 1.0 300
실시예 3 Al-Si 15 Mg 1.0 375
실시예 4 Al-Si 15 Mg 1.5 375
비교예 1 Al-Si 15 - - -
비교예 2 Zn 40 - - -
비교예 3 Zn 137.5 - - -
실험예
실험예 1 : 글로우 방전 분광기 분석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합금 코팅 강판에 대하여 글로우 방전 분광기(장치명 : GDS 850A , 제조사 : NECO )를 이용하여 강판 상에 형성된 코팅층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31은 Mg, 32는 Al, 33은 Si, 34는 Fe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300℃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실시예 2의 합금 도금 강판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이를 통해, 코팅층 표면에 Mg가 존재하지만 일부 Mg가 Al-Si 합금층으로 확산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의 (b)는 375℃에서 열처리를 수행한 실시예 3의 합금 도금 강판에 대한 분석 결과이다. 이를 통해,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 위에 코팅된 Mg가 모두 Al-Si 합금층으로 확산된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Mg가 Al-Si-Fe 합금층과의 계면까지 확산되지 않았으며 Al-Si 합금층이 남아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XRD 분석 결과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합금 코팅 강판에 대하여 X-Ray 회절 장치(장치명 : D/MAX-2500V-PC , 제조사 : Rigaku )를 이용하여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3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2는 Mg상, Al상 그리고 Al12Mg17상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확산 열처리 온도 300℃에서는 Mg가 코팅층 최상층에 그대로 남아있고 일부가 Al-Si 합금층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Mg상과 Al상 , 그리고 Mg 함량이 Al 함량과 비교하여 높을 때 생성되는 Al12Mg17상이 관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75℃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3은 Mg상이 관찰되지 않으며 Al상, Al3Mg2상 그리고 Mg2Si상이 혼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Mg상이 관찰되지 않는 것은 Al-Si 합금층으로 모두 확산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Al-Si 합금층에 존재하는 Si과 Mg가 반응하여 Mg2Si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375℃에서 열처리하면 Mg가 Al-Si 합금층으로 보다 깊이 확산되어 Mg 함량이 Al 함량과 비교하여 낮아지며 이로 인해서 Mg 함량이 높을 때 생성되는 Al12Mg17상이 사라지고 Al3Mg2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3 :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 사진 관찰
도 5는 1um의 Mg를 코팅한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의 열처리 전과 열처리 후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5의 (a)는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 위에 Mg를 코팅하고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강판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냉연강판(51), Al-Fe-Si 합금층(52), Al-Si 합금층(53) 그리고 Mg 코팅층(54)을 구분할 수 있다.
도 5의 (b)는 375℃에서 열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3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 Mg 코팅층(54)과 Al-Si 합금층(53)의 계면이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Mg가 Al-Si 합금층으로 확산하여 Al-Mg-Si 합금층(55)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내식성 평가
상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강판 시편에 대하여 염수분무시험(ASTM B-117) 방법을 이용하여 초기 적청발생 시간을 기준으로 표면 내식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도금 물질 도금량
(편면,g/m2)
코팅 물질 코팅 두께
(㎛)
열처리 온도
(℃)
적청발생 시간
(시간)
실시예 1 Al-Si 15 Mg 0.5 375 1536
실시예 2 Al-Si 15 Mg 1.0 300 432
실시예 3 Al-Si 15 Mg 1.0 375 1464
실시예 4 Al-Si 15 Mg 1.5 375 1536
비교예 1 Al-Si 15 - - - 48
비교예 2 Zn 40 - - - 24
비교예 3 Zn 137.5 - - - 96
열처리를 실시한 Al-Mg-Si 코팅강판은 Mg 코팅층 두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염수분무시험을 시작한지 약 1464~1536 시간 후에 적청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g가 코팅되지 않은 비교예 1의 용융알루미늄 도금강판과 비교하여 30배 이상 향상된 내식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375℃에서 열처리된 시편이 300℃에서 열처리된 시편보다 비교적 우수한 내식성을 보였다.
코팅층 구조로는 Al-Mg-Si 합금층과 Al-Si 합금층이 공존하는 구조이며 코팅층에 Al상, Al3Mg2상 그리고 Mg2Si상이 적절한 비율로 섞여 있을 때 가장 우수한 내식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5 : 코팅층 내의 Mg의 함량 분포 분석
글로우 방전 분광기로 코팅층을 분석하면 코팅층 표면에서 코팅층과 강판의 계면 방향으로 Mg 함량을 수치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코팅층의 글로우 방전 분광 결과를 보면 Al-Fe-Si 층을 제외하고 3 층 구조를 갖는 코팅층은 순수한 Mg 층과 Al-Mg 층에 대부분의 Mg 가 분포하고 있다. Al-Fe-Si 층을 제외하면 전체 두께의 약 20%를 차지하는 코팅층 표면에 90 중량%의 Mg 가 분포하고 있다.
Al-Fe-Si 층을 제외하고 2 층 구조를 갖는 코팅층은 Al-Fe-Si 층을 제외하면 전체 두께의 약 40%를 차지하는 코팅층에 평균 40 중량%의 Mg 가 분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 : 강판 공급장치 12 : 역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소스
13 : 물리기상증착 장치 14 : 유도가열 장치
15 : 강판 배출장치 16 : 진공용기
17 :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 20 : 냉연강판
21 : Al-Si-Fe 합금층 22 : Al-Si 합금층
23 : Al-Mg-Si 합금층 24 : Mg 코팅층
25 : 용융 알루미늄 도금강판 26 : 코팅층
31 : 마그네슘(Mg) 32 : 알루미늄(Al)
33 : 실리콘(Si) 34 : 철(Fe)
51 : 냉연강판 52 : Al-Fe-Si 합금층
53 : Al-Si 합금층 54 : Mg 코팅층
55 : Al-Mg-Si 합금층

Claims (12)

  1. 강판;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코팅층;을 포함하는 합금 코팅 강판이되,
    상기 코팅층은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2. 제 1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3. 제 1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3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3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4. 제 1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2개의 층으로 구분되고,
    상기 2개의 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5. 제 1항에서,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상에 위치하는 Al-Fe-Si 합금층; 및 상기 Al-Fe-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
  6.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여 Mg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서,
    상기 Mg가 코팅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열처리하여 Mg를 상기 도금층으로 확산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2개, 또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은 Al, Si, 및 Mg 중 1종의 상,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포함하는 합금 상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 방법.
  8. 제 7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Mg 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 방법.
  9. 제 7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및
    상기 Al-Mg-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 방법.
  10. 제 7항에서,
    상기 코팅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을 포함하는 도금층 상에 형성된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이고,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2개의 층으로 구분되는 코팅층은,
    상기 도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 및
    상기 Al-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Mg-Si 합금층; 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 방법.
  11. 제 6항에서,
    상기 알루미늄 도금 강판 상에 Mg를 코팅하는 단계;의 코팅은,
    물리기상증착(PVD)으로 수행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12. 제 6항에서,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도금 강판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Al을 포함하는 도금층은,
    상기 강판의 일면 또는 양면 상에 위치하는 Al-Fe-Si 합금층; 및 상기 Al-Fe-Si 합금층 상에 위치하는 Al-Si 합금층;을 포함하는 것인,
    합금 코팅 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50186261A 2015-12-24 2015-12-24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89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61A KR101789725B1 (ko) 2015-12-24 2015-12-24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US16/064,705 US20190001623A1 (en) 2015-12-24 2016-12-23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1680075926.4A CN108463574A (zh) 2015-12-24 2016-12-23 合金涂覆钢板及其制造方法
PCT/KR2016/015248 WO2017111561A1 (ko) 2015-12-24 2016-12-23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EP16879428.7A EP3396017A4 (en) 2015-12-24 2016-12-23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18533192A JP6744413B2 (ja) 2015-12-24 2016-12-23 合金コーティング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6/790,061 US20200180272A1 (en) 2015-12-24 2020-02-13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7/217,219 US11731397B2 (en) 2015-12-24 2021-03-30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261A KR101789725B1 (ko) 2015-12-24 2015-12-24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234A true KR20170076234A (ko) 2017-07-04
KR101789725B1 KR101789725B1 (ko) 2017-10-25

Family

ID=5935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261A KR101789725B1 (ko) 2015-12-24 2015-12-24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2496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절연 특성이 우수한 코팅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0640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 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20525645A (ja) * 2017-06-27 2020-08-27 ポスコPosco 合金コーティング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491764B2 (en) 2018-11-30 2022-11-08 Posco Iron-aluminum-based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hydrogen delayed fracture properties and spot welding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25645A (ja) * 2017-06-27 2020-08-27 ポスコPosco 合金コーティング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608556B2 (en) 2017-06-27 2023-03-21 Posco Holdings Inc.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132496A1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절연 특성이 우수한 코팅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8209A (ko) * 2017-12-26 2019-07-04 주식회사 포스코 절연 특성이 우수한 코팅 전기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91764B2 (en) 2018-11-30 2022-11-08 Posco Iron-aluminum-based plated steel sheet for hot press forming, having excellent hydrogen delayed fracture properties and spot welding properti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20130640A1 (ko) * 2018-12-18 2020-06-25 주식회사 포스코 합금 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CN113316664A (zh) * 2018-12-18 2021-08-27 Posco公司 合金涂覆钢板及其制造方法
EP3901328A4 (en) * 2018-12-18 2021-10-27 Posco ALLOY COATED STEEL SHEET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13316664B (zh) * 2018-12-18 2023-12-08 浦项股份有限公司 合金涂覆钢板及其制造方法
US11905587B2 (en) 2018-12-18 2024-02-20 Posco Co., Ltd Alloy coated steel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725B1 (ko) 201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7491B1 (ko) 합금 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439694B1 (ko) Zn-Mg 합금도금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89725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75196A (ko) 도금밀착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Al도금층/Al?Mg도금층의 다층구조 합금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20200180272A1 (en)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527144B1 (ko) 마그네슘-알루미늄 코팅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9259B1 (ko) 내흑변성 및 밀착력이 우수한 Zn-Mg 합금 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829766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763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45378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765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29764B1 (ko) 합금 코팅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8729B1 (ko) 아연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JP2020502368A (ja) 多層構造のめっき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624272B2 (ja) プレス成形性の優れた表面処理鋼板
US11731397B2 (en) Alloy-co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0105554A (ja) 合金化溶融亜鉛めっき被膜
KR20200076830A (ko) 합금 코팅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19782A (ko) 알루미늄 도금 강판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도금 강판
KR20050064066A (ko) 비정질 실리콘 산화물 진공증착을 이용한 아연계도금강판의 화성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