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701A -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701A
KR20170075701A KR1020170078392A KR20170078392A KR20170075701A KR 20170075701 A KR20170075701 A KR 20170075701A KR 1020170078392 A KR1020170078392 A KR 1020170078392A KR 20170078392 A KR20170078392 A KR 20170078392A KR 20170075701 A KR20170075701 A KR 20170075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generator
switch
uninterruptible power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강기전
배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강기전, 배찬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강기전
Priority to KR1020170078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701A/ko
Publication of KR2017007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7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a reserve is maintained in an energy source by disconnecting non-critical loads, e.g. maintaining a reserve of charge in a vehicle battery for starting an eng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은,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면 발전기를 가동하는 단계, 자동절환스위치(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를 발전기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발전기를 부하와 연결하는 바이패스에 포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STRUCTURE OF GENERATOR AND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본 발명은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기의 용량과 무관하게 부하단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UPS :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System)는 상용 전원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전원 장애를 극복하여 좋은 품질의 안정된 교류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선로의 정전시나 입력 전원에 이상 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정상적인 전원을 부하측에 공급하는 설비로 최근 컴퓨터 산업설비의 발달로 부하측에서 양질의 전원공급을 요구하고 있어 선로의 완벽한 전원공급과 최상의 전원을 공급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전력전자 소자를 포함하는데, 이는 고조파의 발생원으로써 필연적으로 고조파의 발생을 수반하게 된다. 고조파 전류는 전원으로부터 부하단 말단까지의 임피던스에 의하여 전압 강하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연결된 발전기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전기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발전기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에서 상용 전원(11)에 장애가 발생되면 자동절환스위치(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12)가 발전기(10) 쪽으로 절체된다.
이때, 발전기(10)는 정류기(13) 및 인버터(15)를 통해 부하(16)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고조파를 발생시키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자들에 의해 이른바 헌팅(Hunting), 즉, 발전기(10)의 출력 파형이 정현파를 유지하지 못하고 출력 파형이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구체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서 발생된 고조파가 입력단인 발전기(10)로 되돌아가 발전기(10)의 출력 전압을 왜곡시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효율을 크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장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파형 왜곡은 기기 손상, 각종 계전기 오동작, 정밀 전자 기기의 동작 불량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 출력 파형의 왜곡 없이 부하(16)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기(10)의 용량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용량의 1.5배 ~ 2배가 되어야 한다.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기 설치된 발전기(10)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술한 조건을 충족하도록 기 설치된 발전기(10)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에 대한 설비 변경이 이루어져야 하는바 과도한 비용이 발생되고 충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설비 변경도 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발전기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새로운 발전기 구동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간의 상관 관계에 있어, 발전기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라도 부하단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은,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발전기를 가동하는 단계, 자동절환스위치(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를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상기 발전기를 상기 부하와 연결하는 바이패스에 포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를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모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용 전원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 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를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모드를 턴-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는, 상용 전원 또는 발전기 중 하나의 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절환되는 자동절환스위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상기 부하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부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기 바이패스에 포함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면, 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기 발전기에 절체되고, 기 제1 스위치는 턴-오프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발전기에 절체되면 충전 모드를 턴-오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용 전원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며,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상용 전원에 절체되면 충전 모드를 턴-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구조에 따르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소자에 의한 고조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발전기의 용량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용량을 1.5~2배 초과하지 않더라도 부하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발전기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하단이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어 자동절환스위치가 비상 전원쪽으로 절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전기가 구동된 후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절환스위치를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하기 전에 스위치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절환스위치가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하단이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때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용 전원(12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자동절환스위치 (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130)는 상용 전원(120)측으로 절체 되어 부하(170)가 상용 전원(12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절환스위치(130)가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되어 있는 동안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충전 모드도 활성화되어 비상시 부하(17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143)가 충전되도록 한다.
자동절환스위치(130)가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되어 있는 동안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부하(170)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0)는 턴-온 되어 부하(170)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를 우회하는 바이패스(180)를 포함한다. 바이패스(180)를 통해 부하(170)와 자동절환스위치(13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150)는 상용 전원(120)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턴-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상용 전원(12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부하(170)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어 자동절환스위치가 비상 전원쪽으로 절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용 전원(120)에 장애가 발생된 경우란 정전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전원이 공급되더라도 노이즈가 포함되어 졍현파가 아닌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 경우, 부하(170)에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발전기(110)가 가동되고 자동절환스위치(130)가 발전기(110) 쪽으로 절체 된다.
또한, 상용 전원(120)으로부터 전원이 차단된 상태이므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충전 모드도 턴-오프된다.
발전기(110)가 가동되고 자동절환스위치(130)가 발전기(110) 쪽으로 절체되어 발전기(110)가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전에는 배터리(143)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부하(17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43)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인버터(142)를 거쳐 부하(170)에 공급된다.
따라서, 부하(170)는 상용 전원(120)에 장애가 생긴 경우라도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발전기가 구동된 후 부하에 전원이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전기(110)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면, 발전기(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가 부하(170)에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부하(170)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0)가 턴-오프되고 제2 스위치(150)가 턴-온 된다.
자동절환스위치(130)는 발전기(110) 쪽으로 절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발전기(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자동절환스위치(130)와 바이패스(180)를 통해 부하(170)로 공급된다.
즉,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부하(170)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0)가 턴-오프되어 바이패스(180)를 통해 발전기(110)가 부하(170)와 연결되므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전력 소자를 통하지 않고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발전기(110)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전력 소자에 의한 고조파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발전기(110)의 용량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용량을 1.5~2배 초과하지 않더라도 부하(17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가령, 발전기(110)가 기 설치된 상황에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를 설치하거나, 반대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가 기 설치된 상황에서 발전기(110)를 설치할 때, 발전기(110)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상관 관계에 따른 조건에 제약을 받지 않고 최적의 용량을 갖는 발전기(110) 또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용 전원(120)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어 발전기(110)에서 상용 전원(120)으로 전원 공급원이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절환스위치를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하기 전에 스위치를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용 전원(120)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용 전원(120)이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해 일련의 절차가 수행된다. 발전기(110)는 한시적으로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상용 전원(120)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용 전원(120)이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용 전원(120)에 장애가 해소되면 바이패스(180)를 통해 부하(170)와 발전기(110)를 연결하는 제2 스위치(150)가 턴-오프되고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부하(170)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0)가 턴-온 된다.
자동절환스위치(130)가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되기 전에 제1 스위치(160)가 턴-온 되는 이유는 자동절환스위치(130)가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되는 동안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에 저장된 배터리(143)의 전기 에너지가 부하(17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스위치(160)가 턴-온 되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가 인버터(142)를 거쳐 부하(170)에 공급된다. 이때,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충전 모드는 오프된 상태이므로 발전기(110)에서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로 전원이 공급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발전기(110)가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전력 소자 영향을 받아 출력 파형이 왜곡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자동절환스위치가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용 전원(110)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자동절환스위치(130)가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 된다. 또한, 비상시 부하(170)에 전원을 공급하던 발전기(110)의 구동도 중단된다.
상용 전원(120)에서 전원이 공급될 때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충전 모드도 턴-온 되는바, 상용 전원(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43)를 충전시킬 수도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도 2 내지 도 6에서는 제1 스위치(160) 및 제2 스위치(150)가 별도의 구성인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스위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는 하나의 스위치(190)를 이용하여 부하(170)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연결하거나 바이패스(180)에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전기 구동시에는 자동절환스위치(130)를 발전기(110) 측으로 절체한 후 스위치(190)를 바이패스(180) 쪽으로 절체하고, 상용 전원(120)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스위치(190)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측으로 절체한 후 자동절환스위치(130)를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한다.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도 2 내지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용 전원(110)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모니터링 하여, 상용 전원(110)에 장애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810) 발전기(120)를 가동한다(S820). 발전기(120)가 가동되면 자동절환스위치(130)가 발전기(120) 측으로 절체된다.
이후,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를 우회하는 바이패스(180)에 포함된 제2 스위치(150)가 턴-온되고(S840),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와 부하(170)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160)는 턴-오프된다.
다만, 부하(170)를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 또는 바이패스(180)와 연결하는 스위치가 하나로 구현된 경우 그 스위치는 바이패스(180)측으로 절체된다.
발전기(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바이패스(180)를 통해 부하(170)에 공급하는 도중 상용 전원(120)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면(S850),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가 부하(170)와 연결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고(S860) 자동절환스위치(130)를 상용 전원(120) 측으로 절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바이패스(180)를 이용하여 발전기(110)에서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부하(170)에 공급하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전력 소자에 의한 고조파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어, 발전기(110)의 용량이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140)의 용량을 1.5~2배 초과하지 않더라도 부하(170)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발전기를 가동하는 단계;
    자동절환스위치(ATS : Automatic Transfer Switch)를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와 부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상기 발전기를 상기 부하와 연결하는 바이패스에 포함된 제2 스위치를 턴-온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를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발전기 측으로 절체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모드를 턴-오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기 제2 스위치를 턴-오프하고, 상기 제1 스위치를 턴-온 하는 단계; 및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를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되면,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충전 모드를 턴-온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연결 구조의 제어 방법.
  5. 상용 전원 또는 발전기 중 하나의 전원이 부하에 공급되도록 절환되는 자동절환스위치;
    상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고,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를 상기 부하에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를 우회하여 상기 부하와 연결되는 바이패스;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와 상기 부하를 연결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에 포함된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에 장애가 발생되면,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기 발전기에 절체되고,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오프되며,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온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발전기에 절체되면 충전 모드를 턴-오프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 전원에 발생된 장애가 해소되면,
    상기 제1 스위치는 턴-온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턴-오프되며, 상기 자동절환스위치는 상기 상용 전원 측으로 절체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자동절환스위치가 상기 상용 전원에 절체되면 충전 모드를 턴-온하는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KR1020170078392A 2017-06-21 2017-06-21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KR201700757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92A KR20170075701A (ko) 2017-06-21 2017-06-21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92A KR20170075701A (ko) 2017-06-21 2017-06-21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642A Division KR20170033644A (ko) 2015-09-17 2015-09-17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701A true KR20170075701A (ko) 2017-07-03

Family

ID=5935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92A KR20170075701A (ko) 2017-06-21 2017-06-21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70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0284A (zh) * 2017-12-28 2018-07-10 施耐德万高(天津)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电源自动转换开关机构的控制方法
CN109347104A (zh) * 2018-08-31 2019-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网净化方法以及ups供配电系统
KR102220883B1 (ko) * 2020-08-03 2021-02-26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70284A (zh) * 2017-12-28 2018-07-10 施耐德万高(天津)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支持多种电源自动转换开关机构的控制方法
CN109347104A (zh) * 2018-08-31 2019-0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网净化方法以及ups供配电系统
KR102220883B1 (ko) * 2020-08-03 2021-02-26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0312B2 (en) Multi-mode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and methods of operation thereof
US9047076B1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7898110B2 (en) On-line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US9047075B1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20150380968A1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US10651728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418109B2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20170075701A (ko)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US7071580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KR100986627B1 (ko)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KR20150008767A (ko)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050292B2 (en) Redundant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control methods
CN103490409A (zh) 一种微网运行模式切换控制方法
KR20140075472A (ko) 계통 연계형 오프라인 교류 무정전 전원 장치
CN205791773U (zh) 不断电电源供应系统
KR20170033644A (ko)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CN101707390A (zh) 一种电源冗余备份方法和装置
JPH1127877A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2060845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予備無停電電源装置の動作制御方法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JP2008067491A (ja) 共通予備無停電電源システム
KR20200107385A (ko)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90524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US10491037B2 (en) Uninterruptable power supply system
JP2021002906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