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627B1 -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 Google Patents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627B1
KR100986627B1 KR1020100022492A KR20100022492A KR100986627B1 KR 100986627 B1 KR100986627 B1 KR 100986627B1 KR 1020100022492 A KR1020100022492 A KR 1020100022492A KR 20100022492 A KR20100022492 A KR 20100022492A KR 100986627 B1 KR100986627 B1 KR 10098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battery
power supply
storage batter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2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닉스
Priority to KR1020100022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24Parallel/serial switching of connection of batteries to charge or load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운전방식의 복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무정전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고장이 발생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무정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이중화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로 구비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정전보상시간만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 1교류전원 공급부(1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정류부(12), 상기 제 1정류부(1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1축전지(13), 상기 제 1축전지(1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인버터(14)로 이루어진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교류전원 공급부(2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정류부(22), 상기 제 2정류부(2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2축전지(23), 상기 제 2축전지(2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인버터(24)로 이루어진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14) 또는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24)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그 고장이 발생한 인버터를 갖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인버터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Duplexing equipment for discharge of each accumulator with which the parallel driving type UPS is equipped}
본 발명은 병렬운전방식의 복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무정전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고장이 발생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무정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이중화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로 구비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정전보상시간만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정전 전원시스템(UPS)이란 상용 전력계통으로부터 또 정전시에는 축전지로부터 직류전력을 얻어 안정된 교류전력을 금융,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의료 기기 등의 부하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직류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인버터가 발생하는 고조파 전압을 출력전압 파형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출력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최근 금융, 통신 시스템 그리고 의료 기기 등 아주 순간적인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부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 부하에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채용이 필수적이나, 무정전 전원시스템도 하나의 구성장치이기 때문에 고장으로 인한 정전사태가 발생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무정전 전원시스템 자체의 신뢰성 확보도 매우 중요한 인자로 부상되고 있다. 결국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신뢰도를 개선하기 위해 두 개의 동일한 요소를 사용하는 복수형(Redundancy) 개념이 무정전 전원시스템에도 적용되어 신뢰성 확보를 위한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정전 시 부하(A)에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으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과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이 부하(A)에 병렬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처럼, 병렬연결되는 시스템 중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구성은 제 1교류전원 공급부(1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정류부(12)와, 제 1정류부(1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1축전지(13)와, 제 1축전지(1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인버터(1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구성은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구성 및 그 기능이 동일하다. 즉,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구성은 제 2교류전원 공급부(21), 제 2정류부(22), 제 2축전지(23) 및 제 2인버터(24)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은 평상 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과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2정류부(12,2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제 1,2축전지(13,23)에 축전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정전 발생 시 병렬로 연결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운영제어하여 각 시스템에 충전된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을 순차적으로 방전되도록 제어하여 정전시에도 부하(A)에 전원을 공급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부하(A)가 가동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와 같은 이점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2인버터(24) 중 어느 하나의 인버터(14,24)가 고장 시 그 고장이 발생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없어 작동이 불가능하여 남은 하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만으로 부하(A)에 전원을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각 인버터(14,24)는 각 축전지(13,23)의 저전압, 각 축전지(13,23)의 과전압 또는 각 인버터(14,24)의 제어계 이상 등으로 고장이 발생하는 위험성을 항시 내포하고 있다.
더욱이,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이 적용되는 부하(A)의 경우 전산실, 공장의 서버룸(Server Room) 또는 자동화 설비라인과 같은 거대시설이면서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곳으로서, 무정전 발생 시 신속하게 전원을 공급하되, 장시간 전원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시스템환경이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필수조건이다.
이 때문에, 병렬운전방식의 복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날 경우 방전시간 즉, 정전보상시간은 1/2로 단축되는 폐단이 야기된다. 이로 인해,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구성하는 제 2인버터(24) 중 어느 하나의 인버터(14,24)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그 고장이 발생한 인버터가 구비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무정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운전방식의 복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무정전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고장이 발생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무정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이중화 제어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로 구비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정전보상시간만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는, 제 1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정류부, 상기 제 1정류부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1축전지, 상기 제 1축전지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인버터로 이루어진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교류전원 공급부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정류부, 상기 제 2정류부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2축전지, 상기 제 2축전지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인버터로 이루어진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축전지와 제 1인버터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축전지와 제 2인버터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 또는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그 고장이 발생한 인버터를 갖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인버터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축전지 병렬운전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인버터 및 상기 제 2인버터에는 무전압 접점을 포함하고, 그 포함된 무전압 접점의 오프를 통해 고장발생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축전지 병렬운전반은, 상기 제 1축전지와 상기 제 1인버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와; 상기 제 2축전지와 상기 제 2인버터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와; 상기 제 1축전지 및 상기 제 2축전지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용 스위치와; 상기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및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스위치 구동부와; 상기 제 1인버터 또는 상기 제 2인버터로부터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로부터 상기 제 1인버터 또는 상기 제 2인버터의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1인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상기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구동부를 제어하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2인버터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상기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구동부를 제어하는 축전지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축전지 병렬운전반은,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표시부에는 상기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및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의 연결상태가 표시된다.
본 발명은 병렬운전방식의 복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 중 어느 하나의 무정전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그 고장이 발생한 해당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무정전 시에 활용할 수 있는 이중화 제어수단을 통해 복수개로 구비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정전보상시간만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니터와 같은 정보표시부를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를 실시간으로 안내하여 관리자의 신속한 대처를 가능하게 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중 축전지 병렬운전반을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중 축전지 병렬운전반을 나타낸 상세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는 크게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제 1교류전원 공급부(1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정류부(12)와, 제 1정류부(1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1축전지(13)와, 제 1축전지(1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인버터(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인버터(14)에는 무전압 접점을 포함하고 있어, 그 포함된 무전압 접점의 온/오프를 통해 고장발생여부를 안내한다. 즉, 무전압 접점이 오프이면 고장발생신호를 생성하여 고장을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무전압 접점이란 기계적인 접점만 출력되어 접점에 전압신호가 인가되지 않은 것으로, 전원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공유가 불가능하여 두 장치 간에 서로 신호를 주고 받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사용되는 접점이다.
상기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은 제 2교류전원 공급부(2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정류부(22)와, 제 2정류부(2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2축전지(23)와, 제 2축전지(2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인버터(24)로 이루어진다.
이때에도, 제 2인버터(24)에는 무전압 접점을 포함하고 있어, 그 포함된 무전압 접점의 온/오프를 통해 고장발생여부를 안내한다.
상기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은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24)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그 고장이 발생한 인버터를 갖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인버터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의 세부구성은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와,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와,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와,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 및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스위치 구동부(140)와,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인버터(24)로부터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수신부(150)와, 신호수신부(150)로부터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인버터(24)의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1인버터(14)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2인버터(24)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축전지 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에는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14)의 정상상태 또는 고장상태 및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24)의에 따른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 및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70);를 더 포함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정보표시부(17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는 정지화상, 동화상, 소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정보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는 작동상태는 다음과 같다.
평상 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과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되는 제 1,2정류부(12,2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은 제 1,2축전지(13,23)에 축전되도록 제어됨으로써, 정전 시 부하(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준비된다.
이때,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는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된 상태이고,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는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된 상태이며, 병렬연결용 스위치(130)는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 간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로,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는 개별연결된 제 1정류부(12) 및 제 2정류부(22)를 통해 개별적으로 충전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속한 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평상 시 때의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 및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상태는 축전지 제어부(160)의 제어를 통해 정보표시부(170) 상에 출력됨으로써, 관리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게 제공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는 정전 발생 시 병렬로 연결된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운영제어하여 각 시스템에 충전된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을 부하(A) 쪽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순차적으로 방전시키는데 이때, 제 1인버터(14) 또는 제 2인버터(24) 중 제 1인버터(14)가 축전지 저전압, 축전지 과전압 또는 인버터 제어계 이상 등의 이유로 고장이 발생될 경우 제 1인버터(14)에 포함된 무전압 접점을 통해 제 1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가 생성된다.
이처럼 생성된 제 1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는 신호수신부(150)로 입력되고, 신호수신부(150)는 그 입력된 제 1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를 축전지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축전지 제어부(160)는 입력된 제 1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를 참조한 상태에서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된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한 후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 간에 연결이 해제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상태인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에 설치된 제 1축전지(13)에 축전된 전원도 부하(A)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이중화 제어함으로써 복수개로 구비되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고장여부에 상관없이 사전에 설정된 정전보상시간만큼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이점이 있다.
이때, 축전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14)의 고장상태 및 이에 따른,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의 연결해제 상태,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의 연결상태 및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상태를 정보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여 신속하게 고장난 시스템을 수리할 수 있게 유도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는 정전 발생에 의해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을 운영제어하여 각 시스템에 충전된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을 부하(A) 쪽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순차적으로 방전시키는 중 제 2인버터(24)의 고장이 발생될 경우 제 2인버터(24)에 포함된 무전압 접점을 통해 제 2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가 생성된다.
이처럼, 생성된 제 2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는 신호수신부(150)로 입력되고, 신호수신부(150)는 그 입력된 제 2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를 축전지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축전지 제어부(160)는 입력된 제 2인버터 쪽 고장발생신호를 참조한 상태에서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된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제어한 후 제 1축전지(13) 및 제 2축전지(23) 간에 연결이 해제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제어함으로써, 고장상태인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에 설치된 제 2축전지(23)에 축전된 전원도 부하(A)에 공급될 수 있도록 이중화 제어한다.
이때에도, 축전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24)의 고장상태 및 이에 따른,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의 연결해제 상태,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의 연결상태 및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상태를 정보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하여 시스템 관리자가 이를 인지하여 신속하게 고장난 시스템을 수리할 수 있게 유도한다.
11 : 제 1교류전원 공급부 12 : 제 1정류부
13 : 제 1축전지 14 : 제 1인버터
21 : 제 2교류전원 공급부 22 : 제 2정류부
23 : 제 2축전지 24 : 제 2인버터
100 : 축전지 병렬운전반 110 :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120 :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 130 : 병렬연결용 스위치
140 : 스위치 구동부 150 : 신호수신부
160 : 축전지 제어부 170 : 정보표시부

Claims (3)

  1. 제 1교류전원 공급부(1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정류부(12), 상기 제 1정류부(1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1축전지(13), 상기 제 1축전지(1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1인버터(14)로 이루어진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 및 제 2교류전원 공급부(21)로부터 상용전원인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정류부(22), 상기 제 2정류부(22)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이 축전되는 제 2축전지(23), 상기 제 2축전지(23)로부터 축전된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제 2인버터(24)로 이루어진 제 2무정전 전원시스템으로 이루어진 병렬 운전형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축전지(13)와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축전지(23)와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제 1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1인버터(14) 또는 상기 제 2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제 2인버터(24)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인지하여, 그 고장이 발생한 인버터를 갖는 무정전 전원시스템에 구비된 축전지를 고장이 발생하지 않는 나머지 하나의 무정전 전원시스템의 인버터로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인버터(14) 및 상기 제 2인버터(24)에는 무전압 접점을 포함하며, 그 포함된 무전압 접점의 오프를 통해 고장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축전지 병렬운전반(100)은,
    상기 제 1축전지(13)와 상기 제 1인버터(14) 사이에 연결되는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와;
    상기 제 2축전지(23)와 상기 제 2인버터(24) 사이에 연결되는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와;
    상기 제 1축전지(13) 및 상기 제 2축전지(23)를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와;
    상기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 및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130)의 연결 및 연결해제를 수행하는 스위치 구동부(140)와;
    상기 제 1인버터(14) 또는 상기 제 2인버터(24)로부터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수신부(150)와;
    상기 신호수신부(150)로부터 상기 제 1인버터(14) 또는 상기 제 2인버터(24)의 고장발생신호를 입력받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1인버터(14)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상기 제 1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10)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고, 그 입력된 고장발생신호가 제 2인버터(24)로부터 입력된 신호인 경우 연결된 상기 제 2축전지 차단용 스위치(120)의 연결 해제 및 연결해제된 상기 병렬연결용 스위치(130)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 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축전지 제어부(1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00022492A 2010-03-12 2010-03-12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KR10098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92A KR100986627B1 (ko) 2010-03-12 2010-03-12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2492A KR100986627B1 (ko) 2010-03-12 2010-03-12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627B1 true KR100986627B1 (ko) 2010-10-11

Family

ID=43135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2492A KR100986627B1 (ko) 2010-03-12 2010-03-12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6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8377A (zh) * 2013-10-11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机柜电源系统、电源切换控制方法及机柜
WO2017090896A1 (ko) * 2015-11-25 2017-06-01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49967B1 (ko) * 2017-06-27 2018-04-19 화인테크 주식회사 충전기 드롭퍼 이중화 자동제어시스템
KR101937084B1 (ko) * 2018-02-19 2019-01-09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181B1 (ko) 2018-05-08 2019-08-12 임한용 충전기용 스마트 바이패스 백업 전원공급장치
KR102262986B1 (ko) 2021-01-26 2021-06-09 주식회사 이온 모듈 교번운전 기반 2웨이 병렬운전 방식의 모듈형 ups 및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098A (ja) * 1991-11-22 1993-06-11 Toshiba Corp 無停電電源装置
JPH05276671A (ja) * 1992-03-24 1993-10-22 Toshiba Corp 並列冗長形無停電電源装置
JP2005086969A (ja) * 2003-09-11 2005-03-31 Toshiba Corp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05137136A (ja) * 2003-10-30 2005-05-2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無停電電源装置管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6098A (ja) * 1991-11-22 1993-06-11 Toshiba Corp 無停電電源装置
JPH05276671A (ja) * 1992-03-24 1993-10-22 Toshiba Corp 並列冗長形無停電電源装置
JP2005086969A (ja) * 2003-09-11 2005-03-31 Toshiba Corp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05137136A (ja) * 2003-10-30 2005-05-26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無停電電源装置管理システ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8377A (zh) * 2013-10-11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机柜电源系统、电源切换控制方法及机柜
CN104578377B (zh) * 2013-10-11 2019-0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机柜电源系统、电源切换控制方法及机柜
WO2017090896A1 (ko) * 2015-11-25 2017-06-01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849967B1 (ko) * 2017-06-27 2018-04-19 화인테크 주식회사 충전기 드롭퍼 이중화 자동제어시스템
KR101937084B1 (ko) * 2018-02-19 2019-01-09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이 연계된 전력 계통의 전력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0181B1 (ko) 2018-05-08 2019-08-12 임한용 충전기용 스마트 바이패스 백업 전원공급장치
KR102262986B1 (ko) 2021-01-26 2021-06-09 주식회사 이온 모듈 교번운전 기반 2웨이 병렬운전 방식의 모듈형 ups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5646B2 (ja) 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マザーボードへのバックアップ電源の直接接続
KR100986627B1 (ko) 병렬운전형 ups에 구비되는 각 축전지의 방전을 위한 이중화장치
US9172271B2 (en) Parallel control and protection for UPS
US9431853B2 (en) Uninterruptible power system with backfeed detection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772964B2 (en) Parallel control and protection for UPS
JP2012182911A (ja) 電池システム
US9093860B2 (en) Fault detection for parallel inverters system
US20140082393A1 (en) Hot Swapping Typ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Module
US7071580B2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US20170354067A1 (en) Power system and method
JP2009112080A (ja) 電源切替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源システム
CN101710728A (zh) 一种通信机房机架设备的供电方法及装置
EP3852232A1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6599700B2 (ja) 系統連系装置
KR101924931B1 (ko)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2013059152A (ja) 個別バイパス方式並列無停電電源システム
CN110739758A (zh) 一种不间断电源及配电系统
TWI552485B (zh) 直流備援設備
KR20170075701A (ko)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WO2023005078A1 (zh) 一种辅助供电管理系统、方法和轨道车辆
KR101818969B1 (ko) 그리드 전원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핫 스왑 장치
KR102199548B1 (ko)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6090A (ko)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JP2011160639A (ja) 瞬低対策装置
CN113193646A (zh) 供电装置、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