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883B1 -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 Google Patents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883B1
KR102220883B1 KR1020200096921A KR20200096921A KR102220883B1 KR 102220883 B1 KR102220883 B1 KR 102220883B1 KR 1020200096921 A KR1020200096921 A KR 1020200096921A KR 20200096921 A KR20200096921 A KR 20200096921A KR 102220883 B1 KR102220883 B1 KR 102220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ube liner
power
photocuring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힘센기술
김정민
(주)부경개발
주식회사 청민이앤씨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힘센기술, 김정민, (주)부경개발, 주식회사 청민이앤씨, 주식회사 비케이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힘센기술
Priority to KR102020009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29C35/080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에 관한 것으로, 전원공급장치로서 무정전전원장치와 발전기를 병행하고 사전 준비 단계와 시공 단계에서 적합한 전원공급장치의 선택을 통해 전력 효율을 향상하고 환경오염 저감에 도움을 주며 시공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 및 발전으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장치와; 비굴착 관로의 보수 보강을 위하여 지중 관로에 설치되며 광경화 수지가 함침된 튜브라이너를 따라 이동하면서 광경화시키는 광경화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에,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과 상기 발전기의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경화 장치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Eco-friendly hybrid power supply system for non digging underground pipe optical light hardening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underground pipe using this same}
본 발명은 지중 관로를 튜브라이너로 라이닝하여 갱생할 때 광경화 장치 등의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경화 장치의 광조사를 이용하여 광경화수지가 함침된 튜브라이너를 경화 시공할 때 튜브라이너의 크기와 작업 형태에 맞는 최적의 전원을 공급하여 불필요한 발전기의 가동을 줄이고 그에 따른 환경오염(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을 저감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은 본 출원 내용과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반드시 선행기술이 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관로는 식수(상수도관), 하수(하수도관), 우수(빗물), 오수 등을 이동시키기 위한 관으로서, 지하에 매설되어 장착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관로는 장시간 매설되어 노후되거나 지반 침하나 지반 거동 등에 의해 균열 등이 발생되며, 균열부를 통해 유체의 누출과 지하수의 침투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관로의 보수와 교체가 필요하며, 관로의 교체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굴착에 의해 관로의 교체를 대신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방법이 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관로 보수 방법으로 비굴착 관로 보수 방법이 있다.
이러한 비굴착 관로 보수 방법은 보수하고자 하는 관로 내부에 튜브라이너(보수 튜브)(경화 수지 함침)를 삽입한 후, 튜브라이너를 관로의 내벽에 붙도록 팽창시키고 튜브라이너 상기 경화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매체로 광(光)(UV 등) 또는 열을 불어넣어 튜브라이너를 관로 내벽에 경화시켜 관로를 갱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굴착 관로 보수 방법은 경화수지의 종류에 따라 광 경화식 또는 열 경화식으로 구분된다.
열 경화식은 가열 경화 시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수 시간)에 걸쳐 경화가 이루어지는 장기 경화 방식이기 때문에 가열하여 경화되는 시간 동안 경화수지의 모노머가 휘발되어 재료 손실이 많고, 외부 가열과 내부 화학반응으로 형성된 폴리머가 고온으로 팽창되어 있어 냉각 과정 중에 수축되므로 경화관의 수축률이 매우 높다. 결국 튜브라이너의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고 기존 관로와의 사이에 틈을 생기게 하는 시공불량이 있다.
반면, 광경화 방식은 수초에서 수분 만에 이루어지는 속성 경화 방식으로 올리고머와 모노머가 결합하여 폴리머가 형성되므로 광경화 수지 원료의 손실이 없어 광경화 후 생성된 경화관의 수축이 매우 작은 이점이 있다.
또한, 열경화형 튜브라이너는 공사 현장에서 상온 보관이 어려워 냉동 운송 과정이 필요하여 매번 시공 길이에 맞춰 생산 공장에서 함침 후 즉시 운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데 반해, 광경화 튜브라이너는 외부 빛만 차단하면 실온에서 6개월까지 장기 보관이 가능하므로 연속 생산된 긴 튜브라이너를 적재함에 적재하여 공사현장으로 이송한 후 각 공사 구간에서 목표 길이만큼 견인한 후 재단하여 사용하고 나머지는 밀폐 후 보관하는 취급상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시공과 취급상 이점을 통해 광경화식 튜브라이너 및 이를 이용한 관로 갱생을 선호하고 있다.
광경화식 튜브라이너를 이용한 기술은 빛을 조사하는 광경화 장치를 필수적으로 이용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등록특허 제10-1218173호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후를 지지하는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 상기 전방 소켓 및 후방 소켓에 체결된 채 이동부재가 착탈되는 전방 지지링 및 후방 지지링; 상기 전방 소켓과 상기 전방 지지링 사이 또는 상기 후방 소켓과 상기 후방 지지링 사이에 개재되는 단열판; 온도센서부; 상기 전방 소켓에 설치되는 연결부; 상기 후방 소켓에 설치되는 암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방 소켓과 상기 온도센서부를 연결하는 제1플렉서블관, 수 커넥터, 상기 온도센서부와 상기 수 커넥터를 연결하는 제2플렉서블관으로 구성되는 자외선 조사용 램프 트레인 유닛이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1325130호는 복수개의 램프가 병렬로 설치되는 광조사부재; 상기 광조사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광조사부재는 일단 디스크와 타단 디스크, 상기 일단 디스크와 상기 타단 디스크의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램프의 양단이 끼워지는 일단 소켓과 타단 소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단 디스크에는 견인 및 전원 공급을 위한 견인용 전원케이블이 설치되는 광경화성 라이닝재의 광경화장치이다.
도 1은 종래 광경화 장치의 전원 공급과 이동을 위한 구성을 보인 예이며, 광경화 장치(1)는 케이블(2)을 통해 전동릴(3)과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2) 또는 별도의 전원 케이블을 발전기(4)(예를 들어, 디젤 발전기)와 연결하여 운용되며, 다음의 사전 준비 공정을 거치게 된다.
1. 광경화 장치 점검 :전원 공급하여 확장 및 축소 상태 점검.
2. UV램프 점등 테스트 : 최소 전력으로 점등 여부를 사전에 확인.
3. 광경화 장치 센서류 확인 : 전원 입력 후 온도, 압력, 거리 센서 상태 점검.
4. 터치 모니터를 통해 전후방 영상 확인.
5. PLC, 터치 모니터, 제어 프로그램 정상 작동 확인.
6. 전동릴 정상 구동 확인.
7. 광경화장치 라이너 내부 삽입 후 광경화 시작부로 이동
이상의 사전 준비 공정에서도 실제 운용 과정과 동일한 조건으로 점검하기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여야 한다.
즉, 이러한 사전 준비 단계에도 발전기(4)의 발전 전원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발전기(4)는 생산 용량의 평균 70%이상 동작하여 전기를 생성하게 되므로 발전 용량이 큰 발전기일수록 최소 전력 사용 중에도 최대 발전을 하며 잔여 전력은 충전되지 못하고 사라지게 되어 전력 낭비가 심하고 탄소 및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발생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32513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공급장치로서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와 발전기를 병행하고 사전 준비 단계와 시공 단계에서 적합한 전원공급장치의 선택을 통해 전력 효율을 향상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 및 발전으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장치와; 비굴착 관로의 보수 보강을 위하여 지중 관로에 설치되며 광경화 수지가 함침된 튜브라이너를 따라 이동하면서 광경화시키는 광경화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에,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과 상기 발전기의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경화 장치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튜브라이너를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고, 소형 튜브라이너의 시공 시에는 사전 준비와 시공 모두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을 이용하고, 대형 튜브라이너의 시공 시에는 사전 준비 단계에서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는 한편 시공 시에는 발전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에 의하면, 튜브라이너의 크기에 따른 소비전력의 차이를 이용하여 튜브라이너를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고 소형 튜브라이너의 작업(사전 준비, 경화 시공)에는 상대적으로 저용량인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고, 대형 튜브라이너의 작업 중에서 저전력인 사전 준비 작업에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를 이용하는 한편 고전력인 경화 시공에는 발전기를 이용하며, 따라서, 발전기의 가동율을 줄여 연료 절감에 따른 경제성을 확보하고 또한 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을 저감하여 환경오염 저감에도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전기의 가동 중에 생산 유휴 전력을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에 충전하여 외부 전원없는 사용이 가능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유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광경화 장치의 전원 공급 계통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의 구성도.
도 3과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에 의한 제어를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형의 튜브라이너를 경화 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에 적용된 광경화 장치의 사전 준비 단계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형의 튜브라이너를 경화 시공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의 공정도.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100)은, 광경화 장치(1)와 전동릴(3) 등 전원을 필요로 하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4)와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로서 예컨대 무정전 전원장치(UPS)(5), 발전기(4)의 발전 전원과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 전원 중 어느 하나의 전원이 부하(1,3)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프로그램)로 구성된다.
발전기(4)는 예를 들어 디젤 발전기이며, 튜브라이너의 시공 현장으로 운반되어 이 시공 현장에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한다.
발전기(4)는 생성한 전기를 부하(1,3)에 공급함과 더불어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인 무정전 전원장치(5)에 전기(생산 유휴 전력)를 공급하여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무정전 전원장치(5)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예이며, 부하(1,3)에 충전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충전 전원은 발전기(4)의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를 충전한 것이며 따라서 별도의 발전기를 사용하거나 상용 전원을 사용하지 않는다. 단, 비상 전원의 목적으로 상용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거나 예비차원의 2차 전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무정전 전원장치(5)는 충전량을 알려주도록 계량수단이 구성되며, 현재 충전량의 확인을 통해 충전량이 부하(1,3)의 구동을 위한 적정 충전량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발전기(4)를 구동시켜 발전 전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는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량이 적정 충전량을 만족하면 반대로 전환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그 방법으로는 현재 충전량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무정전 전원장치(5)에서 발전기(4)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고, 컨트롤러가 현재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적정 충전량)의 비교를 통해 자동으로 발전기(4) 또는 무정전 전원장치(5)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발전기(4)와 무정전 전원장치(5)는 그 공급용량에 차이{발전기(4)의 발전 전기는 대용량,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 전기는 소용량}를 두고 있으며 즉, 용도의 차이를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 시공(경화) 단계 및 상대적으로 저전력이 소비되는 사전 준비 단계로 구분하고, 시공 단계도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에 차이가 나는 튜브라이너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대형(예를 들어 20~40Kw 소비, 700~1,500mm 관경)과 소형(예를 들어 1~20Kw 소비, 250~600mm 관경)으로 구분한다.
즉, 사전 준비 단계와 소형 튜브라이너의 시공 단계에서는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 전기를 사용하고, 대형 튜브라이너의 시공 단계에서는 발전기(4)의 발전 전기를 사용한다.
이상의 제어를 위하여 부하(1,3)와 발전기(4)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부하(1,3)와 무정전 전원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발전기(4)와 무정전 전원장치(5)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들 접속 관계를 개방(차단, OFF) 또는 폐쇄(접속, ON)하기 위한 전환기(스위치나 릴레이 등)가 포함된다.
도 3과 도 4는 전술한 내용을 정리한 도면이다.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업자가 모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전 준비 모드 또는 시공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모드에 맞춰 컨트롤러가 무정전 전원장치(5) 또는 발전기(4)를 부하(1,3)와 연결한다. 즉, 모드 스위치의 조작만으로 부하(1,3)에 전원을 공급하는 편리함이 있고, 오동작{사전 준비 모드 시 발전기(4) 사용, 시공 시 무정전 전원장치(5) 사용 등}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업자가 튜브라이너의 크기를 선택(소형과 대형의 선택 방법, 관경의 입력을 근거로 하는 컨트롤러의 소형과 대형의 판단)하면 컨트롤러가 무정전 전원장치(5) 또는 발전기(4)를 부하(1,3)와 연결하고, 이 때, 소형은 사전 준비와 시공 모두 무정전 전원장치(5)를 사용하지만 대형은 사전 준비 시에는 무정전 전원장치(5)를 사용하고 시공 시에는 발전기(4)를 사용하도록 제어된다.
물론, 전술한 모드 선택과 크기 선택없이 작업자가 사전 준비 작업과 소형 시공 시 무정전 전원장치(5)를 선택하고, 대형 시공 시 발전기(4)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은 다음과 같다.
1. 무정전 전원장치만 사용.
소형의 튜브라이너를 시공하여 보수 보강하는 조건에서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충전 전기를 부하(1,3)에 공급한다. 이 때 부하는 광경화 장치로서 광원(UV 램프 등), 광경화 장치의 다리가 전동식으로 확장/축소되는 경우 확장 구동원, 전동릴의 구동원 등이다.
가. 사전 준비.
다음과 같은 사전 준비 작업을 하며, 모든 사전 준비 작업을 위하여 사용되는 전력은 무정전 전원장치(5)에 충전된 충전 전기이다.
(1) 광경화 장치 점검 ??전원 공급하여 확장 및 축소 상태 점검.
(2) UV램프 점등 테스트 ??최소 전력으로 점등 여부를 사전에 확인.
(3) 광경화 장치 센서류 확인 : 전원 입력 후 온도, 압력, 거리 센서 상태 점검.
(4) 터치 모니터를 통해 전후방 영상 확인.
(5) PLC, 터치 모니터, 제어 프로그램 정상 작동 확인.
(6) 전동릴 정상 구동 확인.
(7) 광경화 장치 라이너 내부 삽입 후 광경화 시작부로 이동.
나. 시공.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튜브라이너(6)를 관로 안에 삽입(견인 또는 반전)하고 팽창시키고 광경화 장치(1)를 튜브라이너(6) 안에서 1회 이상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광을 조사하여 튜브라이너(6)에 함침된 광경화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튜브라이너(6)를 시공한다.
이 과정에서 광경화 장치(1)의 광원 등, 전동릴(3)에는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 전기를 공급한다.
2. 무정전 전원장치와 발전기 병행.
가. 사전 준비.
대형 튜브라이너(6)를 이용하여 지중 관로를 보수 보강하는 경우, 부하(1,3)의 사전 준비 단계를 거친 후 시공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전 준비 단계는 소형 튜브라이너의 사전 준비와 동일하게 구성 즉, (1) 광경화 장치 점검 ??전원 공급하여 확장 및 축소 상태 점검, (2) UV램프 점등 테스트 ?? 최소 전력으로 점등 여부를 사전에 확인, (3) 광경화 장치 센서류 확인 : 전원 입력 후 온도, 압력, 거리 센서 상태 점검, (4) 터치 모니터를 통해 전후방 영상 확인, (5) PLC, 터치 모니터, 제어 프로그램 정상 작동 확인, (6) 전동릴 정상 구동 확인, (7) 광경화 장치 라이너 내부 삽입 후 광경화 시작부로 이동의 준비 작업이 있으며, 이와 같은 사전 준비 단계는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지상에서 이루어지며 무정전 전원장치(5)의 충전 전기를 공급한다.
나. 시공.
도 7에서 보이는 것처럼, 튜브라이너(6)를 관로 안에 삽입(견인 또는 반전)하고 팽창시키고 광경화 장치(1)를 튜브라이너(6) 안에서 1회 이상으로 왕복 이동시키면서 광을 조사하여 튜브라이너(6)에 함침된 광경화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튜브라이너(6)를 시공한다.
이 과정에서 광경화 장치(1)의 광원 등, 전동릴(3)에는 발전기(4)에서 발전되는 발전 전기를 공급한다.
즉, 사전 준비 단계에서 부하(1,3)를 무정전 전원장치(5)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며, 이 전기적 접속을 차단하고 부하(1,3)를 발전기(4)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한편, 발전기(4)에서 발전된 발전 전기 중 일부는 무정전 전원장치(5)에 충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은 다음과 같다.
1. 튜브라이너 설치(도 8 참고).
관로(10)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맨홀(11,12)이 있으며, 일측의 맨홀(11)을 통해 튜브라이너(6)를 반대쪽으로 견인하여 설치한다.
튜브라이너(6)는 지상의 적재함에 적재되어 있다.
도 8은 2개의 관로를 동시에 튜브라이너(6)로 보수 보강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며, 관로(10)들 사이의 맨홀을 통과하는 튜브라이너(6)는 시공 완료 후 제거된다.
2. 튜브라이너 커팅(도 9 참고).
튜브라이너(6)의 시작부는 타측 맨홀(12)(초구)의 입구쪽에 배치되며, 견인 작업 완료 후 시공 길이에 맞춰 튜브라이너(6)의 반대측을 일측 맨홀(11)(말구)에 맞춰 커팅한다. 잔여 튜브라이너를 적재함에 다시 적재하여 보관한다.
3. 튜브라이너 패커 설치(도 10 참고).
견인이 완료된 튜브라이너(6)의 양쪽 끝에 패커(13,14)를 체결하고, 튜브라이너(6) 내부를 외부와 차단 즉 밀봉한다. 여기서 밀봉은 튜브라이너(6)의 팽창을 위한 팽창 유체가 일측에서 유입되고 타측으로 배출되는 밀봉도 포함된다.
4. 튜브라이너 팽창(도 11 참고).
튜브라이너(6)를 팽창시키고 광경화 장치의 선두쪽은 견인용 로프에 묶어 윈치로프를 반대쪽 패커까지 잡아당긴다.
5. 광경화 장치 삽입 설치(도 5 또는 도 7 참고).
일측의 패커를 통해 튜브라이너(6) 안에 화재 진화 광조사 경화장치(1)를 삽입 설치한다.
6. 튜브라이너 경화(도 7 참고).
화재 진화 광경화 장치(1)의 광원에 전원을 인가한 후 광경화 장치(1)를 튜브라이너(6) 안에서 튜브라이너(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튜브라이너(6)의 함침수지를 경화시킨다.
7. 냉각.
광경화 공정이 완료되면 튜브라이너(6)를 냉각하여야 하며, 압축공기(또는 별도의 냉각공기)를 튜브라이너(6) 내부에 주입하여 튜브라이너(6)를 냉각한다.
8. 마감.
냉각이 완료되면 튜브라이너(6)의 양쪽 끝단을 절단하여 패커(13,14)를 제거하고 광경화 장치(1)를 지상으로 꺼낸다.
1 : 광경화 장치, 2 : 케이블
3 : 전동 릴, 4 : 발전기
5 : 무정전 전원장치,

Claims (5)

  1.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 및 발전으로 전원을 생산하는 발전기로 이루어지는 전원 공급장치와;
    비굴착 관로의 보수 보강을 위하여 지중 관로에 설치되며 광경화 수지가 함침된 튜브라이너를 따라 이동하면서 광경화시키는 광경화 장치를 포함하는 부하에, 상기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전원공급장치의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과 상기 발전기의 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광경화 장치에 공급하도록 제어하되,
    사전 준비 모드와 시공 모드의 선택을 통해 상기 사전 준비 모드 선택 시 상기 충전식 전원 공급 장치의 전원이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충전량을 계량하고, 현재 충전량과 기준 충전량의 비교를 통해 현재 충전량이 기준 충전량을 만족하지 못하면 상기 부하와 상기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접속을 차단하는 한편 상기 부하와 상기 발전기의 접속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튜브라이너의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소형과 대형으로 구분하고, 소형 튜브라이너를 선택한 경우 사전 준비와 시공 모두 상기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한편, 대형 튜브라이너를 선택한 경우 사전 준비 시에는 상기 충전식 전원 공급장치의 전원이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고 시공 시에는 상기 발전기의 전원이 상기 부하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5. 청구항 1에 의한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으로서,
    지중의 관로 안에 튜브라이너를 설치하는 제1단계와;
    상기 튜브라이너를 상기 관로에 맞춰 커팅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 후 상기 튜브라이너의 길이방향 양측의 개방부에 패커를 설치하는 제3단계와;
    상기 패커를 통해 상기 튜브라이너의 내부에 상기 광경화 장치를 삽입 설치하는 제4단계와;
    상기 튜브라이너를 팽창시키는 제5단계와;
    상기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광경화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상기 광경화 장치를 이동시키면서 광을 조사하여 상기 튜브라이너를 경화시키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 후 상기 튜브라이너 내부를 냉각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KR1020200096921A 2020-08-03 2020-08-03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KR102220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21A KR102220883B1 (ko) 2020-08-03 2020-08-03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921A KR102220883B1 (ko) 2020-08-03 2020-08-03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883B1 true KR102220883B1 (ko) 2021-02-26

Family

ID=74687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921A KR102220883B1 (ko) 2020-08-03 2020-08-03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8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93B1 (ko) * 2006-06-20 2008-01-02 도아 그라우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광경화성 라이닝재의 광경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이용하는 광경화 장치
KR20080088389A (ko) * 2007-03-28 2008-10-02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전열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관로 라이닝 공법
KR20130070952A (ko) * 2011-12-20 2013-06-28 주식회사 케이티 비상 전원용 축전지를 활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325130B1 (ko) 2011-06-21 2013-11-06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광경화성 라이닝재의 광경화장치
KR20170075701A (ko) * 2017-06-21 2017-07-03 주식회사 한강기전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KR102082179B1 (ko) * 2019-05-24 2020-02-27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보수용 공기냉각식 uv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093B1 (ko) * 2006-06-20 2008-01-02 도아 그라우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광경화성 라이닝재의 광경화 방법 및 이 방법에 이용하는 광경화 장치
KR20080088389A (ko) * 2007-03-28 2008-10-02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전열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관로 라이닝 공법
KR101325130B1 (ko) 2011-06-21 2013-11-06 호용종합건설주식회사 광경화성 라이닝재의 광경화장치
KR20130070952A (ko) * 2011-12-20 2013-06-28 주식회사 케이티 비상 전원용 축전지를 활용한 전력 공급 장치 및 방법
KR20170075701A (ko) * 2017-06-21 2017-07-03 주식회사 한강기전 발전기 및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의 연결 구조
KR102082179B1 (ko) * 2019-05-24 2020-02-27 주식회사 힘센기술 비굴착 관로 보수용 공기냉각식 uv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3536B2 (en) Apparatus, methods, and liners for repairing conduits
JP4964015B2 (ja) 光硬化性ライニング材の光硬化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光硬化システム
US20060174957A1 (en) Apparatus, methods, and liners for repairing conduits
CN108644529B (zh) 一种cipp现场固化修复装置及修复方法
US11473713B2 (en) Trenchless integrative repair method for concrete drainage pipeline with cracking, corrosion and subsidence
KR102186483B1 (ko) 스마트 광조사 자동 경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보강 공법
US2023021313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ining conduits
US7267739B2 (en) Tensioned pipe support
KR101060510B1 (ko) 관로의 보수 방법
KR102220883B1 (ko) 비굴착 관로 광경화 장치용 친환경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 광경화 공법
KR102215552B1 (ko) Uv 광조사 장치 삽입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비굴착 전체 보수 보강 공법
KR102192466B1 (ko) Led 광원을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부분 보수·보강 장치 및 공법
US6382876B2 (en) Method of repairing or reinforcing worn-out underground burried drainpipes by resin transfer molding process using both flexible tubes and bagging films
KR100632978B1 (ko) 노후 하수도관 연속식 부분 보수 공법 및 그 장치
KR102334145B1 (ko) 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비굴착 부분 보수 공법
KR102546744B1 (ko) 튜브라이너의 광경화를 위한 uv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 전체 보수와 보강 공법
KR102064714B1 (ko) 역 경화방식을 이용한 상하수 비굴착 전체 보수장치 및 공법
KR19980068106A (ko) 하수관의 튜브라이너 부착장치 및 방법
KR102264209B1 (ko) 비굴착 관로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굴착 관로보수공법
KR101738539B1 (ko) 노후 하수관로 비굴착 전체 보수 보강공법 및 장치
KR102261120B1 (ko) 지하관로의 보수를 위한 보수튜브 확장장치, 이를 포함하는 보수장치 및 보수방법
KR101943952B1 (ko) 노후관로 갱생용 라이닝재 운용장비
CN102606845A (zh) 一种地下管道非开挖螺旋缠绕修复方法
JP5118457B2 (ja) 既設管補修工法
CN218671144U (zh) 用于埋地给排水管道内衬非开挖修复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