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587A -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587A
KR20170075587A KR1020150185416A KR20150185416A KR20170075587A KR 20170075587 A KR20170075587 A KR 20170075587A KR 1020150185416 A KR1020150185416 A KR 1020150185416A KR 20150185416 A KR20150185416 A KR 20150185416A KR 20170075587 A KR20170075587 A KR 20170075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electrode
electrode layer
layer
outer bottom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6156B1 (ko
Inventor
정효태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1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75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며,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부;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형성된 금속전극층; 및 상기 금속전극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구비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Cooking utensils for induction heat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통과할 때 주방용기를 구성하는 물질의 저항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가 생성되며, 이러한 와류전류는 상기 물질의 저항성분에 의해서 열로 변환되므로 주방용기 자체가 발열되어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최근에는 환경 호르몬이나 용출금속의 유해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운 도자기/유리로 이루어진 주방용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주방용기는 상술한 와류전류가 생성되지 않아 유도가열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진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20100117410호
상술한 바와 같이,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주방용기는 유도가열이 구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용기 몸체부를 구비하되,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며,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부;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형성된 금속전극층; 및 상기 금속전극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구비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상기 외측 바닥면의 테두리는 상기 오목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 바닥면과 상기 금속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발포유리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금속전극층; 및 상기 제 2 금속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금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상기 금속층은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 화학적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층이며, 상기 도금층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며,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함입된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부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금속전극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금속전극층 상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2 단계 이전에,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3 단계 이전에, 상기 금속전극층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용기 몸체부, 상기 금속전극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경 호르몬이나 용출금속의 유해 논란으로부터 자유로우면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도자기/유리/세라믹의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층 또는 영역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상기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접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또한, "상의" 또는 "하의" 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위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구성요소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부(120)를 구비하는 주방용기(100a)가 제공된다. 용기 몸체부(120)는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편의상, 용기 몸체부(120)의 표면은 외측 바닥면(120a), 외측 옆면(120b), 내측 바닥면(120c), 내측 옆면(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주방용기(100a)의 내측은 요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주방용기(100a)의 외측은 가열원과 맞닿거나 가장 인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부(120)는 오목부(C)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C)는 외측 바닥면(120a)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C)는 외측 바닥면(120a)의 가운데 영역이 내측 바닥면(120c) 방향으로 함입되는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바닥면(120a)의 테두리(120S)는 오목부(C)의 공간을 한정할 수 있으며, 외측 바닥면(120a)의 테두리(120S)는 오목부(C)에 비하여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C)는 형상에 따라 캐비티(cavity), 트렌치(trench), 홀(hole) 또는 공간(space)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120a) 중 오목부(C) 내에 금속전극층(142)을 형성한다. 오목부(C) 내에만 금속전극층(142)을 형성하기 위하여 오목부(C)만을 노출시키는 마스크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다양한 제조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금속전극층(142)은, 예를 들어, 무전해 도금 공정에 의하여 용기 몸체부(12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무전해 도금 공정을 사용하는 것은 용기 몸체부(120)가 절연체이기 때문이다. 한편, 다른 예로서, 금속전극층(142)은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은, 예를 들어, 진공 증착 공정 또는 스퍼터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금속전극층(142)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 몸체부(120)와 금속전극층(142)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전극층(142)과 접하는 용기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금속전극층(142)과 접하게 되는 용기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금속전극층(142) 상에 도금층(144)을 형성한다. 금속전극층(142)이 오목부(C) 내에 형성되므로 금속전극층(142) 상에서 구현되는 도금층(144)도 오목부(C)에 형성될 수 있다. 금속전극층(142)은 도금층(144)과 용기 몸체부(12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금속전극층(142) 및 도금층(144)을 외측 유도가열층(140)으로 명명할 수 있다. 특히, 금속전극층(142) 및 도금층(144)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금층(144)은 철(Fe), 니켈(Ni) 또는 코발트(Co) 등의 자성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금층(144)은 철(Fe)과 니켈(Ni)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도금층(144)은 니켈을 30% 내지 80% 함유하는, 철-니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금층(144)은, 니켈을 45% 함유하는, Fe-Ni 45%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금층(144)은 Fe-Ni계 합금인 인바(invar) 합금 또는 퍼멀로이(permalloy)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금층(144)은 선택적으로 크롬(Cr)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금층(144)의 조성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조성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특정 조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조성을 가지는 도금층(144)을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용기 몸체부(120) 상에 직접 도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상술한 금속전극층(142)을 도입하였다. 도금층(144)이 구현되는 도금공정에서 금속전극층(142)은 도금 전극(또는 도금 보조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150㎛ 이상일 수 있으며, 엄격하게는, 150㎛ 내지 10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더 엄격하게는 150㎛ 내지 5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더욱 더 엄격하게는 200㎛ 내지 4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물이 끓는 시간을 단축하면서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더욱 훨씬 더 엄격하게는 250㎛ 내지 4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용사코팅층이 형성된 주방용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지면서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금속전극층(142) 상에 도금층(144)을 형성하기 이전에, 금속전극층(142)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부식시킬 수도 있다. 표면을 부식시킨 금속전극층(142) 상에 도금층(144)이 형성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가 단락 없이 인식하여 유도가열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도 1c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 몸체부(120), 금속전극층(142) 및/또는 도금층(144) 상에 형성된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도금층(144)의 표면을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세라믹 코팅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도금층(144) 상에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는 용기 몸체부(120)를 준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해하는 도 1a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는, 외측 바닥면(120a)은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를 가지지 않으며 전체적으로 단차를 가지지 않는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오목부를 가지지 않는 외측 바닥면(120a) 상에 금속전극층(142)을 형성한다. 따라서, 금속전극층(142)은 모서리 부분(E)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금속전극층(142)을 전극(또는 보조전극)으로 이용한 도금공정을 통하여 금속전극층(142) 상에 도금층(144)을 형성한다. 하지만, 금속전극층(142)의 모서리 부분(E)에 전기장이 집중되어 도금층(144)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도금층의 비정상부(144a)는 도금층 및 후속공정에서의 기계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취약한 부분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와 달리,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금층(144)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금속전극층(142)의 모서리 부분에 절연체로 이루어진 용기 몸체부(120)의 테두리(120S)가 배치되므로 전기장 집중 현상이 완화 내지 제거되어 도금층(144)의 비정상부(144a)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나아가, 금속전극층(142)이 용기 몸체부(120)의 테두리(120S)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도금층(144)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모서리 부분에서 도금층(144)이 비정상적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계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고 견고한 도금층을 가지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인덕션 레인지(300)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300)는 기존의 상용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300)의 코일(320)에서 발생한 자력선(M)이 유도가열이 가능한 금속전극층(142) 및/또는 도금층(144)을 통과할 때에 금속전극층(142) 및/또는 도금층(144)을 구성하는 자성 재료(또는 철계 소재)의 저항에 의해서 와류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와류전류는 저항에 의해서 열로 변환되므로 금속전극층(142) 및/또는 도금층(144) 자체가 발열되어 용기 몸체부(120)까지 가열하여 조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몸체부(120)는 외측 바닥면(120a)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를 복수개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오목부를 충전하는 금속전극층(142)과 도금층(144)의 구성 및 제조방법은 앞에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다. 금속전극층(142)과 도금층(144)은 형성면적이 넓을수록 발생되는 응력이 증대되므로 박막의 필링(peeling)의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각각의 오목부 내에 개별적으로 금속전극층(142)과 도금층(144)을 형성하는 경우, 각각의 박막 형성면적이 작아지므로 유발되는 박막응력도 감소되며, 이에 따라, 박막 필링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외측 바닥면(120a)의 오목부(C) 내에 형성되며, 외측 바닥면(120a)과 금속전극층(142) 사이에 개재된, 발포유리층(14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다포유리, 다공질유리로 명명되기도 하는 발포유리는 유리분말에 발포제를 혼합하여 가열하면 유리가 녹으면서 발포하고 팽창하는데 이것을 냉각함으로써 형성된다. 비중이 0.15 내지 0.4 정도로 유리보다 가볍고 내산성과 내알칼리성이 뛰어난 소재이다. 발포유리 내에 있는 기포는 아주 작고 독립되어 있어서 하얗게 빛이 나고 독특한 아름다움이 있다.
발포유리는 용기 몸체부(120)와 재질이 유사하므로 발포유리층(141)과 용기 몸체부(120)는 상호 접합이 용이하다. 나아가, 발포유리는 표면이 울퉁불퉁하여 단위부피당 표면적이 증대되고 표면거칠기가 증대되므로, 발포유리층(141)과 발포유리층(141) 상에 형성되는 금속전극층(142) 간의 접합력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발포유리층(141)은 용기 몸체부(120)와 금속전극층(142)과의 직접 접착(부착)에 따른 접착력 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발포유리층(141)과 금속전극층(142)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전극층(142)과 접하는 발포유리층(141)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금속전극층(142)과 접하게 되는 발포유리층(141)의 적어도 일부분에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발포유리층(141)은 단열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용기 몸체부(120) 내에 적재되어 가열된 조리물의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내측 유도가열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내측 유도가열층(150)은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에서부터 내측 옆면의 적어도 일부까지 신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유도가열이 가능한 내측 유도가열층(150)이 적어도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므로, 요리 대상물에 대한 가열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내측 유도가열층(150)은 제 2 금속전극층(152) 및 제 2 도금층(154)의 적층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금속전극층(152)은 용기 몸체부(120)와 도금층(144)과의 직접 접착(부착)에 따른 접착력 불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접착층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도금층(154)을 형성하는 도금공정에서 제 2 금속전극층(152)은 도금 전극(또는 도금 보조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금속전극층(142)과 제 2 금속전극층(152)을 구성하는 물질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금층(144)과 제 2 도금층(154)을 구성하는 물질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2 금속전극층(152) 및/또는 제 2 도금층(154)은 유도가열이 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한, 금속전극층(142) 및/또는 도금층(144)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전극층(142)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금속전극층(152)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금층(144)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도금층(154)을 형성하는 단계도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에서는, 상술한 외측 유도가열층(140)은 제공되지 않고 상술한 내측 유도가열층(150)만이 용기 몸체부(1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는 바,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형 조합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조합에 따르면,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120a)은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부를 가지며, 각각의 오목부에 발포유리층(141), 금속전극층(142) 및 도금층(14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c, 100d :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120 : 용기 몸체부
120a :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
140 : 외측 유도가열층
141 : 발포유리층
142 : 금속전극층
144 : 도금층
300 : 인덕션 레인지

Claims (10)

  1.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며,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부;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형성된 금속전극층; 및
    상기 금속전극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
    을 구비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바닥면의 테두리는 상기 오목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상대적으로 돌출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형성되며, 상기 외측 바닥면과 상기 금속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발포유리층;
    을 더 구비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금속전극층; 및
    상기 제 2 금속전극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금층;
    을 더 구비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물리적 기상 증착 공정, 화학적 기상 증착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금속층이며, 상기 도금층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7. 도자기, 유리 또는 세라믹을 포함하며,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으로 함입된 오목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부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외측 바닥면의 오목부 내에 금속전극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금속전극층 상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2 단계 이전에,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3 단계 이전에, 상기 금속전극층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용기 몸체부, 상기 금속전극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50185416A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16A KR101826156B1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16A KR101826156B1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587A true KR20170075587A (ko) 2017-07-03
KR101826156B1 KR101826156B1 (ko) 2018-02-06

Family

ID=59357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416A KR101826156B1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156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749A (ja) * 2001-02-16 2002-08-27 Sanyo Electric Co Ltd 誘導加熱用食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395310B2 (ja) * 2003-02-28 2010-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用鍋および炊飯器
JP2006320559A (ja) 2005-05-19 2006-11-30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磁調理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200422602Y1 (ko) * 2006-05-15 2006-07-27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
KR100913119B1 (ko) * 2009-01-29 2009-08-19 조용래 조리용기와 그 제조방법
KR101452291B1 (ko) * 2013-11-05 2014-10-22 (주)훼니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6156B1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511990A (ja) エアロゾル形成基体を誘導加熱するためのサセプタ組立品
JP6796357B2 (ja) セラミックス鍋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調理器具
KR101681405B1 (ko) 파워 인덕터
KR101452291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0268645B1 (ko) 전자가열용 금속판
JPWO2019044459A1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17165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1826156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5207A1 (en) Cooking utensil for induction range
KR101826154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157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101826155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TW200952005A (en)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the magnet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13243265A (ja)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70011310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2014143389A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722865U (zh) 金属围墙
KR20160103715A (ko) 유도가열 주방용기
KR101826153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15515461A (zh) 底座嵌有金属网的炊具
KR101682199B1 (ko) 유도가열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2006320559A (ja) 電磁調理容器とその製造方法
KR20140116017A (ko) 경납땜 및 납땜 공정을 이용한 정류자 제조 방법
JP2002059505A (ja) クラッド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75582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