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582A -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582A
KR20170075582A KR1020150185406A KR20150185406A KR20170075582A KR 20170075582 A KR20170075582 A KR 20170075582A KR 1020150185406 A KR1020150185406 A KR 1020150185406A KR 20150185406 A KR20150185406 A KR 20150185406A KR 20170075582 A KR20170075582 A KR 20170075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puttering deposition
deposition layer
induction heating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태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582A/ko
Publication of KR20170075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유도가열용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Cooking utensils for induction heating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이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를 통과할 때 주방용기를 구성하는 물질의 저항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가 생성되며, 이러한 와류전류는 상기 저항성분에 의해서 열로 변환되므로 주방용기 자체가 발열되어 조리가 수행될 수 있다. 금속을 함유하여 이루어진 주방용기의 유도가열은 특정한 주파수에서 발생되며 통상적으로 철합금 계열의 물질로 이루어진 몸체부를 가지는 주방용기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철합금 계열의 주방용기는 무거워 실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주방용기의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주방용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주방용기는 유도가열이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가벼운 충격에 의해서 흠집이 생기기 쉬우며 이러한 흠집에 의하여 알루미늄 소재가 쉽게 부식되거나 또는 용출되어 인체에 유해하다는 문제점이 수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유도가열용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는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제 2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상기 도금층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은 구리(Cu),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과 상기 도금층은 상용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스퍼터링 증착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을 도금공정의 전극으로 이용하여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2 단계 이전에,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2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3 단계 이전에,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용기 몸체부,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로 이루어진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현되는 주방용기를 차례로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층 또는 영역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상기 다른 구성요소 "상에" 접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또한, "상의" 또는 "하의" 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위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구성요소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 순차적으로 구현되는 주방용기를 도해하는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용기 몸체부(120)를 구비하는 주방용기(100a)가 제공된다. 용기 몸체부(120)는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몸체부(120)는 도전성 금속을 함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몸체부(120)는 마그네슘(Mg)을 함유할 수 있다. 마그네슘은 알루미늄에 비하여 무게가 약 37% 더 가벼울 뿐만 아니라(마그네슘의 비중:1.8, 알루미늄의 비중:2.87), 강도도 더 우수하며, 열전도율도 약 20% 더 높다. 또한, 인체를 구성하는 4대 미네랄 원소인 마그네슘은 알루미늄과 달리 인체에 무해하다. 나아가,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보다 전자파 차폐성이 우수하다.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120)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한 기술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 몇 가지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하는 제조공정 등은 예시적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이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일 예로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을 이용하여 다이캐스팅에 의해 주조한 후 열처리하여 용기 몸체부(120)를 제조할 수 있다. 마그네슘합금의 용기 몸체부(120)를 주조하기 위해서는 진공 콜드 챔버 다이캐스팅 이외에, 콜드 챔버 다이캐스팅, 진공 핫챔버 다이캐스팅, 핫챔버 다이캐스팅, 스퀴즈캐스팅, 금형주조, 사형주조, 또는 원심주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슘합금은, 예를 들어, ASTM AZ91D 합금일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조성의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 판재를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여 열간 드로잉 공법에 의하여 단조성형하여 용기 몸체부(120)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그네슘합금 판재는, 예를 들어, 마그네슘 95.6~97 중량%, 알루미늄 2.4~3.0 중량%, 아연 0.3~0.7 중량% 및 칼슘 또는 산화칼슘 0.3~0.7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 몸체부(120)의 표면은 외측 바닥면(120a), 외측 옆면(120b), 내측 바닥면(120c), 내측 옆면(120d)을 포함할 수 있다. 주방용기(100a)의 내측은 요리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한정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주방용기(100a)의 외측은 가열원과 맞닿거나 가장 인접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스퍼터링 증착층(142)을 형성한다. 나아가,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에서 외측 옆면의 적어도 일부까지 신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물리적 기상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공정인 스퍼터링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추후에 스퍼터링 증착층(142) 상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도금공정에서 전극(또는 보조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용기 몸체부(120)와 도금층과의 접착력(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층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구리(Cu),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의 종류는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예시적인 물질의 종류에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상용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서,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화학적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공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ition; ALD) 공정에 의하여 형성되는 증착층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용기 몸체부(120)와 스퍼터링 증착층(142)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는, 스퍼터링 증착층(142)과 접하는 용기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스퍼터링 증착층(142)과 접하게 되는 용기 몸체부(120)의 적어도 일부분에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퍼터링 증착층(142) 상에 도금층(144)을 형성한다.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도금층(144)과 용기 몸체부(12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층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용기 몸체부(120)의 외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스퍼터링 증착층(142)과 도금층(144)을 외측 유도가열층(140)으로 명명할 수 있는데, 외측 유도가열층(140)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금층(144)은 철(Fe), 니켈(Ni) 또는 코발트(Co) 등의 자성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도금층(144)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금층(144)은 철(Fe)과 니켈(Ni)을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도금층(144)은 니켈을 30% 내지 80% 함유하는, 철-니켈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금층(144)은, 니켈을 45% 함유하는, Fe-Ni 45%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도금층(144)은 Fe-Ni계 합금인 인바(invar) 합금 또는 퍼멀로이(permalloy)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도금층(144)은 선택적으로 크롬(Cr)을 더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도금층(144)의 조성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인 조성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특정 조성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조성을 가지는 도금층(144)을 용기 몸체부(120) 상에 직접 도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상술한 스퍼터링 증착층(142)을 도입하였다. 도금층(144)이 구현되는 도금공정에서 스퍼터링 증착층(142)은 도금 전극(또는 도금 보조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150㎛ 이상일 수 있으며, 엄격하게는, 150㎛ 내지 10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더 엄격하게는 150㎛ 내지 5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더욱 더 엄격하게는 200㎛ 내지 4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물이 끓는 시간을 단축하면서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에서, 도금층(144)의 두께는 더욱 훨씬 더 엄격하게는 250㎛ 내지 40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 범위에서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용사코팅층이 형성된 주방용기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지면서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단락 없이 인식되며 유도가열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조방법에서, 스퍼터링 증착층(142) 상에 도금층(144)을 형성하기 이전에, 스퍼터링 증착층(142)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부식시킬 수도 있다. 표면을 부식시킨 스퍼터링 증착층(142) 상에 도금층(144)이 형성되는 경우 인덕션 레인지가 단락 없이 인식하여 유도가열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도 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금층(144) 상에 형성된 세라믹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코팅층은 도금층(144)의 표면을 아노다이징(anodizing) 처리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세라믹 코팅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도금층(144) 상에 샌드 블래스팅(sand blasting) 공정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120) 상에 보호피막(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피막은 금속 용사층 및/또는 테프론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보호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 앞서, 전처리 공정으로서, 용기 몸체부(120)를 샌드 블라스트하고, 그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10 중량%의 HCl 용액으로 산세 처리한 다음, 용기 몸체부(120)를 2시간 동안 50 ~ 250℃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전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금속 용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스텐레스강으로 플라즈마 용사 처리할 수 있다. 용사 처리된 용기 몸체부(120)는 1차 테프론 코팅한 후 150 ~ 350℃에서 10분 ~ 1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다시 2차 테프론 코팅한 후 200 ~ 480℃에서 10분 ~ 1시간 동안 건조시켜, 1차 및 2차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금속 용사층에는 스텐레스강, 티타늄, 구리, 알루미늄, 망간, 또는 이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금속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변형된 다른 실시예로서, 용기 몸체부(120)의 표면에 애노다이징에 의한 보호피막을 형성한 후 테프론 코팅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보호피막을 입히는 공정에 앞선 전처리 공정으로, 용기 몸체부(120)를 샌드 블라스트하고, 그 표면의 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알카리 세척 처리를 수행한 다음, 수 시간 동안 50℃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다. 마그네슘을 애노다이징하기 위해, 우선 용기 몸체부(120)의 표면을 50℃ 정도의 온도에서 10분 정도 탈지 세척한 다음, 미세 부식층을 제거하기 위하여 80℃ 정도의 온도에서 수 분간 약알카리 세척을 하고, 용기 몸체부(120)를 불화이온이 함유된 수용액 내에 약 90℃의 온도에서 침지시켜 마그네슘 플루오르화물, 옥소플루오르화물 및 마그네슘 산화물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실리케이트(silicate), 카르복실레이트(carboxylate) 및 알칼리 하이드록사이드(alkaly hydroxide)의 수용액에 마그네슘 합금인 용기 몸체부(120)를 양극으로 하고 스테인레스 코팅 탱크를 음극으로 하여, 150 볼트 이상의 전압을 인가시켜 용기 몸체부(120)의 표면에 다공성 산화층, 즉 애노다이징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테프론 코팅한 후 소성하여 테프론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가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되는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100c)는 인덕션 레인지(300)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300)는 기존의 상용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인덕션 레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션 레인지(300)의 코일(320)에서 발생한 자력선(M)이 유도가열이 가능한 스퍼터링 증착층(142) 및/또는 도금층(144)을 통과할 때에 스퍼터링 증착층(142) 및/또는 도금층(144)을 구성하는 자성 재료(또는 철계 소재)의 저항에 의해서 와류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와류전류는 저항에 의해서 열로 변환되므로 스퍼터링 증착층(142) 및/또는 도금층(144) 자체가 발열되어 용기 몸체부(120)까지 가열하여 조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용기 몸체부(120)가 전자파 차폐성을 가지는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합금을 함유하므로, 인덕션 레인지(300)의 코일(320)에서 발생한 자력선(M)이 용기 몸체부(120) 내에 적재된 음식물에 영향을 미쳐 음식물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자파 차폐성을 가지는 마그네슘 용기 몸체부를 도입함으로써 조리하는 음식물의 영양소를 온전하게 유지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인덕션 레인지(300)는 불이나 연소가스로 인한 위험은 적지만, 사용법에 따라서는, 국제 안전 기준치를 초과한 전자파가 발생될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의 협력기관인 국제비전리방사선보호위원회(ICNIRP)는 인체를 전자파로부터 지키기 위한 지침을 작성하여 인덕션 레인지가 방출하는 전자파와 관련하여 허용 한도를 정해 놓았다. 실제로, 인덕션 레인지(300) 상에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을 올린 다음, 유도가열을 구현하고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인덕션 레인지(300)의 정면 및 주변 보다 주방용기의 바닥면 바로 위에서 가장 높은 전자파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에서 전자파 차폐성을 가지는 마그네슘 용기 몸체부를 도입하는 경우 전자파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를 도해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100d)는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형성된 내측 유도가열층(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내측 유도가열층(150)은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에서부터 내측 옆면의 적어도 일부까지 신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유도가열이 가능한 내측 유도가열층(150)이 적어도 용기 몸체부(120)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되므로, 요리 대상물에 대한 가열 효율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내측 유도가열층(150)은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 및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 상에 형성된 제 2 도금층(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도금층(154)을 형성하는 도금공정에서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은 도금 전극(또는 도금 보조전극)으로 이용될 수 있다.
스퍼터링 증착층(142)과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을 구성하는 물질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도금층(144)과 제 2 도금층(154)을 구성하는 물질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 및/또는 제 2 도금층(154)은 유도가열이 가능한 물질로 구성되는 한, 스퍼터링 증착층(142) 및/또는 도금층(144)과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스퍼터링 증착층(142)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스퍼터링 증착층(152)을 형성하는 단계는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금층(144)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2 도금층(154)을 형성하는 단계도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된 주방용기에서는, 상술한 외측 유도가열층(140)은 제공되지 않고 상술한 내측 유도가열층(150)만이 용기 몸체부(1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c, 100d :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120 :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
140 : 외측 유도가열층
142 : 스퍼터링 증착층
144 : 도금층
300 : 인덕션 레인지

Claims (8)

  1.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형성된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형성된 도금층;
    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제 2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형성된 제 2 도금층;
    을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3.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은 철(Fe), 니켈(Ni) 및 코발트(Co)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고,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은 구리(Cu),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및 마그네슘(Mg)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함유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4. 제 1 항 내지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과 상기 도금층은 상용 주파수 영역에서 작동하는 인덕션 레인지에 의하여 유도가열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5.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용기 몸체부를 제공하는 제 1 단계;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스퍼터링 증착층을 형성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을 도금공정의 전극으로 이용하여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상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2 단계 이전에,
    상기 용기 몸체부의 외측 바닥면에 표면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이후 및 상기 제 3 단계 이전에,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 이후에,
    상기 용기 몸체부, 상기 스퍼터링 증착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KR1020150185406A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5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06A KR20170075582A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406A KR20170075582A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582A true KR20170075582A (ko) 2017-07-03

Family

ID=5935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406A KR20170075582A (ko) 2015-12-23 2015-12-23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0481A (zh) * 2019-11-27 2020-04-17 广州市尤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磁锅用导磁涂层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0481A (zh) * 2019-11-27 2020-04-17 广州市尤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磁锅用导磁涂层及其制备方法
CN111020481B (zh) * 2019-11-27 2022-05-17 广州市尤特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电磁锅用导磁涂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3655C1 (ru) Теплопоглощающий и излучающий стальной лист и теплопоглощающий и излучающий элемент
CN102462373B (zh) 锅具及其制造方法
RU2540875C2 (ru) Варочный котел, пригодный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452291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CN103349491A (zh) 钛或钛合金复合锅及制备工艺
CN111031864A (zh) 可以被感应加热的多层烹饪支撑件
JP2018083079A (ja) 緻密な構造の導磁性コーティング層、緻密な構造の導磁性コーティング層の製造方法、鍋体、及び調理器具
KR20170017165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CN210870985U (zh) 一种适用于电磁加热的内锅和烹饪器具
KR20170075582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199077A (zh) 电磁加热锅及其制备方法和煮食设备
JP4295232B2 (ja) 電磁誘導加熱調理器用容器
CN207768102U (zh) 电磁加热锅和煮食设备
KR101826157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WO2019168179A1 (ja) Snめっき鋼板及びSn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CN208211916U (zh) 电磁感应加热锅具和煮食设备
CN110537824A (zh) 一种适用于电磁加热的内锅及其制备方法和烹饪器具
KR101826155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CN109199076A (zh) 电磁加热锅及其制备方法和煮食设备
JP4346134B2 (ja) 電磁加熱用陶磁器又はガラス食器及びその製造法
CN209883786U (zh) 锅具和烹饪器具
CN215127127U (zh) 锅体及烹饪器具
KR101826153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11310A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JP2006288727A (ja) 調理器用内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