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5421A -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5421A
KR20170075421A KR1020150185052A KR20150185052A KR20170075421A KR 20170075421 A KR20170075421 A KR 20170075421A KR 1020150185052 A KR1020150185052 A KR 1020150185052A KR 20150185052 A KR20150185052 A KR 20150185052A KR 20170075421 A KR20170075421 A KR 20170075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ze
ceramics
present
hours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5018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5421A/ko
Publication of KR2017007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5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1/00Ingredients generally applicable to manufacture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4Modelling plastic materials, e.g. c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B44F1/08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characterised by colour eff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별도의 채색 또는 상감 등의 무늬형성과정없이 유약의 도포 및 소성만으로 종래 없었던 신규한 산수문이 형성되도록 하는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Glaze and ceramics using this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채색 또는 상감 등의 무늬형성과정없이 유약의 도포 및 소성만으로 종래 없었던 신규한 산수문이 형성되도록 하는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자기(陶瓷器, Porcelain)는 흙을 빚어 높은 온도의 불에서 구워낸 그릇이나 장식물을 말하는 것으로, 모양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흙을 반죽할 때 미리 착색제를 섞거나, 유약에 착색제를 섞어 초벌 구운 것 위에 바른 다음 다시 굽거나, 초벌 구운 것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전사지를 붙이고 그 위에 유약을 바르는 것, 유약을 발라 구워 낸 다음 그림을 그리고 다시 굽는 등의 방법이 있으며, 표면에 홈을 형성하여 다른 색을 갖는 착색제를 채워넣는 상감법 등이 있다.
이러한 도자기의 무늬형성방법 중 그림을 그리거나 상감법을 통해서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장식과정이 요구되므로 작업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흙의 반죽시에 미리 착색재를 섞는 경우에는 흙의 점성에 의하여 착색재를 섞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도자기를 장식하는 다른 방법으로 유약을 사용하여 광택과 색래 또는 무늬를 내어주는 방법이 있는데, 상기 유약이란 소지표면에 융착시킨 얇은 피막으로, 실용 용기에 입혀서 그릇의 강도를 더하여 주고, 흡수성을 없애서 위생적이며 사용에 편리하도록 하고, 실용 용기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알카리성이나 산성에 강하여 변질되지 않고, 세척이 용이하며, 광택으로 인한 미감을 더하여 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유약은 크게, 장석, 석회석, 규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장석은 점토내에 있는 알루미나 성분과 작용하여 유약을 점토에 융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석회석은 유약표면의 광택과 유연성에 영향을 주고, 규석은 유약의 용융 온도, 점성, 열팽창 계수, 경도 및 강도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약에 산화물 등의 발색제를 더 첨가하여 색상을 내주거나 유탁제나 결정 생성제를 넣어주어 유약의 투명도나 표면상태를 조절한다.
그리고, 도자기에 장식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토기나 도자기를 구울 때 산소공급을 달리하는 것으로, 산화염과 환원염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산화염은 산소가 많은 상태에서 타는 붉은 색의 불꽃을 말하는 것으로, 산소 소모량보다 산소가 남아도는 상태이고, 이 여분의 산소는 토기 태토 안에 있는 철분 또는 유약의 철분과 결합(산화)하여 붉은 산화제이철(Fe2O3)을 만들기 때문에 토기 색이 붉어진다.
이에 반해 환원염은 바람구멍이 없는 가마 속에서 탈 때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모자라 토기태토속에있는 산소까지 끌어내어 탄산가스로 만드는 환원작용으로 토기태토 또는 유약의 철은 청흑색의 산화제일철(FeO)로 되어 토기색은 청흑색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도자기에 무늬를 형성하는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었지만 소비자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므로, 종래에 없던 새로운 무늬를 갖는 도자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무늬 형성이 가급적 간단한 공정으로 진행되어 도자기의 보편사용이 가능하게 될 것 또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유약성분과 소성방법을 조합하여 별도의 채색 또는 상감과정없이 유약의 도포 및 소성만으로 종래 없었던 신규한 산수문이 형성되도록 하는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총중량기준 장석 30-50중량%, 규석 20-35중량%, 석회석 10-20중량%, 카오린 3-10중량%, 마그네슘 1-3중량%, 철 4-15중량% 및 티타늄 1-3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약 조성물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유약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약을 900-1000℃로 초벌된 기물에 1-3회 도포하여 건조한 뒤 1200-1300℃로 5-15시간 1차 소성하고 50℃이하로 냉각한 후, 1250-1350℃로 5-10시간 2차 소성하고 1250-1350℃에서 30분-90분 유지 후 급속냉각하는 도자기 제조방법에 있다.
상기에서 소성은 환원소성을 이용한다.
이러한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도자기는 산수문을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약의 성분 및 소성온도와 방법을 제어함으로서, 별도의 채색이나 상감공정없이 간단한 공정으로 도자기 표면에 산수문이 형성되고, 이러한 산수문은 이전에 형성된 적 없는 새로운 무늬로서 새로운 미감을 창출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벌된 기물을 나타내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1차 소성된 도자기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2차 소성 후 산수문을 갖는 도자기를 나타내는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약은 마그네슘과 철 및 티타늄을 포함한다.
그 실시예로서, 장석 40g, 규석 28g, 석회석 15g, 카오린 5g, 마그네슘 2g, 철 8g 및 티타늄 2g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습식으로 2시간 분쇄하여 물과 중량비로 물 : 유약조성물=20-50: 50-80 비율로 혼합한다.
상기에서 장석, 규석, 석회석은 유약의 기본성분으로 그 역할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오린은 도자기의 내열강도를 향상시킨다.
마그네슘은 고온에서 매우 느린 융제역활을 하고, 결정형성을 촉진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며, 유약의 부착력을 증가시킨다
철은 환원소성을 통하여 흑청색 무늬를 형성하는데,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즉, 4% 이상 사용시 융제로 재작용(react)하여 유약의 유동성을 높인다.
티타늄은 유탁제로 쓰이거나 결정유에서 결정생성을 돕는 역할을 하며, 크림색을 내고, 얼룩덜룩한 무늬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철과 만나서 흘러내리는 무늬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유약을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900-1000℃로 초벌된 기물에 1-2회 도포하여 건조한 뒤 1250℃로 11시간 1차 소성하고 50℃이하로 냉각하면 도 2의 갈색빛을 내게되고, 이를 다시 1300℃로 8시간 2차 소성하고 이후 1300℃에서 1시간 유지 후 급속냉각시키면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듯한 결정과 무늬가 형성되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수문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소성은 환원소성을 이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따른 산수문 형성의 다른 예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며, 상기 도 3의 산수문과 비교하여 약간의 미차가 있을 뿐, 전체적으로는 유사한 무늬를 갖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산수문을 갖는 도자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총중량기준 장석 30-50중량%, 규석 20-35중량%, 석회석 10-20중량%, 카오린 3-10중량%, 마그네슘 1-3중량%, 철 4-15중량% 및 티타늄 1-3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유약 조성물.
  2. 청구항 1의 유약조성물을 포함하는 유약을 900-1000℃로 초벌된 기물에 1-3회 도포하여 건조한 뒤 1200-1300℃로 5-15시간 1차 소성하고 50℃이하로 냉각한 후, 1250-1350℃로 5-10시간 2차 소성하고 1250-1350℃에서 30분-90분 유지 후 급속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은 환원소성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도자기 제조방법.
  4. 청구항 2의 도자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는 듯한 결정과 무늬가 형성되어 산수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KR1020150185052A 2015-12-23 2015-12-23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5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52A KR20170075421A (ko) 2015-12-23 2015-12-23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052A KR20170075421A (ko) 2015-12-23 2015-12-23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5421A true KR20170075421A (ko) 2017-07-03

Family

ID=59357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052A KR20170075421A (ko) 2015-12-23 2015-12-23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54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7828A (zh) * 2019-06-06 2019-09-20 浙江开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裂纹图案珐琅板的制备方法
CN111454079A (zh) * 2020-04-09 2020-07-28 广东皓明陶瓷科技有限公司 一种釉烧过程形成黑色基底金色晶片陶瓷制品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7828A (zh) * 2019-06-06 2019-09-20 浙江开尔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裂纹图案珐琅板的制备方法
CN111454079A (zh) * 2020-04-09 2020-07-28 广东皓明陶瓷科技有限公司 一种釉烧过程形成黑色基底金色晶片陶瓷制品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4900B (zh) 一种天蓝色窑变釉配方及其制备方法
CN104891808B (zh) 一种咖啡色结晶釉组合物
CN105175016A (zh) 一种白底蓝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KR101953542B1 (ko)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과 도자기용 다채색 고강도 안료조성물을 이용한 내열 도자기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내열 도자기
CN105110642A (zh) 一种黑底白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5036811A (zh) 一种白底红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6045579A (zh) 一种具有水波纹釉的天青色瓷器及其烧制方法
CN105036810A (zh) 一种黑底花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5036808A (zh) 一种白底花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8706879A (zh) 窑变釉下彩料及其陶瓷的制作工艺
CN102219562B (zh) 一种快速烧成炻瓷用砂金釉的制作方法
CN105175020A (zh) 一种黑底蓝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3833420A (zh) 一种古黑色色釉制作方法及其配方
CN105175017A (zh) 一种蓝底白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7365077A (zh) 一种钧瓷釉料
JP4342250B2 (ja) 曜変加飾陶磁器およびその製造法
KR20170075421A (ko) 산수문 형성용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자기 및 그 제조방법
CN106277792B (zh) 一种翡翠青釉料及其烧制方法
CN104909568B (zh) 一种表面具有咖啡色结晶釉层的陶瓷及其制备方法
CN105175019A (zh) 一种黑底红斑复合唐钧釉及使用其制备钧瓷的工艺
CN109052948A (zh) 一种开片钧瓷用暗红色组合釉
KR101854256B1 (ko) 도자타일 코팅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채색도자타일의 제조방법
US2902739A (en) Methods of changing or altering the color of building bricks, tile, or other ceramic units
KR101893607B1 (ko) 푸른색 결정을 갖는 도자기 제조방법
CN112457059A (zh) 一种用于釉下和釉中颜色底上进行书画的色料及其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