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819A -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819A
KR20170074819A KR1020160177009A KR20160177009A KR20170074819A KR 20170074819 A KR20170074819 A KR 20170074819A KR 1020160177009 A KR1020160177009 A KR 1020160177009A KR 20160177009 A KR20160177009 A KR 20160177009A KR 20170074819 A KR20170074819 A KR 20170074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metal
cut
metal part
gill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만트라우트 요한
아이저마이어 토비아스
캘버 요한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7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the conduits having a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0Incompletely punching in such a manner that the parts are still coherent with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21D28/12Punching using rotatab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2Making the fins
    • B21D53/025Louvered 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4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of sheet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1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126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only outside the tubular element consisting of zig-zag shaped fins
    • F28F1/128Fins with openings, e.g. louvered f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 F28F13/12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by creating turbulence, e.g. by stirring, by increasing the force of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15/00Fins
    • F28F2215/08Fins with openings, e.g. lou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가미(3)를 가진 립 구조물(1)을 구비한 판금부(2)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판금부(2)는 컷이 없는 매끄러운 영역(11)에 의해 판금부(2)의 폭 방향(8)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컷(6)을 각각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컷 섹션들(10)을 포함하는, 아가미(3)를 형성하는 컷 구조물(5)을 가지고, 컷 구조물(5)은 컷 구조물 폭(13)을 가로질러 폭 방향(8)에서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컷 구조물(5)은 서로 다른 수의 이러한 컷(6)을 가지고 폭 방향(8)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판금부(2)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판금부(2)를 제조하기 위한 롤들의 쌍(22)의 롤(23)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판금부(2)를 갖는 열 교환기(0)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SHEET METAL PART WITH A RIB STRUCTURE OF A HEAT EXCHANGER HAVING GILLS, AS WELL AS METHOD OF FABRICATION}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따른, 아가미(gill)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rib structure)의 판금부(sheet metal part)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롤들의 쌍(a pair of rolls)들과 이러한 롤들의 쌍의 롤에 의해서 이러한 판금부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 교환기는 두 유체 사이의 열 교환을 위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응용을 발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열 교환기는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뿐 아니라 자동차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유체 사이의 열 교환을 위해서, 이러한 열 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열 전달 방식으로 상호접속되는 두 개의 유체공학적으로 분리된 채널들의 시스템들을 구비한다. 열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히 열 전달 표면을 확대하기 위해서, 채널 시스템들 중 하나에 배치된 립 구조물을 사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열 전달을 촉진하기 위해서 및/또는 상응하는 유체의 흐름에 대해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이러한 립 구조물에는 일반적으로 특히 립 구조물을 통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는 아가미가 제공된다.
EP 1 331 464 A2 및 DE 200 10 994 U1은 아가미 섹션들 내에 배치된 아가미를 가진 이러한 립 구조물을 나타내는 동시에, 아가미 섹션들은 아가미가 없는 매끄러운 영역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이러한 립 구조물은 전형적으로 아가미를 제작하기 위한 컷(cut)이 제공되는 판금부로부터 제조되고, 이들의 컷 모서리는 아가미를 제작하기 위해 들어올려진다. 개별 판금부에 컷을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판금부 내에 컷 구조물을 도입하기 위해서, 이러한 부분은 롤들의 쌍과 같은 상응하는 장비로 작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칭적인 컷 구조물 및 그에 따른 대칭적인 아가미 구조가 판금부 내에 생성된다. 또한, 판금부의 외부 모서리는 판금부의 손상 및/또는 고장률을 줄이기 위해 매끄러운 영역과 일치된다.
그러나 립 구조물 내에 아가미가 제공되지 않은 이러한 매끄러운 영역은 상응하는 유체의 흐름 및/또는 열 교환에 관한 단점을 나타내며, 그에 따라 이는 상응하는 열 교환기의 더 낮은 효율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열 교환기의 환경, 특히 상응하는 열 교환기의 치수에 의존하는 립 구조물은 이에 적응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개별적으로 적응된 장비, 특히 매번 적절한 롤들의 쌍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히 립 구조물의 더욱 가변적인 제조 및/또는 립 구조물의 가능한 기하학적 구조의 향상된 가변성 및/또는 립 구조물의 더 낮은 제조 비용에 의해 구별되는, 아가미를 가진 립 구조물의 판금부뿐 아니라 이러한 판금부의 제작을 위한 그리고 이러한 판금부의 제작을 위한 롤에 대한 방법에 관한 개선되거나 적어도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문제를 다룬다.
이러한 문제는 청구범위의 종속항들의 주제사항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사항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수의 컷들의 섹션들을 갖는 열 교환기의 아가미를 구비한 립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한 판금부를 제공하는 일반적인 개념에 기초하며, 하나의 이러한 아가미는 개별 컷으로부터 제조된다. 따라서, 판금부는 서로 다른 수의 아가미를 갖는 섹션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립 구조물의 더욱 유연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의 립 구조물은 판금부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이것은 따라서 서로 다른 열 교환기, 특히 서로 다른 기하학적 환경의 열 교환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판금부로부터 생산된 립 구조물의 증가된 다양성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판금부 또는 립 구조물의 제조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수의 컷 또는 아가미가 립 구조물 내의 아가미가 없는 영역 또는 판금부 내의 컷이 없는 영역을 단축하거나 감소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립 구조물의 효율성 및 그에 따른 상응하는 열 교환기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르면, 따라서, 판금부는 이후에 아가미의 형성을 위한 역할을 하는 컷 구조물을 포함한다. 컷 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의 컷을 포함하는 개별 컷 섹션인 적어도 두 개의 컷 섹션을 포함한다. 개별 컷은 이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컷 에지의 재성형에 의해서 이러한 아가미의 제조를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개별 컷 섹션의 아가미는 판금부로부터 예각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예각은 아가미와 판금부 사이의 더 작은 각도이다. 컷 섹션은 판금부의 폭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컷이 없는 매끄러운 영역은 컷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폭 방향은 일반적으로 컷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진다. 여기에서 컷 섹션은 컷 구조물 폭을 가로질러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폭 방향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 섹션들은 서로 다른 수의 컷을 가진다. 따라서, 폭 방향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아가미 섹션들은 서로 다른 수의 아가미를 가진다. 즉, 판금부는 이후에 판금부 폭으로서 지정되는 폭을 가로질러 컷 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컷 구조물은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컷 섹션을 가지며, 이들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수의 컷을 가진다.
따라서, 컷으로부터 아가미를 제조한 후에 판금부는 서로 다른 수의 아가미를 가진, 폭 방향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아가미 섹션들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컷 구조물은 아래에서 판금부 폭 중심으로 지칭되는 판금부의 폭의 중심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가미 구조물 또한 판금 폭 중심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비대칭적인 구성은 여기에서 서로 다른 수의 컷 또는 아가미에 의해 구현된다. 이러한 비대칭적인 구성은 판금부 또는 동일하게 구성된 판금부로부터 상응하는 열 교환기의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에 적응된 서로 다른 립 구조물 또는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의 립 구조물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판금부로부터 립 구조물을 제조하는 것은 판금부의 상응하는 재성형(reshap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재성형은 바람직하게는 판금부에 컷 구조물을 제공한 후에 및/또는 판금부에 아가미를 제공한 후에 수행된다.
판금부는 이론적으로 임의의 주어진 금속-함유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금부는 우수한 열 전도성을 갖는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특히, 금속 또는 금속-함유 합금이 사용될 것이다.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고려될 수 있다.
컷 섹션이 폭 방향으로 이어지는 동일한 컷 섹션 폭을 갖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컷 섹션들이 각각 동일한 수의 컷을 갖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개별 컷 섹션 내의 컷들이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 특히 폭 방향에서 등거리인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컷 섹션의 아가미가 유사하게 등거리로 배치된다. 이러한 컷 섹션의 컷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및/또는 서로 다른 컷 섹션들 내의 컷이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변화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만약 두 개의 컷 섹션들의 컷들이 등거리로 배치된다면, 컷 섹션들 중 하나의 더욱 큰 컷 섹션 폭이 더욱 큰 수의 컷 또는 아가미로 이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컷 섹션들은 폭 방향에서 이어지는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의 립 구조물은 시트 금속 부분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등거리로 배치된 컷들에 대한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은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가진 컷 섹션들이 서로 다른 수의 컷을 가짐을 의미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가진 컷 섹션들이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컷 섹션들 내에서 교대로 배치됨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이러한 섹션 내의 직접 이웃하는 컷 섹션들이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가짐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서, 서로 다른 기하학적 구조의 더욱 큰 수의 립 구조물이 판금부스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컷 섹션은 최소 컷 섹션 폭을 가진다. 즉, 더욱 큰 섹션 폭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컷 섹션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컷 섹션의 컷 섹션 폭은 최소 컷 섹션 폭의 전체 배수와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아가미의 제조 및/또는 립 구조물로의 판금부의 재성형과 같은 판금부의 후속하는 프로세싱이 단순화된다.
동일한 내용이 컷 섹션들 사이의 간격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컷 섹션들 사이에 폭 방향에서 이어지는 최소 간격이 존재하며, 적어도 두 개의 다른 컷 섹션들 사이의 간격은 최소 간격의 전체 배수에 상응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판금부는 폭 방향에서 외부 에지를 가지며, 이후에는 컷이 없는 길이방향 에지로도 지칭된다.
즉, 판금부는 이러한 에지에서 매끄러운 영역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판금부에 컷 구조물을 제공할 때 판금부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적어도 감소되거나/감소되며 판금부의 거부율이 감소된다.
이론적으로,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컷 섹션들의 아가미가 동일한 배향을 갖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며, 즉 이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들어올려진다. 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의 아가미가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실시예들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의 아가미가 한 방향으로 재성형, 특히 들어올려지는 반면에, 폭 방향에서 후자에 이웃하는 컷 섹션의 아가미는 반대 방향으로 재성형, 특히 들러올려진다. 이것은 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을 통과함에 따라 립 구조물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아가미에 의해 굴절될 것이며, 그에 따라 특히 서로 다른 배향의 난류가 생산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에서 직접 인접하는 컷 섹션들 또는 아가미 섹션들은 서로 다른 배향을 가진다.
이론적으로, 개별 아가미는 임의의 주어진 아가미 각도를 가지고 판금부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구체적인 아가미 각도는 예를 들어 15°와 40° 사이일 수 있다. 특히 아가미 각도는 20°또는 23°또는 27°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 특히 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의 아가미들의 아가미 각도는 다양한 경향을 가진다. 즉,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의 아가미 각도는 이웃하는 컷 섹션, 특히 이에 직접 인접한 컷 섹션의 아가미의 아가미 각도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폭 방향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의 아가미의 아가미 각도는 폭 방향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감소는 계단식일 수 있으며, 즉 갑작스러운 전이를 가지거나, 또는 연속적일 수 있다. 즉, 아가미 각도는 하나의 컷 섹션으로부터 다음 컷 섹션까지 폭 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것은 흐름 내의 아가미 각도에 의해 생산된 흐름 변화, 특히 아가미 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흐름 내의 압력 강하를 제공하며, 그에 따라 특히 유체 내에서 발생되는 압력 강하와 관련된 폭 방향에서 아가미의 영향이 감소하는 아가미 각도에 의해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배향의 아가미를 가진 컷 섹션들의 아가미 각도는 폭 방향으로 감소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컷 방향 또는 아가미 섹션 내의 아가미의 아가미 각도는 동일한 배향의 아가미를 갖는 폭 방향의 이러한 이웃하는 컷 섹션, 특히 직접 인접하는 컷 섹션의 아가미의 아가미 각도보다 더 크다.
이러한 시트 금속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롤들의 쌍의 도움으로 제조된다. 롤들의 쌍의 적어도 하나의 롤은 판금부에 컷 구조물이 제공되도록 하는 자신의 외부 원주 상의 컷팅 윤곽(cutting contour)을 가진다. 컷팅 윤곽은 판금부 내의 컷을 제조하기 위한 상응하는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한편, 컷팅 윤곽은 롤의 축방향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 이러한 블레이드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컷팅 섹션들을 구비한다. 컷팅 섹션들은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롤의 종방향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한편, 컷이 없는 매끄러운 섹션은 서로로부터 분리된 컷팅 섹션들 사이에 배치된다. 개별 블레이드는 롤의 부분적 섹션에 걸쳐 롤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블레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원주 방향에서 원형으로 이어지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바람직하게는 방해물을 갖는 원주 방향으로 이어지며 따라서 방해물 섹션을 가진다. 이러한 방해물 섹션은 판금 내에 컷이 없는 섹션 또는 벤딩 섹션을 형성하며, 여기에서 이러한 판금부는 립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휘어지거나 재성형된다. 개별 롤의 컷팅 윤곽은 컷팅 윤곽 길이를 따라 롤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며, 여기에서 롤 종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컷팅 섹션들은 서로 다른 수의 블레이드를 가진다. 판금부에 컷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판금부는 롤들의 쌍을 통해 이어진다. 이것은 매끄러운 영역에 의해 분리되는 전술된 컷 섹션들을 생산하며, 이러한 컷 섹션들 중 적어도 두 개는 서로 다른 수의 컷을 가진다. 컷 구조물의 폭 방향은 롤들의 쌍의 축방향 또는 개별 롤, 특히 그에 평행한 개별 롤을 따라 이어진다. 따라서, 특정한 컷팅 섹션으로 인해 이러한 컷 섹션이 판금부 내에 제조되는 한편, 롤들의 쌍의 매끄러운 섹션들은 판금부의 매끄러운 영역을 생산한다.
바람직하게는 컷팅 윤곽은 아래에서 컷팅 윤곽 폭 중심으로 지칭되는 컷팅 윤곽 폭의 종방향 중심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된 바와 같은 비대칭적인 컷 구조물이 특히 생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판금부가 롤들의 쌍 내에 도입되어 판금부의 하나의 에지가 롤들의 쌍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한다. 즉, 특히 롤들의 쌍을 통한 이동시에 판금부의 전방 에지는 롤들의 쌍의 축방향을 따라, 특히 그에 평행하게 배향된다. 만약 판금부가 직사각형 형태를 가진다면, 이것은 판금부의 길이방향 에지가 롤들의 쌍의 축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롤들의 쌍을 통해 이어지기 전에 판금부는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판금부의 에지의 중간이 컷팅 윤곽 폭 중심에 대해 오프셋을 가지고 배치되도록 위치된다. 즉, 특히 판금부는 중심으로 이어지지 않지만 예를 들어 중심을 벗어나거나 또는 롤들의 쌍에 대해 비대칭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오프셋의 상응하는 변화에 의해 서로 다른 컷 구조물의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판금부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한 롤들의 쌍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컷 구조물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판금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또한 축방향을 따라 이어지는 판금부의 컷 구조물 폭의 컷 구조물 폭 중심이 롤의 종방향 중심으로부터 오프셋을 가지고 배치됨을 의미한다.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이러한 컷팅 섹션 폭만큼 크다.
롤들의 쌍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축방향에서 판금부의 폭만큼 크다. 즉,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롤 길이, 바람직하게는 컷팅 윤곽의 폭이 축방향에서 롤들의 쌍을 통해 이어지는 판금부의 치수, 특히 판금부의 폭보다 더 크거나 또는 적어도 동일한 크기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오프셋은 최소 컷 섹션 폭 또는 최소 컷 섹션 폭의 배수와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아가미의 제조 및/또는 립 구조물로의 판금부의 재성형과 같은 판금부의 후속하는 프로세싱이 단순화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개별 롤이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자신의 마진(margin)에서 하나의 이러한 매끄러운 섹션을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바깥방향으로 배치된 단부 또는 축방향에서 판금부의 에지, 특히 하나의 이러한 종방향 에지가 롤의 하나의 이러한 매끄러운 섹션과 일치하도록 롤들의 쌍에 대해 배향되고 배치되며 롤들의 쌍을 통해 이어지는 판금부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부 또는 이러한 에지에는 매끄러운 영역이 제공된다.
물론, 판금부 외에, 판금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판금부의 제조를 위한 롤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롤은 롤의 축방향에서 서로 다른 컷팅 섹션 폭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컷팅 섹션들을 가진다. 이것은 따라서 판금부에 서로 다른 컷 섹션 폭을 갖는 컷 섹션들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컷팅 섹션이 최소 컷팅 섹션 폭을 갖는 것으로 제공되며, 이때 다른 컷팅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컷팅 섹션 폭은 최소 컷팅 섹션 폭의 전체 배수와 일치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응하는 컷 섹션들이 판금부 내에 제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컷팅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컷팅 섹션들 전부의 블레이드가 서로로부터 축방향으로 등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에 대해, 판금부 내의 상응하는 컷이 등거리에 위치된다.
물론, 판금부 및 상응하는 그의 생산 방법 외에, 이러한 판금부을 갖는 열 교환기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러한 열 교환기는 제1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흐름 공간을 가진다. 제1 유체가 흐름 공간을 통해 흐름 방향으로 흐르는 한편, 제1 유체로부터 유체학적으로 분리되어 제2 유체가 흐르는 적어도 두 개의 튜브들, 특히 플랫 튜브들이 흐름 공간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열 교환이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발생한다. 두 개의 이러한 튜브들 사이에는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의 열 교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이러한 판금부가 배치된다. 판금부는 제1 유체가 이를 통과해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되고, 판금부의 폭 방향은 바람직하게는 흐름 방향을 따라서 이어지며, 그에 따라 판금부을 통해 흐르는 제1 유체가 판금부의 대향하는 측에 도달하도록 아가미를 통과해 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판금부는 흐름 방향에서 폭 방향의 이웃하는 컷 섹션들의 아가미 각도가 감소하도록 설계된다. 더욱 큰 아가미 각도는 제1 유체에서 더욱 큰 압력 강하로 이어진다. 따라서, 열 교환기 또는 판금부을 통과하는 더욱 큰 흐름에 대해서, 흐름 방향에서의 압력 강하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아가미 각도로 인해 감소될 수 있으며, 더욱 긴 흐름 경로는 열 교환을 위한 충분한 표면을 제공한다. 짧은 흐름 경로를 갖는 경우 더 작은 열 전달 표면이 이용가능하고, 그에 따라 더욱 큰 아가미 각도를 가지고 더욱 큰 난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더욱 큰 상대 압력 손실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열 전달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추가의 중요한 특성들 및 이익들이 종속항, 도면 및 도면의 이해를 돕는 특징부에 대한 상응하는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것이다.
물론, 전술된 특성들 및 아래에서 설명될 특성들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표시된 각각의 조합뿐만 아니라 다른 조합으로 또는 단독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나타내어지고 아래의 설명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참조번호가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서 개략적으로,
도 1은 아가미를 가진 립 구조물을 구비한 판금부의 전면도,
도 2는 판금부을 통한 단면도,
도 3은 판금부을 제작하기 위한 레이아웃의 상면도,
도 4 및 5는 서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도 2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모습이 확대된 도면,
도 7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도 6의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은 열 교환기(0)의 튜브들(41) 사이에 배치된 열 교환기(0)의 립 구조물(1)을 도시한다. 열 교환기(0)는 여기에서 튜브들(41)이 배치되는 흐름 방향(39)으로 제1 유체가 흐를 수 있는 흐름 공간(40)을 구비한다. 튜브들(41)은 제2 유체의 흐름을 수신할 수 있으며, 제1 유체 및 제2 유체는 유체학적으로 분리된다. 튜브들 및 립 구조물(1)을 통해서, 제1 유체와 제2 유체 사이에서 열 교환이 발생하며, 립 구조물(1)은 흐름 방향(39)에서 제1 유체의 흐름에 노출된다.
립 구조물(1)은 아가미(3)가 제공되고 립 구조물(1)을 만들기 위해 도시된 형태로 재성형되거나 휘어지는 판금부(2)이다. 본 경우에서, 립 구조물(1)은 도시된 모습에서 아가미(3) 사이에 배치된 립 구조물(1)의 벤딩 섹션(4)을 갖는 물결모양을 이룬다.
도 2는 립 구조물(1)로 재성형된 후의 판금부(2)를 단면으로 도시한다.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판금부(2)에는 복수의 컷들(6)을 갖는 컷 구조물(5)이 제공된다. 컷들(6)은 판금부의 종방향(7)으로 이어지며 폭 방향(8)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폭 방향(8)은 비스듬하게 이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컷들(6)에 대해 횡방향이다. 폭 방향(8)은 바람직하게는 흐름 방향(39)을 따라 이어지며 특히 이에 평행하다. 컷 구조물(5)의 컷들(6)은 컷 구조물(5)이 컷이 없는 매끄러운 영역(11)에 의해 폭 방향(8)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컷 섹션들(10)을 갖도록 그룹화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러한 매끄러운 영역(11)은 이웃하는 컷 섹션들(1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판금부(2)가 폭 방향(8)에서 자신의 외부 종방향 에지(12)에 컷을 갖지 않으며 이러한 매끄러운 영역(11)과 일치한다는 점이 인지될 것이다. 컷 구조물(5)은 컷 구조물 폭(13)을 가로질러 폭 방향(8)에서 연장한다. 판금부(2)는 예시에서 컷 구조물 폭(13)과 일치하게 도시된 판금 폭(14)을 가로질러 폭 방향(8)으로 연장한다. 폭 방향(8)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은 서로 다른 수의 이러한 컷들(6)을 가진다. 컷 구조물(5)은 여기에서 점선에 의해 나타내어진 판금부 폭 중심(15)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만들어지며, 이것은 예기에서 컷 구조물 폭(13)의 컷 구조물 폭 중심(16)에 대해 도시된 것과 일치한다.
개별 컷 섹션(10)은 컷 섹션 폭(17)을 따라 폭 방향(8)으로 연장한다. 컷 구조물(5)은 두 종류의 컷 섹션들(10)을 가지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컷 섹션들(10')의 제1 유형은 최소 컷 섹션 폭(17')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컷 섹션(10)의 컷 섹션 폭(17)은 최소 컷 섹션 폭(17')의 전체 배수와 일치한다. 도시된 예에서, 컷 구조물(5) 및 그에 따라 판금부(2)가 제1 유형, 즉 최소 컷 섹션 폭(17')의 오직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10')을 갖는 한편, 다른 컷 섹션들(10)은 도시된 예에서는 최소 컷 섹션 폭(17')의 두 배인 최소 컷 섹션 폭(17')의 전체 배수에 상응하는 컷 섹션 폭(17")을 가진다. 더블 컷 섹션 폭(17")을 갖는 컷 섹션들(10)은 따라서 제2 유형의 컷 섹션들(10")을 형성한다.
판금부(2)에 컷들(6)을 제공함으로써, 특히 도 2의 확대된 모습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재성형된, 특히 들어올려진 컷 에지들(18)이 생산된다. 도시된 예에서, 폭 방향(8)에서 특정 컷 섹션(10)의 이웃하는 컷 에지들(18)은 대향하는 방향에서 재성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컷 섹션(10)은 컷 구조물(5)에 의해 아가미 구조물(20) 및 아가미(3)를 갖는 아가미 섹션(19)을 제작하도록 사용된다. 도시된 예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의 아가미(3) 또는 아가미 섹션(19)이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 외부 좌측 컷 섹션(10)은 다른 컷 섹션들(10)보다 더 작은 수의 컷들(6)을 가진다. 따라서, 외부 좌측 아가미 구조물(19)은 다른 아가미 섹션들(19)보다 더 적은 수의 아가미(3)을 가진다.
판금부(2)는 도 3에 도시된 레이아웃(21)에 의해 생산된다. 레이아웃(21)은 두 개의 롤들(23)을 갖는 롤들의 쌍(22)을 포함하며, 관점으로 인해 이들 중 상부 롤만을 도 3에서 볼 수 있다. 롤(23)은 롤(23)의 축방향(26)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원주 둘레에서 완전히 이어지지 않는 복수의 블레이드들(25)을 갖는 컷팅 윤곽(24)을 갖는 자신의 외부 원주 또는 인벨롭(envelope) 표면 상에 제공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방해물 섹션(38)이 롤(23) 내에 제공되며, 이러한 방해물 섹션(38)은 도 3에서 볼 수 있다. 특정 방해물 섹션(38)은 원주 방향에서 블레이드(25)를 방해한다. 이러한 방해물 섹션(38)은 따라서 판금부(2) 내에 전술된 벤딩 섹션(4)을 형성하며, 이는 립 구조물(1) 내에 판금부(2)를 재성형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블레이드(25)는 컷팅 섹션(27)으로 그룹화되며, 컷팅 섹션(27)은 컷이 없는 매끄러운 섹션(28)에 의해 축방향(26)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블레이드(25)는 판금부(2) 내의 상응하는 컷들(6)을 제작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볼 수 없는 롤들의 쌍(22)의 롤(23)은 컷팅 윤곽(24)의 네거티브를 형성하는 접합 윤곽을 갖는 자신의 외부 원주 상에 제공되고, 그에 따라 상응하는 컷 구조물(5)은 상응하는 판금부(2) 내에 컷팅 윤곽(24)을 가지고 제조될 수 있다. 컷팅 윤곽(24)은 컷팅 윤곽 폭(29)을 가로질러 축방향(26)을 따라 연장한다. 개별 컷팅 섹션(27)은 컷팅 섹션 폭(30)을 가로질러 축방향(26)으로 연장한다. 롤(23)은 자신의 컷팅 섹션 폭(30)의 측면에서 상이한 두 유형의 이러한 컷팅 섹션들(27)을 가진다. 제1 유형의 컷팅 섹션들(27')은 최소 컷팅 섹션 폭(30')을 가진다. 제2 유형의 컷팅 섹션들(27")은 본 예에서는 최소 컷팅 섹션 폭(30')의 두 배인, 최소 컷팅 섹션 폭(30')의 전체 배수에 상응하는 컷팅 섹션 폭(30")을 가진다. 축방향(26)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팅 섹션들(27)은 서로 다른 수의 이러한 블레이드(25)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더욱 큰 컷팅 섹션 폭(30)을 갖는 컷팅 섹션(27)은 더 작은 컷팅 섹션 폭(30)을 갖는 컷팅 섹션(27)보다 더 많은 수의 이러한 블레이드(25)를 가진다. 또한, 도 3에서 컷팅 윤곽(24)은 축방향(26)으로 이어지는 컷팅 윤곽 폭(29)의 컷팅 윤곽 폭 중심(31)에 대해 비대칭으로 만들어지며, 컷팅 윤곽 폭 중심(31)은 상응하는 점선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컷 구조물(5)을 판금부(2)에 제공하기 위해서, 판금부(2)는 공급 방향(9)으로 롤들의 쌍(22)을 통해 도입되며, 예시에서 이것은 롤(23)의 축방향(26)에 대해 횡방향으로 그리고 판금부(2)의 폭 방향(8)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게 도시되었다. 시트 금속 부분(2)은 시트 금속 부분 폭(14)이 축방향(26)을 따라 이어지도록 배향된다. 판금부(2)가 구성에서 직사각형이기 때문에, 판금부의 폭(14)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지는 판금부(2)의 길이(7)는 따라서 축방향(26)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판금 부(2)는 롤들의 쌍(22)을 통해 자신의 길이(7)를 따라 이어진다. 따라서 판금(2, 2")은 판금부(2)의 전방 에지(35)는 롤들의 쌍(22)의 축방향(26)을 따라, 특히 축방향(26)에 평행하게 이어진다. 판금부 폭 중심(15)은 따라서 판금부의 전방 에지(35)의 판금부 에지 중심(36)과 일치한다. 이것은 도 3에서 참조번호(2' 및 II)로 제공되고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도 2에 도시된 판금부(2)의 컷 구조물(5)을 생산한다. 여기에서 판금부 폭 중심(15)은 축방향(26)에서 컷팅 윤곽 폭 중심(31)에 대해 오프셋(34)을 가지고 배치된다. 따라서, 판금부(2')는 중심을 벗어나서 또는 비대칭적으로 롤들의 쌍(22)을 통해 이어진다. 참조번호(34')에 의해서도 나타내어지는 이러한 오프셋(34)은 최소 컷팅 섹션 폭(30')보다 더 크다.
롤들의 쌍을 통한 판금부(2)의 공급에 따라, 컷팅 섹션들(27')은 컷 섹션들(10')을 형성하는 한편, 컷팅 섹션들(27")은 컷 섹션들(10")을 형성한다. 따라서, 롤(23)의 매끄러운 섹션(28)은 판금부(2)의 매끄러운 영역(11)과 일치한다.
특히 특정한 컷팅 섹션(27)의 블레이드(25)가 축방향(26)에서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이 도 3의 확대된 모습에서 명확하다. 이것은 축방향(26) 및 그에 따른 개별 컷 섹션(10)의 폭 방향(8)에서 등거리로 배치된 컷들(6)의 형성을 야기한다.
도 4는 참조번호(2")로 제공된 판금부(2)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판금부(2")는 특히 참조번호(14")에 의해 표시된 판금부 폭(14)이 판금부(2')의 판금부 폭(14')보다 더 크다는 점에서 도 2의 판금부(2')과 상이하다. 또한, 판금부(2")는 판금부(2')의 컷 구조물(5)의 분포뿐만 아니라 컷 섹션들(10' 및 10")의 수의 측면에서 특히 상이한 컷 구조물(5)을 가진다. 이러한 판금부(2")는 또한 레이아웃(21)의 롤들의 쌍(22)에 의해 생산된다. 이를 위해서, 판금부(2")의 판금부 폭 중심(15)이 판금부(2')의 오프셋(34')보다 더 큰 롤들의 쌍(2')을 통해 컷팅 윤곽 종방향 중심(31)에 대해 축방향(26)으로 오프셋(34")을 가지고 이어진다는 차이를 갖는, 판금부(2')와 유사한 롤들의 쌍(22)을 통한 판금부(2")의 공급이 존재하며, 이는 도 3에서 추가로 III에 의해 나타내어졌으며 파선으로 표현되었다. 판금부(2') 및 판금부(2") 모두가 컷팅 윤곽 폭 중심(31)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이것은 또한 판금부(2")의 경우에 폭방향(8)으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이 서로 다른 수의 컷(6)을 갖는 컷 구조물(5)을 생산한다. 또한, 이것은 판금부(2") 내에서 판금부 폭 중심(15) 및 컷 구조물 폭 중심(16)에 대해 컷 구조물(5)의 비대칭적 구성을 생산한다.
이러한 판금부(2)의 다른 예가 도 5에 도시되었으며 참조번호(2''')가 제공되었다. 이러한 판금부(2''')는 또한 서로 다른 컷 섹션들(10' 10")의 배치 및 개수에서 판금부(2', 2")와 상이하다. 참조번호(14''')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판금부(2''')의 판금부 폭(14)은 판금부(2")의 판금부 폭(14")보다 더 크다. 컷팅 윤곽(5)의 제공을 위해서, 판금부(2''')는 판금부(2" 및 2')와 유사한 롤들의 쌍(22)을 통해 공급된다. 이러한 도 3의 판금부(2''')는 점과 점선 및 V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그러나 판금부(2' 및 2")와 대조적으로, 판금부(2''')는 오프셋 없이 롤들의 쌍(22)을 통해 공급된다. 즉, 판금부(2''')의 판금부 폭 중심(15''')은 컷팅 윤곽 폭 중심(31)으로부터 축방향(26)으로 이격되지 않으며 컷팅 윤곽 폭 중심(31)과 동일한 위치에 있다. 다시 한번, 축방향(26)의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팅 섹션들(27)의 서로 다른 수의 블레이드(25)로 인해, 컷 구조물(5)의 상응하는 구성이 생산되고, 여기에서 폭 방향(8)의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이 서로 다른 수의 이러한 컷(6)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서도, 컷팅 윤곽(24)의 비대칭적인 구성으로 인해, 컷 구조물(5)의 비대칭적인 구성은 판금부 폭 중심(15''') 및 컷 구조물 폭 중심(16''')에 대해 생산된다.
따라서 모든 예에서, 컷들(6)을 이러한 아가미(3)로 재성형한 후에, 서로 다른 수의 아가미(3)를 가지고 폭 방향(8)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아가미 섹션들(19)을 갖는 아가미 구조물(20)을 갖는 판금부(2)가 획득된다. 또한, 판금부 폭 중심(15)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구성된 아가미 구조물(20)이 구현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판금부(2)는 또한 롤들의 쌍(22)에 대해 위치되고 그에 따라 축방향(26)에서 외부 판금 에지(12)는 매끄러운 영역(11)이 판금 에지(12)의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매끄러운 영역(28)에 매번 일치한다. 도 6은 도 2의 확대된 단면을 다시 한번 도시한다. 특히, 도 6으로부터 폭 방향(8)이 흐름 방향(39)을 따라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체는 아가미(3)에 의해 분류될 수 있고 따라서 판금부(2)의 반대 측에 닿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히 제1 유체에서 난류도 생성된다. 이것은 제1 유체와 판금부(2) 사이 그리고 따라서 제1 유체와 튜브(41)를 통해 흐르는 제2 유체 사이의 향상된 열 교환 정도를 달성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특히 컷 섹션(10) 또는 아가미 섹션(19)의 아가미(3)가 판금부(2)로부터 예각인 아가미 각도(42)로 떨어져 있고, 개별 아가미(3)와 판금부(2) 사이의 더 작은 각도인 예각인 아가미 각도(42)는 더욱 날카롭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모든 아가미(3)는 판금부(2)로부터 동일한 아가미 각도(42)로 떨어지게 도시되었다. 또한, 폭 방향(8)에서 가장 근접하게 이웃하는 컷 섹션들(10) 또는 아가미 섹션들(19)의 아가미(3)는 반대 방향으로 재성형되고, 특히 들어올려지며, 따라서 대향하는 방향을 가짐을 인지할 것이다.
도 7은 열 교환기(0) 및 판금부(2)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특정 컷 섹션(10) 및 아가미 섹션(19)의 아가미(3)는 판금부(2)로부터 동일한 아가미 각도(42)와 떨어져 있다. 또한 도 7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폭 방향(8) 및 흐름 방향(39) 내의 가장 근접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 및 아가미 섹션들(19)에는 각각 반대로 배향된 아가미(3)가 제공된다. 또한, 도 7로부터 보이는 바와 같이, 아가미 섹션들(19)의 아가미 각도(42)는 흐름 방향(39)에서 감소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경우에서, 동일한 배향의 아가미(3)를 갖는 폭 방향(8) 및 흐름 방향(39) 내의 가장 근접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 및 아가미 섹션들(19)의 아가미 각도(42) 또한 흐름 방향(39)에서 감소한다. 여기에서 제1 유체는 더욱 큰 아가미 각도(42)를 갖는 아가미(3)에 대해 흐름 방향(39)으로 먼저 영향을 미치고 더 높은 난류를 발생시키지만, 또한 제1 유체에서 더욱 큰 압력 강하를 발생시킨다. 흐름 방향(39)에서, 제1 유체의 상대적인 압력 강하는 감소하는 아가미 각도(42)로 인해 감소한다. 전반에 걸쳐 일정한 아가미 각도(42)를 갖는 판금부(2)과 비교하여, 제1 유체 내의 압력 강하가 따라서 감소되는 한편, 동시에 충분한 난류가 제1 유체와 판금부(2) 사이의 우수한 열 교환을 위해 획득된다.

Claims (18)

  1. 아가미(gill)(3)를 가진 립 구조물(rib structure)(1)을 구비한 판금부(sheet metal part)(2)로서,
    - 컷(cut)이 없는 매끄러운 영역(11)에 의해 상기 판금부(2)의 폭 방향(8)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된 두 개의 컷(6)을 각각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컷 섹션들(10)을 포함하는, 상기 아가미(3)을 형성하는 컷 구조물(cut structure)(5)을 가지고,
    - 상기 컷 구조물(5)은 컷 구조물 폭(13)을 가로질러 상기 폭 방향(8)에서 연장하고,
    - 상기 개별 컷 섹션(10)의 상기 아가미(3)는 상기 판금부(2)로부터 예각의 아가미 각도(42)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폭 방향(8)에서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이 서로 다른 수의 컷(6)을 가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컷 섹션들(10) 중 적어도 두 개는 상기 폭 방향(8)으로 이어지는 서로 다른 컷 섹션 폭(17)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러한 컷 섹션(10, 10')은 최소 컷 섹션 폭(17, 17')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다른 컷 섹션(10, 10")의 상기 컷 섹션 폭(17, 17")은 상기 최소 컷 섹션 폭(17, 17')의 전체 배수와 일치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컷 섹션 폭(17)을 가진 컷 섹션들(10, 10')은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교대로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10)의 상기 컷(6)은 상기 폭 방향(8)에서 등거리로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컷 섹션(10)은 다른 이러한 컷 섹션(10)과 상이한 수의 컷(6)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8)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의 상기 아가미(3)는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러한 컷 섹션(10)의 상기 아가미(3)의 상기 아가미 각도(42)는 다른 이러한 컷 섹션(10)의 상기 아가미(3)의 상기 아가미 각도(42)보다 더 작은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8)으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의 상기 아가미(3)의 상기 아가미 각도(42)는 상기 폭 방향(8)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10. 제 7 항 및 제 9 항에 있어서,
    동일한 배향의 상기 아가미(3)와 상기 폭 방향(8)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의 상기 아가미(3)의 상기 아가미 각도(42)는 상기 폭 방향(8)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판금부.
  11. 열 교환기를 위한 아가미(3)를 가진 립 구조물(1)을 구비한 판금부(2)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 두 개의 롤들(23)을 가진 롤들의 쌍(22)이 제공되고,
    - 상기 롤들(23)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아가미(3)의 형성을 위해 상기 판금부(2)에 컷 구조물(5)을 제공하도록 자신의 외부 원주 상에 컷팅 윤곽(cutting contour)(24)을 가지고,
    - 상기 컷팅 윤곽(24)은 상기 컷 구조물(5)의 컷(6)을 상기 판금부(2)에 제공하도록 블레이드(25)를 가진 적어도 두 개의 컷팅 섹션들(27)을 가지고, 이들은 상기 롤들(23)의 축방향(26)에서 서로로부터 이격되고,
    - 상기 컷팅 섹션들(27)은 컷이 없는 매끄러운 섹션(28)에 의해 상기 축방향(26)에서 서로로부터 분리되고,
    - 상기 컷팅 윤곽(24)은 컷팅 윤곽 폭(29)을 가로질러 상기 축방향(26)으로 연장하고,
    - 상기 축방향(26)의 적어도 두 개의 이웃하는 컷팅 섹션들(27)은 서로 다른 수의 이러한 블레이드(25)를 가지며,
    - 상기 판금부(2)는 상기 컷 구조물(5)이 제공될 상기 롤들의 쌍(22)을 통과해 이어지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부(2)의 하나의 에지(35)가 상기 롤(23)의 상기 축방향(26)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상기 판금부(2)가 상기 롤들의 쌍(22) 내에 도입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롤들의 쌍(22)을 통해 이동하기 전에 상기 판금부(2)는 상기 축방향(26)을 따라 이어지는 상기 판금부의 상기 에지의 중심(36)이 상기 축방향(26)으로 연장하는 상기 컷팅 윤곽(24)의 폭 중심(31)에 대한 오프셋(34)을 가지고 배치되도록 상기 롤들의 쌍(22)에 대해 위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부(2)는 상기 오프셋(34)이 상기 축방향(26)으로 연장하는 이러한 컷팅 섹션(27)의 컷팅 섹션 폭(30)과 적어도 일치하도록 상기 롤들의 쌍(22)에 대해 위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금부(2)는 상기 축방향(26)에서 외부에 배치된 상기 판금부(2)의 적어도 하나의 폭 에지(12)가 하나의 이러한 매끄러운 섹션(28)과 일치하도록 상기 롤들의 쌍(22)에 대해 배치되고 상기 롤들의 쌍(22)을 통과해 이어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위한 롤들의 쌍들(22)의 롤(23).
  17. 제1 유체가 흐름 방향(39)으로 흐를 수 있는 흐름 공간(40) 및 상기 흐름 공간(40) 내에 배치되고 제2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튜브들(41)을 가진 열 교환기(0)로서, 상기 제1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판금부(2), 특히 자신의 폭 방향(8)이 상기 흐름 방향(40)을 따라서 이어지는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따라 제조된 판금부(2)가 상기 튜브들(41)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0)에는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따른 판금부(2)가 제공되고, 상기 폭 방향(8)에서 이웃하는 컷 섹션들(10)의 상기 아가미(3)의 상기 아가미 각도(42)는 상기 흐름 방향(39)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열 교환기.
KR1020160177009A 2015-12-22 2016-12-22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074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26577.3 2015-12-22
DE102015226577.3A DE102015226577A1 (de) 2015-12-22 2015-12-22 Blechteil mit einer Kiemen aufweisenden Rippenstruktur eines Wärmeübertragers sowie Herstellungs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819A true KR20170074819A (ko) 2017-06-30

Family

ID=57681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009A KR20170074819A (ko) 2015-12-22 2016-12-22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184949A3 (ko)
JP (1) JP2017122568A (ko)
KR (1) KR20170074819A (ko)
DE (1) DE102015226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5308A1 (de) * 2018-04-09 2019-10-10 Mahle International Gmbh Wellrippe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JP2020034236A (ja) * 2018-08-30 2020-03-05 株式会社ティラド コルゲートフィ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12522A1 (de) * 1969-03-12 1970-10-01 Benteler Werk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Jalousieblechen,insbesondere von Heizkoerperblechen
US3993125A (en) * 1975-11-28 1976-11-23 Ford Motor Company Heat exchange device
US4067219A (en) * 1977-03-23 1978-01-10 Bernard J. Wallis Heat exchanger fin roll
ZA832592B (en) * 1982-04-14 1984-01-25 Nippon Denso Co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continuous corrugated member
US5289874A (en) * 1993-06-28 1994-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laterally displaced louvered fin sections
US5730214A (en) * 1997-01-16 1998-03-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t exchanger cooling fin with varying louver angle
JP3855346B2 (ja) * 1997-03-17 2006-12-06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DE20010994U1 (de) 2000-06-21 2000-08-31 Behr Gmbh & Co Netz für einen Wärmeübertrager
DE10202768A1 (de) 2002-01-25 2003-07-31 Behr Gmbh & Co Wärmeübertrager
CN101846479B (zh) * 2009-03-25 2012-02-22 三花丹佛斯(杭州)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用于换热器的翅片以及采用该翅片的换热器
JP5803768B2 (ja) * 2012-03-22 2015-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用フィンおよび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22568A (ja) 2017-07-13
EP3184949A3 (de) 2017-08-23
DE102015226577A1 (de) 2017-06-22
EP3184949A2 (de) 2017-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8839B2 (en) Heat exchange assembly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mold
EP3018439B1 (en) Fin tube heat exchanger
US20150096728A1 (en) Corrugated fin and method for producing it
EP3104111B1 (en) Streamline wavy fin for finned tube heat exchanger
JP6893925B2 (ja) 積層型ヒートシンクのコア
EP2985558B1 (en) Fin-and-tub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US6170566B1 (en) High performance louvered fin for a heat exchanger
EP2778592A1 (en) Heat exchanger assembly having split mini-louvered fins
US20100000726A1 (en) Heat exchanger
KR20170074819A (ko) 아가미를 가진 열 교환기의 립 구조물을 구비하는 판금부 및 그의 제조 방법
EP4015956B1 (en) Multi-scale heat exchanger core
EP3104109A1 (en) Base panel material for use as heat exchange pl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base panel material
JP5958771B2 (ja) フィンチューブ熱交換器
CN104995476A (zh) 热交换器及其制造方法
US10677530B2 (en) Tube body and production method
US20060266503A1 (en) Heat transfer fin, heat exchanger, evaporator and condenser for use in car air-conditioner
JP2007292453A (ja) 熱交換器用ルーバ付きフィン
JP7068574B2 (ja) 伝熱管ユニットを有する熱交換器
US11566854B2 (en) Folded conduit for heat exchanger applications
JP2020529573A (ja) 攪乱装置を有する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2008170035A (ja) フィンチューブ型熱交換器、熱交換器用フィンおよびヒートポンプ装置
EP3575728B1 (en) A core of a heat exchanger comprising corrugated fins
JP4536583B2 (ja) 熱交換器
JP6284384B2 (ja) 熱交換器
KR101100114B1 (ko) 열교환기용 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