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151A -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 Google Patents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151A
KR20170074151A KR1020160050373A KR20160050373A KR20170074151A KR 20170074151 A KR20170074151 A KR 20170074151A KR 1020160050373 A KR1020160050373 A KR 1020160050373A KR 20160050373 A KR20160050373 A KR 20160050373A KR 20170074151 A KR20170074151 A KR 20170074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knob
backward
block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920B1 (ko
Inventor
이선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웅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웅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웅테크
Publication of KR20170074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6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depth of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37/0015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by using micro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5Multiple needle devices, e.g. a plurality of needles arranged coaxially or in paralle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피부 조직에 삽입되는 미세한 크기(직경)의 바늘을 용이하게 조립하고 또한 바늘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바늘의 휨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는, 주사 장비에 연결되어 주사액을 공급받는 연결 소켓(10)과; 다수의 바늘이 수용되며 상기 연결 소켓에 수납되는 바늘 블록(20)과; 상기 바늘 블록의 전방에 조립되며 다수의 바늘 인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허브(30)와; 상기 연결 소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후진블록(50)과; 상기 전후진블록의 후방에 조립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진블록과 연결 소켓 및 상기 바늘 블록을 전후진시켜 상기 바늘 블록의 바늘이 상기 가이드 허브의 바늘 인출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노브(40)로 구성된다. 상기 전후진블록과 상기 노브는 대향면에 경사형 가이드부(53,4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 소켓은 전후진 안내돌기(13)를 통해 상기 경사형 가이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전후진한다.

Description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MULTI NEEDLE WITH EASE TO REGULATE DEPTH}
본 발명은 피부에 약품을 주사하기 위한 다수의 바늘을 갖는 멀티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브의 회전 조작만을 통해 바늘의 돌출 정도(주사 깊이)를 조절하여 이마, 볼, 턱 등 피부 조직에 맞는 최적의 깊이로 주사액을 주사하는 것이 가능하고, 피부 조직에 삽입되는 미세한 크기(직경)의 바늘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해 여러 형태로 피부를 시술하는 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피부에 영양성분이 포함된 이로운 물질을 사용하여 마사지 하는 형태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마사지 형태의 피부를 시술하는 방식은 피부의 표피층으로 영양분을 공급하여 표피층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지만 오랜 시간을 지속하지 못하여 주기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불편함은 물론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방법은 주사기 등을 사용하여 피부에 미용액을 주입하는 매뉴얼 방식 또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즉 부분비만, 피부미용, 미용성형 분야에서 메조 테라피(Meso Therapy)라는 메디컬 치료법이 소개되고 있다. 메조 테라피란 미세한 주사바늘을 이용해 치료효과를 보고자 하는 부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약물 성분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메조 건으로 직접 주입하는 시술, 즉 약물을 직접 피부층에 주입하는 시술법이다.
이 시술법에 의해 약물을 주사 시술할 때는 약물을 피부의 진피층과 지방층 사이에 주입하는 것으로 미용 약물을 넓은 시술 부위에 고르게 주사해야 한다. 따라서, 약물 주사 시술 시에는 주사기의 바늘(니들)을 피시술자의 피부로 삽입한 후 소정 액의 약물을 주입하고 니들을 빼낸 후 다른 부위에 삽입하여 주사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반복적인 주사 시술 작업은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불편하다. 이에 더해, 반복적인 주사 시술 시 니들을 피부에 일정한 깊이로 삽입해야 하는데, 이는 고도의 집중력과 기술을 요구하므로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니들의 삽입깊이가 다른 경우, 약물의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바늘을 갖는 멀티 주사 바늘을 이용한 미용 시술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 주사 바늘(1)로서, 멀티 주사 바늘(1)은 하나의 소켓(3)에 다수의 바늘(2)이 조립된 것이다. 바늘(2)은 소켓(3)에 형성된 바늘 수용부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되는데, 바늘(2)의 직경이 매우 얇아 소켓(3)에 삽입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수작업에 의한 생산성이 떨어지고, 또한 바늘의 조립 과정에서 바늘(2)이 휘게 되어 약물을 주입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216호)은 복수의 중공형 바늘들; 선단부의 전면에 상기 복수의 중공형 바늘들의 일단을 고정하고, 후단부에 주사기 실린더의 선단이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을 가지며,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실린더 내부의 주사액을 상기 복수의 중공형 바늘들에 각각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통로를 가진 멀티주사바늘 허브; 상기 멀티주사바늘 허브의 선단부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에 상기 복수의 바늘들의 선단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멀티주사바늘 캡; 및 상기 멀티주사바늘 허브의 선단부 외주면과 상기 멀티주사바늘 캡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멀티주사바늘 캡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공 원통 회전체를 구비한 주입 깊이 조절형 멀티 주사바늘로서, 바늘이 허브에 조립되는 것일 뿐이다.
한편, 피부에 주사액을 주입하기 위한 바늘은 피부 조직 안에 삽입되어 주사액을 주입하는 것으로, 피시술자(시술 대상자)의 피부 조직이 다양하고 이마, 볼, 턱 등의 부위도 피부 조직(두께)가 다양하기 때문에 바늘의 깊이도 다양하게 맞춰져야 한다. 예를 들어 시술자(의사)가 본인의 노하우를 통해 바늘의 깊이를 맞추는 것도 가능하지만 이러한 경우 정확한 깊이로 맞추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로서 시술자의 나사 조작을 통해 바늘의 깊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으나 작업이 불편하고 미세한 조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2021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브의 회전 조작만을 통해 바늘의 돌출 정도(주사 깊이)를 조절하여 이마, 볼, 턱 등 피부 조직에 맞는 깊이로 주사액을 주사할 수 있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는, 주사 장비에 연결되어 주사액을 공급받는 연결 소켓과; 다수의 바늘이 수용되며 상기 연결 소켓에 수납되는 바늘 블록과; 상기 바늘 블록의 전방에 조립되며 다수의 바늘 인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허브와; 상기 연결 소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후진블록과; 상기 전후진블록의 후방에 조립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진블록과 연결 소켓 및 상기 바늘 블록을 전후진시켜 상기 바늘 블록의 바늘이 상기 가이드 허브의 바늘 인출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후진블록과 상기 노브는 대향면에 경사형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 소켓은 전후진 안내돌기를 통해 상기 경사형 가이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전후진한다.
본 발명은 가이드 허브에 형성되는 다단의 깊이조절홈 및 상기 노브에 형성되며 상기 다단의 깊이조절홈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깊이셋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에 의하면, 가이드 허브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를 잡고 양방향으로 돌리는 작업을 통해 바늘의 주사 깊이를 다양하게 맞출 수 있고, 노브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파지 면적이 넓어 조절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경사형 가이드부에 의한 전후진에 의해 바늘의 미세한 이동도 가능하므로 다양한 피부 조직에 맞는 시술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시술 대상자에 맞는 시술을 통해 트러블과 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깊이조절홈과 깊이 셋팅구가 적용된 경우 주사 깊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피부 특성을 갖는 사람에 맞는 최적의 주사 깊이, 그리고 이마, 볼, 턱 등 신체부위에 맞는 최적의 주사 깊이로 주사액을 주사함으로써 시술의 신뢰성을 향상하고 트러블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바늘이 이 바늘보다 큰 직경의 어댑터를 통해 허브에 조립되어 조립이 용이하므로 생산성을 향상하고 또한 바늘의 조립 과정에서 바늘의 휨변형도 막아 불량률을 낮춤으로써 불량 바늘의 폐기에 따른 손실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멀티 주사 바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조립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에 적용된 바늘 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에 적용된 다단계 조절을 보이기 위한 노브와 가이드 허브의 사시도.
<실시예 1>
도 2 내지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100)는, 주사 장비(주사 건 등)에 연결되며 주사액을 공급받는 연결 소켓(10), 연결 소켓(10) 앞에 조립되며 다수의 바늘(21)이 수용된 바늘 블록(20), 바늘 블록(20)의 앞에 조립되어 바늘 블록(20)을 지지하는 가이드 허브(30), 바늘 블록(20)의 후방에 조립되는 노브(40), 바늘 블록(30)과 노브(40)의 사이에 개재되며 노브(4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바늘 블록(20)을 전후진시키는 전후진블록(50)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가이드 허브(30)의 전방을 덮는 캡(60)이 구성될 수 있다.
연결 소켓(10)은 주사 장비에 연결되는 관형(바람직하게 원통형)의 연결부(11), 연결부(11)의 앞에 전방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바늘 블록(20)이 수납되는 블록 포켓(12)으로 구성된다.
연결부(11)는 주사 장비로부터 주사액을 공급받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둘레부에는 전후진블록(5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는 2개의 전후진 안내돌기(13)가 구성된다. 또한 연결부(11)의 둘레부에는 노브(40)에 끼움되는 가이드링(14)이 구성된다. 가이드링(14)은 노브(4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전후진 안내돌기(13)는 노브(40)의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노브(40)와 전후진블록(50)에 연결되며, 예를 들어, 노브(40)의 경사형 가이드부(44)와 전후진블록의 경사형 가이드부(53) 중 일측 이상에는 전후진안내돌기(13)가 수용되는 홈부가 구성되어, 전후진안내돌기(13)가 이 홈에 삽입됨으로써 노브(40)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전후진블록(40)과 연결 소켓(10)이 전후진한다.
블록 포켓(12)은 바람직하게 사각 박스형 단면이며 바닥부에는 연결부(11)와 연통하여 주사액을 바늘(21)에 공급하는 유로(15)가 구성된다. 유로(15)는 모든 바늘(21)에 주사액을 공급할 수 있는 형태로서 예를 들어 연결부(11)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일 수 있다.
연결 소켓(10)은 내주면에 바늘 블록(20)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턱(16)이 형성된다.
고정턱(16)은 바늘 블록(20)의 원활한 삽입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양측이 경사진 형태가 바람직하다.
바늘 블록(20)은 다수(5개 또는 9개, 물론 5개와 9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의 바늘(21), 바늘(21)의 뒤쪽(주입부의 반대쪽)에 조립되는 통형(원형, 각형 등)의 어댑터(22), 어댑터(12)가 조립되는 허브(23)으로 구성되며, 소켓(13)을 통해 피부에 약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사 장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사용된다.
바늘(2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바늘이 사용 가능하다.
어댑터(22)는 바늘(21)을 허브(23)에 조립하기 위한 매개물로서 내부에 바늘(21)이 삽입 조립되는 바늘 조립홀(22a)이 구비된다. 바늘 조립홀(22a)은 주사액이 바늘(21)에 공급되도록 양방향이 관통된 구멍이다.
어댑터(22)는 바늘(21)이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23)에 조립되며, 어댑터(12)가 바늘(11)보다 외경이 크기 때문에 어댑터(22)를 소켓(13)에 조립하는 것이 종래처럼 바늘을 직접 소켓에 조리하는 것보다 용이하다.
허브(23)는 다수의 어댑터 수납부(23a)가 구비된 블록 예컨대 육면체형의 블록이다. 어댑터 수납부(23a)는 어댑터(22)가 삽입되는 직경이면서 주사액의 주입이 가능하도록 양방향이 관통된 구멍이다. 허브(23)는 어댑터(22)가 조립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가능하다.
어댑터(22)와 허브(23)의 결속력 증대를 위하여 어댑터(22)의 외주면과 허브(23)의 어댑터 수용부(23a)의 내주면 중 일측 이상은 테이퍼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쐐기식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어댑터(12)와 허브(13)는 도면에 도시된 원통과 사각통으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 가능하다.
가이드 허브(30)는 연결 소켓(10)의 전방에 조립되어 연결 소켓(10)의 전후진을 안내하며 아울러 바늘 블록(20)의 바늘(21)이 돌출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하며, 바람직하게 노브(40)가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원통형의 노브 조립부(31), 노브 조립부(31)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피부에 지지되는 헤드부(32), 헤드부(32)의 내부에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바늘 인출홀(33)이 형성된 바늘 인출봉(34)으로 구성된다.
노브 조립부(31)는 노브(4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외형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구조이고, 노브(40)의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안내리브(35)가 형성된다.
회전안내리브(35)는 노브 조립부(31)의 외주면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돌기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노브(40)의 회전안내리브처럼 2개 이상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단 노브(4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헤드부(32)는 예를 들어 사각 틀의 형태로서 내부에 연결 소켓(10)이 수용된다.
헤드부(32)는 내부가 격벽(37)을 통해 전방의 석션부 및 후방의 블록 가이드부로 구획된다.
헤드부(32)의 석션부와 대응하는 곳에는 피부를 흡입하여 팽팽하게 하기 위한 석션관(36)이 형성될 수 있다. 석션관(36)에는 석션호스가 연결된다.
바늘 인출봉(34)은 헤드부(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격벽(37)에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전방으로 가면서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일 수 있다.
바늘 인출홀(33)은 바늘 블록(20)의 바늘(21)을 보호하고 주사액의 주사시 바늘(21)이 인출되도록 한다. 바늘 인출봉(34)과 헤드부(32)는 동일한 높이일 수 있고 전면이 환자의 피부에 지지될 수 있다.
노브(40)는 회전에 의해 전후진블록(50)을 전후진시키는 것이므로 내주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외형은 도면에 도시된 원형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노브(40)는 원통형으로서 중앙에는 연결 소켓(10)의 연결부(11)가 돌출되는 홀(41)이 구성된다.
노브(40)는 전후진블록(50)과 노브 조립부(31)의 크기에 맞춰 2단 원통형이며, 전후진블록 수용부(42)와 파지부(43)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43)는 노브(40)의 조작시 미끄러짐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논슬립부(턱)가 구성된다.
노브(40)의 회전 운동은 전후진블록(50)의 전후진 운동으로 전환되며 이를 위하여 전후진블록 수용부(42)의 바닥면에는 경사형 가이드부(44)가 구성된다.
경사형 가이드부(44)는 홀(41)의 형태를 따라 링 형태로 구성되고 원주방향으로 가면서 경사지는 형태 즉 바닥면으로부터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는 형태이다.
이 경사형 가이드부(44)는 전후진블록(50)의 경사형 가이드부(53)와 대응하는 것이다.
파지부(43)는 내주면에 회전안내리브(45)가 형성되어 이 회전안내리브(45)를 통해 가이드 허브(30)의 노브 조립부(31)에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브 조립부(31)의 회전안내리브(35)가 링 형태이므로 노브(40)의 회전안내리브(45)는 다수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도 노브(4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도 노브(40)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유도한다.
회전안내리브(35,45)는 탄력적인 조립이 가능하도록 경사형, 반구형 단면이 바람직하다.
전후진블록(50)은 중앙에 연결 소켓(10)의 연결부가 관통되는 홀(51)이 형성된 원통형이며 노브(40)의 전후진블록 수용부(42)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수납되며 전방에는 연결 소켓(10)의 블록 포켓(12)이 배치된다.
전후진블록(50)의 홀(51)의 둘레부에는 연결 소켓(10)의 전후진안내돌기(13)가 삽입되는 홀(52)이 연장 형성된다.
전후진블록(50)은 노브(40)의 경사형 가이드부(44)와 대향되는 면에 경사형 가이드부(53)가 구성된다.
이 경사형 가이드부(53)도 원형으로 배열되어 노브(40)의 경사형 가이드부(44)에 접촉된다.
캡(60)은 가이드 허브(30)의 전방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바늘 인출홀(33)의 오염을 방지한다. 캡(60)은 가이드 허브(30)를 향하는 부분이 개방된 구조이면서 둘레부의 대략 중앙부에 플랜지(61)가 돌출 형성되고, 이 플랜지(61)는 가이드 허브(30)의 헤드부(32)의 전면에 지지된다.
본 발명은 노브(40)의 회전에 의해 바늘 블록(20)이 전진하여 바늘(21)의 주사 깊이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때, 노브(40)의 조작(회전 정도)에 의한 바늘(21)의 깊이변화를 확인하도록 노브(40) 또는 가이드 허브(30)에는 마킹(marking, 눈금)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브(4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눈금이 표시되고 가이드 허브(30)의 둘레면에는 원점과 눈금을 표시하는 표시마크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눈금과 표시마크는 서로 뒤바뀔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는 초기 상태가 캡(60)에 의해 바늘(21)이 보호되는 상태이다.
주사액의 주입을 위해서 먼저 주사 부위에 적합한 바늘(21)의 깊이를 결정하고, 이 결정에 따라 바늘(21)의 위치를 다음과 같이 조절한다.
한 손으로 가이드 허브(30)를 잡고 다른 손으로 노브(40)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서로 맞닿아 있는 노브(40)의 경사형 가이드부(44)와 전후진블록(50)의 경사형 가이드부(53)에 의해 전후진블록(50)이 전진하고, 이들 경사형 가이드부(44,53) 사이에 연결된 연결 소켓(10)의 전후진 안내돌기(13)에 의해 연결 소켓(10)이 전진하고, 따라서, 연결 소켓(10)에 수납된 바늘 블록(20)이 연결 소켓(10)과 함께 전진하여 바늘(21)이 가이드 허브(30)의 바늘 인출홀(33)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 때 노브(4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바늘(21)의 돌출 길이가 달라지며 결과적으로 바늘(21)의 주사 깊이가 달라지는 것이다.
노브(40)를 반대로 회전하면 경사형 가이드부(44,53)와 전후진 안내돌기(13)에 의해 연결 소켓(10)과 바늘 블록(20)이 후진한다.
<실시예 2>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10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연결 소켓(10), 바늘 블록(20), 가이드 허브(30), 노브(40), 전후진블록(50), 캡(60)은 동일하게 구성되며, 바늘 블록(20)이 다단계에 걸쳐 전진 즉 미세한 주사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실시예 1은 노브(40)의 회전 조작시 전후진블록(50)이 전후진하는 것이지만, 전진 거리(바늘의 삽입 깊이)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없으며, 따라서, 종래 기술보다 용이한 조작은 가능하지만 바늘의 전후진 폭 안에서 바늘의 삽입 깊이를 단계별로 조작하지 못하여 즉 미세하고 정확한 주사 깊이의 조절이 어려워 다양한 두께의 피부에 보다 효과적인 주사가 어려우며, 본 실시예는 바늘을 다단계 예를 들어 최소 1단계부터 최대 6단계로 구분하여 전진하도록 구성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가이드 허브(3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즉 등간격으로 6개 단계의 깊이조절홈(38)(38-1,38-2,38-3,38-4,38-5,38-6)이 형성되고, 노브(40)에는 깊이조절홈(38)에 삽입되는 깊이 셋팅구(46)가 형성된다.
깊이조절홈(38)과 깊이 셋팅구(46)는 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 있다.
깊이조절홈(38)은 예를 들어 가이드 허브(30)의 저면에 저부를 향해 개방되는 홈의 형태이다.
깊이 셋팅구(46)는 노브(40)의 내부에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돌기의 형태이다.
깊이 셋팅구(46)와 깊이조절홈(38)은 깊이 셋팅구(46)가 어느 하나의 선택된 깊이조절홈(38)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깊이 셋팅구(46)가 다음 단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하며, 예를 들어 깊이 셋팅구(46)와 깊이조절홈(38)은 탄성 거동이 가능하면서도 고정력을 확보하는 반원형 단면이 바람직하고, 다른 방법으로는 깊이 셋팅구를 판스프링으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기능이 가능한 전제하에 깊이 셋팅구(46)와 깊이조절홈(38)은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예를 들어 깊이 셋팅구(46)가 1단 깊이조절홈(38-1)에 삽입된 것을 초기(바늘이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하고, 깊이 셋팅구(46)가 2단 깊이조절홈(38-2)에 삽입되면 바늘이 1단보다 0.2mm 더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3단 내지 6단 깊이조절홈에 각각 삽입되면 전 단계보다 0.2mm 더 돌출되는 것으로 한다.
노브(40)의 회전시 깊이 셋팅구(46)는 깊이조절홈(38)들 사이를 통과하다가 깊이조절홈(38)에 대응하면 깊이조절홈(38)에 삽입되며, 이 순간 조작감을 느끼게 되고 결과적으로 주사의 삽입 깊이를 알 수 있으므로 미세하고 정확한 주사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가이드 허브(30)의 외부면에는 깊이조절홈(38-1,38-2,38-3,38-4,38-5,38-6)의 위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킹(marking)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늘이 너무 깊이 삽입되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노브(40)가 일정 궤적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스토퍼가 구성된다.
노브(40)의 내부에는 상부를 향해 스토퍼 돌기(47)가 형성되고, 가이드 허브(30)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노브(40)의 스토퍼 돌기(47)가 회전되는 레일(39)이 형성된다.
레일(39)은 원주방향의 양측 단부에 각각 턱이 형성되며 즉 2개의 턱 사이에 홈의 형태로 형성되며, 스토퍼 돌기(47)는 레일(39)의 안에서만 회전하여 결과적으로 노브(40)가 일정 궤적 안에서만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전후진블록(50)이 노브(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노브(40)에는 록커(48)가 구성된다.
록커(48)는 전후진블록(50)의 둘레부에 형성된 록킹홈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노브(40)의 저면에서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고, 두부에는 자연스러운 결합을 위하여 경사부가 구성된다.
또한, 가이드 허브(30)의 단부에는 밀착 링(70)이 적용된다. 밀착 링(70)은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석션시 피부와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한다. 밀착 링(70)은 가이드 허브(30)의 단부에 돌기와 홈에 의한 끼움식, 끼움과 접착 병행식 등을 통해 조립된다.
10 : 연결 소켓, 11 : 연결부
12 : 블록 포켓, 13 : 전후진 안내돌기
20 : 바늘 블록, 21 : 바늘
22 : 어댑터, 23 : 허브
30 : 가이드 허브, 40 : 노브
44,53 : 경사형 가이드부, 50 : 전후진블록
60 : 캡, 70 : 밀착 링

Claims (9)

  1. 주사 장비에 연결되어 주사액을 공급받는 연결 소켓(10)과;
    다수의 바늘이 수용되며 상기 연결 소켓에 수납되는 바늘 블록(20)과;
    상기 바늘 블록의 전방에 조립되며 다수의 바늘 인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 허브(30)와;
    상기 연결 소켓의 후방에 배치되는 전후진블록(50)과;
    상기 전후진블록의 후방에 조립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전후진블록과 연결 소켓 및 상기 바늘 블록을 전진시켜 상기 바늘 블록의 바늘이 상기 가이드 허브의 바늘 인출홀 외부로 다양한 길이로 돌출되도록 하는 노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후진블록과 상기 노브는 대향면에 경사형 가이드부(53,44)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연결 소켓은 전후진 안내돌기(13)를 통해 상기 경사형 가이드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노브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늘 블록은 다수의 어댑터 수용홀이 구비된 블록, 저부에 어댑터가 조립되며 상기 어댑터를 통해 상기 블록의 어댑터 수용홀에 조립되는 바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허브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브 또는 가이드 허브의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한 바늘의 깊이를 표시하는 마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허브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2개 이상의 깊이조절홈, 상기 노브에 형성되며 상기 깊이조절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늘의 삽입 깊이를 2단계 이상으로 구분하여 조작하도록 하는 깊이 셋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허브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 상기 노브에 형성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회전하며 상기 레일의 원주방향 양측에 형성된 턱에 걸려 상기 노브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브와 상기 전후진블록을 록킹하는 록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허브의 단부에 조립되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피부에 밀착되는 밀착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KR1020160050373A 2015-12-21 2016-04-25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KR101760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83269 2015-12-21
KR1020150183269 2015-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151A true KR20170074151A (ko) 2017-06-29
KR101760920B1 KR101760920B1 (ko) 2017-07-24

Family

ID=59280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373A KR101760920B1 (ko) 2015-12-21 2016-04-25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9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9475A (zh) * 2019-07-31 2019-10-18 清华大学 多针管阵列及具有其的注射针头和注射器
KR20190141043A (ko) * 2018-06-12 2019-12-23 김병철 프락셔널 플라즈마 피부 치료기
KR20200059964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엘유 스탬프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CN111569190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五孔水光针
WO2022149833A1 (en) * 2021-01-05 2022-07-14 Incyto Co., Ltd. Slope needle set and slope needle including micronee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30A (ko) * 2018-04-13 2019-10-23 봄텍전자 주식회사 경사방향 피부시술에 적합한 멀티니들모듈
KR102521683B1 (ko) 2020-09-16 2023-04-13 주식회사 스퀘어메딕스 약물 주입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1701B2 (ja) * 2003-05-21 2011-08-31 アークレイ株式会社 穿刺深さを調整可能な穿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1043A (ko) * 2018-06-12 2019-12-23 김병철 프락셔널 플라즈마 피부 치료기
KR20200059964A (ko) * 2018-11-22 2020-05-29 주식회사 제이엘유 스탬프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
CN110339475A (zh) * 2019-07-31 2019-10-18 清华大学 多针管阵列及具有其的注射针头和注射器
CN110339475B (zh) * 2019-07-31 2024-02-09 清华大学 多针管阵列及具有其的注射针头和注射器
CN111569190A (zh) * 2020-04-13 2020-08-25 昆山安卓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五孔水光针
WO2022149833A1 (en) * 2021-01-05 2022-07-14 Incyto Co., Ltd. Slope needle set and slope needle including micronee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0920B1 (ko) 201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920B1 (ko)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US10835690B2 (en) Puncture depth controlling and needle hiding device and usage method thereof
KR101398516B1 (ko)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US10549081B2 (en) Drug delivery device and methods having a retaining member
US20110218497A1 (en) Multiple-injection medical apparatus
US20170007349A1 (en) Trajectory guide, access port, and fiducial marker alignment
KR101539664B1 (ko) 피부 시술용 약물 주입장치
US20190059869A1 (en) Tissue retractor systems and methods
KR101383744B1 (ko) 스토퍼가 구비된 멀티니들 조립체
KR20150122367A (ko) 플라스틱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깊이 조절형 주사바늘
KR20120020216A (ko) 주입 깊이 조절형 멀티주사바늘
KR20100083548A (ko) 주사바늘길이조절용관조립체
JP2016005543A (ja) 注入針装置及び注入器具セット
KR20140137688A (ko) 노출길이 조정이 용이한 멀티니들 조립체
KR20100004825A (ko) 뼈 충진 물질의 경피전달용 장치
KR101774231B1 (ko) 통증조절용 신경차단물질 주입기세트
KR101541159B1 (ko) 피부 시술용 모듈
US20120265210A1 (en) Vertebroplasty Curved Needle
US20140364831A1 (en) Revolving multi-cartridge hypodermic syringe and method of use
KR20140099713A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KR20200010846A (ko) 내시경치료용 치료기구의 조작정밀성 향상을 위한 이중튜브 및 이를 구비한 치료기구
KR102082565B1 (ko) 초음파 프로브를 이용한 주사장치
CN1824339B (zh) 医疗用器具
KR20180111001A (ko) 척추 신경성형술을 위한 약물주입용 카테터
KR101982450B1 (ko)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