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4060A -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 Google Patents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4060A
KR20170074060A KR1020150183078A KR20150183078A KR20170074060A KR 20170074060 A KR20170074060 A KR 20170074060A KR 1020150183078 A KR1020150183078 A KR 1020150183078A KR 20150183078 A KR20150183078 A KR 20150183078A KR 20170074060 A KR20170074060 A KR 20170074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toilet seat
seat
signal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3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고진훈
박민호
최재영
김정우
유성대
Original Assignee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진훈
김정우
유성대
최재영
이종석
박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진훈, 김정우, 유성대, 최재영, 이종석, 박민호 filed Critical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3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4060A/ko
Publication of KR20170074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40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발판부의 터치로 변기 커버를 개폐시키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 주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며 발판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안착신호와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발판센서와,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안착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이탈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기 좌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를 개폐시키는 좌대 구동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투명 발열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좌변기의 인근에 설치된 발판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좌변기에 설치된 변기 좌대를 개폐함으로써, 사용자가 위생상의 불결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SEMI-AUTOMATIC COVER SYSTEM FOR TOILET BOWL HAVING FOOTHOLD}
본 발명은 발판부의 터치로 변기 커버를 개폐시키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변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좌변기에 설치된 변기 좌대를 용도에 따라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좌변기는 이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이용자가 용변을 본 후에 개폐레버를 동작시키면 저수조에 채워져 있는 세척수가 좌변기 내부로 쏟아지면서 용변이 정화조로 배출되도록 한 구조를 갖는다.
일반적인 좌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고정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상단에 체결되는 변기 좌대(120)와, 상기 변기 좌대(120)에 덮여지는 커버(13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10)의 후면 상측에는 본체(110) 내부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저수조(1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용자는 변기 좌대(120)에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게 되며, 용변을 본 후 저수조(140)에 별도로 형성된 개폐레버를 클릭하면 저수조(140)에 채워져 있던 물이 본체(110) 내부로 쏟아지게 되고, 쏟아진 물은 용변과 함께 본체(110) 하단에 연결된 관을 통해 정화조로 흘러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좌변기는 남자인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데 이용하려면 먼저 변기 좌대(120)를 저수조(140)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지만, 공공장소에 설치된 좌변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번거로움과 그로 인한 위생상의 불결함을 견뎌 내야만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번거로움과 불결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변기 좌대를 직접 만지지 않고도 변기 좌대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4264호(2006.12.18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5594호(2002.02.21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3572호(2012.07.26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변기에 설치된 변기 커버를 손이 아닌 발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며, 용변을 보기 전에 발판부를 눌렀다가 용변을 본 후에 발판부로부터 발을 떼는 사용자의 행위를 통해 변기 좌대의 개폐를 원스톱으로 제어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 좌대와, 상기 좌변기 주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부와,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며 발판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안착신호와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발판센서와,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안착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이탈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기 좌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를 개폐시키는 좌대 구동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변기의 인근에 설치된 발판부의 접촉 여부에 따라 좌변기에 설치된 변기 좌대가 열리게 하고, 발판부로부터 발이 벗어나는 경우에 변기 좌대가 닫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번거로움과 그로 인한 위생상의 불결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소변 시 변기 좌대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변기 좌대에 소변이 튀거나 묻는 것을 방지하므로, 변기 좌대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좌변기를 통해 용변을 처리한 이후 발판부로부터 발을 떼는 행위만으로 변기 좌대가 닫히고 저수조에 채워져 있던 물이 본체 내부로 쏟아지도록 함으로써, 좌변기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최소한으로 줄여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변기의 물을 내리고자 할 때 변기 좌대와 함께 좌변기의 덮개가 자동으로 닫히게 함으로써, 변기 사용 시 발생하는 세균의 유입 및 전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좌변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이 설치된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의 구성요소 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이하, '변기 커버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이 설치된 좌변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의 구성요소 간 연결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은 변기에 설치되는 변기 좌대(100)와, 상기 변기 주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부(200)와, 상기 발판부(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발판센서(300)와, 상기 발판센서(30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100)를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및 상기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변기 좌대(100)를 움직임의 제어하는 좌대 구동부(5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변기 좌대(10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600)와 변기로 세척수를 투입하는 물내림 구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변기란 물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후면이나 상면에 설치되어 본체(10) 내부에 공급되는 세척수를 보관하는 세척수 보관부(20), 및 상기 세척수 보관부(20)에 설치되어 세척수 보관부(20)에 저장된 물을 세척수 확산부를 통해 본체(10) 내부로 공급하는 물내림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좌변기를 의미한다. 이때, 세척수 보관부(20)는 저수조 또는 저수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수조에 설치된 물내림 장치는 저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레버(30)에 연결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변기 좌대(100)를 포함한다.
상기 변기 좌대(100)는 사용자가 본체(10)에 앉아서 용변을 처리할 수 있도록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본체(10)와 세척수 보관부(20) 사이를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변기 좌대(100)에는 힌지 결합을 통해 변기 좌대(100)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덮개는 사용자가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킬 때 본체(10)의 상부로 물이 튀지 않도록 본체(10)의 상부를 커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발판부(200) 및 발판센서(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200)는 변기 주위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변기의 일정 사용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의 발에 의해 동작할 수 있도록 변기 근처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판부(200)는 사용자가 그 존재를 쉽게 확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바닥면의 외부에 설치된 노출형으로 구성되거나, 발이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소변을 보는 도중에도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바닥면 내부에 설치된 내삽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판부(200)는 사용자가 변기의 사용위치에 있을 때 왼쪽 발이나 오른쪽 발, 또는 이들 모두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두 개가 설치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박스(210) 및 발판(22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탄성지지대(230), 탄성패드(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설치박스(210)는 변기의 전방에서 바닥의 장착홈(A)에 삽입 설치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박스(210)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설치박스(210)의 상단에는 도 4와 같이 실리콘으로 압출 성형된 "∩" 형태의 튜브(2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250)는 발판(220)이 발로 밟고 있는 사용자의 무게에 의해 눌러 졌을 때 발판(220)이 설치박스(210)의 상단과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하며, 발판(220)과 설치박스(210) 사이를 통해 먼지나 습기가 설치박스(2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발판(220)은 설치박스(210)의 개방된 상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박스(2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사각형 평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판(220)은 발판부(200)가 내삽형인 경우 설치박스(210)가 내삽된 장착홈(A) 상부의 안착턱(B)에 안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정확히 양발을 사용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발판(220)의 상면에는 발 모양의 위치안내 표시가 인쇄되거나 스티커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발판(220)은 청소가 용이하고 강도가 높은 5 내지 10mm 두께의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
필요에 따라, 상기 발판(220)의 상면과 바닥면 사이에는 방수 테이프(2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테이프(260)는 발판(220)과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차단하여, 상기 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탄성지지대(230)는 발판(220)과 설치박스(210) 사이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해소된 발판(220)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지지대(230)로는 설치박스(210)의 저면의 형성된 안착돌기(212)에 결합된 탄성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대(230)는 발판(220)을 위로 이동시켜 발판센서(300)의 눌림을 해제할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과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금형 스프링(metallic pattern sp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대(230)는 발판(220)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눌려져 하강위치에서 발판센서(300)에 압력을 입력하며,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해제될 때 그 탄성력에 의해 발판(220)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킴으로서 발판센서(300)에 입력되는 압력이 해소되도록 한다.
상기 탄성패드(240)는 발판(220)과 장착홈(A)의 안착턱(B) 사이에 구비된 구성으로, 외력에 의해 하강되는 발판(220)이 안착턱(B)과의 충돌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발판(220)을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탄성패드(240)는 탄성지지대(230)와 함께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압력이 해소된 발판(220)을 초기 위치로 회동시키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탄성패드(240)는 신축성이 우수한 재료, 예컨데 실리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판세서는 발판부(200)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발판부(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안착신호와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발판센서(300)는 발판부(200)의 하부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발판부(2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되거나, 설치박스(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압력에 따라 하강하는 발판(220)에 접촉되어 발판(22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판센서(300)는 푸쉬버튼(310)이 구비된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센서(300)는 발판(220)이 하강하여 푸쉬버튼(310)이 눌려지면 안착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제공하며, 발판(220)이 상승하여 푸쉬버튼(310)의 눌려짐이 해소되면 이탈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센서(300)는 소변을 보기 위해 변기로 다가서는 사람이 아니라 변기가 설치된 공간을 통행하는 사람의 발에 의해 눌려지는 경우에 안착신호나 이탈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발판부(200)는 소정의 무게로 눌려진 상태의 지속여부를 판단하여 2초 내지 3초 이상 동안 연속적으로 눌려진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만 안착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발판센서(300)는 설정된 방식의 압력을 감지하여 승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승강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설정된 방식이란 안착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감지되는 압력과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소정 시간, 예컨대 2초 이내에 두 번 누름이나 세 번 누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발판센서(300)는 2초 이내에 2번의 압력이 감지되면 변기 좌대(100)의 상승을 요청하는 제1 승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제공하며, 2초 이내에 3번의 압력이 감지되면 변기 좌대(100)의 하강을 요청하는 제2 승강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400)로 제공한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발판부(200)는 설치박스와, 발판, 및 탄성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박스는 변기의 앞쪽에서 바닥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상부가 개방되고 중공이 형성된 직육면체형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박스는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박스는 발판센서를 고정하고, 발판이 사용자의 발에 의해 눌러질 때 발판센서가 압력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발판 및 탄성패드를 수용하여 탑재한다. 이를 위해, 설치박스는 상부에 발판 및 탄성패드를 수용하여 탑재하기 위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된 발판 안착홈이 형성되고, 발판센서를 고정하기 위해 발판 안착홈의 하부에 발판센서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발판은 설치박스의 발판 안착홈에 안착되며, 사각형 평판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발판은 청소가 용이하고 강도가 높은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판은 설치박스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갖도록 설치박스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는 상기 설치박스와 발판 사이에 구비되어 발판으로부터 전달된 압력을 발판센서에 전달하는 것으로, 발판 안착홈에 삽입된다. 다시 말해, 탄성패드는 사용자의 발에 의해 발판이 눌러질 때 발판에 제공된 압력을 발판센서에 전달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좌대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좌대 구동부(500)는 상기 변기 좌대(100)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100)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어부(400)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좌대 구동부(500)는 변기 좌대(100)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모터축(510)과 상기 모터축(510)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변기 좌대(100)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좌대 구동부(500)는 제어부(4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520)로 제어부(400)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근거리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520)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모터(520)로는 1회전 이하 단위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스텝 모터나 서버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은 덮개 구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덮개 구동부는 덮개에 설치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덮개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를 위해 제어부(400)와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덮개 구동부는 덮개의 힌지결합부에 결합된 모터축과 상기 모터축의 정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덮개를 개폐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압력센서(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800)는 변기 좌대(100)에 설치되고 제어부(400)에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변기 좌대(10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압력신호를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변기 좌대(100)에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는 중에 발을 움직여 발판부(200)에 발을 올려놓으면 변기 좌대(100)가 개방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변기 좌대(100)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변기 좌대(100)가 개방되도록 작동하면 좌대 구동부(500)나 변기 좌대(100)는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800)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상태, 즉 앉아서 용변을 보는 도중에 좌대 구동부(500)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센서(800)가 제어부(400)로 압력신호를 제공하게 되면 제어부(400)는 압력신호의 수신이 유지되는 동안 발판부(200)로부터 안착신호 및 이탈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좌대 구동부(500)의 제어를 중단하여 좌대 구동부(500)의 오작동을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승강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600)는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따라 변기 좌대(10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본체(10)와 변기 좌대(10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제어부(400)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10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승강부(600)는 하나 이상의 모터와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 샤프트(610) 및 하나 이상의 볼스크류 너트(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승강부(600)는 각각 동일한 개수의 모터와 볼스크류 샤프트(610) 및 볼스크류 너트(620)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볼스크류 샤프트(610)에 연결되어 볼스크류 샤프트(610)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모터는 변기 좌대(100)에 인접한 본체(10) 상부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거나, 본체(10)의 내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610)는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변기 좌대(1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일단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 대응되는 타단이 볼스크류 너트(620)에 결합된다.
상기 볼스크류 너트(620)는 볼스크류 샤프트(6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통해 변기 커버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변기 커버의 하단에 구비되며 볼스크류 샤프트(610)에 결합되어 볼스크류 샤프트(610)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된다.
키가 작은 어린이는 다리 길이가 짧기 때문에 일반적인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리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변기 위에서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잡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키가 큰 청소년 및 성인은 다리 길이가 길기 때문에 일반적인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다리를 안정적으로 구부리지 못하고 다리의 일부를 편 상태로 유지해야 되므로 불편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커버 시스템은 어린이가 사용하는 경우 변기 좌대(100)의 위치를 낮추고, 키가 큰 청소년 및 성인이 사용하는 경우 변기 좌대(100)의 위치를 높여서 사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알맞은 엉덩이 안착 높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승강부(600)가 설치된 경우, 변기 좌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지 않고, 전후좌우로 움직임이 제한되도록 본체에 설치된 걸림봉(900)에 안착된다. 이를 위해, 변기 좌대의 하부에는 걸림봉(900)이 내삽될 수 있는 결합홈(120)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물내림 구동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내림 구동부(700)는 변기의 물내림 장치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이탈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본체(10)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내림 장치를 제어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내림 구동부(700)는 세척수 보관부(20)가 저수조로 구현된 경우 저수조에 설치되어 저수조와 본체(10) 사이의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물내림 구동부(700)는 세척수 보관부(20)가 저수관으로 구현된 경우 저수관에 설치되어 전압과 같은 전기적인 신호가 공급될 때 개방되고 전기적인 신호의 공급이 차단될 때 탄성스프링 등에 의해 밀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나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구동식 유압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 좌대 시스템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발판센서(300)로부터 수신된 안착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100)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발판센서(300)로부터 수신된 이탈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100)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발판부(200)에 설치되거나 변기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센서(300), 좌대 구동부(500), 승강부(600), 물내림 구동부(700), 압력센서(800)에 무선이나 유선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어부(400)가 발판센서(300), 좌대 구동부(500), 승강부(600), 물내림 구동부(700), 압력센서(800)에 무선으로 연결된 경우에는 발판센서(300), 좌대 구동부(500), 승강부(600), 물내림 구동부(700), 압력센서(800)에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400)에도 근거리 통신모듈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안착신호가 전송되면, 변기 좌대(100)가 열리도록 좌대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변기 좌대(100)의 말단이 저수조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좌대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이탈신호가 전송되면, 변기 좌대(100)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변기 좌대(100)의 말단이 본체(1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좌대 구동부(5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이탈신호가 전송되면, 저수조의 저장된 물이 본체(10)로 공급되도록 물내림 장치를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이탈신호가 전송되면, 변기 좌대(100)와 함께 덮개가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0)는 덮개의 말단이 본체(1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덮개 구동부를 제어한다. 즉, 본 발명은 변기의 물을 내리고자 할 때 변기 좌대(100)와 함께 좌변기의 덮개가 자동으로 닫히게 함으로써, 변기 사용 시 발생하는 세균의 유입 및 전파를 차단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압력센서(800)로부터 압력신호가 수신되면 안착신호와 이탈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좌대 구동부(500)가 동작하지 않도록 좌대 구동부(500)의 제어를 중단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압력센서(800)로부터 제공된 압력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 세척수 보관부(20)에 저장된 세척수가 본체(10)로 투입되도록 물내림 구동부(70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수신된 승강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100)가 승강되도록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제1 승강신호가 수신되면 1 내지 10㎜의 범위 중 지정된 높이만큼 변기 좌대(100)가 상승하도록 승강부(60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추가적으로 제1 상승신호가 수신되면 1 내지 10㎜의 범위 중 지정된 높이만큼 변기 좌대(100)가 상승하도록 승강부(6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제2 승강신호가 수신되면 1 내지 10㎜의 범위 중 지정된 높이만큼 변기 좌대(100)가 하강하도록 승강부(600)를 제어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제어부(400)는 발판센서(300)로부터 승강신호가 전달되어 변기 좌대(100)의 높이가 조절된 이후, 압력신호가 수신된 다음 압력신호의 수신이 중단되면 변기 좌대(100)가 초기 높이로 회동하도록 승강부(60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 조절된 변기 좌대(100)의 높이를 초기 위치로 회동시켜 그 다음 사용자가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변기 좌대 200 : 발판부
300 : 발판센서 400 : 제어부
500 : 좌대 구동부 600 : 승강부
700 : 물내림 구동부

Claims (5)

  1. 좌변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변기 좌대;
    상기 좌변기 주위의 바닥에 설치되는 발판부;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며, 발판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안착신호와 이탈신호를 생성하는 발판센서;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안착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열리도록 제어하고,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이탈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닫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변기 좌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를 개폐시키는 좌대 구동부를 포함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물내림 장치에 설치되어 상기 이탈신호를 수신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본체로 물이 공급되도록 물내림 장치를 제어하는 물내림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좌대에 설치되고, 변기 좌대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압력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압력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압력신호가 수신되는 동안 상기 안착신호에 의한 좌대 구동부의 제어를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센서는 설정된 방식의 압력을 감지하여 승강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승강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센서로부터 수신된 승강신호에 따라 변기 좌대가 승강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본체와 변기 좌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변기 좌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변기 좌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볼스크류 샤프트, 및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변기 커버의 하단에 구비된 볼스크류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KR1020150183078A 2015-12-21 2015-12-21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KR201700740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78A KR20170074060A (ko) 2015-12-21 2015-12-21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078A KR20170074060A (ko) 2015-12-21 2015-12-21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060A true KR20170074060A (ko) 2017-06-29

Family

ID=5927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3078A KR20170074060A (ko) 2015-12-21 2015-12-21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40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141A (zh) * 2017-08-16 2017-12-15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感应式翻转控制机构及其控制方法
KR102007946B1 (ko) *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KR102089985B1 (ko) 2019-01-31 2020-03-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8141A (zh) * 2017-08-16 2017-12-15 厦门瑞尔特卫浴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盖板感应式翻转控制机构及其控制方法
KR102007946B1 (ko) * 2018-02-19 2019-08-06 유석영 스마트 양변기
KR102089985B1 (ko) 2019-01-31 2020-03-17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변기커버 개폐기능이 구비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4060A (ko)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KR102033055B1 (ko)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0956444B1 (ko) 높이조절 개수 장치
KR20170099275A (ko) 배설용 다기능 간호 침대
CN209075239U (zh) 一种多功能智能坐便床
KR102303284B1 (ko) 좌변기용 물 내림 장치
CN104095721A (zh) 自动护理床
CN109497881A (zh) 电动增高坐便助起器
JP6939032B2 (ja) チェアガード及び乳幼児用いす
KR101722727B1 (ko) 한무릎받침대가 있는 양변기
KR101257204B1 (ko) 자동 작동 변기
WO2011048372A1 (en)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KR101937616B1 (ko) 변기의자
KR102074151B1 (ko) 좌변기 시트
KR101971126B1 (ko) 받침대가 부착된 좌변기
KR101909714B1 (ko) 자동 변기 시스템
GB2469311A (en) A bathing transfer system for seated patient
KR20160098726A (ko) 높이 조정이 가능한 양변기
KR101186534B1 (ko) 자동승강식 변기시트와 착탈식 오물차단막이 구비된 좌변기
JP4591774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EP0556237B1 (en) Sanitary seat
JP2018175993A (ja) トイレユニット
US20020088056A1 (en) Lying arrangement
CN210104897U (zh) 一种儿童护理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