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616B1 - 변기의자 - Google Patents

변기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616B1
KR101937616B1 KR1020180081721A KR20180081721A KR101937616B1 KR 101937616 B1 KR101937616 B1 KR 101937616B1 KR 1020180081721 A KR1020180081721 A KR 1020180081721A KR 20180081721 A KR20180081721 A KR 20180081721A KR 101937616 B1 KR101937616 B1 KR 101937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blocking plate
hole
main bod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노
Original Assignee
주성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노 filed Critical 주성노
Priority to KR102018008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3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enso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변기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는 좌대(20)의 통공(21)에 결합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을 승강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슬라드시키는 개폐구동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이 좌대(20)의 통공(21)을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대(20)와 막음판(50)의 상면에 앉아 쉴 수 있으며, 용변을 보고자 할 때는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방함으로써, 용변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고 바로 용변을 볼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변기의자{chamber pot chair}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변기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은 화장실로 이동하지 않고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의자에 변기를 일체로 설치한 변기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이러한 변기의자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1a)가 형성된 본체(1)와, 중앙부에 통공(2a)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의 상면에 구비된 좌대(2)와, 상기 본체(1)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3)와, 상기 본체(1)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용변이 저장되는 용변부(4a)가 형성된 변기(4)와, 상기 본체(1)에 상기 좌대(2)를 덮도록 구비된 커버(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버(5)는 중간부가 절첩가능하게 구성되며, 후단부가 상기 본체(1)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를 전방으로 펴서 상기 좌대(2)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5)의 상부에 앉음으로써, 일반적인 의자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좌대(2)가 드러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좌대(2)에 앉아서 용변을 봄으로써, 변기(4)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용변을 본 후에는 상기 변기(4)를 분리하여 내부에 있는 용변을 처리하고, 다시 변기(4)를 본체(1)에 설치함으로써,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변기의자는 평상시에는 상기 커버(5)가 좌대(2)를 덮도록 배치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는 상기 커버(5)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서는 커버(5)의 상면에 앉아있던 사용자가 일어서서 상기 커버(5)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고, 다시 커버(5)에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일어서기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일 경우,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이 사용자를 일으켜 새운 상태에서 커버(5)를 상측으로 들어올려야 함으로,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러한 변기의자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되는데, 용변중에 발생되는 냄새가 주변으로 퍼져나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는,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은 자리를 비우게되는데, 사용자가 사람을 부를 힘이 없는 노약자나 환자일 경우 용변이 완료된 후에도 돌봐주는 사람을 부르지 못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장시간 뒤처리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용변시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다양한 종류의 탈취액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공개특허 10-2017-0004727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변기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중앙부에 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30)와,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용변이 저장되는 용변부(41)가 형성된 변기(40)와,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폐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구동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막음판(5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대(61)와, 상기 이송대(61)에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2)과, 상기 이송대에 연결되어 이송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포함하여, 상기 막음판(50)이 상기 통공(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을 이용하여 막음판(50)을 하강시킨 후,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이용하여 막음판(50)과 이송대(61)를 후퇴시켜 상기 통공(21)을 개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21)을 통해 용변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변기(4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변기(40)를 향해 탈취액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수단(80)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알람(90)과,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과 알람(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용변이 감지되면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을 작동시켜 변기(40)로 탈취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재차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알람(90)을 작동시켜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용변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는 좌대(20)의 통공(21)에 결합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을 승강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슬라드시키는 개폐구동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이 좌대(20)의 통공(21)을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대(20)와 막음판(50)의 상면에 앉아 쉴 수 있으며, 용변을 보고자 할 때는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방함으로써, 용변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고 바로 용변을 볼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변기의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의 회로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자를 도시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중앙부에 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30)와,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용변이 저장되는 용변부(41)가 형성된 변기(40)와,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폐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구동수단(6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21)을 통해 용변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변기(4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변기(40)를 향해 탈취액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수단(80)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알람(90)과,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과 알람(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목재로 구성된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구성되며 후측면에는 상기 변기(40)가 결합되는 결합공(12)이 형성되고, 상면 양측에는 팔걸이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후방 하측면에는 캐스터(13)가 구비되어, 본체(10)를 후방으로 기울인 상태로 본체(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좌대(20)는 상기 개구부(11)에 대응되는 형태의 통공(21)이 중앙부에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10)의 상면을 덮도록 고정된 것으로,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때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등받이(30)는 상기 본체(10)의 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31)의 전면에 구비된 쿠션판(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기(40)는 무게가 가벼운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며, 외측면에는 손잡이부(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변기(40)를 상기 결합공(12)에 결합하면, 상기 용변부(41)가 상기 통공(21)의 하측에 위치되어, 좌대(20)에 앉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용변이 내부에 수집된다.
상기 막음판(50)은 상기 통공(21)에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된 지지판(51)과, 상기 지지판(51)의 상면에 구비된 쿠션재(52)로 구성되어, 상승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쿠션재(52)가 상기 통공(21)에 결합되어 상기 좌대(2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강된 후 후방으로 후퇴되어 상기 통공(21)을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은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막음판(50)이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대(61)와, 상기 이송대(61)에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2)과, 상기 이송대에 연결되어 이송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63)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양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14)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측면에는 통공(21)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대(61)와 막음판(50)이 상기 통공(21)을 통해 본체의 외측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대(61)는 사각형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되어, 양단이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일정범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61a)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가이드(61a)에 상기 막음판(5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막음판(50)은 상기 이송대(61)가 완전히 전진되면 상기 통공(21)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위치설정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은 상기 이송대(61)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내부에 구비된 구동모터에 의해 신축되어 상기 막음판(50)을 승강시키는 기계식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은 상기 이송대(61)의 하측면에 구비된 지지블록(63a)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중간부는 상기 지지블록(63a)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된 리드스크류(63b)와, 상기 리드스크류(63b)에 연결되어 리드스크류(63b)를 정역회전시키는 구동모터(63c)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63c)를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리드스크류(63b)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이송대(61)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상기 막음판(50)이 상기 통공(21)에 결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을 이용하여 막음판(50)을 하강시킨 후,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이용하여 이송대(61)를 후방으로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통공(21)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이용하여 이송대(61)를 전방으로 슬라이드시킨 후,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을 이용하여 막음판(50)을 상승시키면, 상기 막음판(50)에 의해 좌대(20)의 통공(21)이 막히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단에 측방향을 향하게 구비되어 좌대(20)에 앉은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초음파 또는 자외선을 이용하여 통공(21)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하는 용변을 감시하는 근접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면에 하측을 향하도록 구비된 분사노즐(81)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는 탈취액이 저장되며 급수관(83)을 통해 상기 분사노즐(81)에 연결된 저장통(82)과, 상기 급수관(83)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어수단(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상기 저장통(82)에 저장된 탈취약을 상기 분사노즐(81)로 공급하는 공급펌프(84)로 구성된다.
상기 알람(90)은 스피커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수단(1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미리 입력된 소리를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용변이 감지되면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을 작동시켜 변기(40)로 탈취액이 분사되도록 한다.
즉, 상기 좌대(20)에 앉은 사용자가 소변을 보거나 대변을 봐서, 상기 감지센서(70)가 통공(21)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는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10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을 구동시켜, 상기 변기(40)에 저장된 소변이나 대변의 상측으로 탈취액을 분사함으로써,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재차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알람(90)을 작동시켜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용변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또는 대변을 볼 때는 소변이나 대변이 여러번에 나뉘어 통공(21)을 통해 하측으로 낙하되며, 일정시간 동안 소변이나 대면이 낙하되지 않을 경우, 용변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100)은 감지센서(70)에 최초로 용변이 감지되면, 좌대(20)에 앉은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시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시작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다음번 소변이나 대변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용변을 완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알람(90)을 작동시켜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용변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상기 알람(90)에서 재생되는 소리는 일정한 벨소리나 음악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변기의자는 좌대(20)의 통공(21)에 결합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을 승강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슬라드시키는 개폐구동수단(60)이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이 좌대(20)의 통공(21)을 밀폐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좌대(20)와 막음판(50)의 상면에 앉아 쉴 수 있으며, 용변을 보고자 할 때는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을 구동시켜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방함으로써, 용변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변기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나지 않고 바로 용변을 볼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막음판(50)이가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대(61)와, 상기 이송대(61)에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2)과, 상기 이송대에 연결되어 이송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포함하여, 상기 막음판(50)이 상기 통공(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을 이용하여 막음판(50)을 하강시킨 후,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이용하여 막음판(50)과 이송대(61)를 후퇴시켜, 상기 통공(21)을 개방하게 됨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작동신뢰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21)을 통해 용변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변기(4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변기(40)를 향해 탈취액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수단(80)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알람(90)과,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과 알람(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용변이 감지되면 탈취액분사수단(80)을 작동시켜 변기(40)로 탈취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재차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알람(90)을 작동시켜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용변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구성됨으로,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냄새가 주변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용변을 보면,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이 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는,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은 자리를 비우게되는데, 사용자가 사람을 부를 힘이 없는 노약자나 환자일 경우 용변이 완료된 후에도 돌봐주는 사람을 부르지 못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장시간 뒤처리를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어수단(100)이 상기 감지센서(70)를 이용하여 용변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 용변이 완료되면 알람(90)을 울려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을 부르게 됨으로, 전술한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본체 20. 좌대
30. 등받이 40. 변기
50. 막음판 60. 개폐구동수단
70. 감지센서 80. 탈취액분사수단
90. 알람 100. 제어수단

Claims (2)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된 본체(10)와,
    중앙부에 통공(21)이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구비된 좌대(20)와,
    상기 본체(10)의 후방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등받이(30)와,
    상기 본체(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용변이 저장되는 용변부(41)가 형성된 변기(40)와,
    상기 좌대(20)의 통공(21)을 개폐하는 막음판(50)과,
    상기 막음판(50)에 연결되어 막음판(50)이 상기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구동수단(60)과,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통공(21)을 통해 용변이 낙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기 변기(40)를 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변기(40)를 향해 탈취액을 분사하는 탈취액분사수단(80)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구비된 알람(90)과,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과 알람(9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100)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구동수단(6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기 막음판(50)이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대(61)와,
    상기 이송대(61)에 구비되어 상기 막음판(5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62)과,
    상기 이송대(61)에 연결되어 이송대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포함하여,
    상기 막음판(50)이 상기 통공(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구동수단(62)을 이용하여 막음판(50)을 하강시킨 후, 슬라이드구동수단(63)을 이용하여 막음판(50)과 이송대(61)를 후퇴시켜, 상기 통공(21)을 개방하도록 되고,
    상기 제어수단(100)은 상기 감지센서(70)의 신호를 수신하여 용변이 감지되면 상기 탈취액분사수단(80)을 작동시켜 변기(40)로 탈취액이 분사되도록 하고,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내에 재차 상기 감지센서(70)에 용변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알람(90)을 작동시켜 사용자를 돌보는 사람에게 용변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자.
  2. 삭제
KR1020180081721A 2018-07-13 2018-07-13 변기의자 KR101937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21A KR101937616B1 (ko) 2018-07-13 2018-07-13 변기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21A KR101937616B1 (ko) 2018-07-13 2018-07-13 변기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616B1 true KR101937616B1 (ko) 2019-01-10

Family

ID=65020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721A KR101937616B1 (ko) 2018-07-13 2018-07-13 변기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6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145A (zh) * 2020-04-28 2020-07-3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智能调节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67145A (zh) * 2020-04-28 2020-07-31 宿州学院 一种用于大小便收集处理的多功能轮椅的智能调节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JP2008540019A (ja) 入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00058591A (ko) 환자용 침대
US20150308091A1 (en) Standing secondary and ergonomic toilets
CN106491292A (zh) 多功能床
CN109674383B (zh) 一种电动辅助马桶支架
KR102033055B1 (ko) 양변기가 구비된 휠체어
KR101499107B1 (ko) 비산 방지용 변기 덮개
KR101156165B1 (ko) 틸팅 가능한 시트를 구비한 변기장치
KR101937616B1 (ko) 변기의자
KR102007945B1 (ko) 스마트 양변기
US5060325A (en) Integrated mattress and commode with integrated bathing section
KR20170049133A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WO2011048372A1 (en)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JPH11169406A (ja) 用便装置
JP6504777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KR102082972B1 (ko)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JP2765106B2 (ja) 便器ユニット
JPH09273203A (ja) 局部洗滌送水装置付き洋式便器
KR102196812B1 (ko) 음성인식 기반의 변기용 스마트 리프트 의자
JP2006212377A (ja) 洗浄機能を備えたトイレ付介護用ベッド
JPH1142257A (ja) 歩行障害者用排便設備
JP3612979B2 (ja) 昇降便器装置
US20020088056A1 (en) Lying arrangement
KR101272019B1 (ko) 스마트 자동 배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