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444B1 - 높이조절 개수 장치 - Google Patents

높이조절 개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444B1
KR100956444B1 KR1020090087165A KR20090087165A KR100956444B1 KR 100956444 B1 KR100956444 B1 KR 100956444B1 KR 1020090087165 A KR1020090087165 A KR 1020090087165A KR 20090087165 A KR20090087165 A KR 20090087165A KR 100956444 B1 KR100956444 B1 KR 10095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nk
height adjustment
sink body
adjust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높낮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높낮이
Priority to KR102009008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444B1/ko
Priority to PCT/KR2009/007043 priority patent/WO20110342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ly-acting fluid cyl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2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 E03C1/326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 E03C1/328Holders or supports for basins resting on the flo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개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높이조절 개수 장치는 i)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 본체, 및 ii)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싱크볼의 양측에 고정되어 싱크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을 포함한다.
싱크 본체, 높이조절장치, 물 회수 유닛, 높이조절 개수 장치

Description

높이조절 개수 장치 {SINK CAPABLE OF CONTROLLING HEIGHT THEREOF}
본 발명은 높이조절 개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장애인 등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 개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부엌에는 물을 받아서 음식물 등을 조리하거나 설거지를 하기 위한 싱크대가 구비된다. 싱크대는 물을 받아 사용하는 개수대를 포함한다. 싱크대에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릇을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싱크대는 일반 성인의 허리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일반 성인들은 그릇 등을 쉽게 씻을 수 있다. 그러나 휠체어를 타고 있어야 하는 장애인 또는 어린이 등은 싱크대의 높이가 너무 높아서 싱크대 사용이 불편하다.
휠체어를 탄 장애인들과 일반인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개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는 i)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싱크볼을 포함하는 싱크 본체, 및 ii)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싱크볼의 양측에 고정되어 싱크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는 싱크 본체와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물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 회수 유닛은, i) 싱크 본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물가이드부, 및 ii) 물가이드부의 판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물가이드부와 연결된 물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 본체는 물가이드부와 대향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물받이부는 개구부를 관통하여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물받이부에는 물회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물저장용 공간의 일측은 물가이드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물회수용 공간의 바닥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바닥면은 수평면과 3˚ 내지 10˚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물 회수 유닛은, 바닥면과 연통되면서 연결되어 물회수용 공간에 회수된 물을 배수하도록 적용된 배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는 i) 지면 위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싱크 본체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적용된 고정 프레임, 및 ii) 싱크 본체와 이웃하고, 개구부를 통하여 고정 프레임과 연결된 수납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물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바닥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바닥부 위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 프레임은 바닥부와 연결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측면부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이 설치되며,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싱크 본체의 측면에 의해 개구부가 구획될 수 있다. 싱크 본체는 상호 나란히 설치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문들을 더 포함하고, 복수의 문들 중 한 문은 물받이부를 싱크 본체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적용될 수 있다. 한 문의 폭은 복수의 문들 중 다른 문들의 평균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물 회수 유닛은 인조 석재 또는 천연 석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물 회수 유닛은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을 포함하고,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은 싱크 본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싱크 본체는 그 측면에 형성된 물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고, 물 회수 유닛은, i) 물가이드부, 및 ii) 물가이드부의 판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물가이드부와 연결된 물받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는 싱크 본체와 이웃하는 수납장을 더 포함하고, 수납장에는 싱크 본체와 연통된 또다른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물받이부는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전동식 또는 수압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개수 장치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애인과 일반인이 개수 장치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개수 장치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개수 장치의 제조 비용이 적게 소모되며,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잘 회수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인용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 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 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되지 않는다.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 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개수 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모든 장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개수 장치"는 싱크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분해하여 나타낸다. 도 1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의 구조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의 구조를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는 싱크 본체(10) 및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포함한다. 이외에,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다른 장치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는 물 회수 유닛(30), 수납장(40) 및 고정 프레임(50)을 더 포함한다.
싱크 본체(10)에는 내부 공간(10S)이 형성된다. 따라서 싱크 본체(10) 내부에는 물 분배기, 정수기, 음식물 처리기, 절수기, 세제통 등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내부 공간(10S)을 통하여 전술한 장치들을 배치할 장소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싱크 본체(10)는 싱크볼(101), 급수기(103), 높이조절밸브(105) 및 문들(111)를 포함한다. 싱크볼(101)에는 설거지할 그릇 등을 놓는다. 이를 위하여 싱크볼(101)은 내부 공간(10S)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다. 급수기(103)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싱크볼(101)에 공급한다. 따라서 싱크볼(101)에 놓은 그릇 등을 깨끗하게 닦을 수 있다.
도 1에는 편의상 그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높이조절밸브(105)는 높이조절장치들(20)과 연결된다. 따라서 높이조절밸브(105)를 작동시켜 높이조절장치들(2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높이조절밸브(105)의 조작에 따른 높이조절장치들(20)의 상승 과정 또는 하강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싱크 본체(10)의 내부 공간(10S)에 위치하여 싱크 본체(10)를 z축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고정 프레임(50)의 바닥부(503) 위에 설치된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50)은 지면 바로 위에 위치하므로, 바닥부(503)가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 들(20)은 전동식 또는 수압식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전동 실린더 또는 수압 실린더를 포함하므로, 상하로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의 구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20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상하로 이동한다.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201)은 z축 방향, 즉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뻗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201)은 고정 프레임(50)의 측면부(501)에 설치 고정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201)은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의 상하 이동을 잘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싱크 본체(10)는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장애인 등 몸이 불편한 사람은 싱크 본체(10)의 높이를 낮추어서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반인도 싱크 본체(10)의 높이를 높여서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도시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높이조절장치들(20)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한편, 싱크 본체(10)가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상하로 이동시키므로, 싱크 본체(10)와 이웃하는 수납장(40)과 싱크 본체(10) 사이에 틈이 발생한다. 만약, 물이 싱크 본체(10)로부터 넘치는 경우, 물은 전술한 틈을 통하여 지면에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틈을 통하여 떨어지는 물을 바닥에 누설시키지 않고 물 회수 유닛(30)을 이용하여 전량 회수할 수 있다. 도 1에는 물 회수 유닛(30)이 수납장(40)의 상면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물 회수 유닛(30)은 수납장(40)이 아닌 다른 장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회수 유닛(30)은 물가이드부(301) 및 물받이부(303)를 포함한다. 이외에, 물 회수 유닛(30)은 필요에 따라 물 회수에 필요한 다른 부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가이드부(301)는 싱크 본체(10)의 측면(107)과 대향한다. 따라서 물가이드부(301)는 싱크 본체(10)의 측면(107)과 상호 이격된 틈을 따라 아래로 떨어지는 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물받이부(303)는 물가이드부(301)의 판면(3011)과 교차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물가이드부(301)와 연결된다. 따라서 물받이부(303)는 물가이드부(301)를 따라 떨어지는 물 또는 싱크 본체(10)의 측면(107)을 따라 떨어지는 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물받이부(303)에는 물회수용 공간(3031)이 형성된다. 여기서, 물회수용 공간(3031)의 일측, 즉 도 1의 좌측은 물가이드부(301)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회수된 물은 물회수용 공간(3031)에 잠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물이 전술한 틈을 따라 떨어져도 물회수용 공간(3031)에 적절한 양의 물을 잠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물을 전량 회수할 수 있다.
더욱이, 고정 프레임(50)의 지지부(505)는 물받이부(303)를 그 하부에서 지지한다. 따라서 물회수용 공간(3031)으로 많은 양의 물이 떨어지더라도 물받이부(303)가 지지부(505)에 의해 지지되므로, 물받이부(303)는 잘 손상되지 않는다. 특히, 물 회수 유닛(30)을 인조 석재 또는 천연 석재 소재로 형성하여, 수납장(40)이 고급스럽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조 대리석 또는 천연 대리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물과 물가이드부(301)의 표면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물이 물가이드부(301)를 타고 아래로 잘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으므로, 물을 잘 회수할 수 있다.
도 1에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프레임(50)은 내부 공간(10S)에 삽입 위치되어 싱크 본체(10)의 상하 이동을 지지한다. 고정 프레임(50)은 지면 위에 위치하여 싱크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 프레임(50)은 개구부(109)를 통하여 수납장(40)과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프레임(50)은 수납장(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를 부분 절개한 정면도이다. 도 2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는 도 1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의 모든 부품들을 결합하여 도시한다. 또한, 편의상 도 2에는 도 1의 싱크 본체(10)의 문들(111)을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싱크볼(101)의 양측에 고정된다.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은 내부 공간(10S)에 위치한다. 싱크볼(101)의 하부에는 다양한 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높이조절장치는 싱크볼(101)의 하부에 설치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싱크볼(101)의 양측에 고정함으로써, 싱크 본체(10)의 좌우 균형을 유지하면서 싱크 본체(10)를 z축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싱크 본체(10)의 내부 상면에 부착된 브라켓(102)은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20)을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09)는 싱크 본체(10)의 측면(107)에 의해 구획되며, 물가이드부(301)와 대향한다. 따라서 물받이부(303)는 개구부(109)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내부 공간(10S)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받이부(303)는 싱크 본체(10)와 수납장(40) 사이에 형성 틈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싱크 본체(1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의 싱크 본체(10)의 정면도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싱크 본체(10)의 형상을 다른 형태로도 변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 본체(10)는 x축 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히 설치되어 내부 공간(10S)(도 2에 도시)을 개폐하는 복수의 문들(111)을 포함한다. 복수의 문들(111)은 제1문(1111)과 제2문(1113)을 포함한다. 도 3에는 3개의 제2문들(1113)이 x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나열되고, 그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제1문들(1111)이 배열된 상태를 나타낸다.
제1문(1111)은 물받이부(303)(도 2에 도시)를 싱크 본체(10)의 외부와 연통시킨다. 따라서 제1문(1111)을 열어서 물받이부(303)(도 2에 도시)에 물 이외에 다른 음식물 찌꺼기 등이 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제2문(1113)은 내부 공간(10S)(도 2에 도시)에 그릇 등을 수납하기 위하여 싱크 본체(10)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2문(1113)의 평균 폭(W1113)은 제1문(1111)의 폭(W1111)보다 크다. 다시 말하면, 제1문(1111)의 폭(W1111)은 제2문(1113)의 평균 폭(W1113)보다 작다. 제1문(1111)은 단순히 물받이부(303)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폭(W1111)이 클 필요는 없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라 물 회수 유닛(30)을 자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편의상 설명을 위해 도 4에는 물 회수 유닛(30)을 제외한 그 주변의 다른 부품들은 생략하여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회수 유닛(30)은 배수관(305)을 더 포함한다.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수관(305)은 지지부(505)(도 2에 도시)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관(305)은 물회수용 공간(3031)의 바닥면(3031a)과 연통된다. 따라서 배수관(305)은 물회수용 공간(3031)에 회수된 물을 배수하여 물회수용 공간(3031)으로부터 물이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3031a)은 수평면, 즉, xy평면에 대하여 경사진다. 따라서 바닥면(3031a)은 수평면과 각도(θ)를 형성한다. 여기서, 각도(θ)는 3˚ 내지 10˚일 수 있다. 각도(θ)가 너무 작은 경우, 배수관(305)을 통하여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없다. 또한, 각도(θ)가 너무 큰 경우, 물회수용 공간(3031)에 저장된 물이 배수관(305)측으로 급격하게 쏠리므로, 물이 물회수용 공간(3031) 외부로 오버플로우될 수 있다. 따라서 각도(θ)를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싱크 본체(10)(도 2에 도시)의 상승 상태 및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싱크 본체(10)의 상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싱크 본체(10)의 상승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싱크 본체를 다른 형태로 상승시킬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한 방향으로 높이조절밸브(105)를 돌리는 경우, 높이조절장치(20)(도 2에 도시)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싱크 본체(10)가 +z축 방향을 향하여 상승한다. 이 경우, 싱크 본체(10)의 내부 공간(10S)(도 2에 도시)에는 고정 프레임(50)이 위치하여 싱크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싱크 본체(1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z축 방향을 따라 곧게 상승한다.
도 6은 도 1의 싱크 본체(10)의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싱크 본체(10)의 하강 상태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싱크 본체를 다른 형태로 하강시킬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방향으로 높이조절밸브(105)를 돌리는 경우, 높이조절장치(20)(도 1에 도시)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싱크 본체(10)가 -z축 방향을 향하여 하강한다. 이 경우, 싱크 본체(10)의 내부 공간(10S)(도 2에 도시)에는 고정 프레임(50)이 위치하여 싱크 본체(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싱크 본체(10)는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z축 방향을 따라 곧게 하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200)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200)는 도 1 및 도 2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 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 개수 장치(200)는 우측에 물 회수 유닛(30)을 하나 더 포함한다. 따라서 높이조절 개수 장치(200)는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30)을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30)이 설치된 한 쌍의 수납장들(40)은 각각 싱크 본체(10)의 양측에 위치하므로,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30)도 각각 싱크 본체(10)의 양측에 위치한다. 싱크 본체(10) 위로 오버플로우된 물은 싱크 본체(10)의 양측으로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물 회수 유닛들(30)을 싱크 본체(1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물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300)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8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300)는 도 1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100)와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납장(4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가 수납장(40)을 지지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 본체(13)는 그 측면에 형성된 물 회수 유닛(33)을 포함한다. 물 회수 유닛(33)은 물가이드부(331) 및 물받이부(333)를 포함한다. 물받이부(333)는 물가이드부(331)의 판면(3311)과 교차하는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물가이드부(331)와 연결된다. 따라서 싱크 본체(13)를 타고 아래로 떨어지는 물을 물받이부(333)를 통해 회수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장(40)은 싱크 본체(13)와 x축 방향을 따라 이웃하여 배치된다. 수납장(40)에는 싱크 본체(13)와 연통된 내부 공간(40S)이 형성된다. 따라서 물받이부(333)를 화살표 방향을 따라 수납장(40)에 삽입하여 내부 공간(40S)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물받이부(333)가 배치되는 공간을 수납장(40)을 통해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높이조절 개수 장치를 부분 분해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싱크 본체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라 물 회수 유닛을 자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싱크 본체의 상승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싱크 본체의 하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의 개략적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 개수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도이다.

Claims (19)

  1.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싱크볼(sink ball)을 포함하는 싱크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싱크볼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싱크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 및
    상기 싱크 본체의 적어도 일측과 이웃하는 물 회수 유닛
    을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 유닛은,
    상기 싱크 본체의 측면과 대향하는 물가이드부, 및
    상기 물가이드부의 판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물가이드부와 연결된 물받이부
    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본체는 상기 물가이드부와 대향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에는 물회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물회수용 공간의 일측은 상기 물가이드부에 의해 형성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회수용 공간의 바닥면은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진 높이조절 개수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수평면과 3˚ 내지 10˚의 각도를 형성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 유닛은, 상기 바닥면과 연통되면서 연결되어 상기 물회수용 공간에 회수된 물을 배수하도록 적용된 배수관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지면 위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싱크 본체의 상하 이동을 지지하도록 적용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싱크 본체와 이웃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고정 프레임과 연결 된 수납장
    을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물받이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상기 바닥부 위에 설치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기 바닥부와 연결된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뻗은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이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들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적용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본체의 측면에 의해 상기 개구부가 구획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본체는 상호 나란히 설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복수의 문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문들 중 한 문은 상기 물받이부를 상기 싱크 본체의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적용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 유닛은 인조 석재 또는 천연 석재로 제조된 높이조절 개수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회수 유닛은 상기 싱크 본체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17.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볼록하게 형성된 싱크볼(sink ball)을 포함하는 싱크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싱크볼의 양측에 고정되어 상기 싱크 본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적용된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 및
    상기 싱크 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물 회수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물 회수 유닛은,
    물가이드부, 및
    상기 물가이드부의 판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물가이드부와 연결된 물받이부
    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본체와 이웃하는 수납장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장에는 상기 싱크 본체와 연통된 또다른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높이조절장치들은 전동식 또는 수압식으로 작동하는 높이조절 개수 장치.
KR1020090087165A 2009-09-15 2009-09-15 높이조절 개수 장치 KR10095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65A KR100956444B1 (ko) 2009-09-15 2009-09-15 높이조절 개수 장치
PCT/KR2009/007043 WO2011034252A1 (en) 2009-09-15 2009-11-27 Height-controllable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165A KR100956444B1 (ko) 2009-09-15 2009-09-15 높이조절 개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6444B1 true KR100956444B1 (ko) 2010-05-06

Family

ID=4228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165A KR100956444B1 (ko) 2009-09-15 2009-09-15 높이조절 개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6444B1 (ko)
WO (1) WO20110342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59Y1 (ko) * 2011-03-21 2013-11-15 이웅기 높이 조절 싱크대
KR101540436B1 (ko) * 2014-05-14 2015-07-30 서은미 커버착탈식 세면기용 지지장치
KR101873683B1 (ko) 2017-05-29 2018-07-02 주식회사 엔비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싱크대
KR20200088648A (ko) * 2019-01-15 2020-07-2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KR20230060208A (ko) * 2021-10-27 2023-05-04 황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9212A (zh) * 2011-10-30 2012-03-28 王文卿 一种可升降式带水槽的橱柜
DE202013100137U1 (de) * 2013-01-11 2014-01-31 Tielsa Gmbh Möbelfront einer Möbelze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407A (ja) * 1989-07-26 1991-03-12 Kayaba Ind Co Ltd 昇降装置
JP2002051855A (ja) * 2000-08-11 2002-02-19 Iketani Kogyo:Kk 昇降キッチン
KR200314988Y1 (ko) * 2003-02-22 2003-06-02 안성일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KR100860273B1 (ko) 2002-05-30 2008-09-25 주식회사에넥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9427A (ja) * 1996-01-31 1997-08-12 Og Giken Co Ltd 昇降式流し台装置
JP2002253371A (ja) * 2000-12-27 2002-09-10 Hitachi Chem Co Ltd 厨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7407A (ja) * 1989-07-26 1991-03-12 Kayaba Ind Co Ltd 昇降装置
JP2002051855A (ja) * 2000-08-11 2002-02-19 Iketani Kogyo:Kk 昇降キッチン
KR100860273B1 (ko) 2002-05-30 2008-09-25 주식회사에넥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200314988Y1 (ko) * 2003-02-22 2003-06-02 안성일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59Y1 (ko) * 2011-03-21 2013-11-15 이웅기 높이 조절 싱크대
KR101540436B1 (ko) * 2014-05-14 2015-07-30 서은미 커버착탈식 세면기용 지지장치
KR101873683B1 (ko) 2017-05-29 2018-07-02 주식회사 엔비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 싱크대
KR20200088648A (ko) * 2019-01-15 2020-07-2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KR102140558B1 (ko) 2019-01-15 2020-08-03 최창열 싱크대 높이 조절장치
KR20230060208A (ko) * 2021-10-27 2023-05-04 황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가구
KR102605984B1 (ko) 2021-10-27 2023-11-23 황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주방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252A1 (en)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6444B1 (ko) 높이조절 개수 장치
JP2007537791A (ja) 患者用寝台
US20130019394A1 (en) Pedicure Spa Station with Separate Integrated Drain
CN107198618A (zh) 一种多功能智能坐便床
KR20170099275A (ko) 배설용 다기능 간호 침대
JP2016524502A (ja) 乳幼児用ビデ
CN103735376A (zh) 一种智能护理床垫
US7426756B2 (en) Adjustable toilet bowl
US7028355B2 (en) Medical sanitary multifunctional system bed
KR20180004926A (ko) 세면대의 승강장치
KR200314988Y1 (ko) 싱크대의 높이 조절장치
CN204445655U (zh) 可调的折叠式便携坐便架
CN201481854U (zh) 升降式消毒柜
JP6333142B2 (ja) 電気温水器の設置構造
KR102192914B1 (ko) 다기능 스마트 세면대
KR20170074060A (ko) 발판부가 구비된 반자동 변기 커버 시스템
AU2012100105A4 (en) Retractable bath tub
CN201445610U (zh) 多功能轮椅
CN105863014A (zh) 蹲姿坐便器
WO2011048372A1 (en) Bed with in - built toilet facility
JP2006087517A (ja) 洗面化粧台
CN210507688U (zh) 一种升降马桶
CN210643851U (zh) 一种坐便器
CN205857302U (zh) 医用洗手池
CN203724447U (zh) 一种坐浴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