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273B1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273B1
KR100860273B1 KR1020020030268A KR20020030268A KR100860273B1 KR 100860273 B1 KR100860273 B1 KR 100860273B1 KR 1020020030268 A KR1020020030268 A KR 1020020030268A KR 20020030268 A KR20020030268 A KR 20020030268A KR 100860273 B1 KR100860273 B1 KR 100860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eight
sink
units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0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2564A (ko
Inventor
이용한
권영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넥스
Priority to KR1020020030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2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92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2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7Linkable in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 A47B87/008Rectangular cabinets or racks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47B87/0276Stackable modular units, each consisting of a closed periph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가정등에서 취사작업을 위해 주방에 시설되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싱크대는 가스레인지등의 취사기구가 설치되는 테이블형의 제1유닛과, 식기 또는 그 이외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테이블형의 제2유닛들을 양측에 배치하며, 이들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에 수세식의 식기세척을 위한 보울을 갖는 테이블형의 제3유닛을 갖추어서된 싱크대로서, 상기 제3유닛과, 상기 제3유닛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 양측에 병설되어 상기 제3유닛을 제1유닛과 제2유닛의 사이에서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볼레일과; 상기 한쌍의 볼레일 사이 적당한 위치에 취사작업자들의 신장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가 설정된 선택모드에 의해 상기 제3유닛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한 리프트를 갖추어서 취사작업시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싱크대의 높낮이를 선택적이고 자유로이 맞추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Sinkage is possible control high and low}
도 1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싱크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여 주는 단면도,
도 4의 (가)(나)(다)는 본 발명 싱크대가 높낮이 조절된 모습으로 보여 주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유닛 12 :제2유닛
14 :제3유닛 16 :볼레일
20 :리프트 30 :걸레받이
40 :안전캡
본 발명은 일반가정등에서 취사작업을 위해 주방에 시설되는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겆이통이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조절될 수 있도록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그러한 싱크대는 가스레인지등이 설치되는 테이블형의 제1유닛과 식기 또는 그 이외 주방기구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테이블형의 제2유닛들을 양측에 배치하고, 이들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에 수세식의 식기세척을 위한 보울을 갖는 테이블형의 제3유닛을 갖추며,이렇게 구성되는 싱크대의 인접한 위치에서 취사작업자가 선자세로 취사 및 조리작업을 이루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싱크대는 통상 공장 대량 생산시스템으로 제작되고 있는, 다시설명하면 취사작업자들의 신장 평균치를 기준으로 하는 일정한 규격의 기성품으로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서 다양한 신장의 취사작업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취사작업자의 신장이 크거나 작을 경우 각 작업자들의 신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어야 하는 자세변형이 요구되고, 이러한 자세변형은 작업성을 떨어뜨리게 되며, 더 나아가 장시간 취사작업시 쉬웁게 피로감을 주게되는등 취사작업에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싱크대높낮이가 가족구성의 각 신장에 맞춰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가 예약된 모드로 구동하는 리프트를 이용해 선택적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서, 싱크대의 공용성을 향상시키고 취사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싱크대 하부의 걸레받이를 제1 및 제2판재 이중적으로 갖추어서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걸레받이의 높이가 신축되도록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걸레받이의 제1판재에 탄성재의 안전캡을 갖어서 걸레받이의 미관성과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가정등에서 취사작업을 위해 주방에 시설되는 싱크대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싱크대는 가스레인지등의 취사기구가 설치되는 테이블형의 제1유닛과, 식기 또는 그 이외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테이블형의 제2유닛들을 양측에 배치하며, 이들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에 수세식의 식기세척을 위한 보울을 갖는 테이블형의 제3유닛을 갖추어서된 싱크대로서, 상기 제3유닛과, 상기 제3유닛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 양측에 병설되어 상기 제3유닛을 제1유닛과 제2유닛의 사이에서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볼레일과; 상기 한쌍의 볼레일 사이 적당한 위치에 취사작업자들의 신장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가 설정된 선택모드에 의해 상기 제3유닛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한 리프트를 갖추어서 취사작업시 작업자의 신장에 따라 싱크대의 높낮이를 선택적이고 자유로이 맞추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겠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싱크대는 통상에서와 같이 가스레인지등의 취사기구가 설치되는 테이블형의 제1유닛(10)과, 식기 또는 그 이외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테이블형의 제2유닛(12)들을 양측에 배치하며, 이들 제1유닛(10)과 제2유닛(12)의 사이에 수세식의 식기세척을 위한 보울을 갖는 테이블형의 제3유닛(14)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인 구성은 제1 및 제2유닛(10,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유닛(14)의 높낮이를 조절하여서 취사작업자의 신장에 적절히 맞추어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 주는 일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좌우 양측에는 제1유닛(10)과 제2유닛(12)을 배치하고, 이들 제1 및 제2유닛(10,12)의 사이에 승강조절이 가능한 제3유닛(14)을 개재해 다양한 신장의 취사작업자들에 적절히 높낮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여서 적극적으로 제품의 공용성을 부가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유닛(10,12)과 제3유닛(14)의 사이 양측에 병설되어 상기 제3유닛(14)을 제1 및 제2유닛(10,12)의 사이에서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볼레일(16)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볼레일(16)은 제1부재(16a)와 제2부재(16b), 그리고 이들의 제1 및 제2부재(16a,16b)들의 사이에 다수의 볼을 개재하여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볼레일(16)의 제1 및 제2부재(16a,16b)는 상기 제1 및 제2유닛(10,12)과 제3유닛(14)의 상호 대향 주벽면에 각기 분리설치된후 형합에 의해 목적하는 제3유닛(14)의 승강을 위한 미끄럼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한쌍으로 병설되는 양 볼레일(16)의 사이 적당한 위치에 제3유닛(14)의 승강을 위한 리프트(20)가 설치된다. 이 리프트(20)는 가족구성원의 각 신장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가 설정된 선택모드에 의해 구동하여서 제3유닛(14) 의 높낮이가 조절되게 할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리프트(20)는 제3유닛(14)의 최대 승강길이에 걸쳐 설치되는 랙을 갖는 가이드레일(20a)과 이 가이드레일(20a)의 랙을 타고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승강하는 캐리지(20b)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리프트(20)는 제1 및 제2유닛(10,12)과 제3유닛(14)의 상호 대향면중 제1 및 제2유닛(10,12)의 각 주벽에 가이드레일(20a)을, 그리고 타측인 제3유닛(12)의 주벽에는 캐리지(20b)를 설치하여서 제3유닛(14)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3유닛(14)은 캐리지(20b)에 피벗결합되어 일점을 중심으로 하여 자유로이 회전하는 브래킷(22)상에 탑재된다. 이렇게 브래킷(22)상에 제3유닛(14)을 탑재한 것은 제3유닛(14)이 승강동작시 조립공차에 의해 제3유닛(14)에 치우침이 발생되어도 브래킷(22)에서 이를 수용하여 볼레일(16)의 승강이 자유로이 이루되도록한 기구적인 보상구조이다.
또한 제3유닛(14)의 하부에는 그 높이가 조절이 가능한 걸레받이(30)가 갖추어져 있다. 이 걸레받이(30)는 전후방에 이중적으로 배치되는 제1판재(30a)와 제2판재(30b)로 구성되는데, 제1판재(30a)는 제3유닛(14)의 저면에 탄편을 이용한롤러켓치(32)로 끼워맞춤결합되고, 제2판재(30b)는 제1판재(30a)의 내면측에서 싱크대의 최하부에 고정설된다. 이렇게 갖추어지는 걸레받이(30)는 제3유닛(14)의 승강동작에 제1판재(30a)도 함께 승강하면서 그 걸레받이(30) 상하높이의 폭이 자유로이 신장,수축될 것이다. 이러한 걸레받이(30)의 높이 신축작용은 높낮이 위치조절을 이루는 제3유닛(14)의 승강시 하부 공간을 가변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막구조이다.
그리고 걸레받이(30)의 제1판재(30a) 하부에는 안전캡(40)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안전캡(40)은 대략 탄력적이고 유연성의 우수한 합성수지제를 이용하여 압출성형되는데, 이 안접캡(40)은 제1판재(30a)의 하부에 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결합부(40a)와 그 결합부(40a)의 일측을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하여 판재형상으로 이룬 접촉부(40b)를 갖추어서 걸레받이(30)의 승강동작시 전기적인 구동으로 강제 승강하는 제1판재(30a)의 하강 동작시 작업자의 부주위로 발끝을 내려누르는 압착사고등을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안전구조이다. 다시설명하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전캡(40)의 접촉부(40b)가 제1판재(30a)하강시 선행적으로 접촉케하여서 작업자의 발을 그 곳으로부터 빼어낼 수 있도록한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먼저 가족구성원의 신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를 리프트의 제어부에 설정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취사작업을 할 작업자는 신장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모드 어느하나를 선택하면 그 선택모드의 신호가 인가됨과 동시에 리프트는 구동하여 싱크대의 제3유닛을 적정한 위치로 승강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던 선택모드 위치에서 작업을 대기하게 된다.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의 효과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싱크대의 높낮이를 가족구성의 각 신장에 맞춰 적절이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서, 싱크대의 공용성을 향상시키고 취사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싱크대 하부의 걸레받이를 제1 및 제2판재 이중적으로 갖추어서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걸레받이의 높이가 신축되며, 걸레받이의 제1판재에 탄성재의 안전캡을 갖어서 높낮이 조절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가스레인지등의 취사기구가 설치되는 테이블형의 제1유닛과, 식기 또는 그 이외 용기들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테이블형의 제2유닛들을 양측에 배치하며, 이들 제1유닛과 제2유닛의 사이에 수세식의 식기세척을 위한 보울을 갖는 테이블형의 제3유닛을 갖추어서된 싱크대로서,
    상기 제3유닛과, 상기 제3유닛의 양측 각각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유닛의 사이 양측에 병설되어 상기 제3유닛을 제1유닛과 제2유닛의 사이에서 승강을 안내하는 한쌍의 볼레일;
    상기 한쌍의 볼레일 사이 적당한 위치에 취사작업자들의 신장에 맞추어 적어도 하나이상의 위치가 설정된 선택모드에 의해 상기 제3유닛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한 리프트를 갖추어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제1,2유닛과 제3유닛의 상호 대향 어느 일측면에 상기 싱크대의 전장높이에 걸쳐설치되는 랙을 갖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2유닛과 제3유닛의 상호 대향 어느 타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랙을 타고 구동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승강하는 캐리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닛의 하부에는 전후 이중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1 및 제2판재를 이용해 상기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에 따라 높이가 신축 조절가능한 걸레받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재 하부에 상기 싱크대의 높낮이 조절시 상기 제1판재가 하강되는 것을 접촉식으로 미리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한 안전캡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닛은 상기 캐리지에 일점을 중심으로하여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상에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1020020030268A 2002-05-30 2002-05-3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KR100860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68A KR100860273B1 (ko) 2002-05-30 2002-05-3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0268A KR100860273B1 (ko) 2002-05-30 2002-05-3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564A KR20030092564A (ko) 2003-12-06
KR100860273B1 true KR100860273B1 (ko) 2008-09-25

Family

ID=3238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0268A KR100860273B1 (ko) 2002-05-30 2002-05-30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2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44B1 (ko) 2009-09-15 2010-05-06 주식회사 높낮이 높이조절 개수 장치
KR101412390B1 (ko) * 2012-10-25 2014-06-27 구명화 홈바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89212A (zh) * 2011-10-30 2012-03-28 王文卿 一种可升降式带水槽的橱柜
KR101748414B1 (ko) 2015-06-25 2017-06-16 안현근 빈 공간을 이용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벽걸이형 수납 가구
US20200277770A1 (en) * 2016-10-28 2020-09-03 Samhongsa Co., Ltd. Height-adjustable sink
KR101941268B1 (ko) * 2017-08-21 2019-01-22 주식회사 유디시스템 높이 조절용 싱크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33U (ja) * 1991-03-29 1994-07-05 大塚化学株式会社 昇降式家具類
JPH09209427A (ja) * 1996-01-31 1997-08-12 Og Giken Co Ltd 昇降式流し台装置
KR0116871Y1 (ko) * 1995-01-13 1998-05-15 이철수 씽크대 하부가림판의 폭조절장치
KR19980075245A (ko) * 1997-03-29 1998-11-16 이은옥 높이조절식 씽크대
KR20000037130A (ko) * 2000-04-08 2000-07-05 이명재 승강식 씽크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433U (ja) * 1991-03-29 1994-07-05 大塚化学株式会社 昇降式家具類
KR0116871Y1 (ko) * 1995-01-13 1998-05-15 이철수 씽크대 하부가림판의 폭조절장치
JPH09209427A (ja) * 1996-01-31 1997-08-12 Og Giken Co Ltd 昇降式流し台装置
KR19980075245A (ko) * 1997-03-29 1998-11-16 이은옥 높이조절식 씽크대
KR20000037130A (ko) * 2000-04-08 2000-07-05 이명재 승강식 씽크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444B1 (ko) 2009-09-15 2010-05-06 주식회사 높낮이 높이조절 개수 장치
KR101412390B1 (ko) * 2012-10-25 2014-06-27 구명화 홈바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2564A (ko) 2003-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3575B1 (en) Kitchen countertop assembly with multiple, vertically adjustable integrated work spaces
US9513016B2 (en) Bottom-loading cooking appliance
KR100860273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
JP5029489B2 (ja) 組込み型誘導加熱調理器
CN211186426U (zh) 一种可调节橱柜组件及整体橱柜
EP1586822A1 (en) Food cooking hob
US6997116B2 (en) Vertically height adjustable kitchen table assembly
WO2004020910A1 (en) Shelf arrangement for ovens
KR101925390B1 (ko) 가변형 식탁
CN214536337U (zh) 一种升降式多头燃气灶
CN210399030U (zh) 一种灶具升降机构
KR200369568Y1 (ko) 승강이 자유로운 싱크 볼이 형성된 싱크대
WO2010057630A3 (en) Oven, especially domestic oven
JP5191176B2 (ja) 昇降式吊戸棚およびシステムキッチン
CN216984130U (zh) 一种抽拉式集成化厨具
CN210241678U (zh) 一种环保节能型小炒炉
JPH07116033A (ja) 調理台ユニット
KR200326180Y1 (ko) 이동식 의자가 설치된 싱크대
JP3055053B2 (ja) キッチン装置
CN2526698Y (zh) 多功能组合炉具
CN211483639U (zh) 一种电动升降装置及灶具及橱柜
CN211559207U (zh) 一种具有多功能的餐具用品承架的餐桌
JPH0354590Y2 (ko)
CN218008717U (zh) 一种智能家居的组合茶几柜
CN217685237U (zh) 一种防油烟扩散的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