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859A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859A
KR20170073859A KR1020150182557A KR20150182557A KR20170073859A KR 20170073859 A KR20170073859 A KR 20170073859A KR 1020150182557 A KR1020150182557 A KR 1020150182557A KR 20150182557 A KR20150182557 A KR 20150182557A KR 20170073859 A KR20170073859 A KR 2017007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ing protrusion
pad
pad plat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2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50182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3859A/ko
Publication of KR2017007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 F16D69/04Attachment of linings
    • F16D2069/0425Attachment methods or devices
    • F16D2069/0433Connecting elements not integral with the braking member, e.g. bolts, riv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디스크 브레이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와, 디스크를 압착하도록 디스크를 향하는 내측면에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그 후방부에 진퇴가능한 피스톤이 내장되는 실린더 및 그 전방부에 하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한 쌍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캘리퍼 하우징과, 핑거부와 접하는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 및 고정돌기에 마련되는 클립부와, 클립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 쌍의 핑거부 내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Disc brake}
본 발명은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크와 패드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패드플레이트의 교체가 용이한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쪽에서 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다.
이와 같은 디스크 브레이크는 제동유압에 의해 진퇴 운동하도록 피스톤이 내장된 캘리퍼 하우징과, 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 사이에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면서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를 포함한다.
캘리퍼 하우징의 후방부에는 제동유압에 의해 진퇴하는 피스톤을 설치하기 위한 실린더가 마련되어 제동유압에 의해 피스톤이 일측 패드플레이트를 밀게 되며, 캘리퍼 하우징의 전방부에는 타측 패드플레이트를 감싸도록 굽어진 핑거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타측 패드플레이트를 디스크측으로 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는 차체에 장착된 캐리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진퇴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러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는 인너패드가 내측면에 부착되며 외측면은 피스톤의 선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인너 패드플레이트와, 아웃터패드가 내측면에 부착되며 외측면은 캘리퍼하우징의 핑거부와 접하도록 배치되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로 구별된다.
한편, 핑거부와 접하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접착심이 부착된다. 접착심은 패드가 디스크를 압착하여 제동하는 경우 발생되는 제동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래 디스크 브레이크는 접착심을 아웃터 패드플레이트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아웃터 패드플레이트에 한 쌍의 고정돌기를 마련하고, 접착심에는 고정돌기에 대응하는 한 쌍의 고정돌기홀을 천공하여, 이를 통해 접착심을 패드플레이트에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패드플레이트와 접착심 사이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심을 아웃터 패드플레이트에 고정시키며, 접착심이 마련된 패드플레이트와 핑거부 사이에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여 패드플레이트를 핑거부에 고정시킨다.
그런데, 접착심이 마련된 패드플레이트와 캘리퍼 하우징의 핑거부 간의 결합은 접착테이프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동 작용 시 발생하는 접선력에 의하여 접착심이 밀려 변형이 일어나거나 심한 경우 패드플레이트와 접착심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착테이프로 인한 두께 증가로 디스크와 패드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좁아 잔류 응력을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으며, 소모품인 패드플레이트의 교체도 용이하지 않았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41072호(2011.04.2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패드플레이트를 캘리퍼 하우징의 핑거부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디스크와 패드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와, 디스크를 압착하도록 디스크를 향하는 내측면에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그 후방부에 진퇴가능한 피스톤이 내장되는 실린더 및 그 전방부에 하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한 쌍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캘리퍼 하우징과, 핑거부와 접하는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 및 고정돌기에 마련되는 클립부와, 클립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한 쌍의 핑거부 내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홈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링베이스와, 상기 링베이스로부터 직립하여 상기 고정돌기홈에 결합하는 씨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씨클립은 탄성력을 갖도록 띠 형상을 원형으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핑거부와 접하는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접착심이 마련되고, 상기 접착심은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돌기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와 캘리퍼 하우징의 핑거부 사이를 클립부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패드플레이트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나아가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와 패드플레이트 간의 잔류 응력 제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플레이트 및 패드플레이트에 마련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클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일부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00)는 제동유압에 의해 진퇴 운동하도록 피스톤(13)이 설치된 캘리퍼 하우징(10)과,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1)와, 디스크(1)를 압착하도록 내측면에 마찰패드(31)(41)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30)(40)가 설치되며 차체에 고정되는 캐리어(20)와, 후술할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를 캐리어(20)에 결합 고정시키기 위한 클립부(50)를 포함한다.
캘리퍼 하우징(10)에는 피스톤(13)이 내장되는 실린더(12)와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를 작동시키기 위한 한 쌍의 핑거부(14)가 마련된다. 실린더(12)는 마스터실린더(미도시)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이 전달되도록 캘리퍼 하우징(10)의 후방부에 형성된다. 한 쌍의 핑거부(14)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를 감싸도록 캘리퍼 하우징(10)의 전방부에서 하측방향으로 굽어지게 밴딩 형성되며,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의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원판 형상의 디스크(1)는 외주면 일부가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30)(40)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회전운동하도록 자동차의 휠에 고정된다.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30)(40)는 차체의 너클(미도시)에 고정되는 캐리어(20)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디스크 가압방향)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30)(40)는 그 내측면에 인너패드(31)가 부착된 인너 패드플레이트(30)와 아웃터패드(41)가 부착된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로 구분될 수 있다.
인너 패드플레이트(30)는 외측면이 진퇴 운동하는 피스톤(13)의 선단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동작용 시 디스크(1)의 일면을 가압하고,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는 외측면이 핑거부(14)와 접하도록 배치되어 제동작용 시 디스크(1)의 타면을 가압한다.
피스톤(13)과 접하는 이너 패드플레이트(30)의 외측면과, 핑거부(14)와 접하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의 외측면에는 금속판재 또는 소정 강성을 갖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접착심(32,42)이 마련된다. 접착심(32,42)은 제동 시 캘리퍼 하우징(10)의 피스톤(13) 및 핑거부(14)와 접촉하여 제동에 따른 제동소음을 감소시키는 역할 및 제동에 따른 진동과 마찰열이 캘리퍼 하우징(1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웃터 패드플레이트를 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는 접착심(42)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고정돌기(43) 및 패드 마모 감지센서를 위한 한 쌍의 고정홀(44)을 구비하며, 이 고정돌기(43)와 고정홀(44)에 대응되는 위치의 접착심(42)에도 돌기관통홀(45) 및 고정관통홀(46)이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43)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마련되는 고정홀(44)은 미도시된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마찰패드(41)의 마모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쌍의 고정돌기(43)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이 고정돌기(43)에 대응하는 캘리퍼 하우징(10)의 핑거부(14) 내측면에는 고정돌기홈(15)이 마련된다(도 2 및 도 5 참조).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고정돌기(43)는 핑거부(14)의 고정돌기홈(15)에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도록 클립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돌기(43)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52)을 갖는 폐루프 형상의 링베이스(51)와, 링베이스(51)로부터 직립 마련되는 씨클립(53)을 포함할 수 있다. 링베이스(51)와 씨클립(53)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마련되며, 특히 씨클립(53)은 탄성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금속재로 마련될 수 있다.
씨클립(53)은 띠 형상으로 마련되며 원형으로 밴딩되어 일단은 링베이스(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 마련된다. 예컨대, 씨클립(5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C' 자 형상을 갖는 몸체가 핑거부(14)의 고정돌기홈(15)에 삽입되어 좌우 요동을 방지하는 한편, 삽입 시 탄성적으로 고정돌기홈(15)에 가압되면서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를 핑거부(14)에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아웃터 패드플레이트(40)는 패드의 마모나 손상 등으로 교체 시기가 도래하면 작업자가 캘리퍼 하우징(10)의 핑거부(14)로부터 클립부(50)가 장착된 패드플레이트(40)를 이격시킴으로써 쉽게 탄성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새로운 패드플레이트도 동일한 방법으로 손 쉽게 장착할 수 있다.
1..디스크 10..캘리퍼 하우징
14..핑거부 15..고정돌기홈
20..캐리어 30..인너 패드플레이트
40..아웃터 패드플레이트 32,42..접착심
43..고정돌기 44..고정홀
50..클립부 51..링베이스
53..씨클립

Claims (4)

  1. 차량의 휠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를 압착하도록 디스크를 향하는 내측면에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패드플레이트 외측면을 가압하도록 그 후방부에 진퇴가능한 피스톤이 내장되는 실린더 및 그 전방부에 하측으로 굽어져 형성된 한 쌍의 핑거부를 구비하는 캘리퍼 하우징과,
    상기 핑거부와 접하는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고정돌기에 마련되는 클립부와,
    상기 클립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상기 한 쌍의 핑거부 내측면에 마련되는 고정돌기홈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고정돌기가 삽입되는 중공을 갖는 링베이스와, 상기 링베이스로부터 직립하여 상기 고정돌기홈에 결합하는 씨클립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씨클립은 탄성력을 갖도록 띠 형상을 원형으로 밴딩하여 마련되며, 상기 고정돌기홈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부와 접하는 패드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접착심이 마련되고,
    상기 접착심은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하는 돌기관통홀을 포함하는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150182557A 2015-12-21 2015-12-21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73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57A KR20170073859A (ko) 2015-12-21 2015-12-21 디스크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2557A KR20170073859A (ko) 2015-12-21 2015-12-21 디스크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859A true KR20170073859A (ko) 2017-06-29

Family

ID=59280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2557A KR20170073859A (ko) 2015-12-21 2015-12-21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3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8254B1 (ko) 마찰 요소 및 디스크 브레이크
JP201918407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2003404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00081115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010547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74678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7003081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30003932A (ko) 스프링 패드
KR20170073859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4372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마모감지장치
JP6579969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012161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70137318A (ko) 디스크 브레이크
TW201835467A (zh) 碟式制動器
KR20150128273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0625018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90021566A (ko) 캘리퍼용 패드라이너
JP200723198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118117B1 (ko) 자동차의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고정 구조
KR100622473B1 (ko) 자동차의 디스크브레이크 구조
KR100680842B1 (ko) 디스크 브레이크 장치
KR200389985Y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060129608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27447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472718B2 (ja) ブレーキ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