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3050A - 창호재 양면 절단기 - Google Patents

창호재 양면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3050A
KR20170073050A KR1020150181442A KR20150181442A KR20170073050A KR 20170073050 A KR20170073050 A KR 20170073050A KR 1020150181442 A KR1020150181442 A KR 1020150181442A KR 20150181442 A KR20150181442 A KR 20150181442A KR 20170073050 A KR20170073050 A KR 20170073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window
saw blade
aggregat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234B1 (ko
Inventor
이예택
Original Assignee
이예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택 filed Critical 이예택
Priority to KR1020150181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23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3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4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 B26D1/153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stationary axis with inclined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26D1/1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moun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호의 골격을 유지하는 창호골재의 양면을 45°각도로 동시에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창호골재에 끼워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B 또는 오사이)의 양면도 동시에 각각 절단할 수 있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창호의 골격 프레임을 이루는 창호골재와 상기 창호에 끼워넣어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상기 제1 절단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창호골재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와; 상기 창호골재와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절단하도록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호재 양면 절단기{Device for cutting material of window frame}
본 발명은 창호재 양면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호의 골격을 유지하는 창호골재의 양면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창호골재에 끼워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GB 또는 오사이)의 양면도 동시에 절단할 수 있는, 다시 말해, 하나의 장치를 사용하여 창호골재와 글레이징 비드의 양면을 각각 절단할 수 있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W)는 골격 프레임을 이루는 창호골재(10)와 상기 창호골재(10)에 내측에 끼워지는 유리(G)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GB 또는 오사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창호(W)는 상기 창호골재(10)를 원하는 길이만큼 양측을 절단하되 절단면이 45°각도가 되도록 절단한 다음, 양측이 45°각도로 절단된 각각의 창호골재(10)를 서로 맞추고 용접하여 사각 형상을 만든 후 유리(G)를 창호골재(10) 내측에 형성된 유리 안착면(11)에 안착시켜 끼워넣고, 끼워진 유리(G)가 이탈되지 않도록 창호골재(10)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GB 또는 오사이)(20)를 삽입 장착하고 실리콘 등으로 상기 글레이징 비드(20)를 창호골재(10)에 고정시켜 제조된다.
특히, 도 1b 및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글레이징 비드(20)는 창호골재(10)에 형성된 장착홈(12)에 그 하부가 삽입 장착된 후 실리콘 등으로 고정 결합되는데, 사각 형상으로 제조된 창호골재 내측에 유리(G)를 끼워넣은 후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하부를 상기 장착홈(12)에 삽입 장착시키면서 양단에서 수직으로 인접하는 글레이징 비드와 서로 맞대이게 하기 위해서는 글레이징 비드(20)의 양단을 도 1c의 형태로 절단하여야 한다. (도 1c에서는 절단된 글레이징 비드의 일단만 도시함)
종래에는 창호골재(10) 양측을 절단하는 장치(창호골재 양면 절단기)와 글레이징 비드(20) 양측을 절단하는 장치(GB 양면 절단기)를 각각 사용하여 양측이 45°각도로 절단된 소정 길이의 창호골재와 도 1c 형태를 가진 글레이징 비드를 각각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완성된 창호(W)를 제조하기 위해 창호골재 양면 절단기와 글레이징 비드(GB) 양면 절단기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므로, 장치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비용 증가에 따른 생산 효율이 좋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95622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창호의 골격을 유지하는 창호골재의 양면을 45°각도로 동시에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창호골재에 끼워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B 또는 오사이)의 양면도 동시에 각각 절단할 수 있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창호의 골격 프레임을 이루는 창호골재와 상기 창호에 끼워넣어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와;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상기 제1 절단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창호골재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와; 상기 창호골재와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절단하도록 상기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의 상부에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접하는 측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타단부에 측부 브라켓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부 브라켓에 제1 측부실린더와 제2 측부실린더가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1 측부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측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수평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부 지지판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부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측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일정 높이를 갖는 창호골재 받침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측벽의 상단부에 상부 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에 상부 실린더가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는 상기 상부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지지판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절단부의 수평면에는 제1 수평슬롯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의 측벽에는 제1 측벽슬롯이 상기 제1 수평슬롯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가지며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부의 수평면에는 제2 수평슬롯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부의 측벽에는 제2 측벽슬롯이 상기 제2 수평슬롯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가지며 관통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절단부 내부에 제1 절단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절단수단은 모터축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수직 결합된 내측 톱날과, 상기 내측 톱날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 외측에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과, 상기 내측 톱날과 외측 톱날이 상기 제1 측벽슬롯내와 제1 수평슬롯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수평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절단부 내부에 제2 절단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제2 절단수단은 모터축이 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수직 결합된 내측 톱날과, 상기 내측 톱날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 외측에서 상기 모터의 모터축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과, 상기 내측 톱날과 외측 톱날이 상기 제2 측벽슬롯내와 제2 수평슬롯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를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는 창호골재를 절단할 경우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에 창호골재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부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를 측벽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키고, 글레이징 비드를 절단할 경우 상기 수평면에 글레이징 비드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부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를 상기 측부 브라켓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톱날이 일정 높이를 이루도록 설치되되, 창호골재를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에 올려놓았을 때 창호골재가 상기 내측 톱날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의 높이는 상기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톱날이 이루는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 내측에는 랙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과 맞물리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제1 절단부와 상기 제2 절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격 조절 모듈이 설치되되, 상기 이격 조절 모듈은 상기 제2 절단부의 하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 상기 모터의 모터축의 단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 상기 모듈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축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 상기 구동축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모터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을 지지하는 래디얼 볼 베어링, 및 상기 구동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제1 절단부 및 제2 절단부에 올려진 창호골재 또는 글레이징 비드를 지지하도록 지지 롤러가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를 다수개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에 의하면, 하나의 절단기 장치를 사용하여 창호골재의 양면을 동시에 45°각도로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글레이징 비드(GB 또는 오사이)의 양단도 창호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소정의 형태로 동시에 절단할 수 있으므로, 장비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비용 절감에 따른 생산 효율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절단부와 제2 절단부의 이격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의 창호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도 1a는 창호(W)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일측이 절단된 창호골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c는 일측이 절단된 글레이징 비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1 및 제2 절단부의 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사용하여 글레이징 비드를 절단할 때 제1 및 제2 절단부 상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사용하여 창호골재를 절단할 때 제1 및 제2 절단부 상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을 통해 글레이징 비드를 절단할 때 글레이징 비드 양측의 절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을 통해 창호골재를 절단할 때 창호골재 받침대의 상태와 창호골재 양측의 절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2 절단부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창호의 외관 골격을 유지하는 창호골재의 양면 또는 양측을 45°각도로 동시에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상기 창호골재에 끼워진 유리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B 또는 오사이)의 양면 또는 양측도 동시에 각각 절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두 개의 장비가 필요한 작업을 하나의 장비로써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에 서로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와, 상기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상부에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를 배치시키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의 일측면에 컨트롤러(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절단부(200)는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창호(W)의 골격 프레임을 이루는 창호골재(10)와 상기 창호(W)에 끼워넣어진 유리(G)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45도 각도로 절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절단부(300)는 상기 제1 절단부(200)와 대응되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상부 타측에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45도 각도로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상기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에 올려놓았을 때 상기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45도 각도로 절단하도록 통합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에 올려진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를 받쳐서 절단할 때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지지 롤러(121)가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120)를 제2 절단부(300)의 타측에 다수개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 사이에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0)는 T자 형태로 가지며 후술하는 가이드 레일(110) 상에 고정 설치되거나 가이드 레일(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롤러(121)는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가 길이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핀 결합과 같은 공지 기술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절단부(200)의 상부에는 평탄한 수평면(210)과 상기 수평면(210)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접하는 측벽(2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210)의 타단부에는 제1 측부 실린더(231) 및 제2 측부 실린더(232)가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는 측부 브라켓(230)이 설치된다. 상기 측벽(220)의 상단부에는 상부 실린더(241)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2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절단부(200)의 수평면(210)에는 제1 수평슬롯(211)이 절단기의 폭 방향[수평면(21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며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200)의 측벽(220)에는 제1 측벽슬롯(221)이 상기 제1 수평슬롯(2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즉, 제1 수평슬롯(211)의 일단과 연통 또는 연결되어] 시계방향의 45도 각도와 일정 폭을 가지며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상부에는 평탄한 수평면(310)과 상기 수평면(310)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접하는 측벽(320)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310)의 타단부에는 제1 측부 실린더(331) 및 제2 측부 실린더(332)가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는 측부 브라켓(330)이 설치된다. 상기 측벽(320)의 상단부에는 상부 실린더(341)가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 브라켓(34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수평면(310)에는 제2 수평슬롯(311)이 절단기의 폭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며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측벽(320)에는 제2 측벽슬롯(321)이 상기 제2 수평슬롯(3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즉, 제2 수평슬롯(311)의 일단과 연통 또는 연결되어] 반시계방향의 45도 각도와 일정 폭을 가지며 관통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1 및 제2 절단부의 상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절단부(200)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의 피스톤 로드(231R)는 상기 측부 브라켓(230)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면(2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부 지지판(233)과 결합하고,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의 피스톤 로드(232R)는 상기 측부 브라켓(230)을 관통하여 수평면(21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정 높이(h1)를 갖는 창호골재 받침대(234)와 결합하며, 또한, 상기 상부 실린더(241)의 피스톤 로드(241R)는 상기 상부 브라켓(24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24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지지판(242)과 결합한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절단부(300)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실린더(331)의 피스톤 로드(331R)는 상기 측부 브라켓(330)을 관통하여 수평면(3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부 지지판(333)과 결합하고, 상기 제2 측부실린더(332)의 피스톤 로드(332R)는 상기 측부 브라켓(330)을 관통하여 수평면(31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정 높이(h1)를 갖는 창호골재 받침대(334)와 결합하며, 또한, 상기 상부 실린더(341)의 피스톤 로드(341R)는 상기 상부 브라켓(34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34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지지판(342)과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 331)와 상부 실린더(241, 341)는 클램핑 실린더로서,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 상부에 올려진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때 측부 지지판(233, 333)과 상부 지지판(242, 342)을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의 상측(상면)과 측면(측부)으로 밀착 이동시켜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를 지지(클램핑)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후술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 331), 제2 측부실린더(232, 332), 및 상부 실린더(241, 341)는 모두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에어컴프레샤(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며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 331), 제2 측부실린더(232, 332), 및 상부 실린더(241, 341)의 작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때 제1 및 제2 절단부(200, 300) 상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수개로 겹친 글레이징 비드(20)를 제1 및 제2 절단부(200, 300)의 수평면(210, 310) 상에 올려놓은 후 컨트롤러(400)를 제어하면 측부 브라켓(230, 330)을 관통한 제1 측부실린더(231, 331)의 피스톤 로드(231R, 331R)가 측벽(220, 320) 방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231R, 331R)의 단부에 결합된 측부 지지판(233, 333)을 글레이징 비드(20)의 측부(측면)에 밀착시킴으로써 글레이징 비드(20)를 측부에서 지지(클램핑)한다.
이 때, 제2 측부실린더(232, 332)는 측부 브라켓(230, 330)측에 정지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브라켓(240, 340)을 관통한 상부 실린더(241, 341)의 피스톤 로드(241R, 341R)가 하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241R, 341R)의 단부와 결합된 상부 지지판(242, 342)을 글레이징 비드(20)의 상면(상측)에 밀착시킴으로써 글레이징 비드(20)를 상부에서 지지(클램핑)한다.
상기 측부 지지판(233, 333)과 상부 지지판(242, 342)에 의해 글레이징 비드(20)가 확실하게 지지(클램핑)되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제1 측벽슬롯(221) 및 제2 측벽슬롯(321)에서 내측 톱날(252, 352)과 외측 톱날(253, 353)이 나와 글레이징 비드(20)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하는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창호골재(10)를 절단할 때 제1 및 제2 절단부(200, 300) 상부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컨트롤러(400)를 제어하여 제2 측부실린더(232, 332)의 피스톤 로드(232R, 332R)를 인출시켜 상기 피스톤 로드(232R, 332R)의 단부에 설치된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측벽(220, 32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킨다. 그 다음, 측벽(220, 320) 측에 배치된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 상면에 창호골재(10)를 올려놓은 후 컨트롤러(40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 331)의 피스톤 로드(231R, 331R)를 측벽(220, 320) 방향으로 인출시켜 상기 피스톤 로드(231R, 331R)의 단부에 설치된 측부 지지판(233, 333)을 창호골재(10)의 측부(측면)에 밀착시켜 창호골재(10)를 측부에서 지지(클램핑)한다.
그리고,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상부 실린더(241, 341)의 피스톤 로드(241R, 341R)가 하향으로 인출되어 상기 피스톤 로드(241R, 341R)의 단부에 설치된 상부 지지판(242, 342)이 창호골재(10)의 상면(상측)에 밀착됨으로써 창호골재(10)를 상부에서 지지(클램핑)한다.
상기 측부 지지판(233, 333)과 상부 지지판(242, 342)을 통해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 상에 올려진 창호골재(10)를 확실하게 지지(클램핑)하면 컨트롤러(400)의 제어에 의해 제1 측벽슬롯(221) 및 제2 측벽슬롯(321)에서 외측 톱날(253, 353)이 창호골재(10)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의 양측 또는 양면 절단에 대해서는 도 5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상기 제1 절단부(200) 내부에 제1 절단수단(250)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절단부(300)는 내부에 제2 절단수단(350)을 구비한다.
상기 제1 절단수단(250)은 측벽(220)을 바라보았을 때 모터축(251A)이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251)와, 상기 모터(251)의 모터축(251A)과 수직 결합되되 일정 두께를 갖는 내측 톱날(252)과, 상기 내측 톱날(252)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252) 외측에서 상기 모터(251)의 모터축(251A)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253)과, 상기 내측 톱날(252)과 외측 톱날(253)이 상기 제1 측벽슬롯(221)내와 제1 수평슬롯(211)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251)를 절단기의 폭 방향[수평면(210) 일단부에서 타단부로의 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제1 이송모듈(254)을 포함한다.
제1 절단부(200)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축(251A)이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모터축(251A)과 수직으로 결합된 상기 내측 톱날(252)과 외측 톱날(253)은 측벽(220)을 바라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모터(251)의 구동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1 이송모듈(254)은 이송블록(254A)을 통해 상기 모터(251)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251)를 절단기의 폭 방향으로 수평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요소는 상기 모터(251)와 결합된 이송블록(254A)을 수평 왕복 운동시키는 기술이라면 어떠한 공지 기술이라도 채택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절단수단(350)은 측벽(320)을 바라보았을 때 모터축(351A)이 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351)와, 상기 모터(351)의 모터축(351A)과 수직 결합되되 일정 두께를 갖는 내측 톱날(352)과, 상기 내측 톱날(352)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352) 외측에서 상기 모터(351)의 모터축(351A)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353)과, 상기 내측 톱날(352)과 외측 톱날(353)이 상기 제2 측벽슬롯(321)내와 제2 수평슬롯(311)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351)를 절단기의 폭 방향[수평면(310) 일단부에서 타단부로의 방향]으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제2 이송모듈(354)을 포함한다.
제2 절단부(300)의 내부에서 상기 모터축(351A)이 시계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룸으로써 상기 모터축(351A)과 수직으로 결합된 상기 내측 톱날(352)과 외측 톱날(353)은 측벽(320)을 바라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며 설치된다. 한편, 상기 모터(351)의 구동은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1 이송모듈(254)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이송모듈(354)은 이송블록(354A)을 통해 상기 모터(351)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351)를 절단기의 폭 방향으로 수평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351)와 결합된 이송블록(354A)을 수평 왕복 운동시키는 공지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254) 및 제2 이송모듈(354)은 각각 컨트롤러(40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 톱날(252)과 외측 톱날(253)은 상기 제1 측벽슬롯(221) 및 제1 수평슬롯(211) 내를 각각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되 일정 두께를 갖는 내측 톱날(252)이 수평면(210)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정 높이(h2)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6a와 도6b를 참조하며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의 양측의 절단 상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250, 350)을 통해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때 글레이징 비드(20) 양측의 절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절단수단(250, 350)을 통해 창호골재(10)를 절단할 때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의 상태와 창호골재(10) 양측의 절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레이징 비드(20)의 양측(양면)을 절단할 경우, 글레이징 비드(20)를 제1 절단부(200)의 수평면(210)과 제2 절단부(300)의 수평면(310)에 올려놓고 모터(251, 351)를 제1 및 제2 이송모듈(254, 354)을 통해 절단기의 폭 방향(도면의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글레이징 비드(20)의 양측을 절단하면 A부분과 같은 절단면이 형성된다.
이것은 수평면(210, 310)을 기준으로 일정 높이(h2)로 올라오도록 배치된 내측 톱날(252, 352)이 글레이징 비드(20)의 하단부를 절단하기 때문이다. 글레이징 비드(20)는 도 6a에서 나타낸 형태로 절단되어야지만 창호(W) 제작에 있어서 인접하는 다른 글레이징 비드(20)와 함께 창호골재(10)에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호골재(10)의 양측(양면)을 절단할 경우, 우선, 창호골재(10)를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를 통해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 332)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측벽(220, 32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킨다.
그 다음, 창호골재(10)를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각각 올려놓고 제1 및 제2 이송모듈(254, 354)을 통해 모터(251, 351)를 절단기의 폭 방향(도면의 수직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켜 창호골재(10)의 양측을 절단하면 B부분과 같은 절단면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의 높이(h1)가 상기 수평면(210, 310)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톱날(252, 352)이 이루는 높이(h2)보다 크기 때문에, 창호골재(10)를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올려놓았을 때 창호골재(10)가 상기 내측 톱날(252, 352)에 의해 절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올려진 창호골재(10)는 45도 각도를 갖는 외측 톱날(253, 353)에 의해서만 절단되게 된다.
다시 말해, 창호골재(10)의 양면을 절단할 때에는 상기 내측 톱날(252, 352)이 이루는 높이(h2)보다 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때에는 상기 수평면(210, 310)에 바로 글레이징 비드(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를 통해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 332)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상기 측부 브라켓(230, 33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작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 모두를 절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는 상기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사이즈로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7을 참조하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창호재 양면 절단기의 제2 절단부의 하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우선,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00) 내측에는 랙기어(1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맞물리는 가이드부(350)와 상기 가이드부(350)를 상기 가이드 레일(110)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격 조절 모듈(3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이격 조절 모듈(360)은 상기 제2 절단부(300)의 하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360A)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361), 상기 모터(361)의모터축(361A)의 단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362), 상기 모듈 케이스(360A)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축(361A)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축(363), 상기 구동축(36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62)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64), 상기 구동축(36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11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65), 상기 모터축(361A)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361A)을 지지하는 래디얼 볼 베어링(366), 및 상기 구동축(363)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63)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367)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361)는 회전 방향이 전환될 수 있는 공지의 모터로서, 상기 컨트롤러(40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창호골재, 20: 글레이징 비드
100: 지지 프레임, 110: 가이드 레일, 111: 랙기어,
120: 지지대, 121: 지지 롤러,
200: 제1 절단부, 300: 제2 절단부, 400: 컨트롤러,
210, 310: 수평면, 220, 320: 측벽,
211: 제1 수평슬롯, 221: 제1 측벽슬롯,
311: 제2 수평슬롯, 321: 제2 측벽슬롯,
230, 330: 측부 브라켓,
231, 331: 제1 측부실린더, 231R, 331R: 피스톤 로드,
232, 332: 제2 측부실린더, 232R, 332R: 피스톤 로드,
233, 333: 측부 지지판, 234, 334: 창호골재 받침대,
240, 340: 상부 브라켓, 241, 341: 상부 실린더,
241R, 341R: 피스톤 로드, 242, 342: 상부 지지판,
250: 제1 절단수단, 350: 제2 절단수단
251, 351: 모터 252, 352: 내측 톱날, 253, 353: 외측 톱날,
254: 제1 이송모듈, 354: 제2 이송모듈, 360: 이격 조절 모듈,
361: 모터, 362: 제1베벨기어, 363: 구동축,
364: 제2베벨기어, 365: 피니언 기어,
366: 래디얼 볼 베어링, 367: 스러스트 볼 베어링

Claims (3)

  1. 지지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에 설치되어 창호(W)의 골격 프레임을 이루는 창호골재(10)와 상기 창호(W)에 끼워넣어진 유리(G)를 고정시키는 글레이징 비드(glazing bead)(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하는 제1 절단부(200)와;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에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하는 제2 절단부(300)와;
    상기 창호골재(10)와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과 타측을 동시에 절단하도록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제2 절단부(3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의 상부에 수평면(210, 310)과 상기 수평면(210, 310)의 일단부와 수직으로 접하는 측벽(220, 3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210, 310)의 타단부에 측부 브라켓(230, 33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측부 브라켓(230, 330)에 제1 측부실린더(231, 331)와 제2 측부실린더(232, 332)가 수평으로 각각 설치되되, 상기 제1 측부실린더(231, 331)의 피스톤 로드(231R, 331R)는 상기 측부 브라켓(230, 330)을 관통하여 수평면(210, 310)에 수직으로 설치된 측부 지지판(233, 333)과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 332)의 피스톤 로드(232R, 332R)는 상기 측부 브라켓(230, 330)을 관통하여 일정 높이(h1)를 갖는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와 결합되며,
    상기 측벽(220, 320)의 상단부에 상부 브라켓(240, 340)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라켓(240, 340)에 상부 실린더(241, 341)가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기 상부 실린더(241, 341)의 피스톤 로드(241R, 341R)는 상기 상부 브라켓(240, 34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브라켓(240, 340)의 하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부 지지판(242, 342)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절단부(200)의 수평면(210)에는 제1 수평슬롯(2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200)의 측벽(220)에는 제1 측벽슬롯(221)이 상기 제1 수평슬롯(2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가지며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수평면(310)에는 제2 수평슬롯(311)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측벽(320)에는 제2 측벽슬롯(321)이 상기 제2 수평슬롯(31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가지며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1 절단부(200) 내부에 제1 절단수단(250)이 구비되되, 상기 제1 절단수단(250)은 모터축(251A)이 반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251)와, 상기 모터(251)의 모터축(251A)과 수직 결합된 내측 톱날(252)과, 상기 내측 톱날(252)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252) 외측에서 상기 모터(251)의 모터축(251A)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253)과, 상기 내측 톱날(252)과 외측 톱날(253)이 상기 제1 측벽슬롯(221)내와 제1 수평슬롯(211)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251)를 수평 이송시키는 제1 이송모듈(254)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절단부(300) 내부에 제2 절단수단(350)이 구비되되, 상기 제2 절단수단(350)은 모터축(351A)이 시계방향으로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모터(351)와, 상기 모터(351)의 모터축(351A)과 수직 결합된 내측 톱날(352)과, 상기 내측 톱날(352)보다 반경이 크고 상기 내측 톱날(352) 외측에서 상기 모터(351)의 모터축(351A)과 수직 결합된 외측 톱날(353)과, 상기 내측 톱날(352)과 외측 톱날(353)이 상기 제2 측벽슬롯(321)내와 제2 수평슬롯(311)내를 지나가면서 상기 창호골재(10)와 상기 글레이징 비드(20) 중 어느 하나의 타측을 절단할 수 있도록 상기 모터(351)를 수평 이송시키는 제2 이송모듈(354)을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400)는 창호골재(10)를 절단할 경우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창호골재(1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 332)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측벽(220, 32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키고, 글레이징 비드(20)를 절단할 경우 상기 수평면(210, 310)에 글레이징 비드(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측부실린더(232, 332)를 제어하여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를 상기 측부 브라켓(230, 330)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치시키고,
    상기 수평면(210, 310)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톱날(252, 352)이 일정 높이(h2)를 이루도록 설치되되, 창호골재(10)를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에 올려놓았을 때 창호골재(10)가 상기 내측 톱날(252, 352)에 의해 절단되지 않도록 상기 창호골재 받침대(234, 334)의 높이(h1)는 상기 수평면(210, 310)을 기준으로 상기 내측 톱날(252, 352)이 이루는 높이(h2)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0) 상측에는 가이드 레일(110)이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프레임(100) 내측에는 랙기어(1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절단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10)과 맞물리는 가이드부(350)와 상기 가이드부(350)를 상기 가이드 레일(110)상에서 이동시켜 상기 제1 절단부(200)와 상기 제2 절단부(300)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이격 조절 모듈(360)이 설치되되,
    상기 이격 조절 모듈(360)은 상기 제2 절단부(300)의 하부에 설치된 모듈 케이스(360A)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모터(361), 상기 모터(361)의 모터축(361A)의 단부에 설치된 제1베벨기어(362), 상기 모듈 케이스(360A)를 관통하여 상기 모터축(361A)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동축(363), 상기 구동축(36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62)와 수직으로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364), 상기 구동축(36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랙기어(111)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365), 상기 모터축(361A)상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축(361A)을 지지하는 래디얼 볼 베어링(366), 및 상기 구동축(363)상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363)을 지지하는 스러스트 볼 베어링(3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상기 제1 절단부(200) 및 제2 절단부(300)에 올려진 창호골재(10) 또는 글레이징 비드(20)를 지지하도록 지지 롤러(121)가 상부에 설치된 지지대(120)를 다수개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호재 양면 절단기.
KR1020150181442A 2015-12-18 2015-12-18 창호재 양면 절단기 KR101763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42A KR101763234B1 (ko) 2015-12-18 2015-12-18 창호재 양면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442A KR101763234B1 (ko) 2015-12-18 2015-12-18 창호재 양면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050A true KR20170073050A (ko) 2017-06-28
KR101763234B1 KR101763234B1 (ko) 2017-07-31

Family

ID=59280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442A KR101763234B1 (ko) 2015-12-18 2015-12-18 창호재 양면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2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440B1 (ko) 2019-08-13 2020-09-10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 방법
KR102209578B1 (ko) 2019-08-02 2021-01-29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기
KR102317745B1 (ko) * 2021-06-07 2021-10-25 정재영 Gb 연성절단기
KR20220081685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에스앤비 차량의 nvh 개선용 패드의 성형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442B1 (ko) 2020-06-29 2022-04-14 주식회사 흥성엔지니어링 Pvc 창호용 자동 절단 장치
KR20220165110A (ko) 2021-06-07 2022-12-14 영림산업 주식회사 도어 문틀 양면 절단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651B1 (ko) * 1996-10-31 2004-04-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창호골재 자동절단장치
KR101295622B1 (ko) * 2012-05-16 2013-08-12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패널 프레임 45°각도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9578B1 (ko) 2019-08-02 2021-01-29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기
KR102154440B1 (ko) 2019-08-13 2020-09-10 스마트공작기계 주식회사 창호재 다중각 양면 절단 방법
KR20220081685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에스앤비 차량의 nvh 개선용 패드의 성형가공장치
KR102317745B1 (ko) * 2021-06-07 2021-10-25 정재영 Gb 연성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234B1 (ko) 201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234B1 (ko) 창호재 양면 절단기
CN108258105B (zh) 一种led固晶机及固晶方法
CN110355809B (zh) 一种薄膜裁切机构及其使用方法
CN108556163B (zh) 一种硅晶棒防崩边切割装置
CN106467366B (zh) 用于将玻璃板组装成绝缘玻璃片的方法和装置
CN110370334B (zh) 一种纵向切膜机构及其使用方法
CN106945088B (zh) 一种聚苯板切边机构
KR102073642B1 (ko) 차량의 유리창용 접합필름 절단장치
JP2016120725A (ja)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
KR20040026499A (ko) 시스템 창호의 복합 가공장치
CN111633776B (zh) 一种环保型家具木材加工方法
KR101776775B1 (ko) 탑차용 샌드위치 패널의 모서리 컷팅장치
CN112207905B (zh) 一种板材切割装置
KR20190029349A (ko) 개별 승강식 복열 톱날을 갖는 목재 패널 재단기
CN211250340U (zh) 一种双端锯切机中的输送装置
CN219325328U (zh) 一种双端分切开槽机
KR200317804Y1 (ko) 다축보링장치
CN110696209A (zh) 一种建材组装导向式切割装置
KR100761751B1 (ko) 스티로폼 평면 절삭장치
WO2018182455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й двухголовый фрезер импостов
CN219900464U (zh) 一种多片锯切割设备
CN216831367U (zh) 一种输送机构及裁切锯
CN220295998U (zh) 一种钢管切割机构
CN110565355B (zh) 一种大型篷布转移切割装置
CN220806348U (zh) 一种多功能的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