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993A -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993A
KR20170072993A KR1020150180973A KR20150180973A KR20170072993A KR 20170072993 A KR20170072993 A KR 20170072993A KR 1020150180973 A KR1020150180973 A KR 1020150180973A KR 20150180973 A KR20150180973 A KR 20150180973A KR 20170072993 A KR20170072993 A KR 20170072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departure
control
electric vehi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115B1 (ko
Inventor
박찬현
황창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18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115B1/ko
Priority to CN201680074574.0A priority patent/CN108367690B/zh
Priority to PCT/KR2016/014896 priority patent/WO2017105159A1/ko
Priority to EP16876101.3A priority patent/EP3392075B1/en
Priority to US16/062,444 priority patent/US10518747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993A/ko
Priority to KR1020230069377A priority patent/KR102653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11/1824
    • B60L11/1827
    • B60L11/184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5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volving identification of vehicles or their battery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4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other states or condition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L2230/12
    • B60L2230/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70/00Problem solutions or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L2270/30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 B60L2270/34Preventing theft during charging of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26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the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02T90/16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인렛과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 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 잠금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이탈 허용신호 및 거리신호를 전송하는 이탈 제어장치 및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여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e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며, 상기 거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상기 전기자동차와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let of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자동차의 인렛과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되는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 여부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케이블(110),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 전원(120) 및 전기자동차(130)를 포함한다.
근래에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또는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130)는 충전케이블(110)을 이용하여 가정에서도 차량의 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다.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는 전기자동차(130)와 가정용 상용전원(120)을 연결하여 전기자동차(13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충전 케이블 중간에 위치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는 전기자동차(130)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는 현재 충전 진행 여부, 충전 중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 전력 전달 차단, 현재 충전량, 향후 충전 가능한 용량 등을 차량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 제어장치(116)는 ICCB(In-Cable Control Box)로 불리기도 한다.
도 1에서 충전케이블(110)에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116)를 구비하지 않은 충전케이블만으로도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종래에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함에 있어, 충전케이블의 일단은 플러그로 구현되어 전원에 연결되고, 충전케이블의 타단은 커넥터(Connecter)로 구현되어,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에 연결된다. 충전케이블의 일단인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인렛과 연결되는 경우, 전기자동차의 인렛 내부에서 액추에이터(Actuator)가 동작하면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충전케이블의 일단이 전원에서 탈거되는 경우, 전기자동차의 인렛 내부의 액추에이터가 동작을 하며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이 허용된다.
전기자동차를 충전함에 있어,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여 완속 충전하는 경우, 대략 8~10시간 정도의 긴 충전 시간이 요구되므로 대부분의 사용자는 차량과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를 연결한 이후에는 자리를 비우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충전케이블의 플러그가 전원에서 탈거되기만 하면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이 허용되는 점 및 장시간의 충전으로 인한 사용자의 장소 이탈의 가능성이 높은 점을 고려할 때, 충전케이블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가 구비된 충전케이블의 도난 우려가 높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원과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일단의 탈거 여부와 관계없이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정당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만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며,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한 사용자가 전기자동차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하는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 잠금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이탈 허용신호 및 거리신호를 전송하는 이탈 제어장치 및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여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e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며, 상기 거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상기 전기자동차와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탈 제어장치의 접근 여부에 따라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이탈 허용신호 또는 거리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e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며,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의 이탈 허용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및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및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기 저장된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o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이탈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의 이탈 금지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거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과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거리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과정과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or)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제어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원과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일단의 탈거 여부와 관계없이 사용자가 근접하는 경우에만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며, 사용자가 멀어지는 경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소유주가 장시간 충전장소에서 벗어나더라도 충전케이블의 도난의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충전 시스템은 충전케이블(210), 전원(220), 전기자동차(230) 및 이탈 제어장치(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전케이블(210)은 양 끝단이 전원(220)과 전기자동차(230)의 인렛(Inlet, 310)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충전케이블(210)의 일단은 전원(220)과 연결되며, 플러그(212)로 구현되어 상용전원과 연결된다. 충전케이블(210)의 타단은 커넥터(214)로 구현되며, 커넥터는 전기자동차(230)의 인렛(310)과 연결되어 전원(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전기자동차(230)의 배터리로 전달한다. 충전케이블(210)은 충전케이블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충전케이블(210) 중앙에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216)는 충전케이블(2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230)가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상황에 따라 전력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216)는 현재 충전 여부, 장애 발생시 전력 공급차단, 충전 가능한 용량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전기를 동력원의 전부로서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 뿐만 아니라, 전기를 동력원의 일부로서 사용하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를 포함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써 사용하는 모든 차량을 의미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함께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한다. 전기자동차(13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기 저장된 식별자와 비교하여,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가 기 저장된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전기자동차(130)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제어한다. 전기자동차(230)가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수신되는 거리신호를 토대로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를 파악한다.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전기자동차(230)는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제어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시간 제어신호라함은 전기자동차(230)가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이탈 허용신호와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수신하여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한 경우, 수신한 시간 동안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전기자동차(230)가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거리신호를 토대로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한 경우, 수신한 시간 동안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한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허용상태 또는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전기자동차(230)의 각각의 구성과 함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탈 제어장치(240)는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거나 방지하도록 인렛을 간접적으로 제어한다. 전기자동차(230)와 같이 직접적으로 인렛을 제어하는 것은 아니고, 이탈 제어장치(240)가 자신의 식별자와 함께 이탈 허용신호를 전송하거나, 거리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기자동차(230)가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제어하도록 간접적으로 제어한다.
이탈 제어장치(24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로부터 시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전기자동차(2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탈 제어장치(240)는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입력받은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허용상태 또는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탈 제어장치(24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이탈 제어장치(240)가 스마트 키(Smart Key)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이탈 제어장치(240)는 전기자동차(23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탈 제어장치(240)는 스마트 키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C) 및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탈 제어장치(240)는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130)로 신호의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제어장치(240)는 소프트웨어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켜, 이탈 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입력부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이탈 제어장치의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렛 제어장치(300)는 인렛(310), 인렛제어부(320), 제어신호통신부(330), 식별자저장부(340) 및 결과출력부(350)를 포함한다.
인렛(Inlet, 310)은 자동차 커플러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전기자동차(230)에 부착되어 커넥터(214)와 연결되는 부분에 해당한다. 여기서 자동차 커플러란 충전케이블(210)과 전기자동차(230)의 접속을 가능케 하는 장치로, 충전케이블(210)에 부착된 커넥터(214)와 전기자동차의 인렛(310)을 포함한다. 인렛(310)은 미국 자동차 기술학회(SAE: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J1772 규격을 따를 수 있다. 이 규격은 미국 자동차 기술학회에 의해 발표된 전기자동차용 전기 커넥터에 대한 북미 표준으로서, 이 규격에 따라 인렛(310)의 인터페이스는 AC 전원(L1) 핀, AC 전원(L2) 핀, 장치 접지 핀, 제어 파일럿(CONTROL PILOT) 핀 및 근접탐지(PROXIMITY DETECTION)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b는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모습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으로서,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커넥터(214)와 인렛(310)은 각각 돌출부(415, 425)를 포함하며, 커넥터와 인렛의 돌출부(415, 425)가 각각 맞닿으며, 커넥터(214)가 인렛(310)에 고정된다. 다만 커넥터(214)의 하우징(410)은 인렛의 외곽(420)과 맞닿지 않고, 커넥터의 하우징(410)과 인렛의 외곽(420)은 공간(430)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와 인렛이 연결되더라도,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430)이 생성됨에 따라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인렛은 액추에이터(Actuator, 450)에 연결된 락킹 장치(Locking Device, 440)를 포함하고 있으며, 락킹 장치(440)를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430)에 위치시킴으로써,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액추에이터(450)는 락킹 장치(44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락킹 장치를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430)에 위치시킬 지를 결정한다. 인렛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214)의 이탈이 허용되는 경우, 액추에이터(450)는 락킹 장치(44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한다. 인렛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214)의 이탈이 방지되는 경우, 액추에이터(450)는 락킹 장치(440)를 -x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인렛(310), 특히 액추에이터(450)를 제어함으로써,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먼저,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인렛(310)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탈 허용신호는 이탈 제어장치(240)가 LF(Low Frequency)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등을 포함하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한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식별자와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식별자 중 어느 하나가 일치하는 경우,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수신한 이탈 허용신호에 따라,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인렛(310)을 제어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수신하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여기서, 거리신호는 이탈 허용신호와 마찬가지로 이탈 제어장치(240)가 LF(Low Frequency)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신호 등을 포함하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신호이다.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수신한 거리신호의 수신신호 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또는 도달 시간 등을 판단함으로써,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인렛제어부(32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310)을 제어한다. 여기서, 임계치란 인렛제어부(320)가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할 지 또는 금지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에 해당한다.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전기자동차(230)의 소유주가 전기자동차(230)를 충전시키며 충전 장소를 이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충전케이블(210)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렛제어부(32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시킨다. 이와 같이, 커넥터(214)의 이탈이 금지되는 경우,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다시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면, 플러그(212)를 전원(220)으로부터 분리시키더라도 인렛(310)과 연결된 커넥터(214)를 임의로 이탈시키지 못하도록 인렛(31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를 가지고 있는 자만이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인렛(310)을 제어함으로써, 충전케이블(210)의 도난을 방지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 제어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렛제어부(320)가 이탈 허용신호 및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함께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식별자의 비교과정을 거쳐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는 경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렛제어부(320)는 이와 같이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가 전기자동차(230)로부터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진다 하더라도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인렛제어부(320)가 거리신호와 함께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인렛제어부(320)는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를 파악하여 커넥터(314)의 이탈 금지할 지 여부를 결정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하는 경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렛제어부(320)는 이와 같이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가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함께 이탈 허용신호를 전송한다하더라도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어신호통신부(3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한다. 제어신호통신부(330)는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며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신호통신부(330)는 이탈 제어장치(240)가 전송하는 거리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신호통신부(330)가 거리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인렛제어부(320)가 전기자동차(230)과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를 판단하도록 한다.
제어신호통신부(3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자저장부(340)는 특정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제어부(320)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충전을 하고 있는 전기자동차(230)의 소유주가 가지고 있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이탈 허용신호를 받아,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다른 자가 가지고 있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이탈 허용신호를 인렛제어부(320)가 수신하여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게 되면, 충전케이블(210)의 도난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식별자저장부(340)는 이탈 허용신호를 이용하여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제어부(320)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저장한다. 이에 따라, 인렛제어부(320)는 특정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식별자란 이탈 제어장치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정보로서, 이탈 제어장치의 일련번호 등의 정보일 수 있다.
결과출력부(350)는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커넥터의 이탈 허용여부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인렛제어부(320)가 전술한 과정을 거쳐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는 경우, 결과출력부(350)는 이탈의 허용을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인렛제어부(320)가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식별자를 비교하여 양 식별자가 상이하다고 판단한 경우, 결과출력부(350)는 식별자가 상이함을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결과출력부(350)는 이탈이 허용될 때와는 달리 식별자가 상이한 경우, 보다 빛의 세기가 센 광 신호 또는 음량이 큰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인렛제어부(320)가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시킨 경우, 결과출력부(350)는 이탈의 금지를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결과 출력부(35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허용되는 경우와 이탈이 금지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렛제어부(320)가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 제어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결과출력부(350)는 인렛 제어상태(커넥터의 이탈 허용상태 또는 커넥터의 이탈 금지상태)의 유지 사실을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 제어장치(240)는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 장치제어부(530) 및 신호통신부(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로부터 시간 제어신호의 입력을 받아 장치제어부(530)로 전송한다.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는 이탈 제어장치(240) 내에 별도의 입력부로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제어장치(240)가 스마트 키인 경우,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는 별도의 버튼으로 구현되어,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가 버튼을 누를 때마다 인렛 제어상태의 유지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는 이탈 제어장치(240)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인 경우,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디스플레이부에 별도의 입력부로 구현되어,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가 버튼을 누를 때마다 인렛 제어상태의 유지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로부터 이탈 허용신호의 입력을 받아 장치제어부(530)로 전송한다. 일반적으로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는 전기자동차(230)의 소유주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216)의 소유주에 해당한다.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가 전기자동차(230)를 충전하면서 충전이 완료되었거나 충전임에도 불구하고 전기자동차(230)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같이,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필요한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는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를 이용하여 이탈 허용신호의 입력을 받는다.
장치제어부(530)는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로부터 수신한 이탈 허용신호를 신호통신부(540)로 전송하며, 신호통신부(540)의 이탈허용신호 전송을 제어한다. 장치제어부(530)는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로부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신호통신부(540)로 전달한다. 이때, 장치제어부(530)는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도 포함하여 신호통신부(540)로 전달한다.
신호통신부(540)는 장치제어부(530)로부터 전달받은 이탈 허용신호를 전기자동차(230)의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신호통신부(540)는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도 포함하여 전기자동차(230)의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전송한다.
또한 신호통신부(540)는 거리신호를 전기자동차(230)의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거리신호를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전송함으로써,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도 3에 도시된 인렛 제어장치 및 도 5에 도시된 이탈 제어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각각의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탈 제어장치(240)는 이탈 제어장치의 소유주로부터 입력을 받아 시간 제어신호, 식별자 및 이탈 허용신호를 전기자동차(230)로 전송한다(S610). 이탈 제어장치(240)의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와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520)는 이탈 제어장치의 소유주로부터 각각 시간 제어신호와 이탈 허용신호의 입력을 받아 이를 이탈 제어장치(240)의 장치제어부(530)로 전달하며, 이탈 제어장치(240)의 장치제어부(530)는 시간 제어신호와 이탈 허용신호를 신호통신부(540)로 전달한다. 또한 장치제어부(530)는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신호통신부(540)로 전달한다. 신호통신부(540)는 이탈 허용신호 및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를 전기자동차(230)의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전송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제어장치(240)로부터 수신한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와 전기자동차 내에 저장된 식별자와 비교한다(S620). 여기서,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는 이탈 허용신호를 이용하여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제어부(320)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에 해당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수신한 식별자와 전기자동차 내에 기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통상의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와 전기자동차(230) 사용자가 일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기자동차(230)의 사용자가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원하지 않았음에도, 다른 사람의 이탈 제어장치의 이탈 허용신호에 의한 커넥터(21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가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한 식별자와 전기자동차 내에 기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한다고 판단하는 경우, 전기자동차(230)는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한다(S640).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가 식별자저장부(340)에 저장된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인렛(310)이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액추에이터(450)를 제어하여 락킹 장치(440)를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430)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가능케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시간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신호에 따른 시간 동안 커넥터의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한다(S650).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제어부(320)는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 제어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인렛제어부(320)는 커넥터(214)의 이탈을 허용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렛제어부(320)는 이와 같이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가 전기자동차(230)로부터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진다 하더라도 이탈 허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허용사실 및 이탈 허용상태 유지 사실을 출력한다(S660). 전기자동차의 결과출력부(35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허용된 사실 및 이탈 허용상태가 유지되는 사실을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로 외부에 출력한다.
수신한 식별자와 전기자동차 내에 기 저장된 식별자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전기자동차(230)는 식별자 불일치 사실을 출력한다(S670). 전기자동차의 결과출력부(350)는 양 식별자가 불일치함을 외부로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로 출력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가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하는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탈 제어장치(240)는 시간 제어신호 및 거리신호를 전기자동차(230)로 전송한다(S710). 이탈 제어장치(240)의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510)는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로부터 시간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신호통신부(540)로 전달하며, 신호통신부(540)는 전기자동차(130)의 제어신호통신부(330)로 시간 제어신호 및 거리신호를 전송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수신한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간의 거리를 파악한다(S720). 인렛제어부(320)는 제어신호통신부(330)가 수신한 거리신호의 수신신호 세기 또는 도달 시간 등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230)와 이탈 제어장치(240) 간의 거리를 판단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지 여부를 파악한다(S730).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예컨대 5 m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가 전기자동차의 충전 장소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예컨대 5m 이상으로 멀어진 경우, 전기자동차(23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시킨다(S740). 전술한 바와 같이, 이탈 제어장치(240)와 전기자동차(230) 간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진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의 소유주가 충전 장소를 이탈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충전케이블(210)의 도난 방지를 위하여 인렛제어부(32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310)을 제어한다. 인렛제어부(320)는 액추에이터(450)를 제어하여 락킹 장치(440)를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430)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한다.
전기자동차(230)는 시간 제어신호를 확인하여 신호에 따른 시간 동안 커넥터의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한다(S750). 전기자동차(230)의 인렛제어부(320)는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 제어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인렛제어부(320)는 커넥터(214)의 이탈을 금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커넥터(214)의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인렛제어부(320)는 이와 같이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이탈 제어장치(240)가 이탈 제어장치(240)의 식별자와 함께 이탈 허용신호를 전송한다 하더라도 인렛제어부(320)는 이탈 금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23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 금지 및 이탈 금지상태 유지사실을 출력한다(S760). 인렛제어부(320)에 의해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금지된 경우, 전기자동차(210)의 결과출력부(350)는 인렛(310)에 연결된 커넥터(214)의 이탈이 금지된 사실 및 이탈 금지상태가 유지되는 사실을 광 신호 또는 음향 신호로 외부에 출력한다.
도 6에서는 과정 S610 내지 과정 S670을, 도 7에서는 과정 S710 내지 S76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6 또는 도 7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복수의 과정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6 또는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과정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충전케이블 112, 212: 플러그
114, 214: 커넥터
116, 216: 전기자동차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120, 220: 전원 130, 230: 차량
240: 이탈 제어장치 310: 인렛
320: 인렛 제어부 330: 제어신호 통신부
340: 식별자저장부 350: 결과출력부
410: 커넥터의 하우징 415: 커넥터의 돌출부
420: 인렛의 외곽 425: 인렛의 돌출부
430: 인렛과 커넥터 사이의 공간 440: 락킹 장치
450: 액추에이터 510: 시간 제어신호 입력부
520: 이탈 허용신호 입력부 530: 장치 제어부
540: 신호 통신부

Claims (16)

  1.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 잠금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이탈 허용신호 및 거리신호를 전송하는 이탈 제어장치; 및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여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e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며, 상기 거리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상기 전기자동차와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상기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 제어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는,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이탈 허용신호 또는 상기 거리신호와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제어장치는,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수신한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기 저장된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제어장치는,
    상기 인렛 내에 존재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는,
    상기 이탈 허용신호 또는 상기 거리신호와 함께 시간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 제어장치는,
    상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해 파악한 시간 동안, 현재의 인렛 제어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인렛 제어시스템.
  7. 이탈 제어장치의 접근 여부에 따라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이탈 허용신호 또는 거리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가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e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며,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거리가 임계치 이상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인렛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상기 이탈 허용신호 및 상기 거리신호와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상기 인렛제어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저장하는 식별자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식별자저장부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장치.
  11.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의 이탈 허용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및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이탈 허용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를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와 비교하여,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 및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가 상기 기 저장된 식별자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or)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이탈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상기 이탈 제어장치의 식별자 및 이탈 허용신호와 함께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이탈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을 거쳐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허용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의 제어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유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이탈제어방법.
  14. 이탈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의 인렛(Inlet)의 이탈 금지여부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탈 제어장치로부터 거리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과정;
    상기 거리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거리를 파악하여 기 설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비교과정; 및
    상기 이탈 제어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 간의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상기 전기자동차의 인렛에 연결된 충전케이블의 커넥터(Connector)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제어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과정은,
    상기 거리신호와 함께 시간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과정을 거쳐 충전케이블의 커넥터의 이탈을 금지하도록 인렛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시간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파악한 시간 동안 인렛의 제어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유지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렛 제어방법.
KR1020150180973A 2015-12-17 2015-12-17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54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73A KR102544115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201680074574.0A CN108367690B (zh) 2015-12-17 2016-12-19 电动汽车的进气道控制系统、装置及方法
PCT/KR2016/014896 WO2017105159A1 (ko) 2015-12-17 2016-12-19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EP16876101.3A EP3392075B1 (en) 2015-12-17 2016-12-19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let of electric car
US16/062,444 US10518747B2 (en) 2015-12-17 2016-12-19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let of electric car
KR1020230069377A KR102653954B1 (ko) 2015-12-17 2023-05-30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73A KR102544115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377A Division KR102653954B1 (ko) 2015-12-17 2023-05-30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993A true KR20170072993A (ko) 2017-06-28
KR102544115B1 KR102544115B1 (ko) 2023-06-19

Family

ID=590568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73A KR102544115B1 (ko) 2015-12-17 2015-12-17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0230069377A KR102653954B1 (ko) 2015-12-17 2023-05-30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9377A KR102653954B1 (ko) 2015-12-17 2023-05-30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18747B2 (ko)
EP (1) EP3392075B1 (ko)
KR (2) KR102544115B1 (ko)
CN (1) CN108367690B (ko)
WO (1) WO20171051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5A3 (ko) * 2020-03-13 2021-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220063804A (ko) * 2020-11-09 2022-05-18 (주)대륜엔지니어링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스마트 전기안전시스템
KR20220108651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경신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06051B3 (de) * 2018-04-20 2019-07-11 Audi Ag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mit Ladekabel
CN109334482B (zh) * 2018-08-31 2021-11-23 浙江康迪智能换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装置及充电站充电系统
CN109177765B (zh) * 2018-08-31 2021-09-28 浙江康迪智能换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站充电系统控制充电或放电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640A (ko) * 2010-12-02 2012-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기 도난 방지 장치
WO2013137029A1 (ja) * 2012-03-14 2013-09-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と携帯リモコンキー
KR101385610B1 (ko) * 2012-12-18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커넥터용 도킹확인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7753B2 (ja) * 2008-01-15 2010-02-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
US8033349B2 (en) * 2009-03-12 2011-10-11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seek electrical connection for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DE102009016504A1 (de) * 2009-04-08 2011-04-21 Rwe Ag Ladekabelverriege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riegeln eines Kabels
JP2011211880A (ja) * 2010-03-31 2011-10-20 Motion:Kk 車載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管理サーバー、管理サーバー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000722B2 (en) * 2011-07-01 2015-04-07 Honda Motor Co., Ltd. Electric vehicle charging strategy
JP5835152B2 (ja) * 2011-09-16 2015-12-24 日立金属株式会社 車両用充電装置
US8647134B2 (en) * 2012-03-26 2014-02-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harge cord lock for electric vehicle
JP2014116998A (ja) * 2012-12-06 2014-06-26 Tokai Rika Co Ltd ロック制御装置
DE102013101492B4 (de) * 2013-02-14 2022-08-04 Phoenix Contact E-Mobility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 Steckverbindung
JP5999006B2 (ja) * 2013-04-02 2016-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充電プラグのロック装置
DE102014209210A1 (de) * 2014-05-15 2015-11-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teuern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eines elektrischen Ladeanschluss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640A (ko) * 2010-12-02 2012-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기 차량의 충전기 도난 방지 장치
WO2013137029A1 (ja) * 2012-03-14 2013-09-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充電システムと携帯リモコンキー
KR101385610B1 (ko) * 2012-12-18 2014-04-15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충전커넥터용 도킹확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82815A3 (ko) * 2020-03-13 2021-11-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충전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KR20220063804A (ko) * 2020-11-09 2022-05-18 (주)대륜엔지니어링 전기차 충전기를 위한 스마트 전기안전시스템
KR20220108651A (ko) * 2021-01-27 2022-08-03 주식회사 경신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3954B1 (ko) 2024-04-03
KR20230084432A (ko) 2023-06-13
CN108367690A (zh) 2018-08-03
CN108367690B (zh) 2021-05-07
EP3392075B1 (en) 2021-07-28
EP3392075A4 (en) 2019-11-20
US10518747B2 (en) 2019-12-31
US20180354459A1 (en) 2018-12-13
EP3392075A1 (en) 2018-10-24
WO2017105159A1 (ko) 2017-06-22
KR102544115B1 (ko) 202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3954B1 (ko) 전기자동차의 인렛 제어시스템, 장치 및 방법
CN106585393B (zh) 用于电动车辆电力传输系统的安全方法和装置
US9221353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charging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implementing such
CN107020960B (zh) 电动车辆的充电连接器的防盗方法和装置
US9592736B2 (en) Controlling a locking device of an electric charging port
US8860559B2 (en) Power supply device
TWI646714B (zh) 電池裝置
US20130110340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charging the electric vehicle
CN102332736A (zh) 车辆充电设备
KR20140113366A (ko) 전기 자동차들을 위한 급속 충전 시스템
CN110576761A (zh) 增强的电动化车辆充电器安全性
CN102804517A (zh) 用于电动交通工具的充电电缆插头
CN103921683A (zh) 车载系统、电子钥匙系统、及控制单元
US10040371B2 (en) Charg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KR102099791B1 (ko) 차량
US20190308521A1 (en) Arrangement consisting of a motor vehicle and a connecting means, motor vehicle and connecting means
US11001160B2 (e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having charging cable
JP5179639B1 (ja) 給電コネクタ、および、給電対象へ電力を供給することが可能な電源
KR20130028450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전기자동차의 제어 방법
KR20180092092A (ko) 충전 장치
JP2013099252A (ja) 給電コネクタ、および、給電対象へ電力を供給することが可能な電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