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633A -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633A
KR20170072633A KR1020150181046A KR20150181046A KR20170072633A KR 20170072633 A KR20170072633 A KR 20170072633A KR 1020150181046 A KR1020150181046 A KR 1020150181046A KR 20150181046 A KR20150181046 A KR 20150181046A KR 20170072633 A KR20170072633 A KR 20170072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recommended
photographing condition
subject information
reli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2633A/ko
Priority to US15/299,377 priority patent/US10398400B2/en
Publication of KR20170072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6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61B6/54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dependent on patient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291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the detector being combined with a grid or gr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5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adapted to display user selection data, e.g. graphical user interface, icons or me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2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control of expo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5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automatic set-up of acquisi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6Details of data transmission or power supply, e.g. use of slip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촬영할 피사체에 대한 제2 피사체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고,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A X-ray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피사체에 조사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의사, 간호사, 임상 병리사, 방사선사 또는 보안 관련자 등과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사용자는,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피사체 내부의 조직이나, 구조나, 피사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이 피사체 내부의 물질의 특성, 예를 들어 밀도에 따라서 물질에 흡수되거나 또는 투과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피사체 내부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에 방사선을 조사하고, 피사체를 투과한 방사선을 수광하고, 수광한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방사선 영상을 생성하여 피사체의 내부 조직, 구조 또는 피사체 내부의 물질이 표시되는 방사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사선 촬영 장치로는, 예를 들어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DR, Digital Radiography), 유방 촬영 장치(Mammography) 및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CT, Computed Tomography)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의료 보건 산업, 보안 시스템 산업 또는 건설 산업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사용자가 방사선 촬영에 있어서 촬영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사용자가 조사될 방사선의 강도나 선량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추천값 및 추천값에 대한 신뢰도를 제공할 수 있는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촬영할 피사체에 대한 제2 피사체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고,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또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피사체 투과 전 선량과 피사체 투과 후 선량 사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를 더 이용하여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고,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은 추천 방사선 선량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필터 보정 값을 더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의 관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문자, 숫자, 기호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EI, Exposure Index) 및 피부 입사량(ESE, Entrance Skin Expos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는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 및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피사체 정보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촬영할 피사체에 대한 제2 피사체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은, 피사체 투과 전 선량과 피사체 투과 후 선량 사이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은 추천 방사선 선량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필터 보정 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하여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회귀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문자, 숫자, 기호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 및 피부 입사 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거나 또는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투과율을 결정함으로써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방사선 촬영을 수행함에 있어서 촬영 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방사선의 강도나 선량에 대한 적절한 추천값 및 추천값에 대한 신뢰도가 함께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천값 및 신뢰도를 기초로 조사될 방사선의 강도나 선량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성별, 연령 또는 인종 등과 같이 다양한 환자의 개별적인 특성에 따라서 촬영에 필요한 최적의 촬영 조건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해부학적인 프로그래밍된 방사선 촬영(APR, Anatomical Programmed Radiology) 기반의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 조건을 더욱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방사선 조사 모듈의 방사선이 방출되는 면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방사선 조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피사체 정보 및 촬영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1 그래프이다.
도 10은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2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3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3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1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2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다.
도 15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2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16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7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흐름도이다.
도 18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3 흐름도이다.
도 19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로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는, 방사선 촬영부(10)와, 방사선 촬영부(1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퓨터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피사체(99)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수행하도록 마련되며, 구체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을 검출하는 방사선 검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99)는 예를 들어, 인체, 동식물 또는 수화물 등을 포함하며, 이외에도 방사선에 의해 내부가 촬영 가능한 다양한 생물 또는 무생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방사선 조사부(100)가 천정에 고정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가 설치된 씨-암의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방사선 촬영 장치(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부(100)가 천정에 고정된 구조로 구현된 경우, 방사선 조사부(100)는, 이동 캐리지(14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레일(131, 132)과, 연장 및 단축이 가능한 포스트 프레임(150)과, 방사선 조사부(100)의 각 부품이 내장되는 방사선 조사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모듈(120)에는 방사선 조사부(100)와 관련된 각종 부품이 내장된다. 방사선 조사 모듈(120)은, 복수의 레일(131, 132) 및 포스트 프레임(150)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조사 모듈(120)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191 내지 194)에 연결된 휠을 이용하여 이동 캐리지(140)를 레일(131, 132)이 설치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특정 위치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모터(191 내지 195)에는 엔코더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엔코더에 의해 측정된 모터의 회전수를 기초로 방사선 조사 모듈(120)의 위치나 위치 변경 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다. 방사선 조사 모듈(120)은 포스트 프레임(150)의 연장 및 단축을 통하여 수직 이동될 수도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방사선 검출부(200)가 장착 가능한 촬영 테이블(20) 및 촬영 스탠드(22)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 테이블(20) 및 촬영 스탠드(22)는 방사선 촬영실(95) 내부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촬영 테이블(20)은, 피사체(99)가 거치되는 거치판(21)과, 방사선 검출부(200)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한 제1 방사선 검출부 장착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스탠드(22)는 포스트(24)와, 방사선 검출부(200)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한 제2 방사선 검출부 장착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장치(30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이나 데이터를 입력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방사선 촬영에 의해 획득된 방사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300)는, 방사선 촬영부(1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컴퓨터 장치(300)는, 본체(310) 및 본체(310)와 연결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310)에는, 표시부(321) 및 입력부(322) 중 적어도 하나가 케이블 등이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나 명령을 송수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부(32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은 본체(310)로 전달되고, 본체(310)가 획득한 각종 영상은 표시부(321)를 통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본체(310)에는 제어부(5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통신부(330)를 이용하여 서버 장치(331), 다른 의료 장치(332) 및 별도로 마련된 휴대용 단말 장치(333)로 각종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들(331 내지 333)으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50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통신부(33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여 본체(310)와, 다른 장치들(331 내지 333)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방사선 촬영실(95) 내부에 설치되고, 컴퓨터 장치(300)는 방사선 촬영실(95)과 격벽(B)으로 구획되는 별도의 공간(96)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사선 촬영 장치(1)의 조작자가 방사선 촬영 시 발생하는 방사선으로부터 피폭되지 않고 피사체(99)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방사선 촬영부(10)와 컴퓨터 장치(30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망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을 이용하여 구축 가능하다.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 표준 및 이동 통신 표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는 방사선 촬영부(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와, 제어부(500)와, 영상 처리부(501)와 저장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는, 전원(101),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101)은 방사선 촬영부(10)의 각 부품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원(101)은 방사선 조사부(100)의 방사선 튜브(111)에 소정 관전압 및 소정 관전류의 전기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다. 전원(101)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관전압 및 관전류가 인가되면, 방사선 조사부(100)는 피사체(99)에 방사선(91)을 조사할 수 있다. 방사선 검출부(200)는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91)을 수신하거나, 또는 피사체(99)를 투과하지 않고 직접 방사선 검출부(200)로 전달되는 방사선을 수신하고, 수신한 방사선(91)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영상 처리부(5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원(101),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 각각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영상 처리부(501)는 방사선 검출부(200)의 방사선 검출 패널(220)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초로, 사람이 시청할 수 있는 형태로 방사선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501)에 의해 생성된 영상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동영상은 표시부(321)가 둘 이상의 정지 영상을 연속적으로 출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부(501)는, 필요에 따라서, 생성된 방사선 영상에 대한 각종 영상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501)는, 하이 패스 필터(high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생성된 방사선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에 샤프니스(sharpness) 효과를 부가시킬 수도 있고,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에 블러(blur) 효과를 부가시킬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501)는 생성된 복수의 방사선 영상을 기초로 입체 영상을 생성하거나, 미리 정의된 바에 따라 생성된 방사선 영상에 색상을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영상 처리부(501)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영상 처리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501)는, 생성되거나 또는 처리된 영상을, 제어부(50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의 표시부(321)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방사선 촬영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방사선 조사부(100) 및 전원(101)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소정 세기의 방사선(91)이 소정의 선량으로 피사체(99)에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02)의 표시부(321)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영상은, 기호, 문자, 숫자, 형상, 모양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부(500)는 전원(1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510)와, 방사선 촬영부(10)의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의 위치 이동이나 회전 등과 같은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제어부(520)와, 피사체(99)의 길이,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피사체 측정부(530)와, 기존에 촬영된 피사체 중에서 촬영될 피사체(99)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피사체에 대한 피사체 정보 및 촬영 조건을 검출하기 위한 촬영 조건 검출부(540)와,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가장 최적의 촬영 조건인 추천 촬영 조건을 검출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촬영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촬영 조건 결정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 정보는, 예를 들어, 기존에 촬영된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과 같은 다양한 수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피사체 정보는, 방사선 촬영에 필요하고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EI, Exposure Index) 및 피부 입사량(ESE, Entrance Skin Expos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방사선 촬영에 필요하고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 제어부(510), 구동 제어부(520), 피사체 측정부(530), 촬영 조건 검출부(540) 및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510), 구동 제어부(520), 피사체 측정부(530), 촬영 조건 검출부(540) 및 촬영 조건 결정부(550) 각각은 별도의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전원 제어부(510), 구동 제어부(520), 피사체 측정부(530), 촬영 조건 검출부(540) 및 촬영 조건 결정부(55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500) 및 영상 처리부(501)는, 상술한 컴퓨터 장치(300)의 본체(310)에 내장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방사선 촬영부(10) 내에 마련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별도로 마련된 서버 장치(331)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500) 및 영상 처리부(501)는 동일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500) 및 영상 처리부(501) 각각은 하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반도체 칩 및 관련 부품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600)는 방사선 촬영 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영상 처리부(501)에서 획득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부(600)는,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 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를 촬영할 때 설정되었던 촬영 조건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610)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10)는 방사선 촬영 장치(1)의 동작에 따라서 구축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장치, 일례로 다른 방사선 촬영 장치에 의해 생성된 후 방사선 촬영 장치(1)에 입력되어 저장부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저장부(60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10)가 별도의 장치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방사선 촬영 장치(1)는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10)의 갱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1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저장부(600)는, 일시적 및/또는 비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600)는,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자기 테이프 저장 장치 및 반도체 저장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600)는, 컴퓨터 장치(300)의 본체(310) 내부에 장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컴퓨터 장치(300)의 외부에 마련되고 컴퓨터 장치(300)와 케이블 등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사용자에게 방사선 영상이나 방사선 촬영부(10)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방사선 촬영 장치(1)와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20)는, 방사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1)와,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이나 각종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입력부(3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21)는, 예를 들어, 음극선관이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채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표시부(321)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321)는 입력부(322)의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321)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유도하는 그래픽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32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2 제어부(601)로 전달함으로써 컴퓨터 장치(300)가 사용자의 의사에 따른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322)는, 키보드 장치와 같은 각종 물리 버튼, 노브, 스틱형 조작 장치, 키보드 장치, 마우스, 조그 셔틀, 트랙볼, 트랙 패드 또는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322)는, 촬영될 피사체(99)에 대한 각종 정보를 입력 받거나 또는 기 입력된 피사체(99)에 대한 각종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와, 추천 촬영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324)와, 이외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99)에 대한 각종 정보는, 예를 들어 피사체(99)의 길이, 피사체(99)의 두께 및 피사체(99)의 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342)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325)는, 서로 상이한 입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입력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342)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325) 중 적어도 둘은 서로 상이한 입력 수단에 의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는 키보드 장치에 의해 구현되고,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324)는 표시부(321)에 표시되는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마우스 장치 또는 터치 스크린 장치에 의해 구현되고, 사용자 명령 입력부(325)는 키보드 장치 및 마우스 장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는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342) 및 사용자 명령 입력부(325)는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선 촬영 장치(1)는, 피사체(99)를 측정하기 위한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예를 들어,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방사선 검출부(200) 주변에 위치한 피사체(99)의 크기 측정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카메라 장치와 같은 가시 광선을 수집하여 수집한 가시 광선에 대응하는 영상을 획득하는 촬영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는 피사체(99)에서 반사되는 가시 광선을 수집하고 수집한 가서 광선에 대응하는 소정의 영상을 획득함으로써 피사체(99)를 촬영할 수 있다.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제어부(500)의 피사체 측정부(530)로 전달되고, 제어부(500)의 피사체 측정부(530)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될 피사체(99)의 길이,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한다. 카메라 장치는, 예를 들어,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광을 집속하는 렌즈와, 렌즈를 투과한 광을 기록하는 촬상 소자와, 이들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각종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촬상 소자는 전하 결합 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나, 상보적 금속산화막 반도체(CMOS, Complementary Metal?xide Semiconductor)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촬상 소자는 이들 외에도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각종 소자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생성하여 피사체(99)에 조사하고, 피사체(99)에서 반사되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를 수신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조사된 후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정보를 피사체 측정부(5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피사체 측정부(530)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기초로 피사체(99)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피사체(99)에 대한 정보를 적절하게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방사선 조사부(100)가 마련된 방사선 조사 모듈(120)에 장착될 수 있다. 만약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가 카메라 장치인 경우, 카메라 장치는, 촬상 소자가 방사선이 방출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방사선 조사 모듈(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 모듈(120)의 복수의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면(129)에는 개구(128)가 마련될 수 있다. 개구(128) 내측에는 콜리메이터(117)가 설치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117)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에 의해 개구(128)의 전부 또는 일부가 차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방사선 튜브(111)에서 생성된 방사선이 방출되는 방출구(118)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개구(128)는, 투과판(418)에 의해 밀폐되어 있을 수 있으며, 투과판(418)은 방사선이 투과 가능한 소재로 구현된 평면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투과판(418)에는 가이드 라인(418a, 418b)이 형성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모듈(120) 내부에 마련된 가시 광선 광원에서 광이 방출되면 가이드 라인(418a, 418b)의 조영이 방사선 조사 영역에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가이드 라인(418a, 418b)의 조영을 이용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영역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개구(128) 주변에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피사체(99)로부터 입사되는 가시 광선이나 적외선을 수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128) 주변의 일 면(129)에는 노출공(411a)이 마련될 수 있으며,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의 렌즈(411)는 노출공(411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렌즈 렌즈 노출공(411a)을 통해 노출된 렌즈(411)는 입사되는 광, 일례로 가시 광선을 집속한 후, 촬상 소자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의 렌즈(411)가 방사선이 방출되는 개구(128) 주변에서 방사선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는 방사선이 조사될 피사체(99)에 대한 영상을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원(101),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방사선 조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방사선 조사 모듈의 방사선이 방출되는 면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101)은 방사선 조사부(100)의 방사선 튜브(111)에 소정 관전압 및 소정 관전류의 전기 에너지를 인가할 수 있으며, 방사선 조사부(100)는 전원(101)으로부터 인가된 전기 에너지의 관전압 및 관전류에 따라서 소정 세기 및 소정 선량의 방사선(91)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의 세기는 인가된 관전압에 대응하고, 방사선의 선량은 관전류와 시간의 곱에 대응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 선량의 단위로 mAs가 이용될 수 있다. 전원(101)은, 외부의 상용 전원을 전달받고 전달받은 상용 전원을 승압 또는 강압하거나 정류시키는 파워 서플라이어나, 기전력을 발생시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부(10)의 방사선 조사부(100)는, 인가된 관전압 및 관전류에 따라 소정 에너지의 방사선을 생성하고, 생성된 방사선을 피사체(99)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조사부(100)는, 방사선(91)을 생성하는 방사선 튜브(111)와, 조사되는 방사선(91)의 범위를 조절하기 위한 콜리메이터(117)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튜브(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111), 음극(112) 및 양극(114)을 포함할 수 있다.
관체(111)는 음극(112) 및 양극(114)과 같은 각종 부품을 내장하고, 음극(112) 및 양극(114)를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며, 음극(112)에서 발생하여 양극(114)으로 이동하는 전자빔(e)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음극(112)에서는, 전원(101)으로? 인가되는 소정 크기의 관전압(V) 및 소정 크기의 관전류(I)의 전기 에너지에 따라 복수의 전자로 이루어진 전자빔(e)이 양극(114) 방향으로 조사된다. 관전압은 방사선 튜브(111)나 방사선 튜브(111) 전단의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하며, 그 크기는 kVp 등의 단위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관전류는 방사선 튜브(111)나 방사선 튜브(111) 전단의 회로에 인가되는 전류를 의미하며, 그 크기는 mA 등의 단위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음극(112)에는 필라멘트(113)이나 카본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가 마련되고, 이들은 관전압(V)에 따라 소정 에너지의 전자를 방출할 수 있다. 방출된 전자는 양극(114) 방향으로 이동한다.
양극(114)에는 타겟면(115)이 마련되고, 타겟면(115)에 대한 전자의 충돌에 따라 소정의 방사선(91)이 방출된다. 양극(115)에서 발생된 방사선(91)은 피사체(99) 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다. 타겟면(115)에서 발생된 방사선(91)은 인가된 관전압(V)에 상응하는 크기의 에너지를 가진다.
양극(114)은, 실시예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양극, 또는 회전 가능한 원판의 형상을 구비한 회전 양극(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선(91)의 진행 경로 상에는 방사선의 조사 범위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콜리메이터(117)가 설치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117)는 특정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통과시키고 특정 방향 외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은 흡수하여 방사선의 조사 범위를 조절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콜리메이터(117)는 방사선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방사선 조사 모듈(12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콜리메이터(117)는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는, 예를 들어, 평면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는 방사선을 흡수할 수 있는 납(Pb)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콜리메이터(117)는 복수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네 개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 모듈(120)의 복수의 면 중에서 어느 하나의 외면(129)에는 개구(128)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는, 개구(128)의 내측에 마련되고, 개구(128)의 전부 또는 일부를 차폐할 수 있다.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에 의해 개구(128)의 전부 또는 일부가 차폐됨에 따라서 방사선 튜브(111)에서 생성된 방사선이 방출되는 방출구(118)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콜리메이터 블레이드 내지 콜리메이터 제4 블레이드(119a 내지 119d) 사이에는 방사선(91)이 방출되는 방출구(118)가 형성되고, 각각의 콜리메이터 블레이드(119a 내지 119d) 상호 간의 근접 이동 또는 이격 이동에 따라 방출구(118)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피사체(99)에 방사선이 조사되는 영역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방사선 검출부의 일 실시예의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사선 검출부(200)는, 피사체(99)를 투과한 방사선(91) 중 산란되는 방사선을 차단하기 위한 반 산란 그리드(210)와, 방사선(91)을 수신하고 수신한 방사선(91)을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방사선 검출 패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방사선 검출부(200)는, 방사선 검출부(200)의 각종 부품을 내장하는 검출부 하우징(209)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부 하우징(209)은, 제1 방사선 검출부 장착부(22) 및 제2 방사선 검출부 장착부(25)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어 장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검출부 하우징(209)의 일 면에는 방사선이 입사되는 입사판(208)이 마련된다. 입사판(208)의 내측에는, 반 산란 그리드(210) 및 방사선 검출 패널(220)이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반 산란 그리드(210)는, 피사체(99) 내부를 투과하는 도중 피사체(99) 내부에서 산란된 방사선을 흡수하고, 적절한 방향으로 진행하는 방사선(91)은 통과시킴으로써, 적절한 방향의 방사선(91)이 방사선 검출 패널(220)에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패널(220)은, 반 산란 그리드(210)를 통과한 방사선을 수광하고, 수광한 방사선을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검출 패널(220)은 방사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직접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고, 방사선에 따른 가시광선을 생성한 후 가시 광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간접 방식)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 검출 패널(220)은, 전하 누적 방식 및 광자 계수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입사판(208)과 반 산란 그리드(210) 사이에는 방사선 감지부(207)가 마련될 수도 있다.
방사선 감지부(207)는, 입사된 방사선의 선량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방사선 감지부(207)는, 예를 들어, 이온화 챔버(ionization chamber)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500)는, 방사선 선량의 감지 결과와 미리 정의된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 방사선의 선량이 임계값보다 큰 경우 방사선 조사부(110)의 동작을 자동적으로 중단시킴으로써, 피사체(99)의 과도한 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 노출 제어(AEC: Automatic Exposure Control)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500)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방사선 선량의 감지 결과를 저장부(600)의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610)는 방사선 감지부(207)에 의해 감지된 방사선 선량을, 피사체(99)에 대한 각종 정보, 예를 들어 피사체(99)의 길이, 폭 또는 두께나, 입사된 방사선(91)의 세기, 방사선 조사부(110)에서 조사된 방사선의 선량과 함께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방사선 감지부(207)는 복수의 방사선 감지부, 일례로 제1 방사선 감지부 내지 제3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는 독립적으로 방사선의 선량을 감지할 수 있다. 각각의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는 검출부 하우징(209)의 일부 구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검출부 하우징(209)의 상단에 두 개의 방사선 감지부(207a, 207b)가 설치되고, 두 개의 방사선 감지부(207a, 207b)의 하단에 하나의 방사선 감지부(207c)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부 하우징(209)의 입사판(208)에는 이들 감지부(207a 내지 207c)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마커(206a, 206b, 206c)가 표시되어 있을 수도 있다. 각각의 마커(206a, 206b, 206c)는, 각각의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에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으며, 각각의 마커(206a, 206b, 206c)의 위치는 대응되는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의 위치에 대응하여 입사판(208)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제어부(5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전원 제어부(510), 구동 제어부(520), 피사체 측정부(530), 촬영 조건 검출부(540) 및 촬영 조건 검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510)는, 촬영 조건 결정부(550)에서 결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서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전원(101)에 전달하여, 전원(101)이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전기 에너지를 방사선 조사부(100)의 방사선 튜브(111)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에 대응하는 관전압의 크기와, 방사선 선량에 대응하는 관전류와 시간의 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101)은 전달받은 관전압의 크기 및 관전류와 시간의 곱에 따라 전기 에너지를 방사선 튜브(111)에 공급한다.
구동 제어부(5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의 입력부(32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또는 촬영 조건 결정부(550)에서 결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함으로써,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결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구동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결정된 촬영 조건에 따라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 이동을 하거나, 방향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피사체 측정부(530)는 촬영할 피사체(99)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피사체 측정부(530)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고, 수신한 영상을 이용하여 촬영할 피사체(99)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99)의 크기는 피사체(99)의 길이,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촬영할 피사체(99)가 인체인 경우라면, 피사체(99)의 크기는 인체의 신장, 어깨너비, 가슴너비 또는 가슴두께 등과 같은 측정 가능한 다양한 치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피사체 측정부(530)는, 영상 내의 피사체(99)의 길이와,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와 피사체(99)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사체(99)의 길이나 폭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피사체 측정부(530)는 피사체(99)와 함께 촬영된 피사체(99) 크기를 지시하는 지시자, 일례로 눈금판 등을 이용하여 피사체(99)의 길이나 폭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피사체 측정부(530)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에서 전송되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기초로 피사체(99)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피사체 측정부(530)는 가시 광선, 적외선 또는 초음파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기초로 피사체(99)로 방사선 조사 모듈(120)에 설치된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와 피사체(99)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방사선 조사 모듈(120)과 방사선 검출부(200)의 검출부 하우징(209) 사이의 거리와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와 피사체(99)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피사체(99)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조사 모듈(120)과 방사선 검출부(200)가 마련된 검출부 하우징(209) 사이의 거리는, 구동 제어부(520)의 제어에 의한 방사선 조사부(100) 및 방사선 검출부(200)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거리를 기초로 결정된 것일 수도 있고,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를 이용하여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와 검출부 하우징(209)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저장부(600)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촬영될 피사체(99)와 유사한 피사체 정보를 하나 이상 검색하고, 검색 결과에 따라서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피사체 정보 및 촬영 조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610)는, 기존에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피사체(이하 제1 피사체라고 칭함)에 대한 정보(이하 제1 피사체 정보라 칭함)와, 제1 피사체의 촬영 시 사용되었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구축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피사체가 인체인 경우,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촬영 조건은, 일례로 제1 피사체 촬영 시의 관전류의 크기와, 제1 피사체를 투과한 후 방사선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방사선의 선량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촬영 조건은 제1 피사체 촬영 시의 관전압의 크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촬영 조건은, 설계자의 고려에 따라서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10)는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 촬영된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의 정보와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 촬영 시의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서로 대응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베이스(610)는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의 정보가 검출된 경우,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 촬영 시의 촬영 조건이 함께 검출될 수 있도록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제1 피사체의 촬영 시의 촬영 조건을 통합하여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중 어느 하나)로 저장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의 촬영 시의 촬영 조건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중 어느 하나)로 저장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중 어느 하나)에는 어느 하나의 제1 피사체를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식별 코드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 피사체를 촬영한 경우, 데이터베이스(610)는 촬영된 복수의 제1 피사체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촬영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번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의 피사체 정보 입력부(323)를 통해 현재 촬영되는 피사체(99, 이하 제2 피사체라고 칭함)에 대한 정보(이하 제2 피사체 정보라 칭함)를 입력히면,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중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피사체 정보는, 예를 들어 제2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피사체 측정부(530)가 제2 피사체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여 획득하는 경우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중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및 613)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입력되거나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피사체 정보와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영(0)이거나 또는 일정한 범위 이내인 경우,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를, 입력되거나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하여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피사체 정보와 비교되는 필드는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필드일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2 피사체 정보가 연령인 경우,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의 필드 역시 연령에 해당하는 필드이다.
또한,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입력되거나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 결과, 일부의 필드는 동일하거나 또는 근사하나, 다른 일부의 필드는 차이가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여 상이하다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내에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필드의 개수가 제2 피사체 정보와 상이한 필드의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를, 입력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제2 피사체 정보와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를 합산한 후 합산된 결과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합산된 결과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 경우,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를, 입력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계산된 차이 중 일부에 가중치를 부가하여, 특정 필드, 일례로 피사체의 두께를 더 중시하여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610)가 제1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내지 제4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 피사체의 연령이 42살이고, 성별은 여성이고, 인종은 몽골리안이고, 키는 162이고, 두께는 25인 경우,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입력된 제2 피사체에 대한 각종 정보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정보로 이루어진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및 제3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3)를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및 제3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3) 각각의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 예를 들어 관전압(A2, A3), 관전류(B2, B3) 및 피사체 투과 후 선량(C1, C3) 역시 함께 검출되게 된다.
검출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즉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검출되고 제2 피사체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제1 피사체에 대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촬영 조건 결정부(55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촬영 프로토콜을 더 이용하여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제1 피사체를 촬영할 때 이용된 프로토콜 중에서 제2 피사체를 촬영할 때 이용될 촬영 프로토콜과 동일하거나 근사한 프로토콜을 더 검출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610)로부터 검출되고 제2 피사체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제1 피사체에 대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도 있다.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검출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각각의 필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추천 촬영 조건 각각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검출된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2, 613) 각각의 필드의 정보를 이용하여, 관전류에 대한 추천값과, 관전류에 대한 추천값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관전압에 대한 추천값과, 관전압에 대한 추천값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차이 연산부(551)와, 관계 연산부(552)와,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와, 신뢰도 획득부(554)와, 제어 명령 생성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 조건 결정부(550), 차이 연산부(551), 관계 연산부(552),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 신뢰도 획득부(554) 및 제어 명령 생성부(55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일 수도 있다.
차이 연산부(551)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이 연산부는, 제1 피사체 정보의 각각의 데이터 값에서, 각각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 제2 피사체 정보의 데이터 값을 차감하거나, 또는 제1 피사체 정보의 각각의 데이터 값에서, 각각의 데이터 값에 대응하는 제2 피사체 정보의 데이터 값 사이의 노옴(norm)을 계산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연산할 수 있다. 연산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는 촬영 조건 결정부(550)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이 연산부(551)는 생략될 수 있다.
관계 연산부(552)는,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하거나, 또는 차이 연산부(551)에서 전달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차이 연산부(551)가 존재하여 차이 연산부(551)에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가 연산된 경우라면, 관계 연산부(552)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차이 연산부(551)가 생략된 경우라면, 관계 연산부(552)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 대신에,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투과율은 다음의 수학식 1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A는 투과율을 의미하고, EI는 노출 인덱스, 즉 피사체를 투과한 이후의 방사선 선량을 의미하며, ESE는 피부 입사량(ESE, Entrance Skin Exposure), 즉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을 의미한다.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은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의 선량을 의미하며, 방사선 조사부(100)에서 조사된 방사선의 선량은 방사선 튜브(111)에 인가되는 관전류에 대응한다.
수학식 1에 따르면, 투과율은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에 대한 피사체를 투과한 이후의 방사선 선량으로 정의된다.
한편, 피사체를 투과하긴 전 방사선 선량(ESE)는 다음의 수학식 2를 통해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수학식 2에서 V는 관전압의 크기이고, I는 관전류의 크기를 의미한다. f_exposure(·)는 관전압의 크기 및 관전류의 크기에 따른 방사선 선량을 연산하기 위한 함수로, 실험적이나 경험적으로 획득된 것일 수도 있고, 이론적인 연산을 통해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과율(A)은 피사체를 투과한 이후의 방사선 선량과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 사이의 비율로 주어질 수 있으며, 피사체를 투과한 이후의 방사선 선량과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 모두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사체를 투과한 이후의 방사선 선량은 방사선 감지부(207)를 통해 획득된 후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노출 인덱스(C1, C2, C3)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고,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방사선 선량은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관전압 및 관전류와 수학식 2를 통하여 연산되어 획득될 수 있다.
이하 촬영 조건 결정부(550)가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례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1 그래프이고, 도 10은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2 그래프이다. 도 11은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제3 그래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있어서 x축은 수정된 제1 피사체 정보를 의미하고, y축은 투과율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610)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611 내지 614)를 검출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의 제1 피사체 정보는 복수의 정보, 일례로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1 피사체 정보를 다음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수정 제1 피사체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Ip는 수정 제1 피사체 정보를 의미하고, fp(·)는 설계자에 의해 임의적으로 설계된 변환 함수를 의미한다. fp(·)는 선형 함수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지수 함수나 로그 함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x1, x2, x3, ... xn은, 제1 피사체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정보, 일례로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또는 피사체의 폭을 의미한다. 여기서, x1, x2, x3, ... xn 각각은 서로 다른 정보에 대한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제1 피사체 정보에 대한 복수의 수정 제1 피사체 정보가 획득된 경우, 획득된 복수의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의 값을 x 좌표로 하고, 복수의 제1 피사체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투과율을 y 좌표로 하여 2차원 좌표 평면에 도시하면,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이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에 대한 회귀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즉, 관계 연산부(552)는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투과율에 대한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은 수식이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x는 제1 피사체 정보, 즉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이고, y는 투과율이다. α는 도출된 회귀선의 기울기를 의미하고, β는 x가 0인 경우 y의 값을 의미한다. ε은 하기의 수학식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σ인 정규 분포를 따르는 회귀선의 예측 오차를 의미한다.
Figure pat00005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한 결과 획득되는 수학식 4는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투과율에 대한 관계를 통계적으로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수학식 4에 따른 회귀선(LR1)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의 점 사이를 통과하도록 도시된다.
관계 연산부(552)는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 일례로 회귀선(LR1)를 획득하고, 획득한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 및 신뢰도 획득부(554)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 있다.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는, 관계 연산부(552)에서 전달된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거나 또는 피사체 측정부(530)를 통해 측정 및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목표 투과율(A_T)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4가 획득된 경우,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는, 획득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값(IT)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값(IT)에 대응하는 투과율을 수학식 4를 통하여 연산하고, 연산 결과 획득된 투과율을 목표 투과율(A_T)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값(IT)을 통과하고 x축에 직교하는 선분과 회귀선(LR1)이 서로 만나는 지점의 y값이 목표 투과율(A_T)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값(IT)은 상술한 수학식 3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연산하여 획득된 수정 제2 피사체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목표 투과율(A_T)은 도 10에 도시된 수정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에 대응하는 복수의 개의 점 중 어느 하나의 점과 일치할 수도 있고,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목표 투과율(A_T)이 결정된 경우, 다음의 수학식 6 및 수학식 7에 따라 추천 촬영 조건이 연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천 촬영 조건을 연산하는 과정의 일례로, 추천 촬영 조건 중 추천 관전류를 연산하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수학식 1은 다음의 수학식 6과 같이 다시 기재될 수 있다.
Figure pat00006
수학식 6에서 A_T는 목표 투과율을 의미하고, ESE_T는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목표 선량을 의미하고, EI_T는 피사체를 투과한 후 목표 선량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목표 투과율(A_T)이 연산되면, 목표 투과율(A_T)을 피사체를 투과한 후 목표 선량(EI_T)으로 나눔으로써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목표 선량(ESE_T)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피사체를 투과한 후 목표 선량(EI_T)은,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제1 피사체를 투과한 후의 선량(EI) 중에서, 제2 피사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가장 근사한 제1 피사체를 촬영하면서 획득된 제1 피사체를 투과한 후의 선량(EI)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제1 피사체를 투과한 후의 선량(EI) 중 제2 피사체와 근사한 복수의 제1 피사체를 투과한 후의 선량(EI)의 평균이나 중간 값을 연산하여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방사선사 등과 같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것일 수도 있다.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목표 선량(ESE_T)이 획득되면, 다음의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관전류(IT)가 연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7
여기서 I_T는 관전류를 의미하고, ESE_T는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목표 선량을 의미하며, V_T는 방사선 튜브(111)에 인가된 전기 에너지의 관전압을 의미하고, C_filter는 필터의 종류에 따른 필터 보정 값을 의미한다. 필터 보정 값은, 방사선 촬영 시 방사선 조사 모듈(120)의 전단에 설치된 구리나 알루미늄 소재의 필터를 반영하여 관전류(I_T)를 연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의 종류에 따라 주어지는 상수이다. 필터 보정 값은, 필터의 소재나 필터의 두께 등에 따라서 정해질 수 있다. G(·)는,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선량, 관전압 및 필터 보정 값과 관전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G(·)는 경험적으로 획득된 것일 수도 있고, 이론적인 연산을 통해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피사체를 투과하기 전 목표 선량(ESE_T)는 상술한 수학식 6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관전압(V_T)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관전압(V_T)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제1 피사체에 대한 관전압 중에서, 제2 피사체와 동일하거나 또는 가장 근사한 제1 피사체를 촬영할 때 이용되었던 관전압을 이용할 수도 있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된 제1 피사체에 대한 관전압 중에서 제2 피사체와 근사한 복수의 제1 피사체를 촬영할 때 이용되었던 관전압의 평균이나 중간 값을 연산하여 획득된 것일 수도 있다. 필터 보정 값(C_filter)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거나, 또는 필터의 종류를 감지하는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관전류(I_T)는, 추천 관전류로 결정되고, 이에 따라 추천 촬영 조건이 결정될 수 있게 된다. 추천 관전류와 같은 추천 촬영 조건은 제어 명령 생성부(555)로 전달된다.
신뢰도 획득부(554)는 관계 연산부(552)에서 전달된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목표 투과율(A_T)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학식 4 및 수학식 5에 기재된 바를 참조하면, 회귀 분석 결과 회귀선(LR1)에 대한 예측 오차(ε)가 존재한다. 예측 오차(ε)는 일정한 범위(-σ ~ +σ) 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x값, 즉 I_T에 대해서 예상되는 투과율(y값)은 소정의 확률, 예를 들어 95%의 확률로 일정한 범위, 즉 y-σ 내지 y+σ 사이에 존재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에 의해 목표 투과율(A_T)이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목표 투과율(A_T)는 소정의 확률로 일정한 범위, 즉 A_T-σ 내지 A_T+σ 사이 중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신뢰도 획득부(544)는 이와 같이 투과율(A_T)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 즉 A_T-σ 내지 A_T+σ를 획득하고, 획득한 범위를 신뢰도로 결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신뢰도 획득부(554)는 예측 오차(ε)를 연산하거나, 또는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로부터 전달받아 획득하고, 획득한 예측 오차(ε)를 신뢰도로 결정하고, 결정된 신뢰도를 제어 명령 생성부(555)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 촬영 조건 결정부(550)가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일례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관계 연산부(5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이 연산부(551)에서 연산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이용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차이 연산부(551)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다음의 수학식 8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8
여기서 D_p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의미하고, I_previous는 제1 피사체 정보를, I_current는 제2 피사체 정보를 의미한다. 이 경우, 상술한 수학식 3과 같이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수정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2 파사체 정보 차이로 변환할 수도 있다.
또한, 차이 연산부(551)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다음의 수학식 9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9
여기서, ||·||는 노옴을 의미한다. 수학식 8과 동일하게 D_p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의미하고, I_previous는 제1 피사체 정보를, I_current는 제2 피사체 정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노옴으로 연산한 경우, 수정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2 파사체 정보 차이로 변환할 필요는 없다.
관계 연산부(55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차이 연산부(551)에 의해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가 획득되면,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이 각각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에 대한 회귀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수학식 10이 획득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여기서, x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이고, y는 투과율이다. α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출된 회귀선(LR2)의 기울기를 의미하고, γ는 x가 0인 경우 y의 값을 의미한다. ε은 상술한 수학식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균이 0이고 분산이 σ인 정규 분포를 따르는 회귀선의 예측 오차를 의미한다.
관계 연산부(552)에 획득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는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 및 신뢰도 획득부(554)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될 수 있다.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33)는,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귀 분석 결과 수학식 10이 주어지면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33)는, x값이 0이 되는 지점, 즉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가 없는 지점에서의 y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y값을 목표 투과율(A_T)로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목표 투과율(A_T)이 결정되면,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추천 촬영 조건, 일례로 추천 관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추천 촬영 조건은 제어 명령 생성부(555)로 전달된다.
신뢰도 획득부(554)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회귀선(LR2)의 예측 오차(ε)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된 신뢰도는 제어 명령 생성부(555)로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관계 연산부(552),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 및 신뢰도 획득부(554)를 통하거나 또는 차이 연산부(551), 관계 연산부(552), 추천 촬영 조건 결정부(553) 및 신뢰도 획득부(554)를 통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가 결정되면, 제어 명령 생성부(555)는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를 수신하고, 수신된 바에 따라서 소정의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소정의 제어 명령을 방사선 촬영 장치(1)의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부(10)를 제어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전원 제어부(510) 및 구동 제어부(502) 중 적어도 하나로 전달할 수도 있고, 제어 명령 생성부(55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의 표시부(32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명령을 표시부(321)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명령 생성부(555)는 추천 촬영 조건, 일례로 추천 관전류에 따라 방사선 튜브(111)에 추천 관전류의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전원 제어부(5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전원 제어부(510)는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제어 신호를 전원(101)에 전달할 수 있다. 전원(101)은 이에 따라 추천 관전류를 방사선 튜브(111)에 인가하고, 방사선 튜브(111)는 인가된 추천 관전류에 따라 방사선(91)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조사되는 방사선의 선량은 관전류에 대응하므로, 추천 관전류에 대응하는 추천 방사선 선량으로 방사선(91)이 피사체(99)에 조사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 명령 생성부(555)는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가 사용자 인터페이스(320)의 표시부(3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술한 촬영 조건 검출부(540) 및 촬영 조건 결정부(550)를 이용한 추천 촬영 조건 및/또는 신뢰도의 결정은,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여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거나,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 것과 같이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수행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추천 촬영 조건 및/또는 신뢰도의 결정은 상술한 이벤트 이외에도 설계자 또는 사용자가 별도로 설정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 장치(1)에 전기적 주문서(order sheet)가 유선 통신 네트워크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입력부(322)를 통해 입력된 경우, 제어부(500)의 촬영 조건 검출부(540)는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관련 촬영 조건을 검출하고, 촬영 조건 결정부(550)는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관련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촬영할 제2 피사체(99)에 대한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피사체 측정부(530)가 이용되는 경우라면,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 및 피사체 측정부(530)는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또는 수동적으로 피사체(99)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피사체(99)의 크기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3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1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1 일례에 의하면 표시부(321)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 상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램 창(program window)의 형상으로 구현되어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가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디자인될 수 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방사선 촬영부(1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설정값을 표시하거나 또는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설정 제어 구역(710)과, 방사선 촬영부(10)에서 획득된 화상을 표시하거나, 데이터가 저장된 각종 경로를 표시하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 표시 구역(721)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제어 구역(710)의 상부(710a)에는 복수의 스터디(study) 중 어느 하나의 스터디를 선택하기 위한 탭(711)이 마련되고, 탭(711)의 하단에는 선택된 스터디에 해당하는 관전압, 관전류 및 노출 시간에 대한 정보나 이들의 조절을 위한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마련된다. 스터디는 방사선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방사선 영상 중 서로 관련된 방사선 영상의 집합을 의미한다. 의사 또는 방사선사는 피사체(99)의 진단이나 분석을 위하여 복수의 방사선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데, 스터디는 이와 같이 촬영된 복수의 방사선 영상의 집합을 의미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탭(711a 내지 711e) 중 어느 하나의 탭, 일례로 제2 탭(711b)에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탭(711b)을 터치하여 복수의 탭(711a 내지 711e) 중 어느 하나의 탭(711b)을 선택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탭(711b) (711b)이 선택되면 선택된 탭에 상응하는 스터디와 관련된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탭(711)의 하단에 표시된다.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관전압 표시 구역(712a), 관전류 표시 구역(712b) 및 노출 시간 표시 구역(712c)과 같이 방사선 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과, 관전압 조절 버튼(713a), 관전류 조절 버튼(713b) 및 노출 시간 조절 버튼(713c)와 같이 방사선 조사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한다.
관전압 표시 구역(712a)에는 추천 관전압이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전압이 표시될 수 있다.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는 추천 관전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전류가 표시될 수 있다. 노출 시간 표시 구역(712c)에는 피사체(99)에 방사선이 노출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전압 표시 구역(712a)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획득된 추천 관전압을 표시하거나, 및/또는 관전류 표시 구역(712b)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처 획득된 추천 관전류를 표시하는 경우, 관전압 표시 구역(712a) 및/또는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는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의 신뢰도(712d)가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관전류가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 표시되는 경우, 신뢰도를 의미하는 문자 C.I. (Confidential Interval)와, 신뢰도를 나타내는 수치, 예를 들어 +-40mA가 표시될 수 있다. 방사선사와 같은 사용자는 추천 관전류 및 신뢰도(712d)를 확인하고, 피사체(99)에게 조사할 관전류의 값을 수용할 것인지 또는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관전압 표시 구역(712a)에 추천 관전압이 표시되거나, 및/또는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 추천 관전류가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관전압 조절 버튼(713a) 및 관전류 조절 버튼(713b)을 클릭하거나, 또는 관전압 조절 버튼(713a) 및 관전류 조절 버튼(713b)이 표시되는 구역을 손가락이나 터치펜과 같은 터치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조작하여 표시되는 관전압 및/또는 관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 대신에 다른 관전압 및/또는 관전류의 전기적 에너지가 방사선 튜브(111)에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노출 시간 조절 버튼(713c)을 클릭하거나, 노출 시간 조절 버튼(713c)이 표시되는 구역을 터치 조작하여 노출 시간을 변경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관전압 조절 버튼(713a)은 관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관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관전류 조절 버튼(713b)은 관전류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관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노출 시간 조절 버튼(713c)은 노출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버튼이나 노출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버튼을 각각 개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하단, 즉 설정 제어 구역(710)의 중단(710b)에는 방사선 검출부(412)나 콜리메이터(117) 등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변경 수단이 마련된다. 설정 변경 수단은 그림이나 문자, 기호 등으로 이루어진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형상에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거나, 또는 형상을 터치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사선 촬영 장치(10)의 촬영과 관련된 각종 설정이 변경될 수 있다.
설정 변경 수단은,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의 수행 위치와 관련된 설정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a)을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의 수행 위치에 대한 설정 명령은, 피사체 거치대(10)에서 수행될 것인지 아니면 피사체 스탠드(20)에서 수행될 것인지에 관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 변경 수단은, 피사체(99)의 크기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b)을 포함할 수 있다. 피사체(99)의 크기가 선택되면 선택된 크기에 대응되는 방사선 촬영 조건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에 표시될 수 있다. 피사체(99)의 크기에 대응하는 방사선 촬영 조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600)의 데이터베이스(61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설정 변경 수단은, 콜리메이터(117)의 크기와 관련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c)과, 복수의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14d)과, 감도(sensitivity)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714e)과, 농도(density)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714f)과, 반 산란 그리드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714g)과, 필터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14h)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설정 변경 수단은 예시적인 것이며,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이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고, 이들 이외에 다른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설정 제어 구역(710)의 하단(710c)에는 방사선 촬영의 개시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개시 버튼(716a)과, 또한 이미 선택된 설정 사항을 초기화시키기 위한 리셋 버튼(716b)이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사용자는 조사 개시 버튼(716a)이나 리셋 버튼(716b)에 커서를 이동시켜 클릭하거나 또는 이들 버튼(716a, 716b)이 표시되는 위치에 터치 조작을 인가하여 방사선 촬영이 개시되도록 하거나, 설정 사항을 초기화시킬 수 있다.
정보 표시 구역(721)은, 예를 들어, 설정 제어 구역(710)의 측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정보 표시 구역(721)에는 방사선 촬영부(10)나 피사체 정보 수집부(400)를 통해 획득된 화상 등을 표시하거나, 표시하거나, 데이터가 저장된 각종 경로를 표시하거나,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표시 구역(721)에 표시되는 정보를 참조하여, 입력부(620)를 조작하여 설정 제어 구역(710)이나 정보 표시 구역(721)의 설정을 조절하거나, 또는 정보 표시 구역(721)의 일부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1)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정보 표시 구역(721)의 하단에는 정보 표시 구역(721)에 표시된 화상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버튼(729a, 729b)가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4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2 일례를 도시한 제1 도이고, 도 15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2 일례를 도시한 제2 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제2 일례에 따르면 표시부(321)에 의해 구현되는 화면 상에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방사선 촬영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700)는, 설정 제어 구역(710)과, 정보 표시 구역(721)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제어 구역(710)의 상부(710a)에는 복수의 스터디(study) 중 어느 하나의 스터디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의 탭(711, 711a 내지 711e)이 마련되고, 탭(711)의 하단에는 선택된 스터디에 해당하는 관전압, 관전류 및 노출 시간에 대한 정보나 이들의 조절을 위한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가 마련된다.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는, 관전압 표시 구역(712a), 관전류 표시 구역(712b) 및 노출 시간 표시 구역(712c)과 같이 방사선 조사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부분과, 관전압 조절 버튼(713a), 관전류 조절 버튼(713b) 및 노출 시간 조절 버튼(713c)와 같이 방사선 조사와 관련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관전압 표시 구역(712a)에는 추천 관전압이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전압이 표시되고,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는 추천 관전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관전류가 표시될 수 있다. 노출 시간 표시 구역(712c)에는 피사체(99)에 방사선이 노출되는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전압 표시 구역(712a)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획득된 추천 관전압을 표시하거나, 및/또는 관전류 표시 구역(712b)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처 획득된 추천 관전류를 표시하는 경우, 관전압 표시 구역(712a) 및/또는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는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의 신뢰도(712e)가 기호나 도형 등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관전류가 관전류 표시 구역(712b)에 표시되는 경우, 신뢰도는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를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신뢰도는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의 형상이나 색을 변화시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은 각각 둘 이상의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이 표시하는 색에 따라서 추천 관전류를 신뢰할 수 있는 정도, 즉 추천 관전류의 신뢰도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신뢰도에 따라서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은 좌측부터 순차적으로 진한 색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뢰도가 낮은 경우,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 중 상대적으로 좌측에 있는 도형(712f, 712g)의 색이 가장 진하게 표시되고, 신뢰도가 높은 경우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 중 우측에 있는 도형(712i, 712j)가 연한 색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뢰도가 가장 높은 경우 복수의 도형(712f 내지 712j) 전부가 진한 색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뢰도에 따라서 도형의 색이나 형상을 변화시켜 표시함으로써, 추천 촬영 조건, 즉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 각각에 대한 신뢰도는 이산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형의 색이나 형상을 통하여 직관적으로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를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관전압 조절 버튼(713a) 및/또는 관전류 조절 버튼(713b)를 이용하여 추천 관전압 및/또는 추천 관전류 대신에 새로운 관전압 및/또는 관전류를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 제어 인터페이스(712)의 하단에는 방사선 검출부(412)나 콜리메이터(117) 등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설정 변경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설정 변경 수단은, 예를 들어, 방사선 촬영의 수행 위치와 관련된 설정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a)이나, 피사체(99)의 크기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b)이나, 콜리메이터(117)의 크기와 관련된 설정을 입력 받기 위한 버튼(714c) 이나, 복수의 방사선 감지부(207a 내지 207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14d)이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714e)이나, 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버튼(714f)이나, 그리드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714g)이나, 필터의 사용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714h)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 방사선 촬영 장치의 일 실시예로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유방 촬영 장치나 컴퓨터 단층 촬영 장치에도 동일하거나 또는 일부 변형을 거쳐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특정 촬영 조건에 따라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에도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여러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1 흐름도이다. 도 16에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특정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촬영이 특정 촬영 조건, 일례로 특정 관전압 및 특정 관전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s1000).
방사선 촬영이 개시되기 전, 방사선 촬영이 수행되는 도중 또는 방사선 촬영이 종료된 이후,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조건이 저장부에 저장되고(s1010), 이에 따라 촬영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촬영 조건을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로 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될 수 있다(s1011).
상술한 단계 s1000 내지 s1011은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s1012),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피사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가 획득된다.
도 17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2 흐름도이고, 도 18은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제3 흐름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가 획득되어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저장부에 저장된 후, 미리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s1100). 여기서 미리 정의된 이벤트는 방사선 촬영 요청의 입력,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 변경 및 제2 피사체 정보의 변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미리 정의된 이벤트는 설계자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면, 방사선 촬영부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을 개시한다(s1101). 이 경우,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황에 따라서,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는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촬영될 피사체에 대한 정보, 즉 제2 피사체 정보가 방사선 촬영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s1102). 만약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가 이동한다면, 제2 피사체 정보의 입력은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후행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선행하거나, 또는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이 수행되는 도중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피사체 정보는 사용자가 키보드 장치와 같은 입력부를 조작하여 방사선 촬영 장치에 입력될 수도 있고, 유선 통신 네트워크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방사선 촬영 장치에 입력될 수도 있다. 유선 통신 네트워크나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가 전기적 주문서를 수신함으로써 제2 피사체 정보가 방사선 촬영 장치에 입력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피사체 정보는 휴대용 저장 장치나 천공 카드 등을 이용하여 입력될 수도 있다.
제2 피사체 정보가 입력되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 저장된 피사체 정보, 즉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한다(s1110). 여기서 제1 피사체 정보는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 및 피부 입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제2 피사체 정보와, 각각의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제2 피사체 정보와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가 영이거나 또는 일정한 범위 이내인 경우,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는, 방사선 촬영 장치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내에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근사한 필드의 개수가 상이한 필드의 개수보다 큰 경우에는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하거나, 또는 제2 피사체 정보와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 내의 필드에 저장된 데이터 사이의 차이를 각각 계산하고, 계산된 차이를 합산한 후 합산된 결과가 미리 정의된 값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특정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를, 입력 또는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레코드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방사선 촬영 장치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피사체 정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되는 촬영 조건이 검출되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아울러 추천 촬영 조건의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s1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는 제1 피사체 정보와 투과율을 이용하여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방사선 촬영 장치는 회귀 분석 결과 획득된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고, 목표 투과율에 따라서 추천 촬영 조건, 일례로 추천 관전압이나 추천 관전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방사선 촬영 장치는 목표 투과율을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강도 및/또는 추천 방사선 선량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추천 방사선 강도 및/또는 추천 방사선 선량을 결정하기 위해 필터 보정 값을 더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방사선 촬영 장치는 회귀 분석 결과 획득된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함으로써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추천 촬영 조건 및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가 이용될 수 있다.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으며, 방사선 촬영 장치는 회귀 분석 결과 획득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고, 목표 투과율에 따라서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방사선 촬영 장치는 회귀 분석 결과 획득된 제1 피사체 정보와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예측 오차는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로 결정될 수 있다.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가 획득되면,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s1130).
이 경우, 추천 촬영 조건은, 문자 또는 숫자와,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단위 기호를 이용하여 표시되고,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는 문자, 숫자, 기호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표시부는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복수의 도형을 통해 표시하되, 신뢰도의 크기에 따라서 복수의 원의 전부 또는 일부의 색상을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가 표시부에 의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를 확인하고, 추천 촬영 조건에 따라 방사선 촬영을 진행할지 또는 추천 촬영 조건 대신 다른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을 진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추천 촬영 조건 대신 다른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방사선 촬영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사용자는 키보드 장치, 마우스 장치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추천 촬영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를 조작하여 촬영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s1140의 네).
사용자가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를 조작하여 촬영 조건을 변경하면, 변경된 촬영 조건에 따라 방사선 촬영에 필요한 각종 설정 값, 예를 들어 관전압이나 관전류가 설정된다(s1141).
만약 사용자가 추천 촬영 조건을 이용하고자 하여 촬영 조건을 조정하지 않는다면(s1140의 아니오), 추천 촬영 조건에 따라 방사선 촬영에 필요한 각종 수치, 예를 들어 관전압이나 관전류가 설정된다(s1141). 이 경우, 필요에 따라서, 방사선 촬영에 필요한 각종 수치의 설정에 앞서, 추천 촬영 조건에 따른 방사선 촬영의 승인 명령을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만약 촬영 조건이 모두 확정된 상태에서 촬영될 제2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될 수도 있으며(s1142의 예),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1 피사체 정보 및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색하고(s1110), 검색된 촬영 조건으로부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신뢰도를 결정하고(s1120), 추천 촬영 조건 및 신뢰도를 표시하고(s1130), 사용자의 조정 여부에 따라 촬영 조건이 확정되거나 또는 변경되는 과정(s1140, s1141)을 다시 반복하여 수행한다.
촬영될 제2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지 않고(s1142의 아니오), 촬영 명령이 입력되면(s1142의 예),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제2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촬영을 수행한다. 이 경우 제2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촬영 전, 제2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촬영 도중 또는 제2 피사체에 대한 방사선 촬영 종료 후에, 제2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제2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해 설정된 촬영 조건을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할 수 있다(s1150).
만약 촬영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s1142의 아니오), 방사선 촬영 장치는 사용자가 특정한 명령, 예를 들어 촬영 조건의 변경 명령이나 피사체 정보 변경 명령 등이 입력될 때까지 별다른 동작 없이 대기할 수 있다(s1143).
도 19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의 제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9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 및 피사체 측정부가 마련된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촬영 요청의 입력,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 변경 또는 제2 피사체 정보의 변경과 같이 미리 정의된 이벤트가 발생될 수 있다(s1160).
이후, 방사선 촬영부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수동 조작 또는 제어부의 자동 제어에 따라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s1161). 상황에 따라서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는 이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어서 제2 피사체 측정 명령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s1162). 제2 피사체 측정 명령은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후행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에 선행하거나, 또는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이 수행되는 도중에 입력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피사체 측정 명령은 미리 정의된 설정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된 것일 수도 있다.
피사체 측정 명령에 따라서 방사선 촬영 장치는 촬영될 제2 피사체의 크기, 일례로 제2 피사체의 길이, 두께 및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이에 응하여 제2 피사체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피사체에 대한 측정값이 획득되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데이터베이스를 열람하고, 제2 피사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에 대한 정보, 즉 제1 피사체 정보와,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 있다(s1170).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제2 피사체에 대한 측정값만을 이용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도 있고, 제2 피사체에 대한 측정값과 추가적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일례로 제2 피사체의 연령이나 성별 등의 더 이용하여 제1 피사체 정보와 촬영 조건을 검출할 수도 있다.
제1 피사체 정보와 촬영 조건이 검출되면 방사선 촬영 장치는 검출된 촬영 조건으로부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s1180).
추천 촬영 조건과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가 획득되면, 획득된 추천 촬영 조건과 신뢰도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다(s1190).
상술한 단계 s1170 내지 s119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기 설명한 바 있기 때문에 생략하도록 한다.
획득된 추천 촬영 조건과 신뢰도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된 후, 도 22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단계 s1140 내지 s1150이 더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통상의 기술자가 고려할 수 있는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테이프, 콤팩트 디스크(CD)나 디브이디(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기록 매체 및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저장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1: 방사선 촬영 장치 10: 방사선 촬영부
100: 방사선 조사부 200: 방사선 검출부
320: 사용자 인터페이스 321: 표시부
322: 입력부 400: 피사체 정보 수집부
500: 제어부 501: 영상 처리부
510: 전원 제어부 520: 구동 제어부
530: 피사체 측정부 540: 촬영 조건 검출부
550: 촬영 조건 결정부 600: 저장부
610: 데이터베이스

Claims (34)

  1.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촬영할 피사체에 대한 제2 피사체 정보가 획득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고,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또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은 피사체 투과 전 선량과 피사체 투과 후 선량 사이의 비율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를 더 이용하여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고,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은 추천 방사선 선량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필터 보정 값을 더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함으로써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의 관계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문자, 숫자, 기호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EI, Exposure Index) 및 피부 입사량(ESE, Entrance Skin Exposur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피사체 정보 수집부; 및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 받는 피사체 정보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거나,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거나, 또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변경하기 위한 촬영 조건 변경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
  17. 촬영할 피사체에 대한 제2 피사체 정보가 획득되는 단계;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율은, 피사체 투과 전 선량과 피사체 투과 후 선량 사이의 비율을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피사체 정보를 이용하여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를 포함하고,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은 추천 방사선 선량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투과율 및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에 대응하는 방사선 강도를 이용하여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는, 필터 보정 값을 더 이용하여 상기 추천 방사선 선량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목표 투과율에 대한 예측 오차를 획득하여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투과율을 기초로 회귀 분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회귀 분석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 및 상기 투과율의 관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문자, 숫자, 기호 및 도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이산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조건은, 방사선 강도, 방사선 선량, 노출 인덱스 및 피부 입사 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사체 정보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피사체의 연령, 성별, 인종,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17항에 있어서,
    피사체의 길이, 피사체의 두께 및 피사체의 폭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거나 또는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17항에 있어서,
    방사선 촬영 요청이 입력되는지 여부, 방사선 조사부 및 방사선 검출부의 상대적 위치가 변경되는지 여부 및 상기 제2 피사체 정보가 변경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검출된 촬영 조건에 대응하는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 사이의 차이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 및 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기초로 상기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촬영 조건을 이용하여 추천 촬영 조건 및 상기 추천 촬영 조건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피사체 정보와 상기 제2 피사체 정보의 차이를 최소로 하는 투과율을 결정함으로써 목표 투과율을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한 목표 투과율로부터 상기 추천 촬영 조건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50181046A 2015-12-17 2015-12-1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72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46A KR20170072633A (ko) 2015-12-17 2015-12-1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5/299,377 US10398400B2 (en) 2015-12-17 2016-10-20 Radiographic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1046A KR20170072633A (ko) 2015-12-17 2015-12-1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633A true KR20170072633A (ko) 2017-06-27

Family

ID=59065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1046A KR20170072633A (ko) 2015-12-17 2015-12-17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98400B2 (ko)
KR (1) KR201700726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84875A (ja) * 2016-04-01 2017-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情報端末、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087754A (ko) * 2017-01-25 2018-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885803B2 (ja) * 2017-06-27 2021-06-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放射線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US10925561B2 (en) * 2017-11-17 2021-02-23 Konica Minolta Healthcare Americas, Inc. Portable 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including a base, a digital radiography panel, and a computer
JP7480520B2 (ja) * 2020-02-21 2024-05-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曝射実績合算装置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CN117670758A (zh) * 2022-08-09 2024-03-08 上海西门子医疗器械有限公司 确定曝光参数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程序产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42790A1 (de) 2004-09-03 2006-03-09 Siemens Ag Röntgeneinrichtung
EP2687161B1 (en) * 2011-03-18 2017-05-03 Gifu University Diagnosis assistance system utilizing panoramic radiographs, and diagnosis assistance program utilizing panoramic radiograp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8400B2 (en) 2019-09-03
US20170172535A1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72633A (ko) 방사선 촬영 장치 및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US112465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aided detection (CAD) in a breast specimen radiograph
US7949098B2 (en) Method for determining reduced exposure conditions for medical images
JPH08186762A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
US9044197B2 (en) Method for x-ray dose tracking
US1108342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processing device
JPWO2008132988A1 (ja) X線画像分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2177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720512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gesture-controlled setting of setting variables on an X-ray source
JP3947152B2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
JP2016067414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8114274A (ja) コンピュータ断層撮像システムの造影方法
JP7108457B2 (ja) 放射線撮影装置、面積線量取得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
US20230015883A1 (en) Imaging support device, and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program for the same
JP6412815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撮影台、及び撮影方法
JP2017144165A (ja) 断層画像生成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断層画像生成方法、及び断層画像生成プログラム
KR20170012043A (ko) 엑스선 장치 및 동작 방법
JP7235856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3947151B2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
JP2010154871A (ja) 骨疾患評価システム、骨疾患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930472B2 (ja) マンモグラフィ装置
WO2018069092A2 (en) Method of adjusting settings of a radiation image recording system
US1181935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implant detection in mammography
WO2018069095A2 (en) Method of adjusting settings of a radiation image recording system taking into account patient movement
JP2007282772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