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309A - 전지 부품 몰딩 장치 - Google Patents

전지 부품 몰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309A
KR20170072309A KR1020177013844A KR20177013844A KR20170072309A KR 20170072309 A KR20170072309 A KR 20170072309A KR 1020177013844 A KR1020177013844 A KR 1020177013844A KR 20177013844 A KR20177013844 A KR 20177013844A KR 20170072309 A KR20170072309 A KR 20170072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ugh
supply
feed
volume adjustment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 바지
시몬 브리튼
Original Assignee
티비에스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에스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티비에스 엔지니어링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2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3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5/00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 B22D35/04Equipment for conveying molten metal into beds or moulds into moulds, e.g. base plates,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04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join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B22D25/02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by its peculiarity of shape; of works of art
    • B22D25/04Casting metal electric battery plat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9/00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 B22D39/02Equipment for supplying molten metal in ration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molten metal by volu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6Lead-acid accumulators
    • H01M10/12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2/28
    • H01M2/3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01M50/541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for lead-acid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블록; 상기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을 따라 대체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상기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 상기 트로프에 용융 금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전지 부품 몰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공급 트로프에는, 상기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지 부품 몰딩 장치{APPARATUS FOR MOULDING BATTERY COMPONENTS}
본 발명은 전지 부품 몰딩 장치 및 전지 부품 몰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어 "전지"는 여기서 축전지를 포함하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납축전지에서는, 플레이트 상에 정렬된 러그 또는 탭에 고정된 포스트 또는 납 스트랩에 의해 각 스택의 플레이트를 함께 연결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전지, 특히 예를 들어 납축전지의 제조에서, 전지 부품을 주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트랩 및 다른 구조물과 같은 구성 요소는 또한 예를 들어 전지의 셀 내의 플레이트 세트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도록 전지 플레이트의 러그 상에 동시에 주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은 일반적으로 몰드 캐비티를 납으로 채우고 납의 냉각 전에 캐비티에 러그를 디핑함으로써 주조된다. 일반적으로, 몰드 캐비티는 납이 캐비티의 측면에서 채널로 흐르고, 위어(weir)를 몰드로 쏟아지게 함으로써(spill over) 채워진다.
일반적인 주조 장치의 예가 출원인의 선출원 WO94/16466에 나타나 있으며, 이 장치는 포스트 세트 또는 스트랩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그곳에 인접한 용융 금속 공급 덕트, 공급 덕트와 캐비티 사이의 위어, 용융 납을 덕트에 공급하기 위한 수단, 즉, 캐비티, 펌프 및 덕트 아래로 연장되고 덕트에 연결된 적어도 한 쌍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공급 통로를 포함한다.
모든 몰드 캐비티로의 납의 흐름이 부품의 주조 동안 주의 깊게 제어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상적으로 용융 납의 흐름은 모든 캐비티가 동시에 같은 속도로 채워지도록 몰드 트로프의 길이를 따라 균형을 맞추거나 제어되어야 한다. 이러한 흐름의 균형은 기존의 장치로는 달성하기 어렵고, 예를 들어 몰드 및/또는 공급부에서 제조 공차 및 작동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세트의 몰드 캐비티가 제공되고, 각각이 인접한 공급 덕트 및 관련된 공급 통로를 가질 때, 더 복잡한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용융 납의 흐름이 좌측과 우측 사이에서 균형이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은 이전에 펌프 단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 공급 통로에 스로틀 볼트를 제공함으로써 좌측 및 우측 흐름 제어(또는 좌측 및 우측 흐름 균형 맞춤) 문제를 해결하려고 시도했다. 스로틀 볼트는 좌측 및 우측 몰드 캐비티가 균등한 속도로 채워지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통로를 통한 용융 금속의 유량 속도를 변경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화하는 문제에 대한 가능한 추가의 해결책은 다중 공급 펌프 및 입구를 제공하고, 각각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장치의 복잡성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몰드 캐비티로의 납의 개선된 전달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전지 부품 몰딩 장치가 제공되고,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블록;
상기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을 따라 대체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 및
상기 트로프에 용융 금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트로프에는 상기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된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배치가 공급 트로프를 통해 및 위어를 넘어 캐비티로의 흐름을 균형화하는 간단하고 편리한 수단을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트로프가 몰드의 상부 표면에 있고 (일반적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메커니즘은 (몰드 내부에서 작용하는 스로틀 볼트 배치와는 반대로) 사용자에 의해 쉽게 접근될 수 있고 위치를 볼 수 있다. 공급 트로프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중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위어는 중심부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개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는데, 공급 트로프의 각 단부에 하나씩 있다.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치는 트로프의 길이를 따라 흐름의 제어/조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복수의 인덱싱된 위치들 사이에서 조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 메커니즘은 공급 트로프 내의 적어도 2개의 개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덱스 위치는 물리적 정렬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덱스는 최종 사용자에게 선택된 위치의 편리한 시각적 표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사용 시 트로프의 조정 가능한 위치의 단부 벽을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부 벽은 사용 시 트로프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공급 트로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는 트로프의 형상 및 구성과 일치하도록 형상화되고 구성된 낮은 프로파일을 가질 것이다.
상기 또는 각각의 요소는 공급 트로프 내에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는 공급 트로프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요소는 트로프 내의 일련의 종방향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요소를 제 위치에 고정하도록 배치된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는 각각의 요소에는 잠금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특징부가 제공될 수 있다. 특징부는 예를 들어 (예를 들면, 잠금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노치 또는 오목부일 수 있다. 노치 또는 오목부는 요소의 상부 표면을 따라, 캐스터레이션(castellation)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공급부는 공급 트로프 아래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는 공급 통로와 공급 트로프를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는 용융 금속을 공급하는 펌프에 연결하기 위해 공급 통로와 유체 연통되는 공급 펌프 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통로는 공급 트로프 아래로 연장되고 공급 트로프에 연결된 내부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통로는 또한 내부 공급 통로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공급 펌프 입구와 유체 연통되는 외부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공급 통로로부터 내부 공급 통로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통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공급 펌프는 장치의 일단부에 제공된다.
장치는 제1 몰드 블록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제공되는 제2 몰드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몰드 블록은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가진다.
제2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는 제2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게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위어는 제2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공급부는 용융 금속을 제2 트로프에 제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공급 트로프에는 제2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공급부는 제2 공급 트로프 아래로 연장되는 제2 공급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부는 제2 공급 통로를 제2 공급 트로프에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급부는 공급 펌프 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공급부는 공통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공급 트로프는 상기 기술된 임의의 특징을 갖는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추가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는데, 제2 공급 트로프의 각 단부에 하나씩 있다.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블록; 상기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를 포함하는 전지 부품을 몰딩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용융 금속을 공급 트로프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용융 금속이 복수의 몰드 캐비티로 동시에 위어를 넘어 흐르도록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기 위해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지 부품 몰딩 방법이 제공된다.
체적을 조정하는 단계는 공급 트로프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캐비티로의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체적을 조정하는 단계는 좌측 및 우측 몰드 블록 모두의 길이를 따라 캐비티로의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좌측 및 우측 공급 트로프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이동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지 부품을 몰딩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지 부품을 몰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재되었지만, 위에서 설명된 특징 또는 이하의 설명 또는 도면의 임의의 본 발명의 조합으로 확장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로서 상세히 기술될 것이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평면도의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2는 장치의 내부 부품을 보여주는 절개된 단면을 갖는 도 1의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3은 라인 A를 통해 절단한 도 1의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강조된 영역의 개략적으로 표현한 확대도;
도 5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 메커니즘의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조정 요소의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지 부품을 몰딩하기 위한 장치(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장치(1)는 좌측 (또는 제1) 몰드 블록(100) 및 우측 (또는 제2) 몰드 블록(200)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좌측 몰드 블록(100)은 우측 몰드 블록(200)과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2개의 몰드 블록은 또한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지지 블록(120)은 좌측 몰드 블록(100)의 좌측에 고정되고; 우측 지지 블록(220)은 우측 몰드 블록(200)의 우측에 고정된다.
각각의 몰드 블록(100, 200)은 그 길이를 따라 제공된 여러 개의 몰드 캐비티(110, 210)를 갖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진다.
좌측 및 우측 공급 트로프(130, 230)는 좌측 및 우측 지지 블록(120, 220)의 상부 표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좌측 및 우측 공급 트로프는 좌측 및 우측 몰드 블록(100, 200)의 외부 에지를 따라 위치된다. 각각의 트로프(130, 230)는 제1 단부(132, 232)로부터 제2 단부(134, 234)까지 연장된다. 도 3의 단면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트로프(130, 230)는 반지름 방향의 베이스(138, 238) 및 평행하게 이격된 내부(135, 235) 및 외부 측벽(136, 236)을 가진다.
좌측 및 우측 지지 블록(120, 220)은 크로스 부재(10)에 의해 일단부에 결합되고, 지지 블록(120, 220) 및 크로스 부재(10)는 위에서 볼 때 u자형을 형성한다. 크로스 부재(10)는 입구(22) 및 2개의 출구(24, 26)를 갖는 T-커넥터(20)를 포함한다. 사용 시, 입구(22)는 펌프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용융 납 공급부(미도시)에 연결된다. 좌측 지지 블록(120)에 제공된 좌측 외부 공급 통로(140)는 T-연결의 좌측 출구 또는 분기(24)와 유체 연통된다. 우측 지지 블록(220)에 제공된 우측 외부 공급 통로(240)는 T-커넥터(20)의 우측 분기(26)와 유체 연통된다. 외부 공급 통로(140, 240)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장치(1)의 길이를 따라 지지 블록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내부 공급 통로(142)는 좌측 외부 공급 통로(140)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좌측 지지 블록(120)에 제공된다. 좌측 내부 공급 통로(142)는 장치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 공급 트로프(130) 아래에 제공된다. 유사하게, 우측 내부 공급 통로(242)는 우측 지지 블록(220)에 제공되어, 우측 외부 공급 통로(24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그리고 우측 공급 트로프(230) 아래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공급 통로(142, 242)는 처음에 T-커넥터의 우측 분 기(24)에 유체 연통부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이 연통부는 플러그(144, 244)로 막혀 있다. 좌측 내부 공급 통로(142) 및 좌측 외부 공급 통로(140)는 도 2의 중심 절개 섹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지점(146)에서 유체 연통된다. 유사한 유체 연통부는 중간 지점(246)에서 우측 내부 및 외부 공급 통로(240, 242) 사이에 제공된다.
내부 공급 통로(142, 242)는 복수의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통로(148, 248)에 의해 각각의 공급 트로프(130, 230)에 연결된다.
공급 트로프(130, 230)를 따라 좁은 공급 채널(132, 232)은 트로프의 내측 벽(135, 235)으로부터 각 몰드 캐비티(110, 210)를 향하여 종방향으로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공급 채널(132, 232)의 단부에, 각각의 몰드 캐비티(110, 210)로 정렬된 것은 위어(133, 233)이다. 도 4는 공급 트로프(130) 중 하나의 주위 영역의 단면도의 확대도이다. 공급 트로프(130)는 위어(133)에 대향하는 외측벽(136) 및 베이스(138)를 가진다. 채널(132)의 외측 에지에는 공급 채널의 베이스 위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립 또는 오버행(134)이 있다.
몰드 캐비티(110)는 위어(133) 아래의 깊이(c)에 베이스(122)를 가진다. 공급 트로프(130)의 깊이는 몰드 캐비티(110)의 깊이보다 크다. 도 4는 또한 트로프(130)의 예비 채움 높이(p)에서 용융 금속(M)을 도시하고, 이는 위어(133)의 레벨보다 상당히 낮다.
좌측 공급 트로프(130)에는 펌프 입구(22)에 가장 가까운 트로프(130)의 단부(132)에 제1 체적 조정 메커니즘(160); 및 트로프(130)의 다른 단부(134)(펌프 입구(22)로부터 멀리 또는 말단인 단부)에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162)이 제공된다. 유사하게, 우측 공급 트로프(230)에는 단부(232, 234)에 각각 위치된 제1 및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260, 262)이 또한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모든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이는 우측 공급 트로프(230) 상의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262)의 확대도를 도시하는 도 5 및 분리된 조정 요소(264)를 도시하는 도 6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모든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이러한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체적 조정 메커니즘(262)은 공급 트로프(230)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제1 요소(264)를 포함한다. 요소(264)의 하부 프로파일은 트로프(230)의 프로파일과 일치하도록 반경화되어 있고(radiused) 형성되며 구성된다. 트로프(230) 내에 위치될 때, 제1 요소(264)는 종방향(S)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 요소(270)는 제1 요소(264)를 원하는 위치에 잠금 또는 고정하도록 작동가능한 잠금 요소로서 제공된다. 추가로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공급 트로프(230) 내에 위치될 때, 체적 조정 요소(160, 162, 260, 262)는 트로프(130, 230)의 단부 벽을 정의하도록 작용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요소(264)에는 일련의 노치 또는 오목부(268)를 정의하는 상부 표면을 따라, 캐스터레이션(266)이 제공된다. 제2 요소(270)는 노치 또는 오목부(268)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요소(264)가 트로프(230) 내의 복수의 인덱싱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제2 요소(270)는 우측 지지 블록(220)의 상부 표면의 오목부(27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요소(270)에는 슬롯(273)이 제공되는데, 오목부(272)의 대응 나사 구멍(미도시) 내로 볼트(274)가 삽입되고 나사 결합된다. 제2 요소(270)는 제1 요소(264)의 노치(268) 내에 끼워 맞춰지도록 구성된 내부 단부(276)를 가진다. 제2 요소(270)는 제1 요소(264)에 수직으로 슬라이딩한다. 체적 조정 메커니즘(262)을 위치시키고 고정하기 위해, 제1 요소(264)는 공급 트로프(230) 내에서 펌프 입구(22)를 향하여 또는 멀리 원하는 위치로 슬라이딩된다. 그 후, 제2 요소(270)는 내부 단부(276)가 제1 요소(264)의 노치(268)와 결합할 때까지 내측으로 슬라이딩되고, 볼트(274)는 제2 요소(270)를 제 위치에 고정하도록 조여서 제1 요소(264)를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임의의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이 제1 요소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슬라이딩 가능한 요소는 결합 특징부를 갖는 내부 단부를 가지며, 제1 요소 상의 대응하는 결합 특징부와 결합하도록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대안적으로, 제2 요소가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슬라이딩할 수 없지만, 일부 다른 방식에서는 이동 가능하며, 예를 들어, 제1 요소를 잠그고 결합하는 제1 위치와 제1 요소가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한 제2 위치 사이에서 피봇 가능하다. 제2 요소는 또한 제1 요소를 결합 및 고정하기 위해 장치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장치의 펌프 입구(22) 단부에서 공급 트로프(130, 230)의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1 체적 조정 메커니즘(160, 260)은 펌프 입구(22) 쪽으로 이동되어, 공급 트로프(130, 230)를 연장시킨다. 장치의 펌프 입구(22) 단부에서 공급 트로프(130, 230)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 체적 조정 메커니즘(160, 260)은 펌프 입구(2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고, 이로써 공급 트로프(130, 230)를 단축시킨다.
펌프 입구(2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말단인 장치의 단부에서 공급 트로프(130, 230)의 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162, 262)은 펌프 입구(22)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 공급 트로프(130, 230)를 연장시킨다. 펌프 입구(22)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거나 말단인 장치의 단부에서 공급 트로프(130, 230)의 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162, 262)은 펌프 입구(22)를 향해 이동되고, 이로써 공급 트로프(130, 230)를 단축시킨다.
따라서, 체적 조정 메커니즘(160, 162, 260, 262)은 독립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제2 체적 조정 메커니즘(162, 262)은 펌프 입구(2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이는 용융 금속을 공급 트로프(130, 230)의 단부에 채우기 위해 더 작은 체적이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체적 조정 메커니즘(160, 260)은 펌프 입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이 경우에는 트로프(130, 230)의 단부를 채우기 위해 더 큰 부피의 용융 금속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용 시, 공급부(미도시)는 입구(22)에 연결되고, 용융 금속, 예를 들어 용융 납을 입구(22)를 통해 장치(1)로 펌핑하도록 작동된다. 용융 금속은 T-분기(24, 26)를 통해; 외부 공급 통로(140, 240)를 따라; 연결부(146, 246)를 통해 그리고 내부 공급 통로(142, 242)로 흐른다. 장치 내의 용융 금속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용융 금속은 수직 통로(148, 248)를 통해 상승하여 공급 트로프(130, 230)로 들어간다. 더 많은 용융 금속이 장치(1)로 흐르면, 공급 트로프(130, 230) 내의 용융 금속(M)의 레벨이 상승한다. 트로프 내의 용융 금속(M)의 레벨이 위어(133, 233)의 최상부 지점 위로 상승할 때, 금속은 위어를 넘어 그리고 캐비티(110, 120)로 흐른다.
채움(filling) 공정의 우수한 제어를 제공하기 위해, 펌프는 공급 트로프(130, 230) 내의 용융 금속이 예비 채움 높이(p)(도 4에 도시됨)에 도달할 때까지 느린 제1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그 후, 용융 금속이 안정된 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용융 레벨의 예비 채움 높이를 유지하도록 펌프가 조정될 수 있고; 이는 틱 오버(tick-over) 속도로 작동하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그 후, 펌프는 보다 빠른 속도로 작동되어 몰드 캐비티(110, 210)를 채우기 위해 공급 트로프(130, 230) 내의 용융 금속의 레벨을 위어 높이(도 4에 도시됨)보다 높은 레벨로 증가시킬 수 있다.
2개의 공급 트로프의 양단부에서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공급 트로프 부분의 체적을 조정하기 위해 (즉, 몰드의 단부에서 트로프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오퍼레이터가 몰드 블록들 모두의 길이를 따라 캐비티로의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을 맞추어서, 모든 몰드 캐비티가 동시에 그리고 동일한 속도로 채워지도록 한다. 따라서 몰드 캐비티 채움 공정은 종방향뿐만 아니라 좌우로 제어 및 균형이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8)

  1. 전지 부품 몰딩 장치로서,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블록;
    상기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을 따라 대체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상기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
    상기 트로프에 용융 금속을 제공하기 위한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트로프에는 상기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트로프는 제1 단부; 제2 단부 및 중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위어는 상기 중심부를 따라 제공되고,
    2개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되되, 상기 공급 트로프의 각 단부에 하나씩 있으며, 상기 체적 조정 메커니즘들은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복수의 인덱싱된 위치들 사이에서 조정되도록 배치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사용시 트로프의 길이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정 가능한 단부 벽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또는 각각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공급 트로프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 요소를 포함하는,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공급 트로프 내에 종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 조정 메커니즘은 상기 요소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배치되는 잠금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에는 그 상부 표면을 따라, 상기 잠금 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노치 또는 오목부를 정의하는 캐스터레이션이 구비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공급 트로프 아래로 연장되는 공급 통로;
    상기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트로프를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통로;
    용융 금속을 공급하는 펌프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공급 통로와 유체 연통되는 공급 펌프 입구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통로는,
    상기 공급 트로프 아래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 트로프에 연결된 내부 공급 통로;
    상기 내부 공급 통로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공급 펌프 입구와 유체 연통되는 외부 공급 통로; 및
    상기 외부 공급 통로로부터 내부 공급 통로로 이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통로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급 펌프는 상기 장치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몰드 블록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제공되며,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제2 몰드 블록;
    상기 제2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제2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상기 제2 공급 트로프와 상기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
    상기 용융 금속을 제2 트로프에 제공하기 위한 제2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급 트로프에는 상기 제2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작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되는,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2개의 추가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이 제공되되, 제2 공급 트로프의 각 단부에 하나씩 있고, 상기 체적 조정 메커니즘들은 독립적으로 조정 가능한, 장치.
  14. 전지 부품 몰딩 방법으로서,
    복수의 몰드 캐비티를 갖는 몰드 블록; 상기 몰드 블록에 인접하고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용융 금속 공급 트로프; 공급 트로프와 각각의 캐비티 사이의 복수의 위어를 포함하는 전지 부품 몰딩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 금속을 공급 트로프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 금속이 동시에 복수의 몰드 캐비티로 위어를 넘어 흐르도록 공급 트로프의 체적을 변경시키기 위해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몰드 블록의 길이를 따라 캐비티로의 상기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기 공급 트로프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의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적을 조정하는 단계는 좌측 및 우측 몰드 블록 모두의 길이를 따라 캐비티로의 용융 금속의 흐름을 균형을 맞추기 위해 좌측 및 우측 공급 트로프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체적 조정 메커니즘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7.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지 부품 몰딩 장치.
  18. 실질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전지 부품 몰딩 방법.
KR1020177013844A 2014-10-20 2015-10-14 전지 부품 몰딩 장치 KR20170072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418628.2 2014-10-20
GB1418628.2A GB2531533B (en) 2014-10-20 2014-10-20 Apparatus for moulding battery components
PCT/GB2015/053047 WO2016063012A1 (en) 2014-10-20 2015-10-14 Apparatus for moulding battery compon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09A true KR20170072309A (ko) 2017-06-26

Family

ID=5201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3844A KR20170072309A (ko) 2014-10-20 2015-10-14 전지 부품 몰딩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68530B2 (ko)
EP (1) EP3209444B1 (ko)
JP (1) JP2017531561A (ko)
KR (1) KR20170072309A (ko)
CN (1) CN107073569A (ko)
ES (1) ES2799348T3 (ko)
GB (1) GB2531533B (ko)
MX (1) MX2017005083A (ko)
PL (1) PL3209444T3 (ko)
TW (1) TW201628737A (ko)
WO (1) WO20160630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80853B (zh) * 2018-04-26 2020-02-07 天能集团(河南)能源科技有限公司 铅酸蓄电池极板群铸焊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048075B (zh) * 2019-05-06 2021-12-10 天能集团(河南)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加酸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0120A (en) * 1973-09-10 1979-12-25 General Battery Corporation Cast-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sting parts onto the lugs of lead-acid battery plates stacks
US4327890A (en) * 1977-11-10 1982-05-04 Mac Engineering Battery strap and post cast-on multi use mold
DE3620891A1 (de) * 1986-06-21 1987-12-23 Varta Batterie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polbruecken und polen mit den fahnenableitern eines plattensatzes fuer eine akkulumatorenzelle
CN87203301U (zh) * 1987-05-23 1988-01-13 刘世光 散啤酒零售机
GB8923690D0 (en) * 1989-10-20 1989-12-06 Drg Uk Ltd Casting apparatus
GB9300356D0 (en) * 1993-01-09 1993-03-03 Tbs Eng Ltd Apparatus for assembling battery plates
JPH09174226A (ja) * 1995-12-22 1997-07-08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極板群の耳群接続用ストラップの鋳造法
JP3961776B2 (ja) * 2001-03-22 2007-08-22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のストラップ形成用鋳型、及び鉛蓄電池の製造方法
GB0302268D0 (en) * 2003-01-31 2003-03-05 Tbs Eng Ltd Apparatus for connecting a battery plate to a metal strap or post
WO2006006430A1 (ja) * 2004-07-09 2006-01-19 Gs Yuasa Corporation ストラップ、鋳造用金型、入子、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JP2006021240A (ja) * 2004-07-09 2006-01-26 Gs Yuasa Corporation:Kk フロート式鋳造方法及びフロート式鋳造装置
JP2011031262A (ja) * 2009-07-30 2011-02-17 Furukawa Battery Co Ltd:The キャストオンストラップ鋳造装置
CN102126016A (zh) * 2011-04-08 2011-07-20 陈义忠 一种改良的电池铸焊模具
GB2507485B (en) * 2012-10-30 2015-08-05 Tbs Eng Ltd Lead delivery apparatus
CN203679238U (zh) * 2014-02-21 2014-07-02 浙江海悦自动化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汇流排的铸焊模具
CN103817311B (zh) * 2014-02-21 2017-01-18 浙江海悦自动化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蓄电池汇流排的铸焊模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73569A (zh) 2017-08-18
TW201628737A (zh) 2016-08-16
MX2017005083A (es) 2017-12-12
WO2016063012A1 (en) 2016-04-28
PL3209444T3 (pl) 2020-09-07
US20180311725A1 (en) 2018-11-01
US10668530B2 (en) 2020-06-02
JP2017531561A (ja) 2017-10-26
ES2799348T3 (es) 2020-12-16
EP3209444A1 (en) 2017-08-30
GB201418628D0 (en) 2014-12-03
EP3209444B1 (en) 2020-03-25
GB2531533B (en) 2018-10-10
GB2531533A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95886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battery plate to a metal strap or post
EP2448084A2 (en) Battery charger
EP3470151B1 (en) Forming of battery components
KR20170072309A (ko) 전지 부품 몰딩 장치
US10814384B2 (en) Apparatus for moulding battery components
BRPI0908161B1 (pt) bocal superior adaptado para ser disposto dentro de uma abertura de descarga de um distribuidor ou de uma panela
CN108907103B (zh) 一种阶梯浇注系统用浇口盆
JP6349160B2 (ja) 電気接続箱
CN211138031U (zh) 一种注塑模具流道流量控制器及注塑模具
CN218638545U (zh) 一种冰盘压铸模具
CN114850425B (zh) 一种顺序浇注分流盘
CN211052480U (zh) 一种压铸模具进浇结构及压铸模具
CN220034715U (zh) 一种对车针电镀加厚的能使药液均匀分布的循环装置
CN219466825U (zh) 多通道连接器外壳注塑模具
CN115069986B (zh) 一种基于自冷却型的egr阀座铸造模具
CN209142465U (zh) 一种电池挂卡承载装置
JP7148122B2 (ja) 越流型処理槽の改修工法
WO20071116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attery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