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2045A -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2045A
KR20170072045A KR1020150180394A KR20150180394A KR20170072045A KR 20170072045 A KR20170072045 A KR 20170072045A KR 1020150180394 A KR1020150180394 A KR 1020150180394A KR 20150180394 A KR20150180394 A KR 20150180394A KR 20170072045 A KR20170072045 A KR 2017007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nection
user
signal
management server
unique ident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8479B1 (ko
Inventor
오동근
Original Assignee
오동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근 filed Critical 오동근
Priority to KR1020150180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479B1/ko
Priority to PCT/KR2015/013871 priority patent/WO2017104866A1/ko
Publication of KR2017007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G06K9/0049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H04W4/0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자동 통화 연결 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사용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상대 번호 획득부, 및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Public telephone capable of automatic call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and Traffic signal assistive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call connection}
본 발명은 교통신호 보조장치 및 공중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중 전화기는 일반인이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장소에 설치된 전화기이다. 관련하여,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19150호에는 음성 서비스를 위주로 한 공중 전화를 개선하여 화상, 음성, 데이터 등의 정보 교환을 할 수 있는 공중용 화상 전화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요즘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바, 공중 전화기의 필요성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한편,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면서 아이들이 홀로 밖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 대부분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공중 전화기를 이용하여 부모에게 전화를 걸 수 있으나, 전화번호를 외우고 있지 못하여 전화를 할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리고 부모는 아이의 안전이 걱정되지만, 현실적으로 24시간 보호하고 있을 수가 없다. 이를 위해,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98958호에는 어린이 위치 확인 및 비상버튼 기능을 갖는 위치 추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아이들이 휴대하는 GPS가 탑재된 비상버튼 기기가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관제 센터로 보고하여 관제 센터에서 아이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하며, 관제 센터에서 아이가 위치한 장소의 CCTV 영상을 부모의 휴대전화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모는 아이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모 입장에서 아이의 안전을 확인하고 위급 상황시 대처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은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 입장에서 불안감이나 기타 다른 이유로 부모에게 연락을 취해야 할 때, 전화번호를 알지 못하더라도 공중 전화기가 있으면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이 요구된다.
한편, 도로에 형성된 횡단보도의 주변에는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을 설치하여 사람이 횡단보도를 건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통신호 제어기가 보행자 신호등 및 차량 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여, 차도상의 차량은 횡단보도 앞에서 정지하도록 하고 사람은 횡단보도를 안전하게 건너도록 한다. 이때, 보행자 신호등은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것을 단속하기 위한 보행자 신호를 표시하며, 차량 신호등은 차량의 주행이나 정지를 나타내기 위한 차량 신호를 표시한다.
따라서 보행자와 운전자는 보행자 신호 및 차량 신호를 준수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차량 운전자들이 횡단보도에 보행자가 없을 경우 차량 신호등에 정지신호가 표시되어 있더라도 그대로 통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달려오는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고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에서는 운전자의 주의가 더 필요한 실정이나, 대부분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형성된 횡단보도를 통행할 때에 규정속도나 차량신호를 지키지 않아 이로 인하여 해마다 어린이 보호구역 내의 횡단보도에서 교통사고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발신자가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상대방과 전화 연결할 수 있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 및 교통신호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장치는 사용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상대 번호 획득부, 및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 번호 획득부는 관리 서버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상대방 식별 정보는 상대방의 호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방법은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식별자 인식 단계,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질의하여 등답받는 질의응답 단계, 및 응답받은 상대방 전호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연결 시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질의응답 단계는 인식된 고유 식별자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로부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대방들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대방 식별 정보는 상대방의 호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양상에 따른 교통신호 보조장치는 디스플레이, 및 신호등과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상대 번호 획득부, 및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근거리 무선 통신기(비컨)만 소지하고 있으면 전화번호를 모르더라도 공중 전화기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상대방과 통화할 수 있다. 이는 전화번호를 잘 외우지 못하는 어린이에게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또한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자동 통화 연결 공중 전화기의 상대방 선택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교통신호 보조장치가 횡단보도에 장착된 일 예시도이다.
도 9는 교통신호 보조장치가 횡단보도에 장착된 다른 예시도로, 디스플레이의 표시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교통신호 보조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보조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통화 연결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 통신기(10)와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와 관리 서버(30) 및 통신 단말(40)을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며,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와 관리 서버(30) 및 통신 단말(40)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하나 이상의 동종망 또는 이종망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공중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과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망의 경우 통신 프로토콜이 상이한 이종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가능한 기기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는 주기적으로 약속된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기로서, 악세서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는 시계나 목걸이 등의 디자인을 갖도록 제작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는 비컨(Beacon)이다. 이 비컨은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에서 단방향으로 계속해서 신호를 송출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를 비컨이라 한다.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는 곳곳에 설치되는 공중 전화기로서, 텔레폴(Telepole)이라 명할 수 있다.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는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는데, 사용자가 소지한 비컨(10)에서 송출되는 신호(이하 ‘비컨 신호’라 한다)를 수신하며, 수신된 비컨 신호에 따라 미리 지정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는 비컨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인 비컨 ID(Unique User Identifier, UUID)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여 해당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화번호로 호(call) 연결을 시도한다.
관리 서버(30)는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들의 정보를 관리한다. 가입자는 비컨과,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둘 이상의 가입자가 동일한 비컨에 대해 서로 다른 전화번호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이의 아빠와 엄마가 각각 아이가 소지한 비컨과 자신의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는 비컨별 등록된 전화번호를 관리하며,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에 제공한다.
통신 단말(40)은 통화 기능을 갖는 단말로서, 앱 마켓(App market)을 통해 앱 다운로드, 설치, 삭제가 자유로운 스마트폰일 수 있다. 통신 단말(40)은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App)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고, 비컨 정보 및 전화번호를 등록하여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가입자는 자신의 통신 단말(40)을 이용하여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에 가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공중 전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통화 연결 공중 전화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0)와 네트워크 통신부(110)와 저장부(120)와 음성 입출력부(13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나아가, 자동 통화 연결 공중 전화기는 디스플레이(1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00)는 비컨(10)으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100)는 블루투스 4.0 기반의 통신 모듈이다. 네트워크 통신부(11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서, PSTN 모뎀을 포함할 수 있으며, TCP/IP, VoIP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20)에는 장치 전반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저장부(120)에는 비컨(10)별로 자동 통화 연결 서비스용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음성 입출력부(130)는 통화를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와, 사용자에게 상대방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및 입출력 음성 신호 처리를 위한 음성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으며, 터치패널을 포함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카메라(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기(10)를 소지하고 근접한 사용자를 촬영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150)는 사용자가 근접하였을 경우에만 활성화된다. 카메라(150)는 영상 통화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인식부(161)와 상대 번호 획득부(162) 및 호 처리부(163)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식부(161)와 상대 번호 획득부(162) 및 호 처리부(163)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미리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다가 제어부(160)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인식부(16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00)를 통해 비컨 신호를 수신하며, 비컨 신호에 담긴 비컨 식별자를 통해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에 근접한 사용자를 인식한다. 사용자 인식부(161)가 사용자를 인식하는 근접 거리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cm 이내에 위치하였을 때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인식된 사용자, 즉 인식된 비컨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20)에는 미리 비컨별로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관리 서버(30)로부터 비컨별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부(120)에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비컨별로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저장부(120)에 저장되어 있으면,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저장부(120)를 검색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30)에 요청하여 획득할 수도 있다. 상대 번호 획득부(162)가 사용자 인식부(161)에 의해 인식된 비컨 식별자를 네트워크 통신부(110)를 통해 관리 서버(30)로 전송하면, 관리 서버(30)는 비컨 식별자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회신하며, 이에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네트워크 통신부(110)를 통해 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호 처리부(163)는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call procssing). 호 처리부(163)는 PSTN 망을 이용하여 호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고,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에 따른 호 연결을 시도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호 처리부(163)는 사용자, 즉 비컨 소지자로부터 직접적인 호 연결 요청이 있으면 호 연결을 시도한다. 사용자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에 구비된 물리적 버튼을 눌러 호 연결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고, 아니면 디스플레이(140)를 터치하여 호 연결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40)에는 호 연결 요청을 위한 특정 캐릭터나 아이콘이 표시되며, 사용자가 이를 터치하면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된다. 호 연결 요청이 입력되면, 호 처리부(163)는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며 상대방이 응답하면 호 연결되어 사용자와 상대방 간에 통화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호 연결은 음성 통화 연결이거나 영상 통화 연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컨을 소지한 사용자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에 가까이 다가가기만 하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상대방과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화번호를 외우지 못하는 어린이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외국인 관광객에게도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항이나 기타지역에서 외국인 관광객에게 헬프콜로 자동 연결해주는 비컨을 나누어주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비컨(10)에 대해 등록된 상대방이 둘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을 위해,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둘 이상의 상대방 식별정보를 화면 출력한다. 상대방 식별정보는 상대방 호칭이나 얼굴 이미지 등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저장부(120)에는 상대방 전화번호 외에 상대방 식별정보도 저장되어 있다. 이 경우,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저장부(120)를 검색하여 상대방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관리 서버(30)에 상대방 식별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방식으로 획득할 수도 있다. 획득된 상대방 식별정보는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상대방 식별정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상대 번호 획득부(162)는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상대 번호 획득부(162)가 관리 서버(30)로부터 상대방 식별정보와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경우, 상대방 식별정보와 함께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대방 식별정보를 먼저 획득한 후에 통화할 상대방이 정해지면 그 정해진 상대방의 전화번호만 획득할 수도 있다. 참고로, 비컨(10)에 대해 등록된 상대방이 한명일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상대방 식별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선택하는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자동 통화 연결 공중 전화기의 상대방 선택을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3의 (a)와 (b)는 상대방이 한 명일 경우로, (a)에서는 상대방 호칭인 ‘엄마’가 화면 표시되며, 사용자가 전화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에 호 연결이 시도된다. 그리고 (b)에서는 상대방의 이미지가 화면 표시되며, 사용자가 전화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에 호 연결이 시도된다. 혹은 이미지를 눌러도 호 연결이 시도될 수 있다. 도 3의 (c)와 (d)는 상대방이 두 명일 경우로, (a)에서는 상대방 호칭인 ‘엄마’와 ‘아빠’가 화면 표시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에 호 연결이 시도된다. 그리고 (d)에서는 엄마 이미지와 아빠 이미지가 화면 표시되며, 사용자가 전화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에 호 연결이 시도된다.
한편, 제어부(160)는 카메라(150)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 통화 데이터 및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네트워크 통신부(110)를 통해 관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는 이를 보관할 수 있다. 이는 혹시 모를 사건사고를 대비해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자동 통화 연결 방법의 수행 주체를 텔레폴이라 한다. 텔레폴(20)은 사용자가 소지한 비컨(10)으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한다(S100). 텔레폴(20)은 수신된 비컨 신호를 분석하여 비컨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한다(S200). 텔레폴(20)은 인식된 고유 식별자를 이용하여 관리 서버(30)에 비컨(10)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질의하여 응답받는다(S300). 텔레폴(20)은 S300을 통해 얻어진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한다(S400). 상대방이 응답하면, 텔레폴(20)은 상대방의 통신 단말(40)과 호를 연결시킨다(S500). 이에 따라 사용자와 상대방은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하게 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질의응답 단계의 흐름도이다. 텔레폴(20)은 관리 서버(30)로 비컨 식별자를 전송하며(S310), 그에 대한 응답으로 관리 서버(30)로부터 상대방 식별정보와 전화번호를 수신한다(S311). 텔레폴(20)은 수신된 상대방 식별정보를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화면 출력한다(S312). 텔레폴(20)은 사용자로부터 통화할 상대방을 선택 입력받으며(S313),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30)에 요청하여 수신한다(S314)(S315). 도 5에 예시된 절차는 상대방이 둘 이상일 경우에 적합하다. 상대방이 한 명일 경우에는 S311 단계에서 상대방 식별 정보와 함께 전화번호도 함께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S314와 S315 단계는 당연히 필요치 않다. 물론 상대방이 둘 이상일 경우에도 S311 단계에서 상대방 식별 정보와 함께 전화번호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보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자동 통화 연결 장치(20) 대신에 도 6에 도시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가 구성될 수 있다. 교통신호 보조장치(50)는 교통 신호등을 보조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횡단보도 및 어린이 보호구역(School Zone)에 대한 시인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본체(210)는 횡단보도 주변이나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의 대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211)과 횡단보도의 대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면(2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210)는 각기둥으로 이루어지되,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1면(211)이 도로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고 제2면(212)이 횡단보도 쪽을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되는 것이다. 제1면(211)과 제2면(212)의 배치는 도 7 내지 도 9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는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에 잘 띄도록 본체(50)의 제1면(21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신호등 신호와 연동되어 교통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디스플레이(220)는 LCD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220)가 신호등과 연동됨에 따라, 신호등에 적색 또는 황색신호가 표시되면 디스플레이(220)에는 “차량멈춤” 등과 같은 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신호등에 녹색신호가 표시되면 “어린이 보호구역”이나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나 어린이 보호구역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횡단보도나 어린이 보호구역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어린이들이 안심하고 등하교할 수 있게 되고,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230)는 본체(50)의 제2면(212)에 장착되어 보행자 및 차량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260)에 저장된다. 이 카메라는 카메라 역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카메라(230)가 횡단보도나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을 실시간으로 촬영함에 따라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실종 및 납치와 같은 사건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사건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각종 범죄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갖는 교통신호 보조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보조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와 네트워크 통신부(250)와 저장부(260)와 디스플레이(220)와 카메라(23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비컨(10)으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블루투스 4.0 기반의 통신 모듈이다. 네트워크 통신부(250)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로서, PSTN 모뎀을 포함할 수 있으며, TCP/IP, VoIP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26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60)에는 장치 전반을 운용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디스플레이(2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다. 카메라(230)는 보행자 및 차량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저장부(260)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장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제어부(270)는 신호등과 연동하여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화면을 제어한다. 즉, 신호등의 색상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220)의 출력을 달리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어부(270)는 신호등 신호와의 연동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등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22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7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를 통해 수신된 비컨 신호로부터 비컨 식별자를 인식할 수 있으며,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과 보행자의 비컨 식별자를 관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30)는 이를 수신하여 보호자의 통신 단말(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의 위치는 추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교통신호 보조장치는 상술한 자동 통화 연결 장치의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교통신호 보조장치는 도 7의 구성 외에 도 2의 구성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단, 중복되는 하드웨어 자원 및 소프트웨어 자원은 하나만 둘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각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00)와 도 7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40)는 동일한 역할을 하는바 하나만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역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바, 서로 다른 영역에서 사용자를 인식하도록 별도로 있을 수도 있다. 도 2의 디스플레이(140)와 도 7의 디스플레이(220)는 서로 다른 역할을 하는바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둘 수 있다. 그러나 하나만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교통신호 보조장치는 상술한 자동 통화 연결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인식부(161)와 상대 번호 획득부(162) 및 호 처리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7의 제어부(270)가 사용자 인식부(161)와 상대 번호 획득부(162) 및 호 처리부(163)를 포함하여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교통신호 보조장치가 횡단보도에 장착된 일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보조장치(50)들은 서로 대각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본체(210)의 제1면(211)에는 디스플레이(220)가 장착되므로, 횡단보도(90)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에 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켜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횡단보도(9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90)를 향하도록 배치된 본체(210)의 제2면(212)에는 카메라(230)가 장착되므로, 횡단보도(90) 주변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실종사고가 발생할 경우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증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교통신호 보조장치가 횡단보도에 장착된 다른 예시도로, 디스플레이의 표시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교통신호 보조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통신호 보조장치(50)는 4개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교통신호 보조장치(50)들은 서로 대각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나머지 한 쌍의 교통신호 보조장치(50)들은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먼저 배치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들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20)가 장착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가 횡단보도(90)의 전방과 후방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횡단보도(90)로 진입하는 차량의 운전자의 양측 시야를 모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로 하여금 보행자에 대한 안전의식을 고취시켜 안전운전을 유도함으로써 횡단보도(9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30)가 장착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가 횡단보도(90)의 전방과 후방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카메라(230)는 횡단보도(90) 및 그 주변을 사각지대 없이 고르게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횡단보도(90) 주변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거나 실종사고가 발생할 경우 카메라(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증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30)는 외부로부터 요청이 발생하면 횡단보도 근처나 어린이교통보호구역 내에 설치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 중 하나에 접속하여 카메라(23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횡단보도(90)나 어린이 보호구역 주변을 감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30)는 경찰 통제실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교통신호 보조장치(50)가 고유의 IP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어 교통신호 보조장치(50)가 장착된 주변에서 사고가 접수된 경우, 관리 서버(30)를 통해 교통신호 보조장치(50)에 접속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사고현장을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어 사고처리를 위한 지휘를 신속히 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관리 서버(30)는 실종자 추적 기능도 가질 수 있다. 관리 서버(30)는 실종자들의 얼굴 영상 정보가 등록된 실종자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교통신호 보조장치(50)로부터 수신된 영상, 예를 들어 횡단보도 영역을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보행자들의 얼굴 영상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얼굴 영상 정보가 실종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실종자를 찾아낼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교통신호 보조장치(50)는 예시적인 것으로, 교통신호 보조장치(50)는 카메라(230)와 디스플레이(220)의 배치는 도 6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신호 보조장치(50)는 도 11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체(210)에는 상단에 횡단보도를 촬영하는 카메라(230)가 마련되고, 그 아래에 디스플레이(220)가 마련되며, 그 하단에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 즉 근거리 무선 통신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비컨 20 : 자동 통화 연결 장치
30 : 관리 서버 40 : 통신 단말
100 : 근거리 무선 통신부 200 : 네트워크 통신부
300 : 저장부 400 : 음성 입출력부
500 : 디스플레이 600 : 카메라
700 : 제어부 161 : 사용자 인식부
162 : 상대 번호 획득부 163 : 호 처리부

Claims (8)

  1. 사용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상대 번호 획득부; 및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대 번호 획득부는 관리 서버로 고유 식별자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수신하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대방 식별 정보는 상대방의 호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장치.
  4. 사용자가 소지한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단계;
    수신된 비컨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식별자 인식 단계;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질의하여 등답받는 질의응답 단계; 및
    응답받은 상대방 전호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연결 시도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질의응답 단계는 :
    인식된 고유 식별자를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관리 서버로부터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둘 이상의 상대방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대방들의 식별 정보를 사용자에게 화면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관리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상대방 전화번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대방 식별 정보는 상대방의 호칭 또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방법.
  7. 교통신호 보조장치에 있어서,
    본체;
    본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본체에 장착되어 보행자 및 차량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신호등 신호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 제어하며, 촬영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전송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
    사용자의 근거리 무선 통신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수신된 신호에 포함된 고유 식별자를 인식하는 사용자 인식부;
    인식된 고유 식별자에 대응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획득하는 상대 번호 획득부; 및
    획득된 상대방 전화번호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본체는 도로의 대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과, 횡단보도의 대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2면으로 형성되며,
    제1면에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제2면에는 카메라가 장착된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KR1020150180394A 2015-12-16 2015-12-16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KR101838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94A KR101838479B1 (ko) 2015-12-16 2015-12-16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PCT/KR2015/013871 WO2017104866A1 (ko) 2015-12-16 2015-12-17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394A KR101838479B1 (ko) 2015-12-16 2015-12-16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045A true KR20170072045A (ko) 2017-06-26
KR101838479B1 KR101838479B1 (ko) 2018-03-14

Family

ID=5905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394A KR101838479B1 (ko) 2015-12-16 2015-12-16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8479B1 (ko)
WO (1) WO20171048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56B1 (ko) * 2022-11-24 2023-08-30 진덕진 호출자의 정보 보호를 위한 스마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819A (ko) * 2004-03-10 2005-09-14 박민 비상계획에 따른 응급전화 전달장치 및 방법
KR100687202B1 (ko) * 2005-09-12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 발신 방법
KR20120050265A (ko) * 2010-11-10 2012-05-18 트라텍정보통신 주식회사 휴대전화를 매개로 긴급상황을 알리기 위한 시스템
KR101358667B1 (ko) * 2012-04-12 2014-02-25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재난대응 및 멀티콘텐츠와 상호작용 정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1355682B1 (ko) * 2012-08-14 2014-01-27 양봉영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스마트 공중전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6038A (ko) * 2013-08-30 2015-03-1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Nfc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59087B1 (ko) * 2014-05-19 2014-11-12 강원석 교통신호 보조장치 및 보조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456B1 (ko) * 2022-11-24 2023-08-30 진덕진 호출자의 정보 보호를 위한 스마트 대리운전 호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479B1 (ko) 2018-03-14
WO2017104866A1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32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키오스크 제어 리모컨 시스템
CN108924364B (zh) 消息提醒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558957A (zh) 选择车辆上车位置
US20140100773A1 (en) Method of Assista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US7412264B2 (en) Lone worker monitor
CN106255071A (zh) 发送求救信息的方法及装置
JP2005117621A (ja) 画像配信システム
CN108039170A (zh) 用于紧急救助的通信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392628B1 (ko) 통합 관제를 이용한 안심 귀가 시스템
JP2002032897A (ja) タクシーの配車サービス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Mataró et al. An assistive mobile system supporting blind and visual impaired people when are outdoor
KR101838479B1 (ko) 자동 통화 연결 장치와 방법, 및 자동 통화 연결 가능한 교통신호 보조장치
JPH0758823A (ja) 電話発信システム
KR101260879B1 (ko) 이동로봇의 인물탐색 방법
JP2001221649A (ja) 歩行者誘導システム
KR20180087585A (ko) 정류장 및 택시 정보 안내 시스템
JP2001344355A (ja) 支援必要者用遠隔支援システム
KR20130131511A (ko) 시각 장애인용 안내장치
KR100750064B1 (ko) 휴대용 무선데이터 송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128149A (ja) 視覚障害者歩行支援方法及び支援システム
KR102013558B1 (ko) 버스 정보 안내 단말기 기반 버스정보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04375A (ko) 원스톱 실시간 경호제공 시스템 및 경호제공 방법
JP2001266296A (ja) 駐車場監視システム
CN108158063B (zh) 雨衣控制方法及装置
EP3962174A1 (en) Network switching resource determining method and network switching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