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1905A -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 Google Patents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1905A
KR20170071905A KR1020150180111A KR20150180111A KR20170071905A KR 20170071905 A KR20170071905 A KR 20170071905A KR 1020150180111 A KR1020150180111 A KR 1020150180111A KR 20150180111 A KR20150180111 A KR 20150180111A KR 20170071905 A KR20170071905 A KR 20170071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valve
thickness
vehicle
intake manifold
val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253B1 (ko
Inventor
김숙영
김영진
김지선
서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5018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25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02B27/0273Flap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관이 각각 구비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구비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이고, 일측단부가 구동부에 연결되는 구동축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변밸브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밀폐시키는 몰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상기 구동부에서 먼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관을 균일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엔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엔진의 소음을 크게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VARIABLE CHARGE MOTION VALVE STRUCTURE WITH DIFFERENCE THICKNESS MOLDING OF INTAKE MANIFOLD FOR VEHICLE}
본 발명은 두께가 다른 러버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구동축에 다수의 가변밸브판이 장착된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각 가변밸브판에서 고르고 균일한 개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두께가 다른 러버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블록에 의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실린더를 가지고, 각 실린더 내에서 적정 비율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가 연소됨으로써 발생하는 운동에너지를 차량의 구동에 이용한다.
상기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는 흡기 매니폴드에 연결되며, 상기 흡기 매니폴드는 상기 실린더에 연료/공기 혼합물을 공급하는 차량용 엔진의 일부이다.
상기 흡기 매니폴드는 실린더 헤드의 각각의 흡기 포트에 연소 혼합물(또는 직접 분사 엔진에서는 공기)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공급하는 것이다.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는,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에 접속되는 다수의 분기관(10)이 각각 구비되고, 각 분기관(10)에 연통되고 일 측에 외부공기 도중에는 각 분기관(10)에 공통적으로 연통되며 일 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23)가 형성된 서지탱크부(20)를 포함한다.
상기 분기관(10)은 입구측에 설치되는 가변밸브(Variable Charge Motion Valve)에 의해 유로가 개폐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수의 분기관(10)을 개폐하는 가변밸브는 일측이 구동부와 연결되는 하나의 구동축에 각 분기관(10)을 개폐하는 다수의 가변밸브판이 장착된 구조로써,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구동부의 반대편 측에 구비되는 가변밸브판에 구동부의 힘을 균일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의 반대편 측에 구비되는 가변밸브판의 경우 분기관(10)을 닫을 때 밸브 안착부와의 간격이 발생하여 엔진의 성능이 저하의 원인 및 엔진 소음을 증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부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는 가변밸브판의 몰딩부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하나의 구동축에 의해 각각의 분기관이 균일하게 개폐될 수 있도록 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는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관이 각각 구비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구비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이고,일측단부가 구동부에 연결되는 구동축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변밸브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밀폐시키는 몰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상기 구동부에서 먼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 중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구동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일부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가 이외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는 상기 구동부 측에서부터 차례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기관의 개수가 4개이고, 상기 가변밸브 플랩부재가 상기 분기관와 대응되게 4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측에서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두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10% 이상의 두께를 더 가지며, 상기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10% 이상 15%미만의 두께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5% 이상의 두께를 더 가지며, 상기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5% 이상 10%미만의 두께를 더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동부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는 가변밸브판의 몰딩부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각각의 분기관을 균일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엔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엔진의 소음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B-B'단면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1)는,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관(10)이 각각 구비되고, 각 분기관(10)에 연통되고 일 측에 외부공기 도중에는 각 분기관(10)에 공통적으로 연통되며 일 측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23)가 형성된 서지탱크부(20)를 포함한다.
도 2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각각의 상기 분기관(10) 내 유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 의해 개폐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는 일측단부가 구동부(D)에 연결되는 구동축부재(100) 및 상기 구동축부재(100)에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10)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변밸브판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는 각각 상기 구동축부재(100)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축부재(100)와 일체로 회전되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외측 둘레에는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10)을 밀폐시키는 몰딩부(210)가 구비된다.
상기 몰딩부(210)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 고무재질로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외측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분기관(10)의 유로 내주면 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밀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밸브 안착부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외측 둘레와 일부분 겹쳐지는 테두리부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외측 둘레의 일부분이 안착되면서 상기 분기관(10) 유로의 유로를 닫을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 안착부의 구조는 공지의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가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와 동일하여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상기 몰딩부(210)는, 상기 밸프판부재의 외측단 둘레에서 상기 밸브 안착부와 겹쳐지는 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에 의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가 닫힐 때 더 견고하게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몰딩부(210)는 고무재질 또는 합성 고무재질 이외에도 탄성을 가져 상기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10) 유로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어떠한 재질로도 변형 실시 가능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의 특징은 상기 구동부(D)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 두께보다 상기 구동부(D)에서 먼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구동축부재(100)는 일단부 측에만 상기 구동부(D)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D)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D)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에는 상기 구동부(D)의 구동력이 최소한의 손실로 전달되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닫을 때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가 상기 밸브 안착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상기 구동부(D)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에는 상기 구동부(D)의 구동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해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닫을 때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가 상기 밸브 안착부에 강하게 밀착되지 못해 사이에 간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는 상기 구동부(D)의 구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상기 구동부(D)에서 먼 측 즉, 상기 구동부(D)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 두께를 더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분기관(10)의 유로를 닫을 때 상기 몰딩부(210)가 상기 밸브 안착부에 강하게 밀착되어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와 상기 밸브 안착부 사이에서 간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 중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구동부(D)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일부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가 이외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4기통 엔진과 같이 상기 분기관(10)의 개수가 4개이고,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가 상기 분기관(10)와 대응되게 4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D) 측에서 첫번째와 두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a)보다 세번째와 네번째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의 두께(tb)를 더 두껍게 형성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에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내의 가변 밸브 구조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단면도이다.
더 상세하게 도 5 및 도 6은 6기통 엔진과 같이 상기 분기관(10)의 개수가 6개이고,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가 상기 분기관(10)와 대응되게 6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몰딩부(210) 두께를 상기 구동부(D) 측에서부터 차례로 두껍게 형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가 상기 분기관(10)와 대응되게 6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D) 측에서 첫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1)보다 두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2)를 더 두껍게 형성하고, 두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2)보다 세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3)를 더 두껍게 형성하고, 세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3)보다 네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4)를 더 두껍게 형성하고, 네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4)보다 다섯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5)를 더 두껍게 형성하고, 다섯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5)보다 여섯번째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의 상기 몰딩부(210) 두께(t6)를 더 두껍게 형성한 예이다.
상기 가변밸브판부재(200)에서 상기 몰딩부(210)의 두께 차이는 상기 구동부(D)의 구동력 차이에 따라 상기 분기부의 유로가 닫을 때 하나의 상기 구동축부재(100)에 장착된 모든 상기 밸브판부재의 상기 몰딩부(210)가 상기 밸브 안착부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상기 분기관(10)을 균일하게 밀폐시킬 수 있는 정도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구동부(D)의 반대편 측에 배치되는 가변밸브판의 몰딩부(210)를 더 두껍게 형성하여 각각의 분기관(10)을 균일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엔진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엔진의 소음을 크게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 10 : 분기관
20 : 서지탱크부 100 : 구동축부재
200 : 가변밸브판부재 210 : 몰딩부

Claims (5)

  1. 차량용 엔진의 각 실린더의 흡기 포트에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관이 각각 구비되는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에서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구비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이고,
    일측단부가 구동부에 연결되는 구동축부재; 및
    상기 구동축부재에 이격되게 장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개폐하는 복수의 가변밸브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외측 둘레에는 밸브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분기관을 밀폐시키는 몰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가까운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상기 구동부에서 먼 측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 중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구동부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일부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가 이외의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밸브판부재의 몰딩부 두께는 상기 구동부 측에서부터 차례로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의 개수가 4개이고, 상기 가변밸브 플랩부재가 상기 분기관와 대응되게 4개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 측에서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두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10% 이상의 두께를 더 가지며,
    상기 네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10% 이상 15%미만의 두께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5% 이상의 두께를 더 가지며,
    상기 세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의 두께는 상기 첫번째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몰딩부 두께보다 가변밸브 플랩부재의 두께 5% 이상 10%미만의 두께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KR1020150180111A 2015-12-16 2015-12-16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KR101837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11A KR101837253B1 (ko) 2015-12-16 2015-12-16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111A KR101837253B1 (ko) 2015-12-16 2015-12-16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905A true KR20170071905A (ko) 2017-06-26
KR101837253B1 KR101837253B1 (ko) 2018-03-09

Family

ID=5928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111A KR101837253B1 (ko) 2015-12-16 2015-12-16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2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614B1 (ko) * 2019-12-30 2021-02-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밸브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6806A (ja) 2005-08-25 2007-03-08 Hino Motors Ltd 吸気制御装置
JP4814158B2 (ja) 2007-06-04 2011-11-16 株式会社ケーヒン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614B1 (ko) * 2019-12-30 2021-02-26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의 밸브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253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6775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20180216508A1 (en) Device for separation of oil, ventilation system, cylinder head cover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641361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の気密保持構造
US10539103B2 (en) Air intake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20060794A1 (en) Throttle Body To Intake Manifold Mounting
CN104421055A (zh) Egr装置
JP4888541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US20140116372A1 (en) Gasket, throttle body
KR101837253B1 (ko) 두께가 다른 몰딩부를 구비한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 밸브 구조체
US20170370478A1 (en) Valve device in a mot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US9556834B2 (en) Intake system
JPH06299919A (ja) 内燃機関の吸気管
US10087899B2 (en) Charge motion control valve seal and method of assembly
JP2015090128A (ja) 吸気制御弁およびその組付方法
KR100455314B1 (ko) 자동차 내연기관용 흡기매니폴드의 밸브구조
JP6173094B2 (ja) 内燃機関用吸気マニホールド
JP4495062B2 (ja) 多気筒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7117837B2 (en) Unit for supplying combustion air to the cylinders of an endothermic engine
JP5633488B2 (ja) 流体制御弁
JP6821488B2 (ja) シール部材及びインテークマニホールド
US20210180548A1 (en) Intake manifold
TWM455065U (zh) 節流閥與進氣歧管間之導流墊片
US10273871B2 (en) Air intake device and valve
JP2011064139A (ja) 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2016169635A (ja) 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