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0398A -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0398A
KR20170070398A KR1020150177854A KR20150177854A KR20170070398A KR 20170070398 A KR20170070398 A KR 20170070398A KR 1020150177854 A KR1020150177854 A KR 1020150177854A KR 20150177854 A KR20150177854 A KR 20150177854A KR 20170070398 A KR20170070398 A KR 20170070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mergency braking
engine speed
gear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242B1 (ko
Inventor
강희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2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7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7/00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 F02D17/04Controlling engines by cutting out individual cylinders;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rendering engines inoperative or idling, e.g. caused by ab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85Taking automatic action to adjust vehicle attitude in preparation for collision, e.g. braking for nose dro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6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main clu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Engin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변속 차량에 탑재된 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가 동작됨에 따라 선행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면 차량을 감속시키는 차량 감속 단계와, 상기 차량 감속 단계에서의 차량 기어 단수를 파악하고,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어 중립 판단 단계와, 상기 기어 중립 판단 단계에서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 및 상기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엔진 연료분사 중지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Engine control system of manual transmission vehicle for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본 발명은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긴급제동장치 작동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동 꺼짐 시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eaking)는 센서를 통하여 전방의 물체와 사람을 인식하고, 인공지능을 통하여 긴급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자동으로 제동하는 기술이다.
여기서, AEB 시스템은 크게 전방의 충돌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센서 신호와 차량의 신호를 통해 충돌을 감지하는 제어부(ESC), 긴급제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운전자에게 디스플레이해주는 클러스터 및 실제로 차량을 제동하기 위해 작동하는 브레이크 엑츄에이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AEB 시스템은 감지영역에 포함된 선행 차량의 정지시에는 자동으로 정지하게 되고, 선행 차량이 3초 이내에 출발하게 되면 자동으로 출발하게 되는데, 오토매틱(AT) 차량의 경우 차량이 정지 되더라도 시동이 꺼지지 않지만, 스틱(MT) 차량의 경우 클러치 패달을 밟지 않으면 시동이 꺼지게 되므로, AEB 시스템을 스틱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스틱 차량의 경우 차량 정지 시 클러치 패달을 밟지 않으면 바퀴가 회전하지 않아 시동이 꺼지게 되고, 그에 따라 큰 충격성 소음과 비정상 엔진 진동이 발생하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클러치 및 트랜스미션 기어, 엔진 콘로드 등이 충격을 받게 되어 손상의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8314호(2015.11.18.)
본 발명의 목적은, ECU에서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감지하여 시동 꺼짐이 예상되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 분사량을 줄임으로써, 긴급제동장치 작동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동 꺼짐 시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은 수동변속 차량에 탑재된 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가 동작됨에 따라 선행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면 차량을 감속시키는 차량 감속 단계와 상기 차량 감속 단계에서의 차량 기어 단수를 파악하고,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어 중립 판단 단계와 상기 기어 중립 판단 단계에서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 및 상기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엔진 연료분사 중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은 상기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기준 엔진 회전수와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는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가 상기 기준 엔진 회전수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엔진 회전수는 차량의 공회전수(idle RPM)로 설정된다.
본 발명은, ECU에서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감지하여 시동 꺼짐이 예상되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 분사량을 줄임으로써, 긴급제동장치 작동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동 꺼짐 시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동변속 차량에 탑재된 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의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이 동작됨에 따라 선행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면 차량을 감속시킨다(S100).
즉, 긴급제동장치는 선행차량 및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 상황에서 자동 제동을 통하여 충돌 방지 및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장치로서, 전방 레이더, 전방 카메라, ESC, 클러스터 등으로 구성되고, 선행차량과 설정된 거리를 유지하며 선행차량과 동일한 속도로 주행하는 도중에 선행차량과의 간격이 줄어들게 되면, 자동으로 차량을 감속시킴으로써, 차량 충돌 회피 또는 충돌 시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긴급제동장치는 오토매틱(AT) 차량의 경우 차량이 정지 되더라도 시동이 꺼지지 않지만, 스틱(MT) 차량의 경우 클러치 패달을 밟지 않으면 시동이 꺼지게 되는데, 이는 비정상 엔진 진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시동꺼짐이 예상되면 엔진 연료 분사를 중지하는 퓨얼 컷(fuel cut)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긴급제동장치가 동작됨에 따라 선행차량과의 간격으로 인해 차량이 감속(S100)하게 되면,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은 차량의 기어 단수를 파악하고,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이때, 긴급제동장치가 구동되는 현재의 기어 단수를 파악하고, 기어가 중립인지 물려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만일 기어가 중립인 경우, 차량이 정차하더라도 시동이 꺼지지 않으므로 차량 감속 단계(S100)로 돌아가게 된다.
이러한 긴급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는 차량의 클러스터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전달되며, 경고등 및 경보음을 출력하여 긴급제동장치의 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기어 중립 판단 단계(S200)에서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한다(S300).
즉,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니더라도 운전자가 클러치를 밟게 됨에 따라 클러치가 기어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차량이 정차해도 시동이 꺼지지 않게 되므로 차량 감속 단계(S100)로 돌아가게 된다.
다시 말해,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니더라도 운전자가 시동꺼짐을 인지하여 클러치에 발을 떼지 않게 되면, 차량 정차 시에도 시동이 꺼지지 않기 때문에, 비정상적인 시동꺼짐으로 발생할 수 있는 파워트레인계 부품 손상의 우려가 없다.
마지막으로,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S300)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은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여 퓨얼 컷 상태가 되도록 한다(S400).
그에 따라, 긴급제동장치 동작 시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니고, 클러치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이 차량의 시동이 꺼질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미리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을 중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시동 꺼짐 시 발생되는 비정상 엔진 진동으로 인한 파워트레인계 부품, 특히 변속기(transmission) 및 클러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S300)에서 클러치가 기어에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의 현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기준 엔진 회전수와 비교한다(S310).
즉,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은 클러치가 기어에 연결된 상태에서 현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고, 이러한 현재 엔진 회전수와 기설정된 기준 엔진 회전수와 비교하여(S310) 현재 엔진 회전수가 기준 엔진 회전수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S400).
여기서, 기준 엔진 회전수는 차량에 따라 서로 다른 값으로 설정되며, 이러한 기준 엔진수는 차량의 공회전수(idle RP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엔진 회전수가 차량의 공회전수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의 엔진 회전수가 공회전수 보다 낮아 차량의 시동이 꺼질 상황인 것으로 판단하여, 긴급제동장치 제어 유닛을 통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엔진 회전수가 차량의 공회전수 보다 낮아 차량의 시동이 꺼질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지기 이전에 미리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퓨얼 컷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시동 꺼짐 시 발생되는 비정상 엔진 진동 등으로부터 파워트레인계 부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ECU에서 긴급제동장치의 작동을 감지하여 시동 꺼짐이 예상되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 분사량을 줄임으로써, 긴급제동장치 작동에 따른 수동 변속기 차량의 시동 꺼짐 시 차량의 파워트레인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수동변속 차량에 탑재된 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가 동작됨에 따라 선행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면 차량을 감속시키는 차량 감속 단계;
    상기 차량 감속 단계에서의 차량 기어 단수를 파악하고, 기어가 중립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어 중립 판단 단계;
    상기 기어 중립 판단 단계에서 기어가 중립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클러치의 연결 여부를 판단하는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 및
    상기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엔진 연료분사 중지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연결 판단 단계에서 클러치가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기준 엔진 회전수와 비교하는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 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엔진 회전수 비교 단계는,
    상기 현재 엔진 회전수가 상기 기준 엔진 회전수 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으로 분사되는 연료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기준 엔진 회전수는,
    차량의 공회전수(idle RPM)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KR1020150177854A 2015-12-14 2015-12-14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KR10178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54A KR101786242B1 (ko) 2015-12-14 2015-12-14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854A KR101786242B1 (ko) 2015-12-14 2015-12-14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398A true KR20170070398A (ko) 2017-06-22
KR101786242B1 KR101786242B1 (ko) 2017-10-17

Family

ID=5928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854A KR101786242B1 (ko) 2015-12-14 2015-12-14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24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0245B2 (ja) * 2013-05-27 2017-07-1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242B1 (ko) 201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0723A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124776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vehicle
CN112428969B (zh) 驾驶辅助装置
JP2010285145A (ja) 車間距離制御装置
KR101526622B1 (ko) 자동긴급제동장치 작동 시 엔진정지 방지 방법
US200702940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Automatic Longitudinal Control of a Motor Vehicle
KR101550638B1 (ko) 차량 구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
WO2015198842A1 (ja)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5550629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0143542A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システム
KR101601770B1 (ko) 차량의 자동 정차 방법 및 정차 장치
KR20200005153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86242B1 (ko) 긴급제동장치 작동을 위한 수동변속 차량의 엔진 제어 시스템
US20180312171A1 (en)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for vehicle and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for vehicle
KR10239484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유 중 엔진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14548B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03184713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再始動装置
KR200267430Y1 (ko) 자동차의 급발진 방지장치
CN107206981B (zh) 用于防止无意的车辆运动的控制单元和方法
KR101468872B1 (ko) 급발진 상황에서의 브레이크 제동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가 동시에 제어되는 제어시스템
KR101508937B1 (ko) 스마트 브레이크 오버라이드 시스템
JP2016070241A (ja) 車両用制御装置
JP6993145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JP6406927B2 (ja) 車両用制御装置
US20230242116A1 (e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