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597A -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597A
KR20170069597A KR1020150177002A KR20150177002A KR20170069597A KR 20170069597 A KR20170069597 A KR 20170069597A KR 1020150177002 A KR1020150177002 A KR 1020150177002A KR 20150177002 A KR20150177002 A KR 20150177002A KR 20170069597 A KR20170069597 A KR 20170069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display
data
display device
unit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송민근
이선희
이종인
이준영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9597A/ko
Priority to PCT/KR2016/003928 priority patent/WO2017099305A1/en
Priority to US15/244,646 priority patent/US9936096B2/en
Publication of KR20170069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6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e.g. a microprocessor
    • H04N1/32571Details of system components
    • H04N1/32577Input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1Input by recognition or interpretation of visible user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93Particular location of the interface or conso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38Modular devices, i.e. allowing combinations of separate components, removal or replacement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04N1/32149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 H04N1/32267Methods relating to embedding, encoding, decoding, detection or retrieval operations combined with processing of the image
    • H04N1/32272Encryption or ciph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58Docking-station, crad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Abstract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도킹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데이터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PORTABLE DISPLAY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DISPLAYING METHOD}
본 개시는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 방식으로 문서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초박형 디스플레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제품은 휴대성 개선을 넘어 종이를 대체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특히, 종이 산업 규모가 크고 종이를 대체함으로써 발생하는 부가가치 비율이 상당히 높기 때문에, 종이 서류를 대체하는 기업용 솔루션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태블릿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이를 대체하기에 무거우며, 가격이 비싸고, 떨어트리면 깨지기 쉽고, 배터리 사용시간이 길지 않은 종이와 상반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이를 통해 협업을 많이 하는 업무 환경에서는 태블릿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도입이 꺼려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쇄 방식으로 문서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도킹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문서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킹부는, 복수의 인쇄용지를 저장하는 카세트부와 교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킹부와 상기 프로세서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측에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의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고-핀(Pogo-Pin)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장치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에 대응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선택받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장치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 각각에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에 속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킹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렬된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사용자 입력이 반영된 갱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 정보를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안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재생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도킹부,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속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의 정보를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보안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보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표시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안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재생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페이지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지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 및 그룹 내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표시될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이지 전환 명령을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페이지 스크롤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를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여 스크롤 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명령을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배치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배치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도킹부에 장착되는 단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도킹부에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은, 데이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속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의 정보를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4 내지 도 7은 도킹부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화상형성장치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도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4의 도킹부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4의 도킹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부의 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
도 15는 도 12의 디스플레이부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b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디스플레이부가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8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9의 복수의 핀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19의 복수의 핀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도킹부의 포고 핀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22 내지 도 25는 호스트 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킹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내지 도 29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0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1 내지 도 43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다양한 인터렉션을 도시한 도면,
도 44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7은 도 46의 데이터 저장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5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개시된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화상형성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시스템(600)은 호스트 장치(400), 화상형성장치(100),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관리 서버(500)로 구성될 수 있다.
호스트 장치(400)는 문서를 저장한다. 여기서 문서는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400)에서 직접 생성한 파일뿐만 아니라, 외부 장치(예를 들어 관리 서버) 등에서 수신한 파일일 수 있다. 그리고 문서는 워드프로세서에서 작성한 파일뿐만 아니라 JPEG, TIFF, BMP 등과 같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일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XPS 파일, PDF 파일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호스트 장치(400)는 PC와 같은 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PMP, MP3 player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400)는 문서에 대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쇄 작업을 수행할 화상형성장치(100)에 대응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선택할 수 있는데, 호스트 장치(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린터 드라이버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문서를 인쇄 데이터를 변환한 이후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화상형성장치(100)가 다이렉트 프린팅을 지원하거나 인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파일이 인쇄 데이터 기능을 수행하는 XPS 파일 등인 경우에는 별도의 변환 과정없이 파일 자체가 화상형성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장치(400)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적재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연결된 경우, 호스트 장치(400)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용의 전자 종이 드라이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종이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를 저장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받거나 해당 문서를 저장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선택받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종이 드라이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서에 대한 각종 보안을 설정받고, 그에 따른 보안 작업 및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반 인쇄 드라이버 대신에 전자종이 드라이버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해당 문서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거나, 해당 문서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스트 장치(400)에서의 인쇄 데이터의 전송 방식에 대해서는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상술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원고를 스캔하고, 원고에 대한 스캔 이미지를 인쇄하거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은 화상형성장치(100) 상의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에 대해서는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장착되면, 신규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외부 관리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복수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거나,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연결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관리 서버(400)는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되는 작업을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4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요청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에 대한 각종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관리 서버(400)는 통상의 과금 서버의 기능과 데이터 관리 서버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시스템(600)은 일반적인 인쇄 방식에서 드라이버를 변경하는 동작만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문서를 전송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하나의 호스트 장치(400),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및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호스트 장치는 복수의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하나의 화상형성장치 역시 복수의 호스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관리 서버(5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관리 서버(50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하고만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호스트 장치(400)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각 장치들은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각 장치들 사이에는 라우터, 공유기 등의 배치될 수 있으며, 유선 방식뿐만 아니라 무선 방식으로도 연견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도시함에 있어서, 화상형성시스템에 호스트 장치(400) 및 관리 서버(500)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호스트 장치(400)만을 포함하거나, 관리 서버(5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간단한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프로세서(120) 및 도킹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캐너, 복사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PC, 노트북 PC, PDA, 디지털 카메라 등의 호스트 장치(400)와 연결되며,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문서를 수신하거나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스캔된 스캔 이미지(또는 이미지 파일)를 호스트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문서는 호스트 장치에서 문서를 변환하여 생성한 인쇄 데이터일 수 있으며, 문서 그자체(예를 들어,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화상형성장치(1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포트(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명령, 스캔 명령 등 화상형성장치(100)의 제어와 관련된 명령을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인쇄 명령에 대응되는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스캔 명령은 스캔 처리만을 포함하는 제어 명령뿐만 아니라, 스캔 처리가 포함되는 복사 명령, 팩스 전송 명령, 스캔 투 서버, 스캔 투 모바일 등 제어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하는 전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해당 인쇄 명령에 대응하여 인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 명령은 해당 인쇄 데이터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해당 인쇄 데이터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그룹 정보, 해당 인쇄 데이터의 디스플레이 형태 정보, 보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그룹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작업 그룹에 속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로, 각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고유의 시리얼 넘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ID는 하나의 패널에 부여되는 고유의 번호이다. 그리고 보안 정보는 암호화 방식, 공개키 정보(또는 개별 키 정보), 전달되는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해당 데이터의 유효 기간 정보, 해당 데이터의 재생 가능한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예를 들어, 스캔 이미지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전달된 이미지 파일)를 호스트 장치(400)에 전송하거나, 관리 서버(5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캔 이미지는 스캔부에서 원고를 스캔하여 생성한 이미지이며, 이미지 파일은 생성된 이미지를 잡 단위로 병합한 PDF, TIFF, JPG와 같은 이미지 파일이다. 한편, 이상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미지 파일이 복수의 페이지, 즉 복수의 스캔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미지 파일은 하나의 스캔 이미지만을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링크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방식으로 보안 정보,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각 구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CPU, 램(RAM), 롬(ROM), 시스템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인쇄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만 이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증은 사용자 인증 정보가 포함된 태그를 NFC 리더에 태깅하는 동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호스트 장치(400)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하는 전달 명령을 수신하면, 전달 명령에 대응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달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 명령에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인쇄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그룹 정보가 포함되거나, 인쇄 데이터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선택받으면, 프로세서(120)는 인쇄 데이터가 저장될 장치 그룹을 결정하고, 인쇄 데이터 각각을 결정된 장치 그룹에 대응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결정된 장치 그룹에 속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해당 그룹에 속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서로 페어링하는 데 필요한 정보로, 해당 그룹에 속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고유의 시리얼 정보(또는 디스플레이 ID)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각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일한 인쇄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인쇄 데이터 내에 각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페이지 데이터만을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스캔부(160)를 통하여 문서가 스캔되면, 사용자 조작부(140)의 사용자 조작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캔된 문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문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프로세서(120)는 인쇄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인쇄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인쇄 데이터에 대해서는 암호화를 수행하고, 보안과 관련된 정보를 암호화된 인쇄 데이터와 함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의 정보 중 하나를 공개키로 이용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ID) 중 하나를 개별 키로 이용하여 공개키/개별키 암호화 방식으로 문서를 암호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인쇄 데이터가 기설정된 횟수만큼만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재생 횟수 정보를 보안 정보로서 해당 인쇄 데이터와 함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인쇄 데이터가 특정의 공간(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와 블루투스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거리)에서만 재생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장소 정보(또는 지속적으로 연결해야 하는 장치 정보)를 보안 정보로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달된 정보에 따라 특정 장치와 지속적으로 무선 연결을 유지하고, 무선 연결이 중지되면 컨텐츠의 표시를 중지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상술한 예뿐만 아니라, 인쇄 데이터의 유효 기간, 사용자 권한 정보(전달되는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사용자 정보) 등도 보안 정보로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 및 스캔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인쇄 데이터가 XPS 파일이나, 연결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는 XPS 파일의 표시가 불가능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해당 인쇄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활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변환 과정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에 대응되게 파일을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인쇄 데이터는 세로 방향의 레이아웃을 가졌으나 사용자가 가로 방향의 레이아웃을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선택한 레이아웃 형태로 인쇄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2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도킹부(200)에 장착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기등록된 프로세스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거나, 저장하거나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하였거나,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복수의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는, 수신한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관리 서버(4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기설정된 방식에 따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를 다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정렬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에 대해서 수행될 수 있으나, 구현시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사용자 입력이 반영된 갱신된 데이터 등에 대해서만 적용될 수 있다.
도킹부(20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킹부(200)는 복수의 인쇄용지를 저장하는 카세트부와 호환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프로세서(120)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도킹부(200)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킹부(200)는 통신 측면에서만 보았을 때, USB 허브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킹부(200)의 구체적인 배치 형태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저장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화상형성장치를 구성하는 간단한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형성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프로세서(120), 디스플레이부(130), 사용자 조작부(140), 저장부(150), 스캔부(160), 화상 형성부(170) 및 도킹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프로세서(120) 및 도킹부(200)의 기능은 도 2의 각 구성의 기능과 동일한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30)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기능을 표시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에 대응되는 옵션을 선택받기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이라면, 디스플레이부(130) 선택한 콘텐츠가 저장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저장 방식을 선택받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30)는 CRT, LCD, AMOLED 등과 같은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할 사용자 조작부(140)의 기능과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조작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따라서, 사용자 조작부(140)는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수행할 기능 및 해당 기능에 대한 옵션을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조작부(140)는 복수의 버튼,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30)와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조작부(140)는 복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인쇄용지를 기존의 A4, letter 등이 아니라 전자종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자종이를 선택한 경우, 즉 EPD 복사를 선택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스캔부(160)에서 스캔된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될 각종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운영체제 및 응용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하드웨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저장부(150)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50)는 후술할 스캔부(160)에서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저장하거나, 스캔 이미지가 잡 단위로 병합되어 생성되는 이미지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5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5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 내의 저장매체(예를 들어, 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호스트(Host)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캔부(160)는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스캔부(160)는 원고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부(미도시)와 원고로부터 반사된 광을 내부의 이미지 센서에 결상하는 렌즈부(미도시),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에 결상된 광으로부터 원고의 화상 정보를 독취한다.
이와 같은 스캔부(160)는 플랫베드(flatbad) 위에 놓인 원고를 스캔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자동급지장치(ADF)로 급지되는 원고의 단면 또는 양면을 스캔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두 장치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스캔부(160)는 자동급지장치에서 연속되어 스캔되는 복수의 스캔 이미지를 하나의 파일로 생성될 수 있다.
화상 형성부(170)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부(160)는 잉크젯 방식, 도트젯 방식, 레이저 프린터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용지에 인쇄할 수 있다. 이때, 인쇄 데이터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일 수 있으며, 스캔부(160)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일 수 있으며, 도킹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달된 데이터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일반적인 인쇄 방식 또는 복사 방식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원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면, 자동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인쇄되거나 기설정된 저장소로 전달되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은 도킹부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킹부가 카세트부와 호환 가능하게 배치된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통상의 화상형성장치는 인쇄용지를 보관하기 위한 용지 보관 카세트부가 본체의 하단에 배치된다. 특히 중대형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종래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 중 하나를 도킹부(200)로 이용한다.
따라서, 도킹부(200)는 카세트부와 호환 가능한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할 수 있는 복수의 슬롯을 구비한다. 이러한 도킹부(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형상에 대해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도킹부(200)는 기존의 카세트부와 호환되는바, 사용자는 기존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원하는 카세트부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본원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를 도시함에 있어서, 도킹부(200)에는 4개의 슬롯만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 이하 및 5개 이상의 슬롯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복수의 행으로 복수의 슬롯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킹부가 화상형성장치의 주변에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도킹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은 기존의 용지 분류기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킹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의 경우, 도킹부(200)가 용지 보관 카세트부의 공간을 점유하지 않는바, 기존의 화상형성장치의 용지 보관 능력은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킹부가 화상형성장치의 카세트와 호환 가능하게 배치되는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대형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가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복수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가 배치되는 이유는 카세트의 교체 없이도 다양한 크기의 인쇄용지를 지원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다양한 크기의 인쇄용지를 지원하기 위하여 복수의 용지 보관 카세트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사용자는 A4 또는 letter 크기의 인쇄용지를 가장 많이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대응하기 위하여, 최근의 화상형성장치는 다른 카세트부보다 높은 높이의 대용량 카세트부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카세트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로 방향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 도킹부(20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슬롯이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 4의 경우 보다 더 많은 슬롯이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와 분리되어 형성되는 도킹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킹 장치(2001)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도킹 장치(2001)는 복수의 슬롯이 복수의 층을 갖는 책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롯 각각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슬롯의 일측에는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3열 도킹 장치(2001)를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시에는 1열, 2열 또는 4열 이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킹 장치(2001)는 많은 사용자가 있는 보험회사나 다수의 학생이 있는 학교등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와 도킹 장치(2001)가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4의 도킹부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킹부(200)는 용지 보관 카세트부와 호환 가능한 몸체(202)로 구성된다. 해당 몸체(202)의 측면에는 급지함 삽입 가이드(204)가 배치된다.
그리고 몸체(202)의 전면에는 패널(203) 및 복수의 슬롯(205-1, 205-2, 205-3, 205-4)이 배치된다.
패널(203)은 사용자가 선택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이다.
복수의 슬롯(205-1, 205-2, 205-3, 205-4) 각각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 가능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의 단자와 연결 가능하게 배치된 포고 핀(Pogo-Pin)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0은 도 4의 도킹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킹부(200)는 제1 통신부(210), 저장부(220), 전원부(230), 복수의 제2 통신부(240) 및 프로세서(25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통신부(21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 제1 통신부(220)는 PC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4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통신부(210)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프로세서(250)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의 저장 및 프로세서(25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전원부(230)는 도킹부(200) 내의 각 구성에 전원을 제공한다. 이러한 전원부(230)는 소형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거나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원부(23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2차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통신부(240) 각각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제1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예를 들어, PNG, JPG, GIF, BMP와 같은 이미지 파일)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통신부(240) 각각은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2 통신부(240) 각각은 전달되는 데이터에 대응되는 그룹 정보, 보안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제2 통신부(240) 각각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부(24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파일의 이름, 크기, 저장날짜 등과 같은 파일 정보를 미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 제2 통신부(240)는 유선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WiFi, Bluetooth, IrDA, NFC 등의 무선 통신 또한 지원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제1 통신부(210)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를 구동하는 명령어를 디스플레이 프로세서에 전송한다. 그러나 D1 통신부(210)로부터 전송받은 이미지 데이터의 포맷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지원하는 포맷과 다른 경우, 프로세서(250)는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지원하는 포맷으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를 변환하고,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동하는 명령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도킹부(200)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포맷을 변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화상형성장치 측에서 데이터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및 메인 보드(3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310)는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메뉴 화면, 정지 이미지, 문서(이북, 디지털 신문, 웹 페이지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10)는 LCD, 전자 종이의 일 예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sis display: EPD)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내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시트와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이미징 시트,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징 시트와 센서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시트는 EPD 패널 내의 다른 소자들을 보호하도록 이미징 시트의 상면과 함께 EPD 패널의 외면을 이루며, 폴리이미드(polyimid),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과 같은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징 시트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화소들(pixels)이 N*M 매트릭스 구조로 배치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미징 시트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상술한 화소들에 의하여 표시되는 점들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이미징 시트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이미징 시트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영상을 표시하는 본질적인 기능은 이미징 시트가 수행하는바, 이미징 시트를 디스플레이부로 지칭할 수도 있다.
메인 보드(320)는 도킹부(200)에 장착되면, 도킹부(200)를 통하여 콘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콘텐츠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바로 표시 가능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으며, 인쇄 데이터 포맷이거나, 암호화된 파일 포맷일 수 있다.
메인 보드(320)는 저장된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한다. 메인 보드(32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12는 도 11의 디스플레이부의 한 화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10)는 플렉서블하면서도 얇은 특성이 있도록 각 구성 소자의 재질 및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는 그 외부로부터의 주변 광에 의해 조명되고, 광의 반사 또는 흡수를 통해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10)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 기판(Bottom Substrate, 311), 유기 전자 백플레인(Organic electronics backplane, 315), 잉크층(ink layer, 316), 공통 전극층(common electrode layer, 317), 상부 기판(Top Substrate, 318) 및 하드 코팅층(hard coating layer, 319)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및 상부 기판(311, 318)은 각각 잉크 층(316) 및 전극층들(315, 317)을 보호하며, 각 기판(311, 318)으로는 내열 특성, 높은 투과율 특성 및 양호한 필기감을 보장할 수 있는 폴리이미드, PET 등과 같은 합성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하부 기판(311)은 20㎛~3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하드 코팅층(319)은 상부 기판(318)의 상면에 적층되며, 눈부심 방지 기능을 함께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 코팅층(319)은 통상의 하드 코팅제에 광산란제를 첨가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319)은 선택적으로 상부 기판(380)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하드 코팅층(319) 및 상부 기판(318)은 24㎛~3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잉크층(316)은 가해진 전계에 따른 입자들의 이동(즉, 전기영동 현상)을 통해 컬러 또는 흑백 이미지 패턴을 나타내고, 패턴에 입사한 외부 광의 반사 또는 흡수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층(316)은 유기 전자 백플레인(315) 및 공통 전극(317)의 사이에 각각 백색 및 흑색 입자들을 함유한 투명 유동액으로 충진된 마이크로 캡슐들(microcapsules)을 배치한 구성을 갖고, 각 마이크로 캡슐에 전계를 인가함으로써 흑색 또는 백색 이미지 패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입자는 (+)로 대전되어 있고, 흑색 입자는 (-)로 대전되어 있어서, 가해진 전계에 따라 서로 반대로 이동한다.
잉크층(316)의 이미지 패턴은 전계 변경 시점까지 유지된다. 잉크층(316)은 컬러 이미지 패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컬러 표시는 잉크층(316) 상에 컬러 필터를 적층하거나, 잉크층(316)을 구성하는 입자로서 흑백 입자 대신에 착색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공통 전극층(317)은 잉크층(316) 및 상부 기판(318) 사이에 배치되고, 일정한 전위를 유지하며, 접지와 연결될 수 있다. 공통 전극층(317) 및 잉크층(317)은 32㎛~48㎛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기 전자 백플레인(315)은 복수의 화소들로 구분되며, 각 화소는 각각 절연층(314) 내에 일부 또는 전부 매립되거나 그 상면에 일부 또는 전부 적층된 화소 전극(312) 및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transistor: TFT, 313)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전극층(317)과, 화소 전극(312) 및 박막 트랜지스터(313)와 같은 유기 전자 백플레인(315)의 도체 부분은 탄소 함유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유기 물질로는 그래핀(graphene)을 예로 들 수 있다. 유기 전자 백플레인(315)은 4㎛~6㎛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전체적으로, 0.08mm~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9mm~0.11mm의 두께를 갖는다. 디스플레이부(310)는 단일 전자 종이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전자 종이도 0.08mm~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9mm~0.1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략한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40), 디스플레이부(310) 및 프로세서(330)로 구성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연결되며,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인쇄 데이터(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또는 무선 포트(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속한 그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작업 그룹에 속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로, 각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고유의 시리얼 넘버(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ID)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ID는 하나의 패널에 부여되는 고유의 번호이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보안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암호화 방식, 공개키 정보(또는 개별 키 정보), 전달되는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해당 데이터의 유효 기간 정보, 해당 데이터의 재생 가능한 장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는 화상형성장치(100)와 무선 연결될 수 있으며, 무선 링크를 유지할 수 있다. 구현시에는 무선 링크가 유지된 상태에서만 후술할 표시 동작이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링크는 직접적인 무선 연결로, 와이파이 다이렉트,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인쇄 데이터를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3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세서(33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서 기저장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저장된 콘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 수신된 보안 정보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그룹 내의 다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배치 형태를 파악하고, 파악된 배치 형태에 따라 표시할 페이지를 결정하고, 결정된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그룹이 2대이고,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경우,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짝수 페이지를 표시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최초 표시시에 인쇄 데이터의 2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부(310) 상의 페이지 전환 제스처(예를 들어, 화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터치 이동/플릭) 또는 스크롤 제스처(예를 들어, 화면의 하부 또는 상부로의 터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한 인쇄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페이지 전환 명령이면, 프로세서(330)는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 및 그룹 내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표시할 페이지를 결정하고, 결정한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그룹이 2대이고, 현재 2페이지를 표시 중에 화면 우측으로의 터치 이동이 감지되면, 프로세서(330)는 우측 페이지 전환인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를 4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가 페이지 스크롤 명령이면, 프로세서(330)는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를 페이지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여 스크롤 하여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3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30)는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 정보를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그룹 내의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터치 제스처에 연동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함께 동작할 휴대용 단말장치의 정보를 인쇄 데이터와 함께 수신하는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쉽게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인터렉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바,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된다. 이상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간략한 구성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터치 입력”이란 사용자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및 커버에 행하는 터치 제스처 등을 의미한다. 또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상에 접촉되지 않고,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는 상태의 터치(예컨대, 플로팅(floating) 또는 호버링(hovering))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에는 터치&홀드 제스처, 터치 후 해제하는 탭 제스처, 더블 탭 제스처, 패닝 제스처, 플릭 제스처, 터치 후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터치 드래그 제스처, 핀치 제스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에에 의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10), 메인 보드(320), 터치 센서(307) 및 보조 센서(308)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10)는 저장된 콘텐츠를 표시하며, 이미지 시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 및 이미지 시트에 대해서는 도 11 및 도 12와 관련하여 자세히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메인 보드(320)는 프로세서(330), EPD 프로세서(331), 제1 및 제2 구동부(332, 333), 통신 인터페이스부(34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 메모리(360), 센서부(370), 전력 관리부(380), 및 터치 센서 프로세서(39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EPD 프로세서(331) 및 터치 센서 프로세서(390)는 프로세서(330)에 통합될 수 있고, 이들의 기능들은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340)의 기능은 도 13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알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복수의 버튼, 마이크, 스피커, 진동모터, 커넥터, 키패드, 터치스크린, 카메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은 메인 보드(320)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원/잠금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볼륨 버튼(도시되지 아니함), 메뉴 버튼, 홈 버튼, 돌아가기 버튼(back button) 및 검색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음성(voice) 또는 사운드(sound)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스피커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신호(예, 무선신호, 방송신호, 디지털 오디오 파일, 디지털 동영상 파일 또는 사진 촬영 등)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메인 보드(320)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적절한 위치 또는 위치들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드에 있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다른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음성통화가 수신되는 경우, 진동 모터가 동작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메인 보드(320)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에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진동 모터는 이미지 시트(310)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 및 이미지 시트(120) 상에서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한 햅틱을 제공할 수 있다.
커넥터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와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도킹부(200)) 또는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메모리(3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 장치에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커넥터에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전원 소스에서부터 전원이 입력되거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키패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제어를 위해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키패드는 메인 보드(320)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형성되는 물리적인 키패드 또는 이미지 시트(310)에 표시되는 가상의 키패드를 포함한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은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터치는 터치스크린 또는 이미지 시트(120)와 사용자의 신체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과의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비접촉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예를 들어, 저항막(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적외선(infrared) 방식 또는 초음파(acoustic wave)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37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태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센서부(370)는 사용자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대한 접근 여부를 검출하는 근접 센서,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예를 들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회전, 가속, 감속, 진동 등)을 검출하는 모션/방위 센서, 카메라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션/방위 센서는 가속도 센서, 중력센서, 지자기 센서, 자이로(gyro) 센서, 충격센서, GPS, 나침반 센서(compass sensor), 가속도 센서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37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지구 궤도상에 있는 복수의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전파를 수신하고, GPS위성(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까지 전파도달시간(Time of Arrival)을 이용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침반 센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자세 또는 방위를 산출한다.
센서부(37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계, 이미지 센서, 플래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렌즈계를 통해 입력되는(또는 촬영되는) 광신호를 전기적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330)로 출력하고, 사용자는 이러한 카메라를 통해 동영상 또는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렌즈계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수렴시킴으로써 피사체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렌즈계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며, 각 렌즈는 볼록 렌즈, 비구면 렌즈 등일 수 있다. 렌즈계는 그 중심을 지나는 광축(optical axis)에 대해 대칭성을 가지며, 광축은 이러한 중심축으로 정의된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계를 통해 입사된 외부 광에 의해 형성된 광학적 이미지를 전기적 이미지 신호로 검출한다. 이미지 센서는 M×N 행렬(matrix) 구조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pixel) 유닛을 구비하며, 화소 유닛은 포토다이오드 및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유닛은 입사된 광에 의해 생성된 전하를 축적하고, 축적된 전하에 의한 전압은 입사된 광의 조도를 나타낸다.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구성하는 한 이미지를 처리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신호는 화소 유닛들로부터 출력되는 전압들(즉, 화소 값들)의 집합으로 구성되고, 이미지 신호는 하나의 프레임(즉, 정지 이미지)을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은 M×N 화소로 구성된다. 이미지 센서로는 CCD(charge-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프로세서(33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전체 화소들 또는 전체 화소 중에서 관심 영역의 화소들만을 작동할 수 있고, 화소들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프로세서(330)로 출력된다.
그리고 센서부(370)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배치 형태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부(370)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홀 센서, 자석을 이용하여 다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좌측/우측, 상부/하부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겹쳐 배치되어 있는지, 이 경우,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부에 배치되었는지, 하부에 배치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또는 메모리(360)에 저장된 이미지를 프레임(frame) 단위로 처리하며, 이미지 시트(120)의 화면 특성(크기, 화질, 해상도 등)에 맞도록 변환된 이미지 프레임을 이미지 시트(120)로 출력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내 다른 구성 소자들을 제어하여 이미지 전사 작업을 수행한다. 이하, 프로세서라고 하면 프로세서(330)를 지칭하는 것이나, 다른 프로세서와의 구별을 위해 프로세서(330)를 메인 프로세서라고 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3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또는 쿼드 코어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40)를 통해 방송국에서부터 송출되는 방송 신호(예, TV방송 신호, 라디오방송 신호 또는 데이터방송 신호) 및 방송부가 정보(예, EPS(Electric Program Guide) 또는 ESG(Electric Service Guide))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6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3, wma, ogg 또는 wa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30)는 메모리(36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디지털 동영상 파일(예, 파일 확장자가 mpeg, mpg, mp4, avi, mov, 또는 mkv인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센서부(37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50), 터치 센서(307) 또는 보조 센서(308)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 메뉴 선택 또는 이벤트 정보에 따라 메모리(360)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콘텐츠를 이미지의 형태로 이미지 시트(120)에 전사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는 정지 이미지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메모리(36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6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또는 프로세서(3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라는 용어는 프로세서(330) 내 롬, 램 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도시되지 아니함)(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한다.
전력 관리부(38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 관리부(3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부(380)는 커넥터와 연결된 유선 케이블을 통해 외부의 전원 소스(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로 공급할 수 있다.
EPD 프로세서(331)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와 미리 설정된 EPD 구동 알고리즘에 따라 이미지 시트(120) 및 보조 센서(308)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제1 및 제2 구동부(332, 333)로 각각 출력하며, 보조 센서(308)로부터 입력되는 인터렉션 이벤트 정보를 프로세서(330)로 출력한다. 프로세서(330)는 인터렉션 이벤트 정보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조정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EPD 프로세서(331)를 제어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EPD 구동 알고리즘이 외부 환경을 고려하도록 설계된 경우에, EPD 프로세서(331)는 센서부(370)에 의해 측정된 외부 환경과 관련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센서부(370)는 온도 센서, 조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이미지 시트(310)의 구동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5는 이미지 시트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구동부(332)는 EPD 프로세서(331)로부터 입력된 이미지 표시를 위한 제어 신호에 따라 번지 신호들(즉, 로우(row) 신호) 및 데이터 신호들(즉, 칼럼(column) 신호)을 생성하고, 번지 신호들 및 데이터 신호들을 유기 전자 백플레인(316)으로 출력한다. 제1 구동부(332)는 스캔 드라이버(scan driver, 312) 및 데이터 드라이버(data driver, 311)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드라이버(312)는 EPD 프로세서(331)의 제어에 따라 스캔 라인들(313)에 순차적으로 번지 신호들을 공급하고, 데이터 드라이버(311)는 EPD 프로세서(33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라인들(314)에 데이터 신호들을 공급할 수 있다.
유기 전자 백플레인(316)은 복수의 화소들(315)을 구비하며, 각 화소(315)는 화소 전극(320)과 박막 트랜지스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 전극(320)은 해당 박막 트랜지스터(330)를 통해 해당 스캔 라인(313) 및 데이터 라인(314)에 연결된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330)는 게이트(gate: G), 드레인(drain: D) 및 소스(source: S)를 가지며, 게이트는 해당 스캔 라인(313)과 연결되고, 드레인은 해당 데이터 라인(314)과 연결되며, 소스는 해당 화소 전극(320)과 연결될 수 있다.
각 박막 트랜지스터(330)는 온/오프 스위치로서 기능하며, 연결된 스캔 라인(313) 및 데이터 라인(314) 모두에 신호들이 공급되는 경우에만 온 상태가 되고, 박막 트랜지스터(330)가 온 상태일 때 해당 화소 전극(320)에 전압이 인가된다.
잉크층(316)은 공통 전극층(317) 및 유기 전자 백플레인(315) 사이에 가해진 전계에 따른 입자들의 이동을 통해 이미지 패턴을 나타낸다. 잉크층(316)은 전술한 이미지 전사 작업에 따른 이미지 패턴을 가지며, 이러한 이미지 패턴은 다음 이미지 전사 작업시까지 유지될 수 있다.
이미지 시트(12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예, 통화, 데이터 전송, 방송, 사진촬영)에 대응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센서(307)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센서(307)는 사용자의 신체(예, 엄지를 포함하는 손가락) 또는 터치 가능한 입력 수단(예, 스타일러스 펜)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터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307)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중에서, 하나의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입력받을 수 있다. 터치 센서(307)는 입력되는 터치의 연속적인 움직임에 대응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프로세서(330)로 전송할 수 있다.
터치 센서 프로세서(390)는 프로세서(330)의 제어와 미리 설정된 터치 센서 구동 알고리즘에 따라 터치 센서(307)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터치 센서(307)로 출력하며, 펜(10) 등의 사용자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터치 센서(307)에 입력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프로세서(33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표시되는 콘텐츠를 조정 또는 업데이트하도록 EPD 프로세서(33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예에서, 터치 센서(307)는 EMR(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의 터치 센서일 수 있다.
도 1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EPD 패널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6b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EPD 패널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기판과, 기판상에 탑재된 메인 보드(320), EPD 패널(310)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390)과,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터치 센서(318)를 포함한다.
도 17은 도 16의 클립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클립(1000)에 의해 가려진 기판의 상면에는 EPD 패널(310)과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클립(1000)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누름 판(1110)과,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1030)와, 탄성 부재(1030)가 걸리는 지지 부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누름 판(1010)의 일단부를 누르면, 누름 판(1010)의 타단 부가 들려 올라가고, 타단부와 기판(1010) 사이의 공간으로 EPD 패널(310) 삽입된 후, 사용자가 가한 힘을 해제하면, 누름 판(1010)의 타단부가 탄성 부재(143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내려가면서 휴대용 EPD 패널(310)을 눌러서 고정하게 된다.
도 16 및 도 17을 도시함에 있어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서 EPD 패널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구현시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에 고정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8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버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메인 보드(320)에 복수의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버튼은 메인 보드(320)의 측면에 배치되는 전원 버튼과 메인 보드(320)의 상단면에 배치되는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버튼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10)의 표시 동작을 중지거나 시스템의 전원 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 버튼은 콘텐츠를 전환하거나 스크랩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버튼으로 도시된 예에서는 3개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한편, 구현시에는 4개 이상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작 버튼은 콘텐츠의 표시 상태를 전환하거나, 콘텐츠를 스크립하거나 와이파이나 타 단말장치를 선택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9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0은 도 19의 복수의 핀의 구체적인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하단부에는 도킹부(200)와 유선 접속을 위한 복수의 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자는 시리얼 통신과 전원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섯 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킹부의 슬롯에 끼워졌을 대 슬라이드 형태로 결합해도 접속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킹부(200) 측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복수의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접속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접속 단자는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강하고, 먼지나 오염에도 접속이 잘 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포고 핀(Pogo-Pin)(또는 스프링 핀)이다. 여기서는 특정 단자에 눌러지는 핀이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기초로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PC에서 작업중인 문서를 보다 자세히 검토하거나, 제출 혹은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해 문서를 인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서를 인쇄하여 책상에 두고 보거나 손에 들고 보는 것과 같은 행동은 종이의 가벼움, 저렴한 가격, 그리고 필기할 수 있다는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모니터를 통해 검토하는 것보다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이 출력을 한 후 문서의 오류를 발견했을 때에는 PC에서 수정하여 다시 출력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종이문서에 필기한 내용을 PC에서 다시 전자문서화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이와 디지털 미디어 사이의 형태 변환에 그만큼 많은 노력과 비용이 지불되고 있다. 종이는 값싸고 저렴하며 매우 직관적이어서 바로 읽고 쓰는 형태의 업무에 적합하고, 디지털 미디어는 사용 방법을 익히기 어렵지만 검색하고 공유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각자 미디어마다 장점이 각기 다르고 이러한 사용성을 통합시켜 주는 매개체가 현재의 화상형성장치이다.
하지만, 화상형성장치는 몸집이 크고 PC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종이를 입력이나 출력 수단으로 사용하는 단순화된 기기이다. 직접적인 정보활동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업무상의 단절이 발생하게 된다.
바로 쓴 내용이 바로 디지털화될 수 없고, 스캐너가 달린 화상형성장치로 장소 이동을 해서 스캔한 후 저장된 내용을 네트워크를 통해서 내 PC로 옮기는 일련의 과정이 업무의 연속성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종이와 디지털 미디어의 혼용 과정에서, 두 미디어 간의 변환과정을 어떻게 하면 매끄럽고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초박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태블릿처럼 단일 기기로 사용하지 않고 종이처럼 여러 대를 같이 사용할 때 불편한 점들이 발생한다. 장치 간의 상호 통신을 위해서 수차례 기기 간 페어링을 해 주어야 하고 각각의 장치들을 직접 제어해야 하기 때문이다.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삭제하는 일들을 각자 독립된 장치마다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다. 또한, 본 문서가 있으면 직접 삭제하고 다운받지 않은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고 다시 봐야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호 연동 편의성을 개선하기 위해 장치 간 연결, 콘텐츠 다운로드 등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장치와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궁극적으로는 전자문서의 종이출력, 종이문서의 수정과 검토, 스캔 등 반복적인 업무를 줄이면서 종이문서, 전자문서 간의 업무의 연속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얇은 초박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장치를 종이를 대체하는 용도로 제공하고, 미디어 형태 변환 시 발생하는 업무의 비 연속성을 다양한 동작 시나리오 지원을 통해 매끄럽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다.
기존의 일반적인 방식이 한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해서 여러 페이지를 보고 축소/확대하는 방식을 취했다면, 본 개시에서는 여러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해서 종이처럼 펼쳐보고 쌓아놓고 보는 종이의 사용 습성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이의 단점이라 할 수 있는 직접 수동으로 취급해야 하는 단점을 디지털 기술로 보완하여 효율적인 정보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개시를 통해서 종이와 디지털 미디어를 모두 활용하는 사무 환경에서, 미디어 변환 과정과 정보 처리 과정을 효율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과정을 도 22 내지 도 2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도킹부(200)에는 미리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문서에서 인쇄 버튼을 선택하면, 도 22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2는 문서에서 인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400)은 인쇄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선택하는 영역(2410) 및 선택된 프린터에 적용될 인쇄 옵션을 선택받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도킹부(200)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호스트 장치(4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프린터를 선택하는 영역(2410)에는 다른 일반적인 프린터 드라이버와 본 실시 예에 따른 가상 프린터 드라이버가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가상 프린터 드라이버는 도킹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문서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린터 드라이버이다.
프린터를 선택하는 영역(2410)에서 사용자가 일반적인 프린터 드라이버를 선택하면, 일반적인 인쇄 작업이 수행된다. 반면에 사용자가 해당 가상 프린터 드라이버(U-paper)(또는 VPD 드라이버)를 선택하면, 도 23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3은 가상 프린터 드라이버가 선택된 경우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100)은 읽기 모드 영역(2110), 장치 선택 영역(2120), 레이아웃 영역(2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읽기 모드 영역(2110)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활용하는 사용자 시나리오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2page view 모드는 종이 책과 같이 2개의 면을 동시에 보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홀수, 짝수 페이지의 정보가 전송되며 한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페이지를 넘기면(페이지 넘김은 터치 센서, 가속도 센서, 근접센서, 스위치를 통해 가능)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페이지도 자동으로 넘김이 실행된다.
여기서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가 연동하여 페이지 넘김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끼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이 되어야 하며 본 연결은 읽기 모드의 선택에 따라 VPD 드라이버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 간에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후술할 장치 선택 영역에서 선택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그룹으로 묶이고, 그룹 내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그룹 내에 장치 ID 정보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ID를 전달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장치의 장치 ID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 선택 영역(2120)은 도킹부(200)에 연결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ID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먼저, 사용자가 VPD을 선택하면, US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킹부(20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연결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만을 활상화된 형태로 장치 선택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Default' 아이콘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해 놓은 데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자동으로 골라지게 하는 것으로, Default 아이콘 밑에 있는 설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료의 덮어쓰기 옵션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은 '저장되어 있는 자료의 크기', 그리고 '최종 자료 저장 시간'이며 둘 중에서 선택한 것이 장치 선택의 'Default'로 지정된다.
한편, 장치 선택의 'Default' 옵션을 선택하지 않고 직접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를 예들 들어 '2 page View' 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24 및 도 25와 같은 순서대로 장치 1(2121), 장치 2(2122)를 선택하는 과정이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4와 같이 '장치 선택' 에서 'ID:01'을 선택하게 되면 'ID:01'버튼이 선택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
그리고, '2 page View'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아직 1개의 장치를 더 선택하여야 하는데 도 25와 같이 'ID:02'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한 버튼도 색상이 변함과 동시에 나머지 장치는 선택이 불가하도록 비활성화된다.
한편, 사용자가 모든 장치를 선택하였으나 선택한 장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 선택된 장치의 버튼을 선택하면 장치 선택이 해제되고 이전에 선택하지 않았던 경우와 같이 비활성화되었던 나머지 장치의 버튼들도 다시 선택할 수 있도록 활성화될 수 있다.
레이아웃 영역(2130)은 원고의 출력 방향을 선택받는 영역이다. 여기서 'Default' 는 변환되는 원고의 가로, 세로 길이 정보를 기준으로 변환을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원고의 세로 방향이 긴 형태라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긴 쪽과 동일하게 문서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문서의 가로 방향이 긴 형태라면 문서를 90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변환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0도', '90도', '180도', 270도'를 선택하는 경우라면, 문서의 가로, 세로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지정한 대로 시계 방향으로 이미지를 회전하여 변환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0도', '90도', '180도', 270도'를 선택한다면, 출력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프리뷰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거친 후 인쇄 버튼을 누르면, 호스트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문서 자료를 이미지(PNG, JPG, GIF, BMP)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쉽게 UI 상에 표시된 읽기 모드, 장치 및 레이아웃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문서를 원하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으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연동 설정도 완료할 수 있다.
도 26은 도킹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킹부(200) 내의 복수의 슬롯 중 어느 하나의 슬롯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킹부(200)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자동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가 있는지, 스크랩된 데이터가 있는지, 사용자 입력이 반영된 갱신된 데이터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러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자동으로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킹부(200)에 연결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EPD 인쇄 기능, 스캔부에 스캔된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복사하는 EPD 복사 기능 등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EPD 인쇄 기능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가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EPD 복사 기능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문서를 스캔하면, 스캔된 문서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하에서는 EPD 복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화상형성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설명한다.
도 27은 내지 도 29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표시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2600)은 복사 모드를 선택받는 영역(2610), 장치 선택 영역(2620) 및 레이아웃 영역(2630)을 포함한다.
복사 모드를 선택받는 영역(2610)은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일반 인쇄를 수행할 것인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스캔된 문서를 저장하는 EPD 복사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는 영역이다. 사용자가 EPD 복사 기능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27과 같이 장치 선택 영역(2620) 및 레이아웃 영역(2630)은 비활성화된다.
한편, 복사 모드를 선택받는 영역(2610)에서 사용자가 EPD 복사 기능을 선택하면, 도 28과 같이 장치 선택 영역(2620) 및 레이아웃 영역(2630)은 활성화된다.
장치 선택 영역(2120)은 도킹부(200)에 연결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ID를 선택받는 영역이다. 먼저, 사용자가 VPD을 선택하면, USB를 통하여 연결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확인하고, 연결 가능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영역만을 활상화하여 선택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레이아웃 영역(2130)은 원고의 출력 방향을 선택받는 영역이다. 한편, 사용자가 '0도', '90도', '180도', 270도' 를 선택한다면, 출력 이미지의 레이아웃을 도 29와 같이 프리뷰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0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연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한 장치이지만,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400-1)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가 PC와 같은 호스트 장치에 유선 방식으로 연결되면, PC 측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이동형 저장장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단순한 버튼만이 구비되는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와이 파이 설정 등을 수행하는게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만약 한 명의 사용자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무선 연결을 개별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모두 꽂혀 있을 때 일괄적인 환경 설정을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도킹부(200)에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어 있을 때, 도킹부(200)는 여러 장치(400-2, 400-3)들과 하드웨어 정보를 공유해서 디바이스간 연결을 매우 간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1 내지 도 43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다양한 인터렉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wifi 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이 콘텐츠 화면(30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설정된 환경을 불러오기 위하여 선택 키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을 누를 수 있다. 이 경우, 기설정된 환경(예를 들어, 와이파이 연결 설정)에 대응되는 화면(3020)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해당 화면(3020) 상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와이파이를 방향 키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 있다.
연결하고자 하는 와이파이를 선택한 이후에 사용자는 선택 키를 다시 누름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작업이 수행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하여 있는 경우, 도 32와 같이 하나의 장치에서의 설정은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하나의 설정 동작 만으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와이파이 설정에 이용하는 것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버튼은 문서의 중요 페이지를 북마크 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운데 선택 버튼을 누르면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에 대한 북마크가 설정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북마크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북마크가 설정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킹부(200)에 장착되면, 도킹부(200)는 북마크가 설정된 해당 페이지를 기설정된 저장소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소는 그룹에 속해 있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한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동하여 있다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북마크는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북마크가 설정된 페이지를 전송하는 기능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5대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 300-2, 300-3, 300-4, 300-5)가 상호 연동하여 있으며, 4대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 300-2, 300-3, 300-4) 각각은 다른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으며,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5)는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
이때,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에서 북마크 선택이 이루어지면,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는 스크랩 용도의 다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5)에 북마크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여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 300-2, 300-3, 300-4)에 저장된 데이터 중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손쉽게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5)에 정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4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 중 사용자가 선택한 자료만을 인쇄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문서를 넘겨 보면서 주요한 부분은 스타일러스 펜(10)을 이용하여 메모할 수 있다(3310). 사용자가 특정 원고에 메모를 수행하여, 해당 메모는 별도의 파일로 저장되거나, 해당 문서와 병합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는 표시된 리스트상에서 인쇄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S3320).
한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화상형성장치(100)와 무선 연결되면, 사용자가 체크한 인쇄 데이터만을 일괄 인쇄할 수 있다.(S3330).
이와 같이 사용자가 필요한 자료만을 선택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바, 체계적인 자료 수집 및 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도 35는 자료 정렬 및 스크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5를 참조하면, 도킹부(200)에는 아무런 자료가 저장되지 않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20)가 장착되어 있다(3410).
이때, 사용자는 전달할 데이터를 선택하고, 해당 데이터가 전달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함으로써,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3420).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01년 내지 2004년간의 특정 판례집을 선택한 경우, 4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1, 3452, 3453, 3454) 각각에 일 년 단위의 판례 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1)에는 2001년 판례집이 저장되고, 제2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2)에는 2002년 판례집이 저장되고, 제3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3)에는 2003년 판례집이 저장되고, 제4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4)에는 2004년 판례집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상술한 4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1, 3452, 3453, 3454)를 이용하여 필요한 판례를 검색하고, 필요한 판례에 대해서 북마크 버튼을 설정하며, 북마크 버튼이 입력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은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455)에 해당 판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많은 판례에서 필요한 판례만을 손쉽게 스크랩할 수 있다.
도 36은 자료의 물리적인 재배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는 여러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이러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킹부(200)에 꽂으며, 도킹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들을 공통의 식별자를 갖는 파일명을 부여하고, 도킹부에 배치 순서에 맞게 데이터의 순서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순서가 2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1번 슬롯에 배치되고, 데이터 순서가 3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2번 슬롯에 배치되고, 데이터 순서가 1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3번 슬롯에 배치도는 경우(3520), 1번 슬롯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2 데이터가 삭제되고 1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2번 슬롯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3 데이터가 삭제되고 2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3번 슬롯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1 데이터가 삭제되고 3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3530).
한편, 이와 같은 동작은 수십 명의 보험 설계사가 근무하는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데 보험 설계사 각각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용하여 신청서를 생성하고, 신청서가 저장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킹 장치에 장착되면, 각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신청서가 기설정된 분류 기준에 따라 정렬되고, 관리 서버에 자동 백업되거나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재분류 저장될 수 있다.
도 37은 관공서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시나리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7을 참조하면, 민원을 신청하고자 하는 민원인은 키오스크에서 필요한 민원 신청에 필요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수령한다. 구체적으로, 민원인은 본인이 진행하고자 하는 민원 종류를 키오스크(200)에 입력하면, 키오스크(200)는 해당 민원 종류에 대응되는 서식을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여 민원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3610). 이와 같이 신청서 서식이 개인별로 제공되는바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는다.
민원인은 제공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필요한 내용을 추가 기재할 수 있다(3620). 이때, 민원인은 본인은 휴대용 단말장치(예를 들어, 스마트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NFC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용 단말장치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 쪽으로 전달되어 자동으로 기재 영역이 채워질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사인 등을 수행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민원 서식과 사용자로부터 기재 받은 정보를 병합하여 민원 자료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신청서를 작성하는바, 서류 작성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도 손쉬게 오류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키오스크로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다시 가져오면, 생성된 민원 자료는 키오스크로 전달 수 있다. 키오스크는 전달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업무를 처리하고,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사용자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페이퍼 리스로 민원을 신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한 내용 기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항샹된다.
도 38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센서부를 이용하여 상호 배치 형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배치 형태에 따라 자신이 표시할 콘텐츠의 콘텐츠 영역(3710, 3720, 3730, 3730)을 결정하고, 결정된 컨텐츠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3개 이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거나 5개 이상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결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결합하는 경우의 예에 대해서는 도 3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9는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책 모드로 콘텐츠를 표시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콘텐츠(3810, 3820)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붙인 형태로 배치하고,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공통에 터치 제스처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책 모드로 전환되는 것임을 인지하고,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형태를 가지하고, 배치 형태에 따라 좌측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홀수 페이지를 표시하고, 우측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짝수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0은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호 연동하는 경우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로 다른 사용자의 휴대용 디스플레이장치(3910, 3920)가 서로 가깝게 배치되면, 협업 작업이라고 판단하고,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호 연동할 수 있으며, 자신의 계정에 해당하는 폴더와 타인의 계정에 해당하는 폴더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3911, 3921).
도 41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파일을 공유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1을 참조하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4010)는 공유할 파일 및 대상자를 표시한다(4010).
이때, 사용자는 대상자를 기설정된 터치 제스처를 공유 파일을 공유할 대상자를 결정할 수 있다(4020). 한편, 사용자가 대상자를 잘못 선택한 경우, 표시된 UI 상태에서 X 제스처를 입력받으면, 해당 제스처가 입력된 사용자가 기선택된 선택에서 제외될 수 있다.
도 42 및 도 43은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동하여 동작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2를 참조하면,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동일한 콘텐츠가 저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호 배치 형태를 인지하고 좌측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1페이지를 표시하고, 우측 휴대용 디스플레이는 2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페이지 전환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제스처를 입력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2)는 입력받은 제스처에 대응되는 기능, 즉 4페이지 로의 전환을 수행하고, 입력받은 제스처 명령을 연동된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3페이지 및 4페이지를 표시하게 된다.
도 43을 참조하면, 두 개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서로 다른 콘텐츠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좌측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국문 문서가 표시되고, 우측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국문 문서에 대응되는 영어 번역본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하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스크롤 제스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제스처를 입력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2)는 입력받은 제스처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되는 페이지를 스크롤하고, 입력받은 제스처 명령을 연동된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1)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비율로 표시하는 원고를 스크롤 할 수 있다.
도 44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안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공간 제한을 두고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4를 참조하여,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형성장치와 무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화상형성장치와의 무선 연결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형성장치(100)와 가까워 화상형성장치와 무선 연결된 상태에서는 사용자 요청에 따른 콘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화상형성장치와 멀어져 화상형성장치와 무선 연결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없다.
도 4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할 수 있다(S4510).
작성된 문서에 대해서 인쇄 명령(혹은 Ctrl+P)을 입력한다(S4515). 사용자는 해당 문서에 대한 인쇄 작업을 수행할 프린터 드라이버를 선택하고, 사용자 선택한 프린터 드라이버가 일반 프린터 드라이버이면(S4520-N), 일반적인 인쇄 방식으로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S4525).
만약 사용자가 선택한 프린터 드라이버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가상 프린터 드라이버인 경우이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자료 전송을 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하고,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통하여 읽기 모드, 장치 선택 및 레이아웃을 추가적으로 선택받고(S4530, S4535, S4540),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은 읽기 모드, 장치 및 레이아웃에 대응하여 문서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S4545)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은, 일반적인 인쇄 방식에서 드라이버를 변경하는 동작만으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문서를 전송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45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1의 호스트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호스트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예를 들어, 프린트 드라이버)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4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6을 참조하면, 호스트 장치 또는 관리 서버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S4510).
그리고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도킹부에 장착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할 수 있다(S4520).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인쇄 제어 방법은 수신된 인쇄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저장하는바, 사용자는 손쉽게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6과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의 화상형성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인쇄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7은 도 46의 데이터 저장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7을 참조하면, 먼저, 호스트 장치와 도킹부가 연결된다(S4710). 그리고 도킹부(200)내의 프로세서가 구동되며(S4715), 도킹부(200)에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감지하며, 데이터 수신을 대기한다(S4720).
그리고 도킹부(20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저장부에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S4730).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포맷인지를 판단하고(S4735), 판단 결과 사용 불가능한 포맷이면,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S4740).
그리고 수신된 데이터 또는 변환된 데이터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보안 정보 및/또는 그룹 정보를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S4745).
도 4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인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8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원고를 화상형성장치의 스캔부에 적재한다(S4810).
그리고 수행할 기능으로 일반 복사를 선택하여(S4815-N), 인쇄용지에 적재된 원고를 복사할 수 있다(S4820).
한편, 수행할 기능으로 EPD 복사가 선택되면(S4815-Y), 복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입력받는다(S4825).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ID 혹은 'Default'를 선택받는다(S4830). 여기서 'Default'는 도 22의 '장치 선택'의 'Default'와 동일하게 원고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순서를 자동으로 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복사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였다면(S4840), 선택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원고가 이미지 파일(PNG, JPG, GIF, BMP)로 변환되어 전송된다(S4845).
도 49는 도 48의 출력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9를 참조하면, 원고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한다(S4910). 그리고 생성한 스캔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다(S4915). 구체적으로, 생성된 스캔 이미지가 tiff 파일이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이용 가능한 이미지 포맷이 jpg , bmp인 경우 tiff 파일을 jpb 또는 bmp 파일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스캔 이미지 생성 과정에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인식할 수 있는 파일 형태로 스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변환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도킹부로 전송할 수 있다(S4920). 도킹부에 임시 저장된 이미지 파일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된다(S49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여 전달된 이미지 파일을 표시할 수 있으며(S4930), 해당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 도킹부와의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S4935).
한편, 도 49를 도시함에 있어서, 도킹부와의 해제 전에 디스플레이 패널에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도킹부와의 해제 전에는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았다가 도킹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에 이미지 파일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킹부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동작 명령(ex 전원 온)이 입력된 경우에 상술한 이미지 파일 표시 동작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0을 참조하면, 인쇄 데이터와 그룹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인쇄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S5010).
그리고 인쇄 데이터의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S5020), 감지된 사용자 터치 제스처에 대응하여 표시중이 콘텐츠 이미지를 가변할 수 있다(S5030).
그리고 그룹 내의 다른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도 동일한 이미지 가변이 수행되도록 터치 제스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504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함께 동작할 휴대용 단말장치의 정보를 인쇄 데이터와 함께 수신하는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손쉽게 페어링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인터렉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바,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된다. 도 50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13 및 도 14의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다른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화상형성장치 200: 도킹부
300: 휴대용 디스플레이 400: 호스트 장치
500: 관리 서버

Claims (25)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도킹부;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가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하는 화상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문서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는,
    복수의 인쇄용지를 저장하는 카세트부와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부와 상기 프로세서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측에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부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복수의 단자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복수의 단자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포고-핀(Pogo-Pi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장치 그룹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에 대응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 각각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를 선택받는 사용자 조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받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저장될 장치 그룹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 각각에 상기 결정된 장치 그룹에 속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도킹부에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되면, 상기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를 정렬하고, 정렬된 데이터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저장부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된 데이터는,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된 데이터, 사용자 입력이 반영된 갱신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보안 정보를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정보는,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재생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인쇄 데이터, 문서 파일, 이미지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장착 가능한 도킹부;
    문서를 스캔하여 스캔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캔부; 및
    상기 생성된 스캔 이미지를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응되는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복수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8.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속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데이터를 상기 그룹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면,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한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의 정보를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보안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보안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의 표시 가능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정보는, 상기 데이터의 재생 횟수 정보, 유효 기간 정보, 재생 장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페이지 전환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페이지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 및 그룹 내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표시될 페이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이지 전환 명령을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제스처는 페이지 스크롤 명령에 대응되는 제스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표시중인 페이지를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명령에 대응하여 스크롤 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이지 스크롤 명령을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8항에 있어서,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배치 형태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된 배치 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24. 화상형성장치의 인쇄 제어 방법에 있어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도킹부에 장착되는 단계;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도킹부에 장착된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제어 방법.
  25.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및 상기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가 속한 그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설정된 사용자 제스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사용자 제스처의 정보를 상기 그룹 정보에 대응되는 타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50177002A 2015-12-11 2015-12-11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69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02A KR20170069597A (ko) 2015-12-11 2015-12-11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PCT/KR2016/003928 WO2017099305A1 (en) 2015-12-11 2016-04-15 Image forming apparatus, portable display apparatus, printing control method, and display method
US15/244,646 US9936096B2 (en) 2015-12-11 2016-08-23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ocking unit to mount a plurality of portable display apparatuses, a portable display apparatus mountable to the docking unit, a prin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docking unit,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dock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002A KR20170069597A (ko) 2015-12-11 2015-12-11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597A true KR20170069597A (ko) 2017-06-21

Family

ID=59014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002A KR20170069597A (ko) 2015-12-11 2015-12-11 화상형성장치,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인쇄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936096B2 (ko)
KR (1) KR20170069597A (ko)
WO (1) WO201709930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61A (ko) * 2017-12-06 2019-06-14 안태영 인쇄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선 복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252B1 (ko) * 2013-08-26 2014-09-1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페이퍼를 이용한 인쇄시스템과 그 디지털 페이퍼 제조방법
US10785200B2 (en) * 2016-11-29 2020-09-22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reducing burden of entering a passcode upon signing in to a service
JP7003695B2 (ja) * 2018-01-30 2022-01-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電源状態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8643B1 (en) * 2000-06-16 2005-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inting documents to a reusable medium
DE10037781A1 (de) * 2000-08-03 2002-02-21 Agfa Gevaert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schreiben von Aufzeichnungsmaterial mit Bildinformationen
US7113218B2 (en) * 2002-10-15 2006-09-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gital docking system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US7573593B2 (en) * 2003-09-25 2009-08-11 Ricoh Company, Ltd. Printer with hardware and software interfaces for media devices
US20050086328A1 (en) * 2003-10-17 2005-04-21 Landram Fredrick J. Self configuring mobile device and system
US20060061804A1 (en) * 2004-09-23 2006-03-23 Eastman Kodak Company Modular digital photofinishing system
JP4135733B2 (ja) * 2005-06-30 2008-08-2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ジョブチケット発行装置及びジョブ実行装置
US8499251B2 (en) * 2009-01-07 2013-07-30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page turn
JP2011180631A (ja) 2010-02-26 2011-09-15 Brother Industries Ltd プリンタドライバ、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イメージデータ転送装置
US8241050B2 (en) * 2010-04-23 2012-08-14 Psion Inc. Docking cradle with floating connector assembly
US8699061B2 (en) * 2010-12-20 2014-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trol panel system
TW201239745A (en) * 2011-03-17 2012-10-01 Teco Image Sys Co Ltd Print system and method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20107249A (ko) 2011-03-21 2012-10-02 (주)스트라스타 전자 서적 서비스 제공 방법
JP5221742B2 (ja) * 2011-11-24 2013-06-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94313B2 (ja) * 2012-03-21 2016-09-2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提供装置、伝送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30111298A (ko) 2012-03-30 201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종이 및 프린팅 장치
KR20140044690A (ko) 2012-10-05 2014-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스크린 디바이스 시스템에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장치
JP6011247B2 (ja) * 2012-10-29 2016-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399730B2 (ja) * 2013-02-20 2018-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KR101523230B1 (ko) 2013-03-07 2015-05-28 은상용 전자문서 자동 전달방법
JP6218515B2 (ja) * 2013-09-05 2017-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23487B2 (en) * 2014-01-14 2016-04-26 Ricoh Company, Ltd. Providing an integrated, feature oriented ad-hoc printing device selection system for mobile client devices
US9374480B2 (en) * 2014-08-08 2016-06-21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 im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661A (ko) * 2017-12-06 2019-06-14 안태영 인쇄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무선 복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71425A1 (en) 2017-06-15
WO2017099305A1 (en) 2017-06-15
US9936096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509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content
US993609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ocking unit to mount a plurality of portable display apparatuses, a portable display apparatus mountable to the docking unit, a printing control method using the docking unit, and a display method using the docking unit
US20180324310A1 (en) Cooperative processing system and cooperative processing method
KR101170709B1 (ko) 기입 제어 시스템
US200902623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aving and loading user configurations for a multi-function peripheral (mfp)
US20140122648A1 (en) Method of transferring image between electronic papers,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paper
JP4345535B2 (ja) 電子ペーパーシステム
JP5038241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98881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405462B2 (en) Interaction method between electronic papers,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paper
JP2005175942A (ja) 画像表示装置、文書回覧システム、画像表示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036794B1 (ko) 태블릿 기기
JP6092074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604180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102163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multi-function printer as a user interface for a print driver
US11320714B2 (en) Electronic paper,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method
JP4980446B2 (ja) 可搬型ディスプレイ端末
JP4563660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16474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72234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스마트패드 시스템
KR2013002353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스마트패드 시스템
US2022026395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emote operation control method
US10602005B2 (en) Image forming system, printer dri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processing electronic file
Hoshimura Displays for business machines: operation liquid crystal displays of photocopier machines
US200800887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cessing file according to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