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659A - 케이블베어 - Google Patents

케이블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659A
KR20170068659A KR1020150174870A KR20150174870A KR20170068659A KR 20170068659 A KR20170068659 A KR 20170068659A KR 1020150174870 A KR1020150174870 A KR 1020150174870A KR 20150174870 A KR20150174870 A KR 20150174870A KR 20170068659 A KR20170068659 A KR 20170068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cable
supported
housing member
parti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김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659A/ko
Publication of KR20170068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6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75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formed by a succession of articul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베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부재의 내면에 롤러가 설치된다. 그러면, 작업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는 연결링크가 벤딩됨에 따라 케이블이 벤딩되고,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 사이의 간격이 변하여도, 케이블의 부위가 롤러를 타고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이 수용부재의 내면과 마찰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이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베어 {CABLEVEYOR}
본 발명은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장치에는 작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 또는 작업장치로 유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호스 등과 같은 케이블이 연결된다. 즉, 케이블의 일단부측은 고정된 전원공급장치 또는 고정된 유공압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부측은 작업장치에 연결되어 작업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한다.
케이블이 이동하므로, 케이블은 작업장치 및 다른 장치에 끼여서 손상되거나, 바닥 등과의 마찰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다.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타이 등으로 묶어서 보호한다. 그런데, 케이블을 묶어서 보호하더라도, 케이블의 최외곽을 형성하는 피복이 연질이므로, 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상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케이블베어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베어의 개략 측단면도로서, 이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케이블베어는 복수의 단위링크(11a)가 연속적으로 연결된 연결링크(11)를 포함하며, 연결링크(11)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대향한다. 이때, 단위링크(11a)는 상호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호 대향하는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 사이에는 연결링크(11)를 따라 복수의 수용부재(13)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즉, 수용부재(13)의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에 결합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에 결합된다. 그리고, 수용부재(13)의 내부에는 케이블(50)이 통과하면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베어는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와 마찰하여 손상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링크(11)의 일단부는 고정된 전원공급장치 또는 고정된 유공압공급장치 등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이동하는 작업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작업장치가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는, 연결링크(11)는 벤딩되어 대략 "⊂" 또는 "⊃" 형상을 이루며, 케이블(50)도 연결링크(11)와 대응되게 벤딩된다.
이때, 연결링크(11)가 벤딩된 부위에서는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13)와 수용부재(13)의 내측 부위는 간격이 좁아지고, 외측 부위는 간격이 넓어진다. 그러면, 벤딩된 케이블(50)의 내측 부위(50a) 및 외측 부위(50b)가 수용부재(13)와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케이블(50)과 수용부재(13)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의 내면과 마찰하므로, 케이블(50)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케이블베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케이블이 벤딩되는 부위에서 케이블과 수용부재가 마찰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베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상호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링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작업장치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연결링크;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며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수용부재의 상대운동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수용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부재의 내면에 롤러가 설치된다. 그러면, 작업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는 연결링크가 벤딩됨에 따라 케이블이 벤딩되고,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 사이의 간격이 변하여도, 케이블의 부위가 롤러를 타고 슬라이딩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이 수용부재의 내면과 마찰하지 않으므로, 케이블이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베어의 개략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의 사시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재의 확대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또는 제3항목"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설치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된다 또는 설치된다"라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연결링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링크(110)의 일단부는 작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된 전원공급부 또는 작업장치로 유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고정된 유공압공급장치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부는 이동하는 작업장치에 연결되어 작업장치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연결링크(110)는 복수의 단위링크(111)가 직렬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연결된 단위링크(111)는 상호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쌍의 연결링크(110) 중,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0a) 및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0b)에는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된 복수의 수용부재(130)가 지지 설치되고, 수용부재(130)의 내부에는 케이블(50)(도 3b 및 도 4 참조)이 통과하면서 지지된다. 즉, 케이블(50)은 수용부재(130)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호된다.
연결링크(110)가 작업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면, 연결링크(110)와 함께 수용부재(130) 및 케이블(50)이 이동함은 당연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110)의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이동하므로, 작업장치가 이동을 하면서 작업을 하는 도중에는, 연결링크(110)는 대부분 벤딩되어 대략 "⊂" 또는 "⊃" 형상을 이룬다. 그러면, 연결링크(110)의 벤딩된 부위측에 위치되는 케이블(50)도 연결링크(110)과 대응되게 벤딩된다. 또한, 연결링크(110)의 벤딩된 부위에 위치된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130)와 수용부재(130)의 내측 부위는 간격이 좁아지고, 외측 부위는 간격이 넓어진다. 이로 인해, 벤딩된 케이블(50)의 내측 부위 및 외측 부위가 수용부재(130)와 접촉하고, 케이블(50)과 수용부재(130)의 상대운동에 의하여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0)의 내면과 마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케이블(50)과 수용부재(130)의 상대운동시,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0)의 내면과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0)의 내면에서 슬라이딩되게 하는 롤러(150)(도 3a 내지 도 4 참조)를 포함할 수 있고, 롤러(150)는 수용부재(13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수용부재(130) 및 롤러(150)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수용부재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30)는 제1커버판(131), 제2커버판(133), 수평구획판(135) 및 수직구획판(137)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형이 대략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판(131)은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0a)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0b)에 지지되어 수용부재(130)의 상면 또는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커버판(133)은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0a)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0b)에 지지되어 제1커버판(131)과 대향할 수 있으며, 수용부재(130)의 하면 또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구획판(135)은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10a)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10b)에 지지되며, 제1커버판(131)과 제2커버판(1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수평구획판(135)은 제1커버판(110a)과 제2커버판(110b) 사이의 간격을 상하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수평구획판(135)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에는 하나의 수평구획판(135)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수직구획판(137)은 적어도 2개 마련될 수 있으며, 일측 및 타측은 제1커버판(131) 및 상기 제2커버판(133)에 각각 지지되고, 중간부위는 수평구획판(135)이 통과할 수 있다. 그리하여, 수직구획판(137)은 제1커버판(131)과 제2커버판(133) 사이의 간격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수직구획판(137)이 적어도 2개 필요한 이유는, 수직구획판(137)이 수용부재(13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2 내지 도 4에는 3개의 수직구획판(137)을 예로 들어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130)는, 수평구획판(135) 및 수직구획판(137)에 의하여, 수용부재(130)의 내부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50)은 수용부재(130)의 각 구역에 구획되어 지지되므로, 케이블(50)이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수직구획판(137)은 제1커버판(131)과 제2커버판(133) 및 수평구획판(135)에 착탈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수직구획판(137)이 이동되므로 수용부재(130)의 좌우 방향 구역의 간격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롤러(150)는 제1커버판(131)측과 제2커버판(133)측과 수평구획판(135)측 및 수직구획판(137)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롤러(150)는 상호 대향하는 제1커버판(131)의 면측 및 제2커버판(133)의 면측, 제1커버판(131)과 대향하는 수평구획판(135)의 면측, 제2커버판(133)과 대향하는 수평구획판(135)의 면측, 상호 인접하면서 상호 대향하는 수직구획판(137)의 면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평구획판(135)이 2개 이상 설치될 경우에는, 상호 인접하면서 상호 대향하는 수직구획판(137)의 면측에도 롤러(15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제1커버판(131)측, 제2커버판(133)측 및 수평구획판(135)측에 설치된 롤러(150)는 연결링크(110)에 지지되거나, 수직구획판(137)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구획판(137)에 설치된 롤러(150)는 수직구획판(137)에 설치된 지지편(137a)에 지지 설치되거나 수직구획판(137)에 일측 부위가 묻히는 형태로 지지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작업장치와 연결된 연결링크(110)의 타단부가 이동함에 따라, 연결링크(110)가 벤딩되어 케이블(50)이 벤딩되고,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변하여도, 케이블(50)의 내측 및 외측 부위가 롤러(150)를 타고 슬라이딩되므로, 케이블(50)이 수용부재(130)의 내면과 마찰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50)에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수직구획판(137)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제1커버판(131)에 설치된 롤러(150)와 제2커버판(133)에 설치된 롤러(150) 및 수평구획판(135)에 설치된 롤러(150)는 수직구획판(137)을 통과하는 형태로 설치됨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베어는 케이블(50)이 수용되어 지지되는 수용부재(150)의 내면에 롤러(150)가 설치된다. 그러면, 작업장치에 의하여 이동하는 연결링크(110)가 벤딩됨에 따라 케이블(50)이 벤딩되고, 상호 인접하는 수용부재(130) 사이의 간격이 변하여도, 케이블(50)의 내측 및 외측 부위가 롤러(150)를 타고 슬라이딩되므로, 케이블(50)이 수용부재(15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의 내면과 마찰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블(50)이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연결링크
130: 수용부재
150: 롤러

Claims (4)

  1. 상호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단위링크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일단부는 고정되고 타단부는 작업장치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상호 대향하는 한쌍의 연결링크;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며 내부에는 케이블이 통과하면서 지지되는 복수의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블과 상기 수용부재의 상대운동시 상기 케이블이 상기 수용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베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복수개의 구역으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수용부재의 구역을 각각 통과하면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베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된 제1커버판;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며, 상기 제1커버판과 대향하는 제2커버판;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에 지지되며, 상기 제1커버판과 상기 제2커버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버판과 상기 제2커버판 사이의 간격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수평구획판;
    일측 및 타측은 제1커버판 및 상기 제2커버판에 각각 지지되고, 중간부위는 상기 수평구획판이 통과하며, 상기 제1커버판과 상기 제2커버판 사이의 간격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2개의 수직구획판을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상기 제1커버판측, 상기 제2커버판측, 상기 수평구획판측 및 상기 수직구획판측에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베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획판은 상기 제1커버판과 상기 제2커버판 및 상기 수평구획판에 착탈 및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커버판과 상기 제2커버판 및 상기 수평구획판에 각각 설치된 상기 롤러는 상기 수직구획판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베어.
KR1020150174870A 2015-12-09 2015-12-09 케이블베어 KR201700686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70A KR20170068659A (ko) 2015-12-09 2015-12-09 케이블베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870A KR20170068659A (ko) 2015-12-09 2015-12-09 케이블베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659A true KR20170068659A (ko) 2017-06-20

Family

ID=59281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870A KR20170068659A (ko) 2015-12-09 2015-12-09 케이블베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6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0979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部材
JP4799240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KR1010307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TWI674369B (zh) 長條物之導引裝置及導軌
KR20120085188A (ko) 다관절형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JP4757288B2 (ja) ケーブル保護案内装置用ガイドレール
JP2013024356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59861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用スケートユニット
KR10110067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지지모듈
CN104508325A (zh) 具有滚轮的缆线承载链
TWI555928B (zh) 動力導引鏈條
KR20190137889A (ko) 긴 물체의 안내 장치
US9576705B2 (en) Sleeve support module for transmission line
KR102017509B1 (ko) 케이블 베어
KR20170068659A (ko) 케이블베어
WO2018030188A1 (ja) 長尺物の案内装置
KR101249286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의 조립형 지지모듈
KR200487190Y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192804B1 (ko) 전송라인용 슬리브
KR200395617Y1 (ko) 케이블 트레이
JP666589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ローラアタッチメント
KR101427614B1 (ko) 케이블 보호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US8596329B2 (en) Covering device, in particular for machine tools
KR101374963B1 (ko) 작업판 배치율을 높이는 작업 컨베이어
JP5312229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