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441A -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 - Google Patents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441A
KR20170068441A KR1020177006376A KR20177006376A KR20170068441A KR 20170068441 A KR20170068441 A KR 20170068441A KR 1020177006376 A KR1020177006376 A KR 1020177006376A KR 20177006376 A KR20177006376 A KR 20177006376A KR 20170068441 A KR20170068441 A KR 2017006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rking
marker
top wall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6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807B1 (ko
Inventor
제라르 바로우
Original Assignee
에스 아이 씨 마킹 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 아이 씨 마킹 그룹 filed Critical 에스 아이 씨 마킹 그룹
Publication of KR2017006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3/00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 B44B3/02Artist's machines or apparatus equipped with tools or work holders moving or able to be controlled substantially two- dimensionally for carving, engraving, or guilloching shallow ornamenting or markings wherein plane surfaces are wor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을 마킹하기 위한 휴대용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기는 마커 부재를 2차원 마킹 영역(Z)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의해 이동되는 마커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된 전면을 제공하는 하우징(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마킹을 위한 표면에 대해 기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노즈(30)가 제공되고, 상기 위치 결정 노즈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6)에 직면하여 그리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2차원 마킹 영역(Z)을 1차로 규정하고, 상기 2차원 마킹 영역을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상부 벽을 연장하는 개구(35)를 2차로 규정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벽에는 상기 위치 결정 노즈의 개구를 통해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2차원 마킹 영역이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동시에 보이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이 장착된다.

Description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PORTABLE APPLIANCE FOR MARKING A SURFACE}
본 발명은 넓은 의미에서 물품의 표면을 마킹하기 위한 휴대용 기기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물품의 표면을 변형시킴으로써 마킹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바람직한 기술분야에서, 예를 들어 평행 왕복 운동에 의해 구동되고 마킹을 위해 표면에 충돌하여 사실상 도트형 임펙트를 형성하는 핀을 사용하는 미세 타격에 의해 금속 물체를 마킹하기 위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기는 또한 2차원 마킹 영역 또는 윈도우에서 2개의 교차된 방향으로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해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포함한다.
최신 기술에서, 마킹 기구를 제조하기 위한 몇 가지 변형된 제안이 있다. 예를 들어, 특허 FR 2 256 833은 병진 이동 방향으로 그리고 병진 이동 방향에 평행한 축 둘레를 회전하는 방향으로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기기를 기술한다. 이러한 기기는 핸들이 있어 휴대가 가능하고, 사용하기에 큰 유연성을 제공하는 솔루션을 구성하는 한편, 액세스하기 어려운 부품에 채용할 수 있다.
최신 기술에서, 마커 기기는 또한 마킹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소정 모델을 갖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휴대용 마커 기기의 실제 사용에서는 오퍼레이터의 사용 조건에 맞지 않는 한 인체 공학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이러한 기기는 대개 부피가 커서 기기의 2차원 마킹 영역을 볼 수 없다. 이는 그런 식으로 수행된 마킹에 대한 정확성의 결여로 이어진다. 또한,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포함하지 않는 휴대형 기기의 경우, 오퍼레이터는 마킹 동작에 앞서, 마킹이 원하는 마킹에 대응하는지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갖춘 휴대용 기기의 경우, 오퍼레이터는 종종 마킹이 원하는 마킹에 대응하는지를 스크린 상에서 확인하기 위해 마커 부재를 표면으로부터 해제하게 한다. 또한, 특히 하우징의 구조로 인해 기기가 마킹을 위해 표면을 정확하게 누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종종 어렵다. 마지막으로, 복잡한 기구에 의존하지 않고서, 그와 같은 마커 기기는 마킹되어야 할 표면을 구성하는 재료의 함수로서 충격력(impact force)을 조정하는 옵션을 제공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마킹 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표면을 마킹하기 위한 새로운 휴대용 기기를 제안함으로써 상술한 단점을 개선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물품의 표면을 마킹하기 위한 휴대용 마커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휴대용 마커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이 제공됨과 더불어, 마커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트형 마크를 만들도록 구성된 마커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된 전면을 후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제공하는 하우징 - 상기 전면 및 후면은 적어도 상부 벽 및 2개의 대향 측벽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제공됨;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커 부재를 2차원 마킹 영역의 마킹을 위한 표면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마킹을 위한 표면에 대해 기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노즈가 제공되며, 상기 위치 결정 노즈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2차원 마킹 영역을 1차로 규정하고 상기 2차원 마킹 영역을 보기 위한 상부 벽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개구를 2차로 규정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벽에는 상기 위치 결정 노즈의 개구를 통해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및 2차원 마킹 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벽 상의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동시에 보이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기기는 다음의 추가적인 특징들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그 이상을 조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 상기 상부 벽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를 향하여 만곡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방 단부 에지까지 연장되는 프로파일을 제공하고;
- 상기 위치 결정 노즈에 의해 규정된 2차원 마킹 영역은 상부 벽의 전방 단부 에지로부터 50 mm 내지 80 mm 범위의 거리에 위치되고, 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전방 단부 에지는 2차원 마킹 영역으로부터 70 mm 내지 120 mm 범위의 거리에 위치되며;
- 상기 상부 벽은 이 상부 벽의 전방 단부 에지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과 함께 맨-머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 상기 위치 결정 노즈는 하우징의 측벽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2차원 마킹 영역을 규정하기 위한 개방 베어링 플레이트에 의해 함께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아암을 포함하며;
-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는 오퍼레이터를 위한 후방 추력 벽(rear thrust wall)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추력 벽은 위치 결정 노즈에 단단히 연결되고;
- 마커 부재를 제어하기 전에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마킹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하며;
- 하우징은 상부 벽과 일치하여 위치된 하부 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핸들을 포함하고;
- 핸들은 하우징에 연결된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기기의 전력 공급 배터리를 교환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와 결합되며;
- 전력 공급 배터리는 기기를 직립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평면을 갖고;
-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는 2차원 마킹 영역에 대한 마커 부재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대해 캐리지를 이동시키고 잠그기 위한 메커니즘은 수동 제어로 제공되며;
- 캐리지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은 노브(knob)에 의해 회전되고 캐리지를 병진 이동시키는 편심부를 포함하고, 캐리지는 하우징에 대해 병진 이동하도록 안내되며, 상기 편심부의 제어 노브는 잠금 레버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비 제한적인 예로서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마커 기기가 사용되는 동안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마커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전진된 위치 및 후퇴된 위치에 각각 위치된 마커 부재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마커 기기의 단면 부분 입면도이다.
도 5는 장착 부재를 이동시키는 장치가 어떻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지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마커 기기의 상세도이다.
도 6은 후퇴된 위치에 배치된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지지하는 캐리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지지하는 캐리지에 대한 제어의 상세를 보여주는 입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넓은 의미로 물품의 표면(2) 상에 마킹(M)을 제공하기 위한 휴대용 기기(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1)은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이고 적어도 하나의 핸들, 예로서 하나의 핸들(3)만을 나타낸 핸들이 장착된 하우징(2)을 포함한다. 후면(5)에 대향하여, 하우징(2)은 소정의 공지된 타입의 마커 시스템(8)의 일부를 형성하는 마커 부재(7)를 통과시키기 위해 개방되고 아래의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전면(6)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2)은 적어도 2개의 대향 측벽(10)에 의해 양 측면 상에 연장된 상부 벽(9)에 의해 형성된 후면과 전면(5, 6) 사이의 연결 본체를 갖춘다. 도시된 예에서, 그러한 2개의 대향 측벽(10)은 상부 벽(9)과 정렬되고 그리고 상부 벽(9)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연장되는 하부 벽(11)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따라서, 도면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은 강성의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연결된 상부 벽(9), 하부 벽(11) 및 2개의 대향 측벽(10)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강성의 몸체를 제공한다. 후면(5)에서, 하우징(2)은 또한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몸체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오퍼레이터를 위한 스러스트(thrust) 또는 베어링 표면을 형성하는 후방 벽을 갖춘다. 명료성의 이유로,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시야가 상부 벽(9)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기기의 사용 조건을 참조하여 사용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당연히, 그러한 기기는 소정의 다른 경사 또는 수직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당업자는 그에 따라 벽을 특정하는 데 사용되는 단어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
유효한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상부 및 하부 벽(9, 11)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하우징(2)의 높이는 손의 손가락들이 그 하부 벽(11)을 통해 하우징을 지지하면서 상부 벽(9)을 가압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측벽(10)을 파지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으로, 하우징(2)의 높이는 40 mm 내지 90 mm의 범위에 놓인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핸들(3)은 하부 벽(11)으로부터 돌출한다. 당연히, 그의 측벽(10)들으로부터, 하우징의 대향하는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핸들로 하우징(2)을 꼭 끼워 맞추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배제하진 않지만, 마커 시스템(8)은, 그 마커 부재(7)로서, 내부에 실질적으로 도트형 마크 또는 임펙트 지점을 만들기 위해 물품의 표면(S)에 임펙트를 가하기 위한 단부를 갖는 마커 핀을 포함하는 전자기 미세 타격 시스템이다. 마커 시스템(8)은 본 발명의 특정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며, 그 디자인은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마커 시스템(8)은 마커 부재(7)가 마킹 방향(X)을 따라 왕복 운동하여 표면(S)에 임펙트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마커 부재(7)는 이 마커 부재가 표면(S)에 대해 후퇴된 휴지 위치와 상기 마커 부재가 표면(S)과 접촉하는 작업 위치간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마커 부재(7)가 실질적으로 도트형 마크를 형성하는 한,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마커 부재에 의해 만들어진 세트의 도트형 마크로 이루어지는 2차원 마킹(M)으로 상기 표면(S)을 마킹하는 것이 바람직하면, 상기 기기(1)는 마킹을 위한 표면(S)에 수직 및 상호 수직인 2개의 이동 평면(P 및 P1)에 평행하게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14)를 포함한다.
상기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는 2차원 마킹 윈도우 또는 영역(Z)에서 마킹하기 위해 마커 부재(7)를 표면(S)에 걸쳐 이동시키도록 디자인된다. 당연히, 상기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는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특히 특허 EP 1 809 488에 기술된 장치의 기술에 따라 이루어진다.
상기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는 하우징(2) 내측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 장치(14)는 2차원 마킹 영역(Z)에 대해 마커 부재(7)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하우징(2)에 대해 슬라이드되도록 장착된 캐리지(16)에 의해 지지된다.
기존의 방식에서, 그러한 이동 장치(14)는 마킹하기 위한 표면(S)에 수직 및 상호 수직인 2개의 이동 평면(P, P1)에 평행하게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는 역할을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이동 장치(14)는 캐리지(16) 상에 고정된 가이드 레일의 형태로 구현되는 병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17)를 갖는다. 그러한 이동 장치(14)는 또한 이동 평면(P)에 평행한 방향(D)을 따라 병진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레일(17)과 협력하는 이동가능 장비(18)를 포함한다. 이동가능 장비(18)를 대부분의 주행 방향에 걸쳐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병진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 부재(19)는 이동가능 장비(18)를 병진 이동시키도록 제공된다. 그러한 모터 부재(19)는 방향(D)에 평행하고 이동가능 장비(18)의 일부를 형성하는 랙(22)과 협력하는 출구 기어(21)를 갖춘다. 캐리지(16)에 의해 지지되는 모터 부재(19)는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이동가능 장비(18)의 병진 이동을 방향(D)을 따라 양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마커 부재(7)를 평면(P)에 수직인 평면(P1)에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동 장치(17)는 방향(D)에 평행함으로써 평면(P1)에 수직인 축(D1)에 대해 피봇할 수 있도록 이동가능 장비(18)에 장착된 진동 크래들(25; oscillating cradle)을 포함한다. 마커 시스템(8)은 마커 핀(7)이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돌출되는 형태로 크래들(25) 상에 장착된다.
마커 시스템(8)을 수반하는 크래들(25)의 피봇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동 장치(14)는 또한 크래들(25)에 연결된 C형 아암(28)의 톱니형 섹터와 협력하는 출구 기어(27)를 갖는 모터 부재(26)를 갖춘다. 나타낸 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 부재(26)는 이동 레일(17)을 따라 이동가능 장비(18)와 함께 병진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가능 장비(18)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 부재(26)는 축(D1)에 대해 마커 부재(7)의 양방향 피봇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
상기 모터 부재(19)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기술한 이동 장치(14)는 마커 부재(7)를 평면(P)에 평행하게 병진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모터 부재(26)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마커 부재(7)를 평면(P1)에 평행하게 양방향으로 피봇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이동의 조합은 방향(D)에 따른 병진 이동의 크기로 설정된 길이, 및 축(D1)에 대한 피봇팅 이동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 폭의 2차원 마킹 윈도우 또는 영역(Z)을 규정한다. 따라서, 상기 마커 시스템(8)이 작동될 때, 상기 규정된 마킹 윈도우(Z)에 위치한 소정의 지점에서 상기 마커 부재(7)에 의해 도트 마킹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2차원 윈도우(Z)에서, 각각 마커 부재(7)에 의해 얻어진 세트의 도트들의 마킹으로부터 제공되는 마킹(M)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예에서, 얻어진 마킹(M)은 "SIC MARKING"을 나타낸다.
당연히,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이동 장치(14)는, 그러한 이동 장치(14)가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시로서 주어졌다. 예를 들어, 상기 마커 부재(7)의 이동은 수직 축에 대한 피봇팅 이동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이동 장치(14)는, 예컨대 유럽 특허 EP 1 809 488에 기술된 바와 같이, 마커 부재 피봇팅의 효과를 보상하기 위한 시스템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기(1)는 또한 마킹을 위한 표면(S)에 대해 기기(1)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노즈(30)를 갖춘다. 이러한 위치 결정 노즈(30)는 하우징의 전면(6)의 앞에 그리고 상기 전면(6)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2차원 마킹 영역(Z)을 규정한다. 상기 위치 결정 노즈(30)는 하우징에 고정되거나 하우징에 통합되고, 상기 전면(6)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측벽(10)들로부터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암(33; 특히 예시에서는 2개의 아암을 나타냄)을 포함한다. 이들 아암(33)은 마킹을 위해 표면(S)에 대해 가압되고, 하우징에 고정된 그들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들 사이에서 가압되어야 하고, 그것들은 2차원 마킹 영역(Z)을 규정한다.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 상기 2차원 마킹 영역(Z)은 프레임 형태이면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단부들로부터 멀리 떨어진 아암(33)의 단부들에 고정된 가압 플레이트(34)에 제공된 개구에 의해 규정된다. 나타낸 예에서, 상기 아암(33)들은 측벽(10)들을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며, 그들 각각은 하우징(2)에 고정된 단부들 중 하나를 갖고 상기 플레이트(24)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갖는다. 당연히, 이러한 위치 결정 노즈(30)는 몇몇 다른 방식, 예컨대 베어링 플레이트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단부를 갖추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로드를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아암(22)들은 또한, 상기 위치 결정 노즈(30)가 연결 섹션의 단일의 일체형 부분의 형태이도록, 하부 벽(11)을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에 의해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위치 결정 노즈(30)는 또한 상부 벽(9)을 통해 2차원 마킹 영역(Z)을 볼 수 있게 하는 상부 벽(9)과 일치하여 개구(35)를 규정하도록 배치된다. 즉, 플레이트(34)에 의해 규정된 2차원 마킹 영역(Z)과 하우징의 전면(6)간 상부 벽(9)을 연장하는 빈 공간이 남는다. 위치 결정 노즈(30)가, 상기 전면(6)과 2차원 마킹 영역(Z) 사이에, 단지 하우징의 측벽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암(33)을 포함하는 한, 제공된 개구(3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2차원 마킹 영역이 상부 벽(9) 위 또는 상부 벽(9) 옆에 위치된 오퍼레이터(U)에 의해 명확히 보여 질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위치 결정 노즈(30)에 의해 규정되고 그 위치 결정 노즈의 개구(35)를 통해 보여지는 2차원 마킹 영역(Z) 및 스크린이 하우징의 상부 벽 상의 오퍼레이터의 시야에서 함께 보여질 수 있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스크린(40)에 상기 하우징(2)의 상부 벽(9)이 장착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U)는 1차적으로 적절한 마킹 동작 전에 2차원 마킹 영역(Z)과 함께 상기 스크린(4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마킹을 볼 수 있고, 2차적으로 마킹 동작 동안 오퍼레이터는 상기 2차원 마킹 영역(Z)에서 이루어지는 마킹과 함께 상기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마킹을 동시에 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은 상기 하우징(2)의 전면(6)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벽(9)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벽(9)은 하우징의 내측을 향해 만곡된 프로파일(92)을 제공하며, 상기 프로파일(92)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에서 단부 에지(91)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6)의 일부를 규정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과 전면(6) 사이에 위치된 상부 벽(9)의 만곡된 프로파일은 상기 전면과 2차원 마킹 영역(Z)간 규정된 개구(35)를 통해 상기 2차원 마킹 영역(Z)의 관찰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 결정 노즈(30)에 의해 규정된 2차원 마킹 영역(Z)은 상부 벽(9)의 전방 단부의 에지(91)로부터 50 mm 내지 80 mm 범위의 거리(d)에 위치되고, 반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의 전방 단부 에지는 2차원 마킹 영역(Z)으로부터 70 mm 내지 120 mm 범위의 거리(d1)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변형 실시예에서, 상부 벽(9)은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을 유효하게 포함하는 맨-머신 인터페이스(45)를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은 상부 벽(9)의 전방 단부의 에지(92)에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맨-머신 인터페이스(45)는, 오퍼레이터가 기기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모든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키패드와 같은 소정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에서, 상부 벽(9)은 맨-머신 인터페이스(45)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공동 또는 하우징(47)을 갖춘다. 이러한 맨-머신 유닛(45)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마커 시스템(8), 및 마커 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닛에 연결된다.
마킹 동작은 예컨대 핸들에 위치된 제어 스위치(48)에 의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이러한 제어 유닛은, 마킹 동작을 실행하기 전에 그리고 또 그러한 마킹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모두 이루어지는 마킹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을 제어한다. 이루어진 마킹(M)은 스크린(40) 상에 풀 사이즈로, 즉 일정 크기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1)는 그의 후면(5) 상에 취약한 전자 부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전자 부품은 바람직하게 하우징의 상부 벽(9)에 위치된 전자 카드에 함께 그룹화된다. 따라서, 하우징의 후면(5)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후면(5)이 하우징(2)의 몸체에 의해 위치 결정 노즈(30)에 단단히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표면(S)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결정 노즈(30)를 가압하도록 추력을 가하기 위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들(3)은 기기가 직립 위치에 놓일 수 있게 하는 평면 지지 벽(50)에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 제공된다. 그와 같은 구성은, 이러한 직립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수평이거나 또는 약 20°보다 작은 각도로 경사진 평면에서 상부 벽이 연장되는 한, 상기 하우징의 맨-머신 인터페이스(45) 상에서 입력 동작의 수행을 더 쉽게 한다. 또한, 오퍼레이터는 그러한 직립 위치에 있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기기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양 엄지를 이용하여 이러한 맨-머신 인터페이스(45)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나타낸 실시예의 특징에 따르면, 지지 벽(50)은 기기에 대한 전력 공급 배터리 블록(52)의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블록은 하우징에 고정된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상기 핸들(3)의 단부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핸들(3)은 기기에 전력 공급 배터리를 교환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53)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된 그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져 단부에 제공된다. 당연히, 본 발명의 기기는 배터리를 가질 필요가 없으며, 전력 공급원에 연결하기 위한 코드로 연결 지지부(53)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는 2차원 마킹 영역(Z)에 대한 마커 부재(7)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캐리지(16)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캐리지(16)에는 하우징(2)에 대해 캐리지를 이동시키고 잠그기 위한 수동 메카니즘(60)이 제공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다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캐리지(16)는 하우징의 하부 벽(11)의 내면에 배열된 가이드(6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캐리지(16)는 마커 부재(7)를 2차원 마킹 영역(Z)으로부터 멀어지게 또는 그를 향해 이동시키도록 메커니즘(60)에 의해 병진 이동된다. 나타낸 예에서, 그러한 메커니즘(60)은 편심부에 자체 고정된 회전 샤프트(65)에 견고하게 장착된 노브(64; knob)에 의해 회전되는 캠 또는 편심부(63)를 포함한다. 노브(64)를 수동으로 돌리면 캐리지(16)에 제공된 캐비티(66) 내측에서 편심부가 회전한다. 따라서, 편심부를 회전시키면 캐리지(16)를 병진 이동 시킨다. 그러한 편심부를 회전시키는 노브(64)는 제어 노브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잠금 레버(67)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된다. 캐리지(16) 상에 전체 이동 장치(14)를 장착하는 것은 마킹(M)을 위한 표면에 대한 마커 부재(7)의 초기 위치를, 특히 마킹을 위한 표면을 구성하는 재료의 경도의 함수로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절 시스템은 오퍼레이터가 마커 부재(7)와 마킹을 위한 표면(S) 사이의 마킹 위치의 거리를 직접 조절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오퍼레이터가 개구(35)를 통해 마크 부재(7)와 마킹을 위한 표면(S)간 거리를 보면서 오퍼레이터의 후방 손은 마킹을 위한 표면(S)에 대해 위치 결정 노즈(30)를 가압한다. 동시에, 오퍼레이터의 손 지배 하에 캐리지(16)의 위치를 조정하고 그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편심부(63)를 돌릴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기술되고 나타낸 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2)

  1. 표면(S)을 마킹하기 위한 휴대용 마커 기기로서, 상기 휴대용 마커 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핸들(3)이 제공됨과 더불어, 마커 시스템(8)의 일부를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도트형 마크를 만들도록 구성된 마커 부재(7)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된 전면(6)을 후면(5)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제공하는 하우징(2) - 상기 전면 및 후면(6, 5)은 적어도 상부 벽(9) 및 2개의 대향 측벽(1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후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이 제공됨; 및
    상기 하우징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마커 부재(7)를 2차원 마킹 영역(Z)의 마킹을 위한 표면(S) 상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14)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에는 마킹을 위한 표면(S)에 대해 기기를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노즈(30)가 제공되고, 상기 위치 결정 노즈(30)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6)과 정렬되고 그리고 상기 전면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2차원 마킹 영역(Z)을 1차로 규정하고 상기 2차원 마킹 영역(Z)을 보기 위한 상부 벽(9)과 일직선으로 정렬된 개구(35)를 2차로 규정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 벽(9)에는 상기 위치 결정 노즈의 개구(35)를 통해 보는 것과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 및 2차원 마킹 영역(Z)이 상기 하우징의 상부 벽(9) 상의 오퍼레이터의 시야에 동시에 보이게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벽(9)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4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를 향하여 만곡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의 일부를 규정하는 전방 단부 에지(91)까지 연장되는 프로파일(92)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위치 결정 노즈(30)에 의해 규정된 2차원 마킹 영역(Z)은 상부 벽(9)의 전방 단부 에지(91)로부터 50 mm 내지 80 mm 범위의 거리(d)에 위치되고, 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의 전방 단부 에지는 2차원 마킹 영역(Z)으로부터 70 mm 내지 120 mm 범위의 거리(d1)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벽(9)은 이 상부 벽(9)의 전방 단부 에지(91)에 가깝게 위치한 디스플레이 스크린(40)과 함께 맨-머신 인터페이스(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결정 노즈(30)는 하우징의 측벽(10)으로부터 연장되고, 2차원 마킹 영역(Z)을 규정하기 위한 개방 베어링 플레이트(34)에 의해 함께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아암(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의 후면(5)에는 오퍼레이터를 위한 후방 추력 벽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추력 벽은 위치 결정 노즈(30)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커 부재를 제어하기 전에 그리고 그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마킹을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4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2)은 상부 벽(9)과 일치하여 위치된 하부 벽(11)으로부터 연장되는 핸들(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핸들(3)은 하우징에 연결된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부에서 기기의 전력 공급 배터리를 교환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53)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전력 공급 배터리는 기기를 직립 위치로 지지하기 위한 평면(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11.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마커 부재(7)를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14)는 2차원 마킹 영역(Z)에 대한 마커 부재(7)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캐리지(16)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에 대해 캐리지를 이동시키고 잠그기 위한 메커니즘(60)은 수동 제어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캐리지(16)를 이동시키기 위한 메커니즘(60)은 노브(64)에 의해 회전되고 캐리지(16)를 병진 이동시키는 편심부(63)를 포함하며, 캐리지는 하우징에 대해 병진 이동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편심부의 제어 노브(64)는 잠금 레버(67)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마커 기기.
KR1020177006376A 2014-08-08 2015-06-24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 KR102362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7727A FR3024674B1 (fr) 2014-08-08 2014-08-08 Appareil portatif pour le marquage d'une surface
FR1457727 2014-08-08
PCT/FR2015/051694 WO2016020586A1 (fr) 2014-08-08 2015-06-24 Appareil portatif pour le marquage d'une surf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441A true KR20170068441A (ko) 2017-06-19
KR102362807B1 KR102362807B1 (ko) 2022-02-15

Family

ID=5157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6376A KR102362807B1 (ko) 2014-08-08 2015-06-24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86545B2 (ko)
EP (1) EP3177435B1 (ko)
KR (1) KR102362807B1 (ko)
CN (1) CN107073703B (ko)
FR (1) FR3024674B1 (ko)
WO (1) WO2016020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17907B1 (fr) * 2020-12-23 2022-12-16 Sic Marking Group Appareil portatif pour le marquage d’une surface à l’aide d’outillages amovibles sans outil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271A (ko) * 1974-01-08 1975-08-11
JP2003522036A (ja) * 2000-02-10 2003-07-22 テ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手持ち動力工具のための付属品ト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1012A (en) * 1978-03-23 1980-07-0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ic-signal controlled hand-held printer
IT1182226B (it) * 1985-05-24 1987-09-30 Grandi Serviz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incidere un contrassegno indelebile su superfici, piane o leggermente curve, in particolare, di autoveicoli o simili
US4808018A (en) * 1987-06-24 1989-02-28 Telesis Controls Corporation Marking apparatus with matrix defining locus of movement
GB2370812A (en) * 2001-01-09 2002-07-10 Edward Pryor And Son Ltd Handheld marking device including a marking stylus hea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movable about a frame to a required location by two stepper motors
FR2871402B1 (fr) * 2004-06-14 2006-09-08 Marcel Therond Outil manuel portable de marquage de la surface d'un objet et procede de marquage
FR2875173B1 (fr) 2004-09-10 2006-12-29 Sic Marking Soc Par Actions Si Dispositif de marquage
US20070035777A1 (en) * 2005-08-11 2007-02-15 Kintner Michael J Portable bottomless laser engraver
CA2656895C (en) * 2006-08-25 2011-03-29 Tinnus Technology Llc Handheld pattern creating device and method of use of same
FR2928288B1 (fr) * 2008-03-07 2010-05-28 Sic Marking Holding Smh Machine de marquage
JP2012012731A (ja) * 2010-07-01 2012-01-19 Brother Ind Ltd ミシン
CN203450474U (zh) * 2013-07-15 2014-02-26 西刻标识设备(上海)有限公司 手持电磁式打标机
US10160079B2 (en) * 2016-08-22 2018-12-25 Redart Technologies Llc. Portable rail system for mounting an engraving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1271A (ko) * 1974-01-08 1975-08-11
JP2003522036A (ja) * 2000-02-10 2003-07-22 テ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手持ち動力工具のための付属品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7435B1 (fr) 2018-08-01
FR3024674A1 (fr) 2016-02-12
KR102362807B1 (ko) 2022-02-15
CN107073703A (zh) 2017-08-18
US20170232609A1 (en) 2017-08-17
WO2016020586A1 (fr) 2016-02-11
CN107073703B (zh) 2019-12-31
US10286545B2 (en) 2019-05-14
FR3024674B1 (fr) 2016-08-26
EP3177435A1 (fr)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91498B (zh) 一种移液器及使用其进行移液的方法
CN101180189B (zh) 夹指器、喷墨装置以及包括它们的喷墨式人体彩绘和美甲两用设备
CN207326064U (zh) 切割工具
JP2011019670A (ja) 遊技機用可動演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遊技機
KR102362807B1 (ko) 표면 마킹을 위한 휴대용 기기
JP2013169600A (ja) 基板の溝加工ツール及び溝加工装置
CN203888406U (zh) 一种自动打标机
CN112477484A (zh) 一种中文雕刻设备
CN209111786U (zh) 一种方便使用的票据凭证打孔装置
CN206997981U (zh) 自动焊锡机定位调节装置
CN107899903A (zh) 一种用于点胶装置的定位治具
KR20090048811A (ko) 곡부재 절단선 마킹 장치
CN114340900B (zh) 摇摆工作台、工作台摇摆方法、以及网版印刷装置
JPH01115700A (ja) 彫刻機
JPH07227707A (ja) ボウリングボールの穿孔装置
CN208100164U (zh) 用于电子装置的侧键定位装置
CN220242781U (zh) 一种新型喷码装置
CN212422509U (zh) 一种油墨移印机
CN205685415U (zh) 横移式裁切机的刀模设定机构
CN110356158A (zh) 一种基于弹簧力的便携式标牌标记扎压装置
CN212070036U (zh) 一种用于钢板折弯的定位装置
CN110891706A (zh) 能够使两上升部的间隔尺寸减小的工件供给装置
CN213053272U (zh) 一种激光打标机
CN220093397U (zh) 一种可自动回弹的激光模组对焦机构
CN210753443U (zh) 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