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334A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334A
KR20170067334A KR1020150173879A KR20150173879A KR20170067334A KR 20170067334 A KR20170067334 A KR 20170067334A KR 1020150173879 A KR1020150173879 A KR 1020150173879A KR 20150173879 A KR20150173879 A KR 20150173879A KR 20170067334 A KR20170067334 A KR 2017006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bag filter
dust
ai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749B1 (ko
Inventor
정희창
김진현
이윤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73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749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01D46/00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고, 백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통하면서 본체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적어도 백 필터를 향해 분산배출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한다. 따라서 더스트의 분산배기가 가능하여 배기구 측 백 필터의 포집 편중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백 필터의 수명을 효과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백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또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더스트를 포집하여 여과하기 위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집진기는 집진효율의 향상 및 유지관리 측면 등을 감안하여 필터링 기술(Filtering Technology)을 적용하고 있으며, 그 하나의 예로써 백 필터(Bag Filter)를 챔버(Chamber)에 설치하여 공기 또는 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더스트(Dust)를 포집하여 여과하고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진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본체(2)의 일 측면하부에 더스트가 유입되는 유입구(2b)가 챔버(2a)와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b)를 통해 유입된 더스트를 포집하여 여과하는 백 필터(3)가 상기 챔버(2a)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며, 상기 백 필터(3)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하는 배기구(2c)가 본체(2)의 타 측면상부에 형성되어 집진기(1)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집진기(1)는 배기구(2c) 측에 배기관(4)을 배관연결하여 챔버(2a)와 연통시키고 있으며, 상기 배기관(4)의 유로에 송풍기(Fan)를 설치하여 상기 송풍기(5)의 구동으로 유입구(2b)에 더스트가 유입되도록 하고 있다. 즉 송풍기(5)를 이용한 집진기(1)의 집진효과에 의해 공기 또는 가스 중의 더스트가 백 필터(3)에 포집되어 여과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집진기(1)는 구조상 송풍기(5)의 풍압을 상대적으로 더 받고 있는 배기구(2c) 측의 풍속이 강하고 빠르기 때문에 유입구(2b) 측과 인접한 백 필터(3a)(3b)(3c)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배기구(2c) 측과 인접한 백 필터(3d)(3e)(3f)가 더 많은 더스트를 포집하는 편중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단면 폐색 등으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JP 1995-96127 A
본 발명의 목적은 더스트를 분산 배기하여 백 필터에 더스트가 편중되게 포집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집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더스트(Dust)를 포함하는 공기(Air) 또는 가스(Gas)가 유입되고, 백 필터(Bag Filter)를 통과하여 배출시키는 본체(Body);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입구(Inlet)와 연통하면서 본체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적어도 백 필터를 향해 분산배출시키는 회전자(Rotor);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입구와 연통하는 챔버(Chamber), 백필터를 통과한 공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Dust Hole)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 측과 연통하도록 배관연결된 배기관의 유로에 설치된 송풍기(Fan)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 필터는 챔버에 배열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며, 내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백 필터를 향해 분산시키는 배기구멍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타단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자의 타단에 연결된 감속모터;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타단이 본체를 관통하여 배기관의 유로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자의 타단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블레이드(Blade);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맹판(Blind patch);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배열 설치된 더스트 스토퍼(Dust Stopper);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스토퍼는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자를 이용하여 더스트를 분산 배기함으로써, 배기구 측 백 필터에 더스트가 편중되게 포집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백 필터의 마모평준화로 인해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공기 또는 가스 중의 더스트를 포집하여 여과하는 백 필터 중에서 일부 백 필터에 더스트가 편중되게 포집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된 본체에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적어도 상기 백 필터를 향해 분산 배출시키는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는 감속모터 또는 블레이드 등을 이용하여 실시 가능한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면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더스트를 배기구멍으로 분산 배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에 따르면, 더스트를 여과하기 위한 백 필터의 급격한 단면 폐색 등을 방지하여 마모를 평준화하고, 이로 인해 상기 백 필터의 수명을 고르게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1)는 챔버(2a)가 마련된 본체(2)의 도면상 좌측하부에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b)와 대각선 방향인 우측상부에 배기구(2c)가 형성되어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2a)의 상부에 백 필터(3)가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더스트를 여과하게 되며, 상기 배기구(2c) 측과 연통하도록 배기관(4)이 배관연결되고, 상기 배기관(4)의 유로(4a)에 송풍기(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속이 빈 드럼(Drum)으로 해석 가능한 원통체로 형성되어 일단(10a)이 유입구(2b)와 연통하는 회전자(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0)는 구동부(20)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기구멍(11)이 천공되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단(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백 필터(3)를 향해 분산 배기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10)는 유입구(2b) 측에서 삽입되어 본체(2)를 가로질러 챔버(2a)에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본체(2)의 외부로 타단(10b)이 노출되게 설치하게 되며, 본체(2)와의 사이의 면 접촉부분에 베어링(2d)을 개재함으로써,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2d)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마모 방지용 라이너(부쉬)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구멍(11)으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더스트 스토퍼(13)가 배열 설치된다.
여기서 더스트 스토퍼(13)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회전자(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도면상 8개의 더스트 스토퍼(13)를 회전자(10)의 내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4개씩 배치하게 되며, 가장 짧은 더스트 스토퍼(13)를 일단(10a)에 인접하게 설치한 후 점차 길이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배열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20)는 감속모터(21)를 본체(2)의 외부로 노출된 회전자(10)의 타단(10b)에 기어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자(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감속모터(21)와 회전자(10)의 타단(10b)에 각각 평 기어로 실시 가능한 감속기어(10c)(21a)를 축 연결하고, 상기 감속기어(10c)(21a)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상기 회전자(10)가 감속모터(21)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1)에 따르면, 송풍기(5)의 풍압에 의해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는 유입구(2b)를 거쳐 상기 유입구(2b)와 연통하는 회전자(10)의 일단(10a)으로 유입된 후 구동부(2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자(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배기구멍(11)을 통해 백 필터(3) 방향으로 분산 배기된다. 즉 상기 회전자(10)가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를 분산 배기함으로써, 송풍기(5)와 인접한 배기구(2c) 측 백 필터(3)에 더스트가 편중되게 포집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1)는 챔버(2a)가 마련된 본체(2)의 도면상 좌측하부에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2b)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b)와 대각선 방향인 우측상부에 배기구(2c)가 형성되어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2a)의 상부에 백 필터(3)가 수직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더스트를 여과하게 되며, 상기 배기구(2c) 측과 연통하도록 배기관(4)이 배관연결되고, 상기 배기관(4)의 유로(4a)에 송풍기(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하부에는 속이 빈 드럼의 형태로써, 일단(10a)이 유입구(2b)와 연통하는 회전자(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자(10)는 구동부(20)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배기구멍(11)이 천공되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됨으로써, 상기 일단(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백 필터(3)를 향해 분산 배기하게 된다.
상기 회전자(10)는 유입구(2b) 측에서 삽입되어 본체(2)를 가로질러 챔버(2a)에 도면상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도록 설치하되, 타단(10b)이 상기 본체(2)를 관통하여 배기관(4)의 유로(4a)와 연통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본체(2) 및 배기관(4)과의 사이의 면 접촉부분에 베어링(2d)을 개재함으로써, 용이하게 회전 가능하다. 상기 베어링(2d) 대신에 도시하지 않은 마모 방지용 라이너(부쉬)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일단(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덮개 판(Check plate)으로 해석 가능한 맹판(12)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일단(10a)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구멍(11)으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더스트 스토퍼(13)가 배열 설치된다.
여기서 더스트 스토퍼(13)는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회전자(10)의 내부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즉 도면상 8개의 더스트 스토퍼(13)를 회전자(10)의 내부에 상측과 하측으로 각각 4개씩 배치하게 되며, 가장 짧은 더스트 스토퍼(13)를 일단(10a)에 인접하게 설치한 후 점차 길이를 증가시키는 형태로 동일한 간격(a)으로 배열하게 된다.
한편 구동부(20)는 회전자(10)의 타단(10b)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블레이드(22)로 실시된다. 즉 상기 블레이드(22)는 배기관(4)의 유로(4a)를 통과하는 풍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자(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자(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비용절감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1)에 따르면, 송풍기(5)의 풍압에 의해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는 유입구(2b)를 거쳐 상기 유입구(2b)와 연통하는 회전자(10)의 일단(10a)으로 유입된 후 구동부(2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자(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맹판(12)에 의해 이동이 차단되고, 더스트 스토퍼(13)에 의해 배기구멍(11)으로 안내되어 백 필터(3) 방향으로 분산 배기된다. 즉 상기 회전자(10)가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를 분산 배기함으로써, 송풍기(5)와 인접한 배기구(2c) 측 백 필터(3)에 더스트가 편중되게 포집되는 현상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 : 집진기 2 : 본체
2a : 챔버 2b : 유입구
2c : 배기구 2d : 베어링
3, 3a, 3b, 3c, 3d, 3e, 3f : 백 필터
4 : 배기관 5 : 송풍기
10 : 회전자 10a : 일단
10b : 타단 10c, 21a : 감속기어
11 : 배기구멍 12 : 맹판
13 : 더스트 스토퍼 20 : 구동부
21 : 감속모터 22 : 블레이드

Claims (6)

  1.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고, 백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통하면서 본체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적어도 백 필터를 향해 분산배출시키는 회전자;
    를 포함하는 집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유입구와 연통하는 챔버, 백필터를 통과한 공기 또는 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 측과 연통하도록 배관연결된 배기관의 유로에 설치된 송풍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백 필터는 챔버에 배열 설치되며,
    상기 회전자는 원통체로 형성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며, 내부로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백 필터를 향해 분산시키는 배기구멍이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 집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타단이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자의 타단에 연결된 감속모터;
    를 포함하는 집진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타단이 본체를 관통하여 배기관의 유로와 연통하게 설치되어 구동부를 매개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부는 유로를 통과하는 풍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자의 타단에 방사상으로 구비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집진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내부에 설치된 맹판;
    을 더 포함하는 집진기.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배열 설치된 더스트 스토퍼;
    를 더 포함하는 집진기.
KR1020150173879A 2015-12-08 2015-12-08 집진기 KR101820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79A KR101820749B1 (ko) 2015-12-08 2015-12-08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879A KR101820749B1 (ko) 2015-12-08 2015-12-08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334A true KR20170067334A (ko) 2017-06-16
KR101820749B1 KR101820749B1 (ko) 2018-01-22

Family

ID=5927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879A KR101820749B1 (ko) 2015-12-08 2015-12-08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7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682A (ko) 2018-03-16 2019-09-26 김인철 집진기
CN112546749A (zh) * 2020-11-20 2021-03-26 惠州市晟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除尘的布袋式送风装置及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667B1 (ko) * 2006-05-10 2007-11-01 김일동 이동식 포집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682A (ko) 2018-03-16 2019-09-26 김인철 집진기
CN112546749A (zh) * 2020-11-20 2021-03-26 惠州市晟利科技有限公司 一种带有过滤除尘的布袋式送风装置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749B1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5006497B4 (de) Zyklonabscheider sowie Filtervorrichtung mit Zyklonabscheider
EP1331981B1 (en) Improved air/oil separator
EP1422389B1 (de) Zentrifugalölabscheider
EP0217344A2 (de) Versorgungssystem von Lagern
EP2886931B1 (de) Vorrichtung eines Strahltriebwerks mit wenigstens einem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n und gegenüber dem Gehäuse drehbar ausgeführten Bauteil
EP2830777B1 (de) Separatoranordnung
EP2009288A2 (de) Turbolader mit integriertem Separator
KR101820749B1 (ko) 집진기
EP2468379B1 (de) Filtervorrichtung
KR20130107907A (ko) 회전 날개로 구동되는 세척 브러쉬를 가지는 필터 엘리먼트 및 그를 포함하는 여과장치
JP5972738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脱水装置
EP3545196A1 (de) Elektrische kfz-kühlmittelpumpe
DE102010015838A1 (de) Ölabscheider eines Entlüftungssystems
DE102009018000A1 (de) Abscheider zum Abscheiden von Flüssigkeitströpfchen aus einem Aerosol
EP2994615B1 (de) Rotor für eine thermische strömungsmaschine
DE102012100438A1 (de) Abscheider für Flüssigkeitströpfchen aus einem Aerosol
DE102010048484B4 (de) Abscheider für Flüssigkeitströpfchen aus einem Aerosol
DE1453797C2 (de) Einrichtung zur selbsttätigen Erzeugung eines Schmier-,Kühl- und Entlüftungskreislaufes für Kreiselpumpenaggregate
WO2019219763A1 (de) Zwischendeckel eines filtergehäuses eines filters zur reinigung von flüssigen fluiden und filtereinsatz, sowie filter und verwendung
EP2708295A2 (de) Schleudergussvorrichtung
KR101258440B1 (ko) 역세척이 필요없는 여과형 수처리장치
JP5660928B2 (ja) スクリュープレス
KR200480135Y1 (ko) 회전 필터 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벌크 서지 탱크
DE112013006531T5 (de) Selbstreinigender Kurbelgehäuseentlüftungs-Koaleszenzabschneider mit intermittierender Drehung
DE102010021626A1 (de) Gaszentrifuge mit monolitischen Ro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