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682A -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682A
KR20190109682A KR1020180030808A KR20180030808A KR20190109682A KR 20190109682 A KR20190109682 A KR 20190109682A KR 1020180030808 A KR1020180030808 A KR 1020180030808A KR 20180030808 A KR20180030808 A KR 20180030808A KR 20190109682 A KR20190109682 A KR 20190109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tube
filter
filter structur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851B1 (ko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김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철 filed Critical 김인철
Priority to KR1020180030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851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01D46/007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설치된 유입구를 통해 미세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된 유입관체; 상기 유입관체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필터구조체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입관체에 연결 설치되는 제1 관체 및 제2 관체로 이루어진 분기관체; 상기 분기관체를 통해 공급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진부재;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가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마련하여 한 쌍의 집진부재 중 미세먼지와 분진이 공급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미세먼지와 분진을 간편하게 탈리시킬 수 있고, 2개의 집진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집진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미세먼지와 분진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시간 및 바이브레이터의 구동 시간을 컨트롤러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집진기{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으로 설치된 집진기를 이용하여 교대로 사용 가능함은 물론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機, dust collector)는 기체 속에 부유(浮遊)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장치이다.
최초에는 보일러의 연도(煙道)가스 속에 함유된 재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데 사용했으나, 현재는 공장의 굴뚝에서 나오는 매연과 그 밖의 미립자를 막기 위해 많은 굴뚝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미립자는 1㎜ 정도에서 1㎛ 이하의 미세한 것까지 있으며, 비교적 큰 것은 제거하기 쉬우나 인체에 악영향이 미치는 정도의 미립자를 제거하기는 어렵다.
집진의 방법은 중력에 의한 것, 여과한 것, 관성과 원심력에 의한 것, 음파를 이용한 것, 세정에 의한 것 등 종류가 많은데, 크게 나누어서 기계식과 전기식이 있다. 기계식에는 건식과 습식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로 오염된 기체를 여과하여 청정하게 하는 집진기는 매연과 같은 재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것 뿐만 아니라 공장이나 각종 시설물이 비치된 작업장에 환경을 개선을 위해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집진기 중에 여과집진기(濾過集塵機, filter dust collector)는 먼지 같은 입자가 포함된 기체를 각종 여과재를 통과시키면서 입자를 분리하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여과집진장치라고도 한다.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 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 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 장치의 하나이다.
여과방식에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 여과방식과 유리섬유, 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bag filter)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이런 여과 집진기는 최초 구동 시에 여과재의 여과작용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먼지층이 여과재의 구멍을 메워 더욱 촘촘하게 되므로 제거효율이 높아진다.
보통 먼지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 먼지를 모으는 원리는 충돌, 직접차단, 정전기력에 의한 표면침착, 확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여과 집진기에 여과재 표면의 먼지층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압력손실이 커지므로 어느 정도 사용한 뒤에는 먼지를 털어주는 탈리(脫離)작업을 해주어야 한다.
여과집진은 탈리방식에 따라 간헐식과 연속식으로 구분한다. 간헐식은 집진실을 3~4개로 나누어 압력손실이 규정치에 이른 곳에만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고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며, 연속식은 집진실을 나누거나 가스를 차단하지 않고 집진을 계속하면서 차례로 여과재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이런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로는 진동식, 역기류식, 충격분출식이 있다. 진동식은 음파(音波)를 이용하거나 상하좌우로 진동을 주는 방식이고, 역기류식은 여과를 진행하다가 압축공기를 반대로 불어넣어 여과포 내부에 붙은 먼지를 털어내는 방식이다.
충격분출식은 여과포의 외부에 붙은 먼지를 털기 위하여 여과포 내부에서 압축 공기를 불어넣어 순간적으로 털어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집진방식은 우수한 집진기술 중 하나로 여과재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과부하로 인하여 여과재의 구멍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어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는 여과포의 외측으로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것으로, 진동식과 역기류식의 경우에는 먼지의 제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집진하여 정화시키는 집진기로서,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기구에 유입된 오염된 공기가 여과되는 백필터, 상기 백필터 상부에 결합되는 벤츄리관으로 구성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 상부에 구비하되, 상기 벤츄리관으로 에어 분사 가능한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된 블로우 튜브, 상기 블로우 튜브로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로 구성된 에어공급부, 상기 노즐과 관통 결합되는 에어홀이 형성된 수평플레이트, 상기 수평플레이트 양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백필터와 결합되는 수직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가이드 밴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집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집진기는 더스트를 포함하는 공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고, 백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된 유입구와 연통하면서 본체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적어도 백 필터를 향해 분산배출시키는 회전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자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일단을 통해 유입된 공기 또는 가스를 배기구멍으로 안내하도록 내부에 배열 설치된 더스트 스토퍼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27779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6733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0711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설치된 집진부재에 각각 설치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간편하게 탈리시키는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쌍의 이루어진 집진부재 중 미세먼지와 분진이 공급되지 않는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제거하는 집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는 일측에 설치된 유입구를 통해 미세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된 유입관체; 상기 유입관체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필터구조체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입관체에 연결 설치되는 제1 관체 및 제2 관체로 이루어진 분기관체; 상기 분기관체를 통해 공급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진부재;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가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에는 상기 유입관체에서 상기 집진부재로 미세먼지 및 분진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 각각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가변부재;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필터구조체; 상기 필터구조체를 분리시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탈리되도록 상기 필터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관체의 개방 시 상기 제2 관체를 폐쇄시키며, 상기 제1 관체의 폐쇄 시 상기 제2 관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에 의해 폐쇄된 집진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구조체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필터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구조체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에 의하면, 한 쌍의 집진부재 중 미세먼지와 분진이 공급되지 않는 정지 상태에서 미세먼지와 분진을 간편하게 탈리시킬 수 있고, 2개의 집진부재 중 어느 하나의 집진부재를 선택적으로 구동시켜 미세먼지와 분진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개폐부재의 개폐 시간 및 바이브레이터의 구동 시간을 컨트롤러에 의해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고, 한 쌍의 집진부재를 교대로 번갈아 가면서 계속적으로 미세먼지와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필터구제초를 간편하게 분리시켜 자유롭게 유지·보수할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필터부재를를 도시한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일측에 설치된 유입구(12)를 통해 미세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도록 구동모터(13)가 설치된 유입관체(10), 상기 유입관체(10)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필터구조체(43)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입관체(10)에 연결 설치되는 제1 관체(21) 및 제2 관체(22)로 이루어진 분기관체(20), 상기 분기관체(20)를 통해 공급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진부재(40), 상기 제1 관체(21) 및 상기 제2 관체(22)가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로 이루어진 분기관체(20)에 미세먼지 및 분진을 개별적으로 공급하고, 집진부재(40)에 설치되어 있는 필터구조체(43)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탈리시키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흡입하는 유입관체(10), 상기 유입관체(10)에 흡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이동되도록 유입관체(10)와 집진부재(40) 사이에 설치되는 분기관체(20), 상기 집진부재(40)에 공급되는 미세먼지 및 분진의 이동을 제한시키도록 분기관체(30)에 설치되는 개폐부재(30), 상기 유입관체(10)에서 유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정화시켜 배출시키는 집진부재(40) 및 상기 개폐부재(30)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체(10)는 미세먼지 및 분진을 흡입하여 이동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미세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도록 케이스(11)의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구(12) 및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미세먼지와 분진이 유입되도록 임펠러(미도시)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3)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이 유입되도록 유입구(12)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2)는 방향에 관계없이 미세먼지와 분진이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유입구(12)는 미세먼지 및 분진 등이 여러 방향에서 유입되도록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케이스(11)의 타측에는 유입구(12)를 통해 미세먼지와 분진이 흡입되도록 구동모터(13)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11) 내부에는 구동모터(13)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미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유입관체(10)의 선단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을 이동되도록 분기관체(20)가 설치된다. 상기 분기관체(20)는 한 쌍의 집진부재(40)에 각각 공급되도록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관체(21) 및 제2 관체(22)에는 상기 유입관체(10)에서 상기 집진부재(40)로 미세먼지 및 분진이 상기 집진관체로(40)의 공급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30)는 유입관체(10)로 유입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분기관체(20)를 통해 집진부재(40)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개폐부재(30)는 분기관체(20)인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 각각에 설치된다.
상기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의 이동을 제한되도록 차단시킴은 물론 미세먼지와 분진이 집진부재(40)로 이동되도록 개폐부재(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는 유입관체(10)의 선단에서 한 쌍의 집진부재(40)에 연결되도록 유입관체(10)의 선단에 분기되게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개폐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제1 관체(21) 및 상기 제2 관체(22)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1), 상기 고정프레임(31)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가변부재(33), 상기 길이가변부재(3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크(34), 상기 회전링크(34)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35), 상기 제1 관체(21) 및 상기 제2 관체(22)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36)을 포함한다.
상기 개폐부재(30)의 고정프레임(31)은 제1 관체(31)와 제2 관체(22)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고정프레임(31)은 일정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고정프레임(31)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연장프레임(32)이 설치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2)에는 개폐판(36)을 회전시키는 길이가변부재(33)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가변부재(33)는 개폐판(36)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길이가변부재(33)는 길이가 가변되는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길이가변부재(33)에는 개폐판(36)이 회전되도록 회전링크(34)가 설치되며, 상기 회전링크(34)에는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의 내측으로 회전프레임(35)이 설치된다.
아울러 회전프레임(35)은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의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프레임(35)에는 길이가변부재(33)에 의해 회전되는 개폐판(36)이 설치된다.
이러한 개폐판(36)은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의 내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재(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41), 상기 케이스(41) 내부에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필터구조체(43), 상기 필터구조체(43)를 분리시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41)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상기 필터구조체(43)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탈리되도록 상기 필터구조체(43)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45)를 포함한다.
상기 집진부재(40)는 내부에 필터구조체(43)를 설치하여 유입관체(10)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여과 또는 정화시키는 것으로,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 각각에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집진부재(40)의 케이스(41)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집진부재(40)의 케이스(41) 일면에는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가 연결되는 연결관(42)이 설치된다.
아울러 케이스(41)의 내부에는 평판으로 이루어진 필터구조체(43)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구조체(43)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필터구조체에 비하여 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필터부재를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한편 필터구조체(43)는 미세먼지와 분진을 여과 또는 정화시키는 것으로, 필터구조체(43)의 상부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필터구조체(43)의 하부는 필터구조체(43)에서 탈리된 미세먼지와 분진이 낙하되도록 하부가 좁은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필터구조체(43)의 상부에는 케이스(41)에 안정되게 장착되도록 걸림부(4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44)는 필터구조체(43)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필터구조체(43)의 상면에는 필터구조체(43)를 진동시키는 바이브레이터(45)가 설치되며, 상기 바이브레이터(45)는 한 쌍의 집진부재(40)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길이가변부재(33) 및 바이브레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개폐부재(30)를 개방시키는 시간, 폐쇄시키는 시간을 설정함은 물론 바이브레이터(45)의 구동을 제어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미세먼지와 분진을 흡입하는 유입관체(10)에 분기관체(20)를 연결 설치하며, 상기 분기관체(20)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의 이동을 개폐시키는 개폐부재(30)를 설치한다.
즉, 유입관체(10)의 케이스(11) 일면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이 흡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유입구(12)를 설치하며, 케이스(11)의 타면에는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미세먼지 및 분진이 흡입되는 흡입력이 발생되도록 임펠러(미도시)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를 설치한다.
아울러 케이스(11)에는 케이스(11) 내부로 흡입된 미세먼지와 분진이 집진부재(40)로 이동되도록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로 이루어진 분기관체(20)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에는 각각 개폐부재(30)를 설치하며, 상기 개폐부재(30)는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에 고정프레임(31)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프레임(31)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프레임(32)을 설치하며, 상기 연장프레임(32)의 선단에는 길이가변부재(3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길이가변부재(33)는 피스톤이 결합된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길이가변부재(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회전링크(34)를 결합한다.
상기 회전링크(34)는 길이가변부재(33)에 의해 회전되며, 회전링크(34)에는 회전프레임(35)과 상기 회전프레임(35)과 동일하게 회전되는 개폐판(36)을 설치한다.
상기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는 한 쌍의 집진부재(40)에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 설치하며, 집집부재(40)의 케이스(41) 일면에는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가 연결되도록 연결관(42)을 설치한다.
또 집진부재(40)의 케이스(41) 내부에는 미세먼지와 분진을 여과 또는 정화시키는 필터구조체(43)를 설치하며, 상기 필터구조체(43)의 상부에는 케이스(41)에 안정되게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부(44)를 일체로 형성한다.
아울러 필터구조체(43)의 상면에는 필터구조체(43)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탈리시키는 바이브레이터(45)를 설치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집진기는 케이스(11)에 설치된 구동모터(13)의 구동에 의해 임펠러(미도시)가 회전되면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유입구(12)에는 흡입력으로 미세먼지와 분진이 흡입되며, 흡입된 미세먼지와 분진은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 중 개방된 하나의 관체(21, 22)를 통해 집집부재(40)로 공급된다.
즉, 컨트롤러는 제1 관체(21)에 설치된 개폐부재(30)를 개방시키게 되면 제2 관체(22)는 개폐판(36)을 회전시켜 제2 관체(22)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컨트롤러는 제2 관체(22)에 설치된 개폐부재(30)를 개방시키게 되면 제1 관체(21)는 개폐판(36)을 회전시켜 제1 관체(21)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하나의 관체(21, 22)를 개방시키면서 다른 하나의 관체(21, 22)를 폐쇄시켜 유입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하나의 집진부재(40)로 이동되게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개폐부재(30)는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길이가변부재(33)인 실린더 또는 솔레노이드가 구동되며, 길이가변부재(33)는 길이가 신장되면서 회전링크(34)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회전링크(34)에 설치된 회전프레임(35)과 개폐판(36)이 회전되면서 제1 관체(21)와 제2 관체(2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1 관체(21) 또는 제2 관체(22)를 통해 이동된 미세먼지와 분진은 집집부재(40)의 내부로 이동되며, 집진부재(40)의 케이스(41) 내부로 이동된 미세먼지와 분진은 필터구조체(43)의 외면에 부착되고, 이에 여과 또는 정화된 공기는 필터구조체(43)의 외면에서 내측으로 이동되어 필터구조체(43)의 상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한 쌍의 집진부재(40) 중 미세먼지와 분진이 공급되지 않는 집진부재(40)의 바이브레이터(45)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며, 바이브레이터(45)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45)는 필터구조체(43)에 진동을 가하게 되고, 필터구조체(43)의 외면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분진은 진동에 의해 필터구조체(43)의 표면으로부터 탈리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45)는 개폐부재(30)에 의해 미세먼지와 분진이 유입되지 않는 집진부재(40)에 진동을 가하여 줌으로써 필터구조체(43)에 부착된 미세먼지와 분진을 탈리시켜 케이스(41)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유입관체 11: 케이스
12: 유입구 13: 구동모터
20: 분기관체 21: 제1 관체
22: 제2 관체
30: 개폐부재 31: 고정프레임
32: 연장프레임 33: 길이가변부재
34: 회전링크 35: 회전프레임
36: 개폐판
40: 집진부재 41: 케이스
42: 연결관 43: 필터구조체
44: 걸림부 45: 바이브레이터

Claims (6)

  1. 일측에 설치된 유입구를 통해 미세먼지 및 분진이 유입되도록 구동모터가 설치된 유입관체;
    상기 유입관체로 유입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필터구조체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입관체에 연결 설치되는 제1 관체 및 제2 관체로 이루어진 분기관체;
    상기 분기관체를 통해 공급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집진부재;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가 각각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체 및 제2 관체에는 상기 유입관체에서 상기 집진부재로 미세먼지 및 분진의 공급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 각각에 설치되는 개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외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가변부재;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링크;
    상기 회전링크의 일측에 설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미세먼지 및 분진을 여과시키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필터구조체;
    상기 필터구조체를 분리시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는 도어;
    상기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이 탈리되도록 상기 필터구조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관체의 개방 시 상기 제2 관체를 폐쇄시키며,
    상기 제1 관체의 폐쇄 시 상기 제2 관체를 개방시키고,
    상기 제1 관체 및 상기 제2 관체에 의해 폐쇄된 집진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브레이터의 구동으로 상기 필터구조체에 부착된 미세먼지 및 분진을 탈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구조체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필터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터구조체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상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KR1020180030808A 2018-03-16 2018-03-16 집진기 KR10204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08A KR102042851B1 (ko) 2018-03-16 2018-03-16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808A KR102042851B1 (ko) 2018-03-16 2018-03-16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682A true KR20190109682A (ko) 2019-09-26
KR102042851B1 KR102042851B1 (ko) 2019-11-11

Family

ID=6806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808A KR102042851B1 (ko) 2018-03-16 2018-03-16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8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112Y1 (ko) 2002-11-25 2003-03-15 주식회사 스페코 백필터를 구비한 집진기
KR20100128994A (ko) * 2009-05-29 2010-12-0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필터장치
KR20120027779A (ko) 2010-09-13 2012-03-22 창신기계공업(주)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KR20170067334A (ko)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KR101833162B1 (ko) * 2017-01-03 2018-02-28 김범주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112Y1 (ko) 2002-11-25 2003-03-15 주식회사 스페코 백필터를 구비한 집진기
KR20100128994A (ko) * 2009-05-29 2010-12-08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필터장치
KR20120027779A (ko) 2010-09-13 2012-03-22 창신기계공업(주) 가이드 밴이 구비된 집진기
KR20170067334A (ko) 2015-12-08 2017-06-16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KR101833162B1 (ko) * 2017-01-03 2018-02-28 김범주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851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5012B1 (ko) 여과 집진기용 탈리장치
US7641718B2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214581654U (zh) 一种室内空气污染净化装置
CN1791351A (zh) 具有一个通过压缩空气起作用的用于陶瓷过滤器的清洁机构的吸尘器
KR102498701B1 (ko) 사이클론과 필터백을 이용한 초음파 탈진구조의 멀티집진장치
KR20080025234A (ko) 집진장치
US6280491B1 (en) Cartridge filter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2042851B1 (ko) 집진기
CN216092762U (zh) 一种新型高效除尘器
CN211217121U (zh) 一种除尘效率高的除尘设备
KR200388724Y1 (ko) 공기정화기
KR101639010B1 (ko) 집진 장치
KR100815456B1 (ko) 양방향에 탈진부가 구비된 집진장치
CN107413151A (zh) 一种自动化除尘设备
KR20170022963A (ko) 분산 여과식 다중 필터 집진기
CN210964297U (zh) 空气过滤装置
KR102165554B1 (ko) 다중 집진장치
CN219149544U (zh) 一种大型除尘滤袋室
CN219376575U (zh) 一种布袋除尘器
CN214513337U (zh) 一种布袋除尘器清灰装置
CN218188512U (zh) 一种旋转喷吹除尘器
CN213668517U (zh) 一种水泥建材用便于移动和清理的单机除尘装置
CN218687366U (zh) 一种布袋式除尘器
KR100446178B1 (ko) 흡착제 분산장치를 구비하고 흡착제가 도포된 여과포를이용한 오염가스 정화용 흡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