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6864A - 전동 릴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6864A
KR20170066864A KR1020150173042A KR20150173042A KR20170066864A KR 20170066864 A KR20170066864 A KR 20170066864A KR 1020150173042 A KR1020150173042 A KR 1020150173042A KR 20150173042 A KR20150173042 A KR 20150173042A KR 20170066864 A KR20170066864 A KR 20170066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shing line
spool
driving sourc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0368B1 (ko
Inventor
진필언
진정언
Original Assignee
진필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필언 filed Critical 진필언
Priority to KR102015017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03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2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일체형성되어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낚시줄의 낙하를 구동원이 아닌 추의 자중에 의해 낙하함으로써 백래쉬에 의한 낚시줄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되어 내장되며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원; 상기 제1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제2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릴 장치{ELECTRIC RILL APPARATUS}
본 발명은 전동 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spool)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일체형성되어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낚시줄을 구동원이 아닌 추의 자중에 의해 풀리게 함으로써 백래쉬에 의한 낚시줄의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낚시 도구는 낚시줄이 권취된 스풀을 낚시대에 부착시켜 원심력에 의해 해당 낚시줄을 원거리 수중에 투하시키는 방식으로 어류 포획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지 사용자의 힘만으로 해당 낚시줄을 먼 곳으로 던지는 것은 그 거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또한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정확한 포인트에 낚시줄이 위치되게 할 수도 없으므로 낚시를 행함에 있어 크나큰 제약이 따른다.
또한 배 낚시의 경우, 상기의 문제점은 다소 해소할 수 있지만 고가의 비용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낚시 대가 장착된 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었다. 이 경우,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배를 원하는 지점으로 이동시킨 다음, 낚시 바늘을 수중에 투하하기 위하여는 역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전동 릴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전동 릴 장치를 간단히 설명하면, 낚시줄이 권취된 스풀과, 상기 스풀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낚시줄을 스풀에 감는 메인모터와, 상기 스플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낚시줄을 풀어주는 릴리즈모터와, 상기 모터들의 구동력을 상기 스풀에 전달하도록 태양기어와 위성기어를 포함하는 위성기어시스템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동 릴 장치는 복잡한 구조에 의해 낚시줄을 풀거나 감을 때 상기 스풀에 정확하게 권취되지 못하고, 위성기어시스템의 복잡한 기어들에 엉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더욱이, 배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릴리즈모터를 구동하여 낚시 바늘이 적당한 수심에 위치되도록 낚시줄을 풀어준다.
그러나 사용자가 수심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면 낚시 바늘 및 추가 바닥에 닿은 후에도 계속하여 릴리스모터의 구동을 차단하지 못하여 낚시줄이 지속적으로 풀어지게 된다. 이러한 백래쉬 현상에 의해 낚시줄이 스풀과 위성기어시스템 주위를 감으면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부품이 단순하고,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낚시줄을 구동원이 아닌 추의 자중에 의해 풀리게 함으로써 백래쉬에 의한 낚시줄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고기와의 힘겨루기 시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할 수 있는 오토 드래그(auto drag)가 가능한 전동 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되어 내장되며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원; 상기 제1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제2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풀은 상기 제1기어의 일측면에 일체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회전축이 직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를 제어하는 제2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구동원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구동원이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구동원을 구동시켜 낚시줄을 와인딩하고, 상기 제2구동원이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제1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제1기어를 원복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풀은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동원은 낚시줄을 와인딩하는 방향으로만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과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가 일체 형성됨으로써, 부품이 단순하고, 낚시줄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낚시줄이 추의 자중에 의해 풀어지게 함으로써 백래쉬에 의한 낚시줄 엉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고기와의 힘겨루기 시 낚시줄의 감김과 풀림을 제어하는 오토 드래그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선체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원격 조종이 가능한 배(100)에 추(140)가 달린 낚시줄(130)을 지지하는 낚시대(120)를 장착하고, 상기 낚시줄(130)을 전동으로 풀거나 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1)가 배(100)에 장착된다.
상기 전동 릴 장치(1) 역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구동되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리모트 컨트롤러(200)에 의해 상기 배(100)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다음, 전동 릴 장치(1)를 이용하여 낚시줄(130)을 풀거나 감으면서 낚시를 즐길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1)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1)는 배(100)에 장착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내장되는 스풀(20)과, 제1기어(30), 제2기어(40), 제1구동원(P1), 제2구동원(P2), 스위치(50) 및 레버(60)를 포함한다.
상기 스풀(20)은 낚시줄(130)이 권취되는 구성요소로서, 하우징(10)에 수평방향으로 축결합되어 내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풀(20)은 중심에 낚시줄(130)이 권취되는 권취부(21)와, 낚시줄(130)의 권취를 유도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측벽에 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풀(2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구동원(P1)이 구비되고, 제1구동원(P1)의 구동력을 상기 스풀(20)에 전달하기 위하여 제1기어(30)와 제2기어(4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구동원(P1)이 작동하면 상기 제2기어(40)가 회전하고, 이와 치합되어 있는 제1기어(30) 및 스풀(20)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어(30)의 회전축과 제2기어(40)의 회전축이 서로 직교하는 스트레이트 베벨기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다양한 기어세트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스풀(20)의 일측면에 제1기어(30)가 일체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풀(20)과 제1기어(30)가 일체형성됨으로써 이들 사이에 공간이 없기 때문에 스풀(20)이 회전하면서 낚시줄(130)이 수풀(20)과 제1기어(30) 사이에 감기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원(P1)은 낚시줄(130)이 상기 스풀(20)에 와인딩되는 정방향으로만 회전구동하며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는다. 즉, 일방향으로만 구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1구동원(P1)의 구동으로 낚시줄(130)을 스풀(20)에 와인딩할 수 있을 뿐, 언와인딩할 수는 없다.
상기 스위치(50)는 상기 제1구동원(P1)의 구동력이 상기 제2기어(40)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구성요소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스위치(50)는 상기 제1구동원(P1)을 온/오프시킨다.
또한 상기 레버(60)는 상기 스위치(50)를 조작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레버(60)는 중심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고, 제2구동원(P2)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레버(60)의 일단이 스윙하면서 상기 스위치(50)를 가압하여 제1구동원(P1)을 작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구동원(P2)은 제1구동원(P1)과 달리 정방향 뿐 아니라 역방향으로도 구동이 가능한데, 제2구동원(P2)이 역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레버(60)는 축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스윙하면서 레버(60)의 타단이 상기 스풀(20)의 회전축(22)을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풀(20)의 회전축(22)은 상기 하우징(10)을 수평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한 회전축(22)의 끝단은 고정지그(70)에 의해 하우징(10)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고정지그(70)가 회전축(22)의 끝단을 잡아주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22)이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것은 스풀(20)이 하우징(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고정지그(70)를 제거하면 상기 회전축(22)은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스풀(20)을 하우징(1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낚시줄(130)이 엉키거나 또는 바늘이 끊어진 경우, 이를 보수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고정지그(70)를 제거하고 사용이 불가한 스풀(70)을 여분의 스풀(70')로 교체하여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7의 (a)와 (b)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배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다시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2구동원(P2)을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면, 레버(60)는 축(62)을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스텝회전한다. 이로 인해 레버(60)의 하단(63)이 상기 스풀(20)의 회전축(22)을 가압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스풀(20)과 하우징(1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가능한 것이다. 이 때, 하우징(10)과 스풀(20)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23)은 압축되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인해 제1기어(30)와 제2기어(40)는 치합이 해제된다. 물론, 이 때 제1구동원(P1)은 작동이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1기어(30)와 제2기어(40)의 치합이 해제되면, 낚시줄(130)의 끝단에 묶여 있는 추(140)의 무게에 의해 추가 낙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추가 낙하하게 되면 스풀(20)이 회전되면서 낚시줄(130)이 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낚시줄(130)을 구동력에 의해 풀어지는 것이 아니라 추(140)의 자중에 의해 풀어주기 때문에 추가 강의 밑바닥에 닿을 경우에는 더 이상 낚시줄(130)이 풀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구동력에 의해 낚시줄을 풀어줄 경우 발생되는 백래쉬에 의한 낚시줄 엉킴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사용자는 낚시줄이 소정 길이만큼 풀어지면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제2구동원(P2)을 조작하여 상기 레버(60)를 원위치시킨다. 이로 인해 하우징(10)과 스풀(20) 사이에 구비된 탄성수단(23)에 의해 상기 스풀(20)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기어(30)와 제2기어(40)가 다시 치합한다.
다음으로, 도 8의 (a)와 (b)는 물고기가 낚시 바늘을 물거나 기타 이유로 낚시줄을 감는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제2구동원(P2)을 정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면, 레버(60)는 축(62)을 중심으로 정방향으로 스텝회전한다. 이로 인해 레버의 상단(61)이 상기 스위치(50)를 가압하여 제1구동원(P1)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인가한다.
이로 인해 제1구동원(P1)이 작동하게 되고, 제1구동원(P1)의 구동력은 제2기어(40)와 제1기어(30) 및 스풀(20)에 전달되어 스풀의 권취부(21)에 낚시줄(130)을 와인딩하면서 낚시 추 및 낚시 바늘이 위로 상승하는 것이다.
그런데, 낚시줄을 감을 때, 제1기어(30) 및 제2기어(40)가 파손되거나 낚시줄(130)이 끊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바늘에 걸린 물고기가 힘이 세거나 또는 낚시 바늘이 바닥 또는 수초에 걸리는 밑걸림이 발생했을 때에는 제1구동원(P1)의 구동력이 스풀(20)에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이러한 상황을 인지한다면 물고기와 힘겨루기시 낚시줄을 계속해서 감는 것이 아니라 감김과 풀림을 연속적으로 하는 밀고 당기기 동작, 즉, 드래그(drag) 동작을 하면서 낚시 바늘을 끌어 올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배가 원거리에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해 조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의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므로 제1기어(30) 및 제2기어(40)가 파손되거나 낚시줄(130)이 끊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실시예는 제1구동원(P1)이 계속 구동을 하더라도, 낚시 바늘에 일정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제1기어(30)와 제2기어(40)의 치합이 일시적으로 해제되면서 도 7과 같이 스풀(20)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낚시 줄이 풀리는 드래그 동작이 가능하다.
도 8의 (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구동원(P1)의 구동으로 제2기어(40)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낚시 바늘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서 낚시줄이 따라 올라오지 않으면, 제1기어(30)가 제2기어(40)와 치합하여 회전되지 못하고, 일시적으로 제1기어(30)가 도면상 좌측으로 후퇴한다. 이것은 스풀(20)과 하우징(10)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가능한 것이다.
이 상태로 제1구동원(P1)이 작동되는 상태에서도 낚시줄이 풀리게 되고, 어느 정도 낚시줄이 풀어져 낚시 바늘에 가해지는 압력이 작아지면 탄성수단(23)에 의해 상기 스풀(20)은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러한 동작으로 제1기어(30)는 제2기어(40)와 치합하여 다시 낚시줄을 감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1)은 낚시줄을 감으면서도 낚시줄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면 일시적으로 낚시줄을 풀어주고, 낚시 바늘에 가해지는 압력이 낮아지면 다시 낚시줄을 감아주는 오토 드래그(auto drag) 기능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선체에 장착하는 실시예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전동 릴 장치는 선체가 아닌 일반 낚시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는 이러한 일반 낚시대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전동 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실시예(전동 릴 장치)
10: 하우징
20: 스풀
21: 권취부
30: 제1기어
40: 제2기어
50: 스위치
60: 레버
70: 고정지그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축결합되어 내장되며 낚시줄이 감겨지는 스풀(spool);
    상기 스풀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
    상기 제2기어를 구동하는 제1구동원;
    상기 제1구동원의 구동력이 상기 제2기어로 전달되는 것을 온/오프하는 스위치; 및
    일단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제1기어의 일측면에 일체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회전축이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를 제어하는 제2구동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원은 정방향과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2구동원이 정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레버의 일단이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제1구동원을 구동시켜 낚시줄을 와인딩하고,
    상기 제2구동원이 역방향으로 구동되면 상기 레버의 타단이 상기 제1기어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치합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가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제1기어를 원복시키는 탄성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상기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원은 낚시줄을 와인딩하는 방향으로만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릴 장치.
KR1020150173042A 2015-12-07 2015-12-07 전동 릴 장치 KR10180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42A KR101800368B1 (ko) 2015-12-07 2015-12-07 전동 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42A KR101800368B1 (ko) 2015-12-07 2015-12-07 전동 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64A true KR20170066864A (ko) 2017-06-15
KR101800368B1 KR101800368B1 (ko) 2017-12-20

Family

ID=59217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42A KR101800368B1 (ko) 2015-12-07 2015-12-07 전동 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0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14A (zh) * 2018-10-08 2019-01-22 南平市佳创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驱动的筏钓架竿结构及筏钓轮驱动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001B1 (ko) * 2018-06-25 2019-10-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474B1 (ko) * 2014-05-21 2015-12-07 김해광 낚시줄 자동권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7314A (zh) * 2018-10-08 2019-01-22 南平市佳创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力驱动的筏钓架竿结构及筏钓轮驱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0368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368B1 (ko) 전동 릴 장치
JP2012522706A (ja) ウインチ及びこれを含む自律移動装置
JP2017169395A (ja) 無人飛行体用の線状体繰出装置
JP2008540285A (ja) ウインチ
CN105140733A (zh) 电动回收绕管、线器
CN104444629A (zh) 一种正面手摇电缆盘
US7140598B2 (en) Freefall windlass with governor
CN109310072B (zh) 钓捕机和钓捕机的控制方法
JP5883241B2 (ja) カウンタケース取付構造
CN105480888B (zh) 绞车、用于具有可编程控制的绞车的绞车系统和方法
KR101108410B1 (ko) 소형 선박의 무선 운항 시스템
KR102574097B1 (ko) 자동 물고기 낚시 시스템 및 자동 물고기 낚시 방법
JP557250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83523B2 (ja) 船舶用陸上受電ケーブルリール
JP5919077B2 (ja) 魚釣用リール
JP6442784B2 (ja) ケーブル処理装置及び移動ロボット
KR101575474B1 (ko) 낚시줄 자동권취 장치
WO2005108275A1 (en) Winch and winching as well as fore propeller and watercraft
WO2020075329A1 (ja) 釣り機
CN105104319A (zh) 大扭矩电动鱼线轮
JP6823340B2 (ja) 携帯型電動巻き上げ機
US9398763B2 (en) Two-speed fishing reel
JP3245110U (ja) 電動ウインチの保護装置
KR200495732Y1 (ko) 낚시용 릴의 클릭음 발생장치
JP6871144B2 (ja) 電動巻き上げ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た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