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001B1 -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001B1
KR102037001B1 KR1020180072615A KR20180072615A KR102037001B1 KR 102037001 B1 KR102037001 B1 KR 102037001B1 KR 1020180072615 A KR1020180072615 A KR 1020180072615A KR 20180072615 A KR20180072615 A KR 20180072615A KR 102037001 B1 KR102037001 B1 KR 10203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wire
user
load
contro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수
최민준
정진현
임동환
이병규
김호준
문현기
노준규
문명철
황순근
김용석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7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05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comprising adju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2Gea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reduction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중 조절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제공되는 바디;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기어;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조절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맞물림 조절 부재; 및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와, 상기 제1 기어와 설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Load distribution system and load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사람이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할 때 사람에게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 시키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 등에서는, 사람이 직접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사람은 물건에 의해 발생되는 하중을 극복할 수 있는 근력을 팔에 가하여 물건을 들어 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사람의 팔에는 물건에 의해 발생된 하중이 모두 인가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는 시간, 횟수 등이 증가되면, 사람의 근육에는 피로가 쌓이게 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근육에 피로가 쌓인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작업자의 근력을 넘어서는 물건을 가지고 무리하게 작업을 하는 경우, 부상의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작업을 수행할 때, 사람의 근력을 보조해 주는 장치가 필요하다.
사람의 근력을 보조하는 장치는 동력 발생을 위해 모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근력 보조 장치는 모터에 전력을 제공하는 장치,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 등을 포함하게 되어 장치가 무겁고 높은 가격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 등과 같이 동력을 발생 시키는 구성 없이 경량으로 이루어 지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제공되는 바디;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기어;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조절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맞물림 조절 부재; 및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와, 상기 제1 기어와 설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하중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1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2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2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 되게 하는 회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기어에서 상기 제2 기어와 마주하는 영역이 손등 방향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향하게만 회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는, 상기 조절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바디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일 지점에서 가압부의 길이 방향과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연결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회전축에서 상기 제2 기어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제2 기어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상기 와이어가 위치될 수 있는 걸림 방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고정될 수 있는 착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 길이의 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외측으로 와이어를 공급 가능하게 제공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및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손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되게 하는 하중 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제공되는 바디;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기어;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되, 축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와, 상기 제1 기어와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를 지나는 하중 분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하중 조절 장치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에 감기거나 풀림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하중 조절 장치에서 사용자의 손등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타측은 사용자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설정 길이의 와이어를 감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롤러 유닛; 및 사용자의 손과 상기 롤러 유닛 사이의 구간에 위치되어, 와이어가 설정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방향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 제어 부재는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와이어가 위치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하중이 효과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모터 등과 같이 동력을 발생 시키는 구성 없이 경량으로 이루어 지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시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중 분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롤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하중 조절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하중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바디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의 하중 조절 장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하중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하중 조절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중 분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롤러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중 분산 시스템(1)은 와이어 공급 장치(10) 및 하중 조절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공급 장치(10)는 설정 길이의 와이어(W)를 감은 상태로, 외측으로 와이어(W)를 공급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와이어 공급 장치(10)는 사용자가 신체의 일 영역에 착용되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와이어 공급 장치(10)는 사용자의 상체에 위치되게 착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 공급 장치(10)는 롤러 유닛(11) 및 방향 제어 부재(15)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 유닛(11)은 설정 길이의 와이어(W)를 감도록 제공될 수 있다. 롤러 유닛(11)은 하우징(110) 및 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와이어 공급 장치(10)의 골격을 제공한다. 하우징(110)은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설정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11)의 일측에는 안내부(112)가 제공될 수 있다. 안내부(112)는 지지부(111)의 일측에서 지지부(111)와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안내부(112)는 지지부(111)의 상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112)에는 안내홀(113)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홀(113)은 롤러(120)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112)는 와이어(W)가 설정 위치를 유지하면서 와이어 공급 장치(10)에 감기거나 풀리게 할 수 있다.
롤러(120)는 외측 둘레에 와이어(W)를 감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롤러(120)는 원기둥 형상으로,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롤러(120)의 외측 둘레에는 와이어(W)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롤러(120)는 2개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설정 길이 이격 되어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롤러(120)는 사용자의 왼팔 방향 및 오른팔 방향으로 와이어(W)를 공급할 수 있다. 롤러(120)는 판 스프링,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포함하도록 제공되어, 설정 토크를 가지고 와이어(W)를 감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방향 제어 부재(15)는 사용자의 손과 롤러 유닛(11) 사이의 구간에 위치된 와이어(W)가 설정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방향 제어 부재(15)는 설정 체적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방향 제어 부재(15)에는 와이어(W)가 위치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은 와이어(W)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방향 제어 부재(15)는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에 위치되는 형태로 착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방향 제어 부재(15)는 사용자의 양측 어깨에 각각 위치되도록 착용될 수 있다.
이하, 하중 조절 장치(20)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 되었을 때, 사용자의 손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손바닥 방향이라 하고, 사용자의 손등을 향하는 방향을 손등 방향이라 한다.
도 3은 도 1의 하중 조절 장치가 사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하중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바디의 일부가 생략된 상태의 하중 조절 장치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하중 조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는 하중 조절 장치(20)가 사용자의 오른손에 끼워 졌을 때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하중 조절 장치(20)는 사용자의 손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되게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하중 조절 장치(20)는 바디(210), 제1 기어(220), 회전 조절 부재(230), 제2 기어(240) 및 맞물림 조절 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하중 조절 장치(20)의 외형을 제공한다. 바디(210)는 제1 바디부(211) 및 제2 바디부(212)를 포할 수 있다. 제1 바디부(211)와 제2 바디부(212)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서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바디(210)의 외측에는 착용 부재(215)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착용 부재(215)는 제1 바디부(211)의 외측면 및 제2 바디부(212)의 외측면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착용 부재(215)는 제1 바디부(211)의 외측면 및 제2 바디부(212)의 외측면 중 하나에만 제공될 수 도 있다. 일 예로, 착용 부재(215)는 바디(210)의 외측면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사람의 손가락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착용 홈(216)이 형성되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착용 홈(216)에 끼우는 형태로 하중 조절 장치(20)를 손에 착용할 수 있다.
제1 기어(220)는 바디부(211, 212)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기어(220)의 축의 길이 방향은 바디부(211, 212)가 이격된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기어(220)는 설정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외측 둘레에는 제1 톱니(221)들이 위치될 수 있다. 제1 톱니(221)의 폭은 와이어(W)의 지름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제1 톱니(221)들에는 제1 수용부(22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222)는 와이어(W)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1 톱니(221)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회전 조절 부재(230)는 제1 기어(220)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 되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 조절 부재(230)는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한 원웨이 베어링(one way bearing)으로 제공되어, 제1 기어(220)는 회전 조절 부재(230)의 외측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회전 조절 부재(230)에 의해, 제1 기어(220)는 제2 기어(240)와 마주하는 영역이 손등 방향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향하게만 회전 될 수 있다.
제2 기어(240)는 바디부(211, 212)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기어(240)는 양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기어(240)는 그 축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40)는 제1 기어(220)와 맞물린 상태와, 제1 기어(220)와 설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2 기어(240)는 설정 반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제공되어, 외측 둘레에는 제2 톱니(241)들이 위치될 수 있다. 제2 톱니(241)의 폭은 와이어(W)의 지름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톱니(241)의 폭은 제1 톱니(221)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톱니(241)들에는 제2 수용부(242)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42)는 와이어(W)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2 톱니(24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들어간 홈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수용부(242)는 제1 수용부(222)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가 맞물린 상태가 되면, 와이어(W)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4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W)는 제1 수용부(222), 제2 수용부(242) 또는 제1 수용부(222)와 제2 수용부(242)로부터 설정 압력을 받으면서 접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가 맞물린 상태가 되면, 와이어(W)는 제1 기어(220), 제2 기어(240) 또는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에 대해 미끄러 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는 제2 기어(240)의 축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2 기어(240)가 제1 기어(220)와 맞물린 상태 또는 제1 기어(220)와 설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되게 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는 바디부(211, 212)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의 조절 회전축(251)은 바디부(211, 212)에서 손바닥 방향을 향하는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 조절 장치(20)가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면, 맞물림 조절 부재(250)는 사용자의 손바닥 쪽에 위치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는 가압부(252) 및 연결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52)는 맞물림 조절 부재(250)의 조절 회전축(251)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52)는 제1 기어(220)가 위치된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의 회전에 따라, 가압부(252)는 바디(210)의 외부로 노출 되거나, 바디(2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연결부(253)는 가압부(252)의 일 지점에서 가압부(252)의 길이 방향과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53)는 손등 방향을 향해 설정 길이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조절 회전축(251)이 위치된 가압부(252)의 일측 단부에서, 연결부(253)가 연장 형성된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연결부(253)는 제2 기어(2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조절 회전축(251)에서 제2 기어(240)까지의 거리는 가압부(252)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맞물림 조절 부재(250)에는 와이어(W)가 위치되는 걸림 방지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방지부(254)는 제2 기어(240)와 마주보는 가압부(252)의 일 측면에 가압부(25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형성될 수 있다. 걸림 방지부(254)는 설정 깊이를 갖는 홀, 설정 면적을 갖는 홀, 또는 홀 및 홈으로 형성된 구간을 모두 갖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하중 조절 장치가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가 하중 조절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물건을 집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사용자가 하중 조절 장치를 착용한 상태로 물건을 집어 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사용자가 하중 조절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집어 든 물건을 내려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에는 하중 조절 장치(20)가 사용자의 오른손에 착용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도시되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한 손 또는 양 손에 하중 조절 장치(20)를 착용할 수 있다. 와이어 공급 장치(10)에서 인출된 와이어(W)는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 사이를 지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와이어(W)는 제2 기어(240)의 외측 둘레에 접하는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손바닥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W)의 일측은 제1 기어(220)와 맞물림 조절 부재(250) 사이를 지나고, 롤러 유닛(11)에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고(이하, 가변단, VE), 손등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W)의 타측은 그 단부가 사용자에 대해 일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이하, 고정단, PE).
맞물림 조절 부재(2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일 때,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는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을 움직이면, 와이어(W)는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 사이에서 자유롭게 슬라이딩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의 위치에 따라 가변단(VE)에서는 와이어(W)가 롤러(120)에 감기거나 롤러(120)에서 풀리면서, 가변단(VE)과 고정단(PE) 사이의 와이어(W)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물건을 잡으면, 손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있던 맞물림 조절 부재(250)는 물건에 의해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252)는 손등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기어(240)는 제1 기어(220)와 맞물린 상태가 되고, 와이어(W)는 하중 조절 장치(20)에 대해 슬라이딩 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물건을 잡은 상태로, 손을 들어 올리면, 하중 조절 장치(20)에서 고정단(PE) 사이의 거리, 하중 조절 장치(20)에서 가변단(VE) 사이의 거리는 짧아진다. 그리고, 제1 기어(220)는 와이어(W)를 고정단(PE)에서 가변단(VE) 쪽으로 이동 시키는 방향으로만 회전 되게 제공된다. 이에 따라, 고정단(PE)과 하중 조절 장치(20)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W)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또한, 가변단(VE)에서 롤러(120)가 회전되면서 와이어(W)를 감는 것에 의해, 와이어(W)가 하중 조절 장치(20)에서 고정단(PE) 방향에서 가변단(VE)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보조 될 수 있다. 제1 기어(220)와 제2 기어(240)가 맞물린 상태가 유지되면, 하중 조절 장치(20)와 고정단(PE) 사이의 와이어(W) 길이는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일단 사용자가 손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한 후에는 하중 조절 장치(20)와 고정단(PE) 사이에 위치된 와이어(W)는 사용자의 손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물건을 내려 놓으면, 맞물림 조절 부재(25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40)는 제1 기어(220)와 서로 이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가변단(VE)은 사용자의 상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 조절 장치(20)와 가변단(VE) 사이에 위치되는 와이어(W)는 하중 조절 장치(20)에서 가변단(VE) 방향으로 갈수록 사용자의 몸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향 제어 부재(15)가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에 위치되면, 와이어(W)는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상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맞물림 조절 부재(250)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와이어(W)는 가압부(252)가 외측을 향해 회전되게 하여, 제2 기어(240)가 제1 기어(220)와 맞물린 상태가 효과적으로 풀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중 분산 시스템(1)은 사용자가 물건을 집은 후 들어 올리는 동작 만으로,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을 와이어(W)에 분산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중 분산 시스템(1)은 사용자가 물건을 내려 놓는 동작 만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가 풀리고, 사용자는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와이어 공급 장치 11: 롤러 유닛
15: 방향 제어 부재 20: 하중 조절 장치
110: 하우징 111: 지지부
112: 안내부 120: 롤러
210: 바디 220: 제1 기어
230: 회전 조절 부재 240: 제2 기어
250: 맞물림 조절 부재

Claims (12)

  1.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제공되는 바디;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기어;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조절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맞물림 조절 부재; 및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축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와, 상기 제1 기어와 설정 거리 이격 된 상태가 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1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2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중 조절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기어가 일 방향으로만 회전 되게 하는 회전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중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기어에서 상기 제2 기어와 마주하는 영역이 손등 방향에서 손바닥 방향으로 향하게만 회전되게 하는 하중 조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는,
    상기 조절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설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맞물림 조절 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바디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바디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의 일 지점에서 가압부의 길이 방향과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상기 연결부에 위치되는 하중 조절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회전축에서 상기 제2 기어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압부의 길이 보다 짧게 형성되는 하중 조절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제2 기어와 마주보는 일측면에 와이어가 위치될 수 있는 걸림 방지부가 형성되는 하중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상기 바디의 외측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고정될 수 있는 착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하중 조절 장치.
  9. 설정 길이의 와이어를 감은 상태로, 외측으로 와이어를 공급 가능하게 제공되는 와이어 공급 장치; 및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손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손에 가해지는 하중이 조절되게 하는 하중 조절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하중 조절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설정 거리 이격 되게 제공되는 바디;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기어;
    상기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되, 축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상태와, 상기 제1 기어와 설정 거리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 사이를 지나되,
    상기 제1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1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기어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는 제2 톱니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들어간 홈 형상의 제2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중 분산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사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도록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하중 조절 장치에서 사용자의 손바닥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일측은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에 감기거나 풀림 수 있는 형태로 연결되고,
    상기 하중 조절 장치에서 사용자의 손등 방향을 향하는 와이어의 타측은 사용자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는 하중 분산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공급 장치는,
    설정 길이의 와이어를 감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롤러 유닛; 및
    사용자의 손과 상기 롤러 유닛 사이의 구간에 위치되어, 와이어가 설정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방향 제어 부재를 포함하는 하중 분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제어 부재는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손바닥에서 사용자의 상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경로상에 와이어가 위치되게 하는 하중 분산 시스템.
KR1020180072615A 2018-06-25 2018-06-25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KR102037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15A KR102037001B1 (ko) 2018-06-25 2018-06-25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615A KR102037001B1 (ko) 2018-06-25 2018-06-25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001B1 true KR102037001B1 (ko) 2019-10-25

Family

ID=68420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615A KR102037001B1 (ko) 2018-06-25 2018-06-25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7498A (zh) * 2019-11-29 2020-02-07 东莞理工学院 一种三自由度机器人关节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68B1 (ko) * 2015-12-07 2017-12-20 진필언 전동 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68B1 (ko) * 2015-12-07 2017-12-20 진필언 전동 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7498A (zh) * 2019-11-29 2020-02-07 东莞理工学院 一种三自由度机器人关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1884B2 (en) Joint actuator, and joint structure of leg-supporting robot comprising same
US9597217B2 (en) Cable driven joint actuator and method
WO2018082906A1 (de) Vorrichtung zum unterstützen eines armes
US20230293380A1 (en) Length-adjustable lower limb structure, and exoskeleton robot using same
KR102037001B1 (ko) 하중 분산 시스템 및 하중 조절 장치
US9943460B2 (en) Driving module and motion assistanc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P3246285B1 (en) Assistive suit
US20150096688A1 (en) Hand-carried taping machine with non-powered guide system
TW201302265A (zh) 可攜式健身裝置
EP3221015B1 (de) Trainingsvorrichtung mit 3d-positionserfassung und deren betriebsverfahren
CN106820395B (zh) 带体自动收紧装置
CN108289558A (zh) 用于支撑袜的穿戴辅助件
KR102141008B1 (ko) 계단형 트레드밀
CN102826443B (zh) 吊装翻转器
CN102462930A (zh) 复健机
IT201900000933A1 (it) Macchina per esercizi
US3069058A (en) Pressure roller
KR20230092571A (ko) 가변 자세 유지 기능을 갖는 관절 로봇
KR100326842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바퀴 높낮이 조절장치
WO2017029351A1 (de) Therapiegerät
CN109381326B (zh) 手指康复训练装置
KR100814392B1 (ko) 회전 부하량 조절이 용이한 회전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관절 보조 장비
WO2017110253A1 (ja) アシストロボット装置
KR20140005017U (ko) 고소작업용 착용로봇의 구조물 접근위치 조절장치
US20180256438A1 (en) Chin mass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