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909A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65909A KR20170065909A KR1020150172270A KR20150172270A KR20170065909A KR 20170065909 A KR20170065909 A KR 20170065909A KR 1020150172270 A KR1020150172270 A KR 1020150172270A KR 20150172270 A KR20150172270 A KR 20150172270A KR 20170065909 A KR20170065909 A KR 2017006590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skin
- cosmetic composition
- leaf
- comparative exampl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고 콜라겐 합성, MMP-1 억제,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한 기초 화장품 및 윤곽을 개성있게 표현하기 위해 인체에 무해한 원료가 혼합된 색조 화장품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특히, 기초 화장품으로는 유액, 화장수, 스킨, 로션 등이 있으며, 대부분의 여성 및 남성들이 기초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초 화장품은 피부의 각질 및 노폐물을 제거하여 피부를 청결하게 함은 물론, 유분 및 수분을 균형있게 조절하여 세안 등에 의해 손상된 피부를 진정시키면서 얇은 보호막을 형성시켜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근래에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생활수준이 향상되어 자신의 이미지를 제고시키기 위한 화장품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다. 게다가,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화방지, 주름개선, 미백, 자외선차단 등과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초 화장품이나 기능성 화장품의 조성물은 화학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민감한 피부에 바르는 경우에는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다수이다.
한편, 생체 외부로부터 유입되거나,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활성 산소는 생체의 노화를 촉진시키거나, 암을 유발하는 등 다양한 문제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활성 산소에 의한 산화를 억제하는 항산화 물질에 대한 개발 및 연구가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OD), 비타민 E 유도체,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의 항산화제를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얻기 위한 노력이 다수 있었으나, 피부 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배합 시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 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신경 및 혈관, 임파관, 체액 반응, 세포 반응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장애를 유발하는 것이다.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동상, 화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 요인 및 항체 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외부 자극으로 손상된 세포들이 분비한 여러 화학 매개 물질에 의해 혈관 확장이 일어나고, 투과성이 증가함에 따라 항체, 보체, 혈장, 식균 세포들이 염증부위로 몰려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이 홍반의 원인이 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 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항염제라 한다.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페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계통으로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등이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이나 화장료 함유 시 안정성 면에서 문제가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보습, 노화방지, 항산화,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거나 피부노화 또는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면에서 우수한 효과를 지닌 천연 소재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식물 추출물의 단독 적용의 경우 미미한 피부개선 효능을 보이는 경우가 다수이다.
따라서,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자극을 감소시켜 피부에 대한 안전성 및 화장료 함유 시 안정성을 개선하면서도,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소재 추출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면서도,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고 콜라겐 합성량, MMP-1 억제,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5중량%, 및 2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상기 하수오 추출물 20 내지 35중량부, 상기 페퍼민트 추출물 45 내지 60중량부, 및 상기 고삼 추출물 25 내지 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이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열노화 방지 또는 피부 진정용 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면서도, 피부에 청량감을 부여하고 열노화 방지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특히,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 간 상호 작용, 및 복합 추출물 내 유효성분 간 상호 작용에 의해 콜라겐 합성, MMP-1 억제, 및 피부 진정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몽당잎모자반(Sargassum muticum ( Yendo ) Fensholt)”은 경단구슬모자반이라고도 불리며, 강조강 모자반목 모자반과의 해조류로, 제주도의 성산 일대의 조간대 하부에서 자란다. 식물체는 녹갈색이며 뿔 모양의 뿌리에서 원기둥 모양의 짧은 줄기가 나오고, 그 줄기는 여러 갈래로 갈라진다. 잎은 막질 또는 가죽질이고 주걱 모양이며, 가장자리에는 무딘 거치가 있으나 매끈하다. 또한, 기포는 구슬 모양 내지 알 모양이다.
몽당잎모자반은 종래 국내와 일본에서 S. Kjellmanianum Yendo로 알려져 왔으나, 최근 국내 및 일본에서 채집된 표본들이 재조사되어 S. muticum 종에 해당하는 것이 확인되어 새로이 명명된 바 있다.
상기 몽당잎모자반은 바닷물을 머금고 자라기 때문에, 상기 몽당잎모자반의 추출물은 다양한 영양분, 특히, 미네랄, 비타민, 및 철분이 풍부하여 수분력 강화, 탄력 강화, 피부 보호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DPPH)의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및 균주 접종 배지의 생육저해율 측정에 기반한 연구를 통해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상기 복합 추출물은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각 원료에서 유래한 유효성분 간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에 의해 우수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특히, 상기 복합 추출물은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에 함유된 풍부한 미네랄, 비타민, 및 철분과 함께 피부에 적용됨으로써 흡수율이 증가하고 콜라겐 합성, MMP-1 억제,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은 하수오, 페퍼민트, 및 고삼이 일괄적으로 세척, 건조 및 분쇄된 혼합 분쇄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이들이 각각 세척, 건조 및 분쇄된 개별 분쇄물로부터 추출된 후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하수오(Pleuropterus multflorus)”는 쌍떡잎식물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오랜 기간 재배되고 있는 덩굴성 약용식물로서, 키는 3~4m에 이르며 뿌리는 옆으로 길게 뻗어 종종 덩이뿌리를 형성한다. 붉은빛을 띤 갈색의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로 지칭하며, 신장 기능을 튼튼하게 하여 정력을 높이고 머리카락을 검게 하며 병 없이 오래 살게 하는 약초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간장의 기능을 좋게 하여 피곤함을 없애고, 살결을 곱게 하며,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하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여 신경쇠약이나 불면증에 효과가 있으며, 조혈 작용이 뛰어나 빈혈 치료에도 좋고 여성의 생리불순, 자궁염, 만성변비 등의 치료에도 널리 쓰인다.
상기 하수오는 주요성분으로 녹말(starch), 조지방(crude fat), 에모딘(emodin), 크리소파놀(chrysophanol), 레시틴(lecithin) 등이 함유되어 있어 강장작용, 고지혈증 저하, 혈당강하 작용에 효과적이며, 상기 레시틴은 향균활성, 항산화활성, 항암활성 항염증활성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하수오에 다량 함유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항산화물질인 폴리페놀(polyphenol) 계열에 속하는 물질로 특히 적포도주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그동안 항암,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또한 심장 동맥 손상을 줄여주고 심장발작과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는 혈액응고를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상기 “페퍼민트(Mentha piperita)”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이나 유럽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높이는 약 90㎝까지 자라고, 꽃은 보라색으로 6~7월에 피며 저온 다습한 조건에서 자란다.
상기 페퍼민트의 에센셜 오일은 잎에 다량 함유되어 있고, 상기 에센셜 오일의 주요 성분인 멘톨(menthol)은 피부와 점막에 청량감을 제공하고 예민해진 피부의 진정 관리에 도움을 주며,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고대 이집트에서는 식용과 약용 및 방향제로, 고대 그리스에서는 향수의 주요 성분으로,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향수 외에도 원기 강화제와 목욕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상기 멘톨은 정신적 치료와 우울증, 신경성 발작 등에 효과가 있고, 더울 때에는 차갑게 해주고 추울 때에는 따듯하게 해주는 성분이 점액의 유출을 막아줄 뿐만 아니라 해열과 발한을 돕는다. 이에 따라, 상기 에센셜 오일은 감기, 천식, 기관지염, 콜레라, 폐렴, 폐결핵, 식중독, 신경통 등에 사용된다.
더욱이, 상기 페퍼민트 추출물은 청량감 부여, 유해한 외부 물질 활성 억제 및 제거 등의 기능을 하는 피부 컨디셔닝 성분으로 사용되어 피부 진정 효과를 지닐 뿐만 아니라, 고유의 향에 의해 피로회복, 졸음방지, 정신집중 등의 효과 또한 나타낸다.
상기 “고삼(Sophora flavescence)”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등지의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6~8월에 가지 끝에 20㎝ 정도의 꽃줄기가 나와 나비 모양의 연한 노란색 꽃이 피고, 꽃 길이는 15~18㎜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
상기 고삼의 효능에 대해 우리나라의 전통 의학 서적인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은 차고 독이 없다. 열독풍(熱毒風)으로 피부와 살에 헌데가 생기고 적라(赤癩, 문둥병의 일종)로 눈썹이 빠지는 것을 치료한다. 심한 열을 내리고 잠만 자려는 것을 낫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눈물을 멎게 한다. 간담의 기를 보하고 잠복된 열로 생긴 이질과 오줌이 황색이면서 적색인 것을 낫게 한다. 치통(齒痛)과 악창(惡瘡)을 낫게 한다.”라고 언급하고 있다.
상기 고삼의 뿌리에는 마트린(matrine), 옥시마트린(oxymatrine), 소포라놀(sophoranol), 메틸시티진(methylcytisine), 아나기린(anagyrine), 밥티폴린(baptifoline), 소포카르핀(sophocarpine) 등의 알칼로이드, 잔토휴몰(xanthohumol), 이소잔토휴몰(isoxanthohumol), 3,4,5-트리하이드록시-7-메톡시-8-이소펜테닐플라본(3,4,5-trihydroxy-7-methoxy-8-isopentenylflavone), 8-이소펜테닐캠페롤(8-isopentenylkaempferol)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줄기와 잎에도 루테올린-7-글루코시드(luteolin-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고삼의 추출물은 여드름의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Propionibacterium acnes)에 강력한 항균 작용을 보이고, 특히, 상기 고삼 추출물의 성분 중 마트린과 옥시마트린은 체온 강하 등의 중추 억제 작용, 신경근 표본에 대한 글루탐산 차단 작용, 염증 억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추출물”은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이 전이된 용매를 지칭하는 것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수득된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5중량%, 및 25 내지 50중량%일 수 있다.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몽당잎모자반 고유의 유효성분에서 유래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45중량% 초과이면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상기 복합 추출물에 포함된 각 성분의 상호 작용으로 인한 상승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의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복합 추출물 내에 포함된 유효성분 간 상호 작용이 미약하여 이에 따른 상승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45중량% 초과이면 첨가량 대비 피부 진정 및 개선 효과가 구현되지 않아 비용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과량의 추출물이 함유되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제품 본연의 품질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이 상기 하수오 추출물 20 내지 35중량부, 상기 페퍼민트 추출물 45 내지 60중량부, 및 상기 고삼 추출물 25 내지 40중량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복합 추출물을 구성하는 각 유효성분 간 함량 편차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유효성분 간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가 적절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작업 환경 및 최종 산물의 품질을 고려하여 혼합 비율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최적의 피부 진정 및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추출 공정에 있어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온침, 가열 등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이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이 60 내지 80% 농도의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추출 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하면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첨가물로 사용할 때에도 적합할 수 있으며,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공정 관리 등과 같은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60%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80%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15℃ 미만이면 추출 효율이 저하되어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고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30℃ 초과이면 상기 유효성분 중 일부가 변형되거나 손실되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시간이 1시간 미만이면 상기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4시간 초과이면, 시간 대비 상기 유효 성분 추출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추출물이 물을 용매로 하여 60 내지 80℃의 온도에서 10 내지 16시간 동안 추출될 수 있다. 물만을 용매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상기 유효 성분을 손쉽게 추출할 수 있고, 높은 추출 효율로 고농도의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안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 첨가물로 사용할 때에도 적합할 수 있으며,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엄격한 공정 관리 등과 같은 비용 증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상기 온도가 60℃ 미만이면 상기 유효 성분이 충분히 용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80℃ 초과이면 상기 복합 추출물 함유된 유효성분이 고온에서 변형 또는 소실되어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시간이 10시간 미만이면 상기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고, 16시간 초과이면 시간 대비 상기 유효 성분 추출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열노화 방지 또는 피부 진정용일 수 있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이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및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와 같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서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 :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제조
몽당잎모자반을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100g 수득하였다.
분쇄물 100g에 대해 10배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70% 질량농도)을 용매로 하여 2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필터에 의해 여과한 뒤,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씩 반복 추출하여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물을 3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 복합 추출물 제조
하수오, 페퍼민트, 고삼을 수세한 후 상온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분쇄물을 각각 100g씩 수득하였다.
각각의 분쇄물 100g에 대해 10배 부피의 물을 용매로 하여 65℃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침적 추출하였다. 각각의 추출물을 필터에 의해 여과한 뒤, 잔여 원료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3회씩 반복 추출하고 수득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복합 추출물을 30℃에서 감압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고형분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복합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투입하였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시예
1 : 복합 추출물 및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혼합 시료
상기 제조예 1의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32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2의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2 : 복합 추출물 및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혼합 시료
상기 제조예 1의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32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2의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 45중량부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1 :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1의 몽당잎모자반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1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2 : 복합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2의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2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3 : 복합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2의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복합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3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4 :
하수오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2의 하수오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4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5 : 페퍼민트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2의 페퍼민트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5의 시료로 하였다.
비교예
6 :
고삼
추출물 시료
상기 제조예 2의 고삼 추출물의 일부를 분리하여 비교예 6의 시료로 하였다.
실험예
1 : 항산화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 따른 시료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그마사(Sigma Co., Ltd, 미국)에서 구입한 DPPH를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먼저, 400μM 농도의 표준 DPPH 용액을 만들고, 각각의 시료와 기준물질로 항산화제인 아스코르빈산에 각각 에탄올을 가하여 200㎍/㎖의 농도의 시약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시약과 표준 DPPH 용액을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여 교반한 후,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상기 시료 대신 에탄올을 첨가한 것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시료 | 자유라디칼 소거율 (%) |
대조군 (무첨가) | 0 |
아스코르빈산 | 42.73 |
실시예 1 | 61.28 |
실시예 2 | 57.33 |
비교예 1 | 44.51 |
비교예 2 | 48.86 |
비교예 3 | 45.39 |
비교예 4 | 43.48 |
비교예 5 | 42.91 |
비교예 6 | 43.55 |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 실시예 2)는 항산화제로 사용되는 아스코르빈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1~3), 및 복합 추출물의 일 성분만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4~6)와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율이 현저하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 추출물 내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1의 시료가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2의 시료에 비해 다소 증가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 간 상호 작용 뿐만 아니라, 복합 추출물 내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 간 상호 작용 또한 항산화 활성 증가에 상승 효과를 가지는 결과로 분석된다.
실험예
2 : 항염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 따른 시료의 항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Raw 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일산화질소(NO) 생성 억제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안정화시킨 후, 0.5㎍/ml의 Lipopolysaccharide(LPS)를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자극을 유도하였다. 상기 실시예 1~2와 비교예 1~6 및 양성대조군인 L-NMMA(L-NG-Monomethylarginine)을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일산화질소 정량 키트 및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시료 | NO 생성 억제능 (%) |
양성대조군(L-NMMA) | 42.08 |
실시예 1 | 44.19 |
실시예 2 | 43.57 |
비교예 1 | 35.64 |
비교예 2 | 39.78 |
비교예 3 | 36.19 |
비교예 4 | 32.11 |
비교예 5 | 29.94 |
비교예 6 | 31.73 |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 실시예 2)는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물질인 L-NMMA,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1~3), 및 복합 추출물의 일 성분만을 포함하는 시료(비교예 4~6)와 비교하여 일산화질소 억제능이 다소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복합 추출물 내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1의 시료가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2의 시료에 비해 다소 증가된 일산화질소 생성 억제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몽당잎모자반 단독 추출물 또는 복합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 또는 복합 추출물의 일 성분만을 사용한 경우는 양성대조군(L-NMMA)에 비해 일산화질소 억제능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포함된 복합 추출물 간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가 발생하여 일산화질소 억제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추출물들이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은 향상된 항염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3 : 시료를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4~6에서 수득된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먼저, 상기 각 시료를 하기 표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하게 크림으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4~6의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원료 |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제조예 1) |
32 | 77 | - | - | - | - |
복합 추출물 (제조예 2) |
45 | - | 77 | - | - | - |
하수오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77 | - | - |
페퍼민트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 | 77 | - |
고삼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 | - | 77 |
세테아릴알코올 | 2 | 2 | 2 | 2 | 2 | 2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 1 | 1 | 1 | 1 | 1 | 1 |
호호바씨오일 | 5 | 5 | 5 | 5 | 5 | 5 |
실리카 | 0.5 | 0.5 | 0.5 | 0.5 | 0.5 | 0.5 |
글리세린 | 10 | 10 | 10 | 10 | 10 | 10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30~50세 여성 중 선정된 20명에 대하여 오른쪽 눈가에는 비교예1~2, 4~6의 크림을, 왼쪽 눈가에는 실시예 1의 크림을 1일 2회 3개월 간 도포하였다.
3개월 후 피부의 개선 정도를 피험자의 설문 및 피부의 영상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피험자의 설문은 피부결 개선 및 탄력 증진에 관하여 사용 전과 비교하여 개선 없음, 약간의 개선, 상당한 개선의 3단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 | 개선 없음 (명) | 약간의 개선 (명) | 상당한 개선 (명) |
실시예 1 | 1 | 3 | 16 |
비교예 1 | 11 | 5 | 4 |
비교예 2 | 8 | 9 | 3 |
비교예 4 | 12 | 8 | 0 |
비교예 5 | 15 | 4 | 1 |
비교예 6 | 14 | 6 | 0 |
상기 표4를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단독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1), 복합 추출물만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2), 또는 복합 추출물의 일 성분만을 사용한 경우(비교예 4~6)에 비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을 모두 사용한 경우(실시예 1)에 피부결 개선 효과 및 탄력 증진 효과가 현저하게 상승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전부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이라도 누락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개선 효과 내지 피부 진정 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 콜라겐 합성량 평가
상기 실시예1~2 및 비교예 1~6에 따른 시료의 열노화 방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0.5%, 1.0% 농도 별로 콜라겐 합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를 24 well plate에 1×105cell/well로 분주한 뒤, 10% FBS/DMEM 배지로 24시간 배양시킨 다음, 적외선을 조사기로 열 자극을 준 후, serum free 배지를 이용하여 각 추출물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 배양액을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콜라겐 양을 ng/㎖ 환산하였으며, 이에 의해 합성된 콜라겐 양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 때, 열노화 방지 효능 비교를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시료 없이 적외선을 조사한 경우를 사용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으로는 0.3μM의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을 사용하였다.
구분 | 0.5% | 1.0% | 대조군 | |
음성 | 양성 | |||
실시예 1 | 149 | 153 | 105 | 137 |
실시예 2 | 136 | 141 | ||
비교예 1 | 115 | 118 | ||
비교예 2 | 127 | 132 | ||
비교예 3 | 120 | 124 | ||
비교예 4 | 112 | 115 | ||
비교예 5 | 111 | 117 | ||
비교예 6 | 114 | 121 |
상기 표 5를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 실시예 2)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1.1배 가량 증가된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내었으며, 음성 대조군(적외선 조사)에 비해 1.5배 가량 증가된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 중 하나의 성분이라도 누락된 시료(비교예 1~6)에 비해 콜라겐 합성량이 1.2 내지 1.3배 가량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콜라겐 합성량이 증가하여, 열노화 방지 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복합 추출물 내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1의 시료가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2의 시료에 비해 다소 증가된 콜라겐 합성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포함된 복합 추출물 간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가 발생하여 콜라겐 합성량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추출물들이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은 향상된 열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5 : MMP-1 억제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6에 따른 시료의 열노화 방지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0.5%, 1.0% 농도 별로 콜라겐을 분해하는 MMP-1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Human Normal Fibroblast 세포를 24 well plate에 1×105cell/well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적외선을 조사하여 MMP-1 발현을 증가시키고 각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MMP-1 억제 양상을 확인하였다. MMP-1 억제 효과를 하기 수학식 3을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복합 추출물의 열노화 방지 효능의 비교를 위한 양성 대조군으로서 레티놀(비타민 A)을 사용하였다.
[수학식 3]
MMP-1 억제 활성(%) = (추출물 처리시 흡광도/추출물 미처리시 흡광도)×100
구분 | 0.5% | 1.0% | 레티놀(1㎎/㎖) |
실시예 1 | 42.97 | 63.21 | 42.03 |
실시예 2 | 41.88 | 59.75 | |
비교예 1 | 21.44 | 33.51 | |
비교예 2 | 34.19 | 40.78 | |
비교예 3 | 31.21 | 37.28 | |
비교예 4 | 23.59 | 27.43 | |
비교예 5 | 25.81 | 36.22 | |
비교예 6 | 21.77 | 30.17 |
상기 표 6을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 실시예 2)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동등하거나 1.5배 가량 증가된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혼합물 중 하나의 성분이라도 누락된 시료(비교예 1~6)에 비해 MMP-1 억제 활성이 최대 2배 가량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0.5%의 시료를 처리한 경우보다 1.0%의 시료를 처리한 경우 억제 활성이 증가하여, 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MP-1 억제 활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복합 추출물 내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각각 1 : 2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1의 시료가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된 실시예 2의 시료에 비해 다소 증가된 MMP-1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이 포함된 복합 추출물 간 상호 작용에 따른 상승 효과가 발생하여 MMP-1 억제 활성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추출물들이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은 향상된 열노화 방지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분석된다.
실험예
6 : 피부 진정 효과 평가(피부 온도 감소율)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4~6에서 수득된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진정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먼저, 상기 각 시료를 하기 표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동일하게 화장수로 제형화하였으며, 실시예 1 및 비교예 1~2, 4~6의 시료만을 달리하였다.
원료 | 실시예 1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4 | 비교예 5 | 비교예 6 |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제조예 1) |
32 | 77 | - | - | - | - |
복합 추출물 (제조예 2) |
45 | - | 77 | - | - | - |
하수오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77 | - | - |
페퍼민트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 | 77 | - |
고삼 추출물 (제조예 2) |
- | - | - | - | - | 77 |
1,3-부틸렌글리콜 | 3.0 | 3.0 | 3.0 | 3.0 | 3.0 | 3.0 |
글리세린 | 2.0 | 2.0 | 2.0 | 2.0 | 2.0 | 2.0 |
올레일알코올 | 0.1 | 0.1 | 0.1 | 0.1 | 0.1 | 0.1 |
폴리솔베이트 20 | 0.5 | 0.5 | 0.5 | 0.5 | 0.5 | 0.5 |
에탄올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벤조페놀-9 | 0.05 | 0.05 | 0.05 | 0.05 | 0.05 | 0.05 |
향, 방부제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미량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20~30대 건강한 피험자 21명의 전완부에 실시하였으며, 시험 전 20분간 피험자의 실험 부위(전완부)를 직사광선에 노출시킨 후, 시험 시료와 대조 시료를 전완부의 선정된 시험 부위(2㎝×2㎝)에 Micro Pipette을 사용하여 각각 50㎕의 양으로 도포하였으며,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5분 후, 도포 20분 후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열노화 방지 효능 비교를 위한 음성 대조군으로 물을 사용하였다. 측정 후 각 시료의 온도 감소율은 아래의 수학식 4에 따라 도출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온도 감소율(%) = (1-시료 적용 부위의 온도/비적용 부위의 온도)×100
구분 | 적용 직후 | 5분 후 | 20분 후 |
대조군(물) | 5.8 | 0.6 | 0 |
실시예 1 | 13.8 | 5.3 | 2.1 |
비교예 1 | 8.7 | 2.2 | 0.4 |
비교예 2 | 10.1 | 2.6 | 0.9 |
비교예 4 | 7.3 | 1.3 | 0.2 |
비교예 5 | 6.9 | 1.4 | 0 |
비교예 6 | 7.2 | 0.9 | 0.1 |
상기 표 8을 참고하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시료(실시예 1)는 음성 대조군에 비해 2배 이상의 온도 감소율을 보였으며, 상기 혼합물 중 어느 하나의 성분이라도 누락된 시료(비교예 1~2, 4~6)에 비해 최대 2배 가량의 온도 감소율을 나타내어, 피부 진정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1~2, 4~6의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수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온도 감소율이 0이 되거나 그 정도가 미미한데 반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과 복합 추출물의 혼합 시료를 포함하는 화장수(실시예 1)는 20분 후에도 2.1%의 온도 감소율을 보여 지속적인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전부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어느 하나의 유효성분이라도 누락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피부 진정 효과가 탁월한 것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하수오 추출물, 페퍼민트 추출물, 및 고삼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 각각의 함량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45중량%, 및 25 내지 50중량%인, 화장료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이 상기 하수오 추출물 20 내지 35중량부, 상기 페퍼민트 추출물 45 내지 60중량부, 및 상기 고삼 추출물 25 내지 40중량부로 이루어진,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몽당잎모자반 추출물 및 상기 복합 추출물이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글리콜,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용매로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열노화 방지 또는 피부 진정용인, 화장료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파우더, 및 이들 중 2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270A KR101757457B1 (ko) | 2015-12-04 | 2015-12-04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270A KR101757457B1 (ko) | 2015-12-04 | 2015-12-04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5909A true KR20170065909A (ko) | 2017-06-14 |
KR101757457B1 KR101757457B1 (ko) | 2017-07-12 |
Family
ID=59218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2270A KR101757457B1 (ko) | 2015-12-04 | 2015-12-04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745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227B1 (ko) * | 2017-04-27 | 2018-06-22 | (주)네이처포 | 발열피부 냉각용 천연 살균 조성물 |
KR20230041260A (ko) | 2021-09-17 | 2023-03-24 | 엠제이 주식회사 | 경단구슬모자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6263B1 (ko) * | 2011-06-22 | 2012-11-29 | (주)진코스텍 | 강도와 탄력성이 향상된 수분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5
- 2015-12-04 KR KR1020150172270A patent/KR101757457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70227B1 (ko) * | 2017-04-27 | 2018-06-22 | (주)네이처포 | 발열피부 냉각용 천연 살균 조성물 |
KR20230041260A (ko) | 2021-09-17 | 2023-03-24 | 엠제이 주식회사 | 경단구슬모자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7457B1 (ko) | 2017-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73636B1 (ko) |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 |
KR100982883B1 (ko) |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387308B1 (ko) |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 |
JP5137457B2 (ja) |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 |
KR20110134719A (ko) |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CN110251448A (zh) | 一种含有蜂胶提取物的美容用组合物 | |
KR100712249B1 (ko) |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성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및 그 제조방법 | |
KR101822092B1 (ko) |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 |
CN107308044A (zh) | 婴幼儿消炎抗敏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 |
KR101397160B1 (ko) |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20009554A (ko) |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29891B1 (ko) |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757457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74994B1 (ko) | 제주 용암해수와 조릿대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CN115429725B (zh) | 用于抗氧化、抗炎、皮肤镇静的化妆品组合物 | |
KR102303400B1 (ko) |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107444A (ko) |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 |
KR101571384B1 (ko) | 쌀 캘러스 및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크서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769123B1 (ko) |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5942B1 (ko) |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1687293B1 (ko) |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및 아토피 개선용 화장품 | |
KR102644064B1 (ko) | 포도, 올리브잎 및 몰약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27179A (ko) |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5947072B2 (ja) | 抗酸化剤 | |
KR101682458B1 (ko) |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