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5574A -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 Google Patents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5574A
KR20170065574A KR1020177011039A KR20177011039A KR20170065574A KR 20170065574 A KR20170065574 A KR 20170065574A KR 1020177011039 A KR1020177011039 A KR 1020177011039A KR 20177011039 A KR20177011039 A KR 20177011039A KR 20170065574 A KR20170065574 A KR 20170065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portable electronic
connector
cradl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043B1 (ko
Inventor
다꾸마 요시다
도시유끼 고바야시
요시아끼 가사이
Original Assignee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65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크레이들은,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그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넥터 커버(120)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장착되는 크레이들이며, 전자 기기 커넥터(110)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12)를 갖고,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수용부(catching section:21b)가 설치된 걸림부 본체(21)를 갖는 걸림부(20)를 구비한다. 걸림부(20)는 크레이들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P1)로부터, 휴대형 전자 기기(10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수용부(21b)에 의해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P2)로 이동한다.

Description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CRADL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ET}
본 발명은 휴대형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와 크레이들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검품에 사용되는 HHT 단말기(Hand Held Terminal), 태블릿 단말기, 스마트폰 등의 휴대형 전자 기기에는, 커넥터를 덮는 방수 캡 등의 커넥터 커버가 설치된다.
일례이기는 하지만, 커넥터 커버는, 커넥터를 덮는 커버 본체와, 이 커버 본체에 연결되고 휴대형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발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암부를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 커버에서는, 휴대형 전자 기기가 크레이들에 장착될 때, 커버 본체는, 미리 사람의 손에 의해 커넥터를 덮는 위치로부터 벗겨져서 현수된 상태로 된다. 또한, 현수된 상태의 커버 본체는, 휴대형 전자 기기가 크레이들에 장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사람의 손으로 보유 지지된다.
여기서, 크레이들은, 장착되는 휴대형 전자 기기에 대하여 데이터 송수신, 충전 등의 어떤 처리를 행하기 위한 커넥터를 갖는 기기이다.
다른 커넥터 커버의 예인데, 커넥터 커버가 휴대형 전자 기기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미리 사람의 손에 의해 휴대형 전자 기기로부터 벗겨진 커넥터 커버를 분실하지 않도록, 사람이 보관해야 한다는 수고가 발생한다. 또한, 애당초 커넥터 커버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커넥터가 항상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커넥터에 쇼트,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커넥터와 크레이들의 커넥터를 접속하기 위한 구조로서, 크레이들의 커넥터를 덮는 보호 가이드가, 휴대형 전자 기기의 커넥터를 덮는 보호 커버의 경사면부를 누름으로써, 이 보호 커버를 개방시키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탄성력에 저항하여 휴대형 전자 기기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있는 커버부가, 개구부로부터 개방된 경우에 개구부의 바로 아래보다도 후방의 개방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8952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49944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이들의 보호 가이드가 휴대형 전자 기기의 보호 커버의 경사면부를 누름으로써, 이 보호 커버를 개방시키는 구조는, 눌리는 측의 보호 커버를 개폐시키는 기구가 휴대형 전자 기기에 설치되게 된다. 그로 인해, 휴대형 전자 기기의 구조가 복잡화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기기의 개구부에 끼워 넣어져 있었던 커버부가, 개구부로부터 개방된 경우에 개구부의 바로 아래보다도 후방의 개방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는, 개방 시의 커버부를 개방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구가 휴대형 전자 기기에 설치되게 된다. 그로 인해, 휴대형 전자 기기의 구조가 복잡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형 전자 기기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크레이들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로부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커넥터 커버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는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형태에서는, 크레이들은, 전자 기기 커넥터와 그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넥터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크레이들이며,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를 갖고,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크레이들에 대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커버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상기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걸림부를 구비한다.
다른 하나의 형태에서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는, 전자 기기 커넥터와 그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넥터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와,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크레이들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이며,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를 갖고,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크레이들에 대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커버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상기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부세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형 전자 기기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크레이들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로부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커넥터 커버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 및 판 스프링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 및 판 스프링을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 및 판 스프링을 우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 및 판 스프링을 좌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커넥터와 크레이들 커넥터가 접속될 때의 걸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그 1)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커넥터와 크레이들 커넥터가 접속될 때의 걸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그 2)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커넥터와 크레이들 커넥터가 접속될 때의 걸림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그 3)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100)는 크레이들(1) 및 파선으로 나타내지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100)를 구비한다.
휴대형 전자 기기(101)는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예를 들어 HHT 단말기이지만, 태블릿 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기타의 휴대형 전자 기기여도 된다.
후술하는 도 3a 내지 도 3c에 주로 파선(은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기기(101)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이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커넥터 커버(120)를 구비한다.
커넥터 커버(120)는 예를 들어 방수 캡이다. 커넥터 커버(120)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커버 본체(121)와, 이 커버 본체(121)에 연결되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내부에 발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막대상의 아암부(122)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되는 크레이들(1)은 보유 지지부(10)와, 걸림부(20)와, 부세부의 일례인 판 스프링(30)(도 2b 내지 도 2e 참조)과, 기기 수용부(40)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부(10)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와, 크레이들 커넥터(12)와, 가이드부(13, 14)와, 리브(15, 16)와, 지지 패드(17, 18)를 갖고,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보유 지지한다.
보유 지지부 본체(11)는 크레이들(1)에 장착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각각 후방, 하방, 전방에 위치하는, 후면부(11a), 하면부(11b), 및 전면부(11c)를 포함한다. 전면부(11c)는 후면부(11a)와 비교하여 높이가 낮기 때문에, 보유 지지부 본체(11)는 우측면에서 보아 J자 형상을 나타낸다.
크레이들 커넥터(12)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하면부(11b)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크레이들 커넥터(12)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전자 기기 커넥터(110)에 접속된다.
가이드부(13, 14)는,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과정의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양측면의 각각을 가이드한다. 가이드부(13, 14)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후면부(11a)의 좌우 양단에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가이드부(13)는 후면부(11a)의 좌측 단부로부터 좌방향으로 돌출되고, 굴곡되어 전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시 굴곡되어 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이다. 우측의 가이드부(14)는 후면부(11a)의 우측 단부로부터 우방향으로 돌출되고, 굴곡되어 전(前)방향으로 연장하고, 다시 굴곡되어 좌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이다.
가이드부(13, 14)는, 후면부(11a)에 대하여 복수의 끼워 넣는 위치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끼워 넣어짐으로써, 서로의 간격이 조정 가능해도 된다.
리브(15, 16)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후면부(11a)에 있어서의 하부의 좌우 2개소에 있어서, 후면부(1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리브(15, 16)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배면에 접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지지한다.
지지 패드(17, 18)는, 후면부(11a)의 좌측 상단 코너부 및 우측 상단 코너부의 2개소에 있어서, 후면부(1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패드(17, 18)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배면에 접촉함으로써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지지한다.
기기 수용부(40)는 보유 지지부(10)에 있어서의 하부의 후방에 배치되고, 휴대형 전자 기기(101)와의 데이터 송수신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나, 배터리 등을 수용한다. 또한, 크레이들(1)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충전만을 행하는 경우에는, 기기 수용부(40)는 생략 가능하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걸림부(20) 및 판 스프링(30)을 도시하는 정면도, 우측면도, 배면도, 우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및 좌경사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30)은 걸림부(20)에 가려져서 도시되지 않는다.
걸림부(20)는 걸림부 본체(21)와, 플랜지부(22, 23)와, 고정 나사(24)와, 회동 규제용 돌기(25)를 갖는다.
걸림부 본체(21)는 아암 플레이트부(21a)와, 수용부(21b)와, 좌우의 측벽(21c, 21d)이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b,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플레이트부(21a)는 평면 상을 나타내고, 도 1에 도시되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후면부(11a)의 중앙에 있어서, 후면부(11a)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아암 플레이트부(21a)는 회동 중심축 부재로서 기능하는 후술하는 돌출부(23a, 23b)(플랜지부(22, 23))와 수용부(21b)를 직접적(간접적이어도 됨)으로 연결하는 아암부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도 2b,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b)는, 아암 플레이트부(21a)의 하단으로부터 굴곡되어 전방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부분(21b-1)과, 이 제1 부분(21b-1)의 선단으로부터 만곡되어 전방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2 부분(21b-2)과, 이 제2 부분(21b-2)으로부터 굴곡되어 상방으로 연장하는 제3 부분(21b-3)을 포함한다. 상세는 후술하겠지만,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b)는,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한다.
도 2a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b)에는, 제3 부분(21b-3)의 상단으로부터 제2 부분(21b-2)에 걸쳐서 절결부(21b-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1b-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1b)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도 좌측으로 치우쳐 형성되어 있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1c, 21d)은, 수용부(21b)의 좌우 양단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2, 23)는, 아암 플레이트부(21a)의 좌측 상단 코너부 및 우측 상단 코너부의 2개소에 있어서, 아암 플레이트부(21a)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2, 23)는, 좌측면에서 보아, 그리고 도 2b의 우측면에서 보아 원형을 나타내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측의 플랜지부(22)에는, 좌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플랜지부(23)에는, 우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3a)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2a, 23a)는, 도 1에 도시하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후면부(11a)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걸림부(20)는 도 2b, 도 2d, 및 도 2e에 도시하는 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한다.
도 2b, 도 2d, 및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나사(24)는 판 스프링(30)을 아암 플레이트부(21a)의 배면에 고정한다. 회동 규제용 돌기(25)는 아암 플레이트부(21a)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회전 규제용 돌기(25)는 판 스프링(30)의 하단에 형성된 절결 부분에 감합됨으로써 판 스프링(30)의 회동을 규제한다.
판 스프링(30)은 아암 플레이트부(21a)와 도 1에 도시되는 보유 지지부 본체(11)의 후면부(11a)를 따르도록 상단측에서 만곡되어 있다. 판 스프링(30)은 보유 지지부(10)와 걸림부(20)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걸림부(20)를 후술하는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 P1을 향하여 부세(bias)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세부의 일례가 판 스프링(30)이지만, 부세부로서는, 예를 들어, 비틀림 스프링, 압축 스프링, 고무와 같은 다른 탄성체 등이어도 된다.
이하, 주로 걸림부(20)의 동작을 중심으로, 크레이들(1)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크레이들 커넥터(12)가 접속될 때의 걸림부(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걸림부(20)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 스프링(30)에 의해 부세됨으로써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 P1에 위치한다. 이 제1 위치 P1은, 걸림부(20)가 크레이들(1)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위치이다. 또한, 걸림부(20)의 적어도 일부가,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과정의 휴대형 전자 기기(101)와 크레이들 커넥터(12) 사이에 위치하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를 차폐한다고 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는 미리 사람의 손에 의해,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위치로부터 커버 본체(121)가 벗겨지고, 아암부(122)가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내부로부터 발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커버 본체(121)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로부터 현수된 상태, 즉,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단, 커버 본체(121)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위치에 있어도 된다. 그 경우, 걸림부(20)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버 본체(121)를 걺으로써 커버 본체(121)를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격시키면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기기(101)는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1 위치 P1에 있는 걸림부(20)를 가압하면서 크레이들 커넥터(12)에 접근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전자 기기(101)는 걸림부(20)의 걸림부 본체(21)의 측벽(21c, 21d)에 있어서의 상단을 가압한다.
걸림부(20)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판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 3b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화살표 D1)으로 후방으로 회동한다. 예를 들어, 걸림부(20)는 걸림부 본체(21)의 수용부(21b)의 제3 부분(21b-3)에 있어서 커넥터 커버(120)의 커버 본체(121)를 걸고, 수용부(21b) 내에 수용한다.
그리고,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크레이들 커넥터(12)에 더 접근하고,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크레이들 커넥터(12)가 접속되면, 걸림부(20)는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 P2로 이동한다.
이 걸림부(20)의 제1 위치 P1으로부터 제2 위치 P2로의 이동 중에 있어서, 커버 본체(121)는 걸림부(20)의 회동에 수반하여 수용부(21b)에 수용된 채, 수용부(21b)의 제2 부분(21b-2)에 의해 들어올려져서 아래위가 반대로 되도록 반전된다. 그리고, 아암부(122)가 수용부(21b)의 절결부(21b-4)에 삽입되고, 절결부(21b-4)에 의해 지지된다.
그 후,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크레이들(1)로부터 취출될 때에는, 걸림부(20)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에 의해 가압되지 않게 된다. 그로 인해, 걸림부(20)는 판 스프링(30)으로부터 가해지는 부세력에 의해, 도 3a에 도시하는 제1 위치 P1로 복귀하도록 회동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20)는 회동함으로써 제1 위치 P1과 제2 위치 P2로 이동하는데, 예를 들어 슬라이드함으로써 제1 위치 P1과 제2 위치 P2로 이동해도 된다. 그 경우의 걸림부(20)의 일례로서는, 제1 위치 P1에 있어서 휴대형 전자 기기(10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제2 위치 P2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를 갖는 걸림부를 들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크레이들(1)에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이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커넥터 커버(120)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장착된다. 보유 지지부(10)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전자 기기 커넥터(110)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12)를 갖고,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보유 지지한다. 걸림부(20)는 크레이들(1)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 P1에 있어서, 휴대형 전자 기기(101)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 P2로 이동한다. 부세부의 일례인 판 스프링(30)은 걸림부(20)를 제1 위치 P1을 향하여 부세한다.
그로 인해, 휴대형 전자 기기(101)측의 구조가 아니라, 걸림부(20) 및 판 스프링(30)을 사용한, 크레이들(1)측의 구조에 의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를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부(20)가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제2 위치 P2로 이동하기 때문에, 커넥터 커버(120)를 확실하게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구조가 복잡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크레이들(1)에 대한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로부터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때에 커넥터 커버(120)를 사람의 손으로 보유 지지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자 기기 커넥터(110)와 크레이들 커넥터(12)의 접속 부분을 주시하면서 휴대형 전자 기기(101)를 크레이들(1)에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걸림부(20)는 판 스프링(30)에 의해 제1 위치 P1을 향하여 부세되고 있기 때문에,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장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제1 위치 P1인,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위치에 있어서 크레이들 커넥터(12)를 보호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20)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커넥터 커버(120)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제2 위치 P2로 이동한다. 그로 인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를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부(20)는 보유 지지부(10)에 의해 제1 위치 P1과 제2 위치 P2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로 인해, 걸림부(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부세부가, 걸림부(20)와 보유 지지부(10) 사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30)이다. 그로 인해, 걸림부(2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보다 한층 간소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는 전자 기기 커넥터(110)를 덮는 커버 본체(121)와, 이 커버 본체(121)에 연결되고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내부에 발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암부(122)를 갖는다. 걸림부(20)에는, 커버 본체(121)를 걸어서 수용한 상태에서, 아암부(122)가 삽입되는 절결부(21b-4)가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수용부(21b)가 커버 본체(121)를 수용하기 쉬워지는 것에 의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를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유 지지부(10)는 크레이들(1)에 장착되는 과정의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양측면의 각각을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부(13, 14)를 더 구비한다. 그로 인해,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장착 경로가 규정되어, 휴대형 전자 기기(101)가 걸림부(20)를 가압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휴대형 전자 기기(101)의 커넥터 커버(120)를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단계에서의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를 적절히 조합해도 된다. 이와 같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크레이들
10: 보유 지지부
11: 보유 지지부 본체
11a: 후면부
11b: 하면부
11c: 전면부
12: 크레이들 커넥터
13, 14: 가이드부
15, 16: 리브
17, 18: 지지 패드
20: 걸림부
21: 걸림부 본체
21a: 아암 플레이트부
21b: 수용부
21b-1: 제1 부분
21b-2: 제2 부분
21b-3: 제3 부분
21b-4: 절결부
21c, 21d: 측벽
22: 플랜지부
22a: 돌출부
23: 플랜지부
23a: 돌출부
24: 고정 나사
25: 회동 규제용 돌기
30: 판 스프링
40: 기기 수용부
100: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101: 휴대형 전자 기기
110: 전자 기기 커넥터
120: 커넥터 커버
121: 커버 본체
122: 아암부

Claims (7)

  1. 전자 기기 커넥터와 그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넥터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크레이들로서,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를 갖고,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크레이들에 대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커버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상기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걸림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상기 커넥터 커버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보유 지지부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제2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세부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보유 지지부 사이에 배치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상기 커넥터 커버는,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버 본체와, 그 커버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내부에 발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아암부를 갖고,
    상기 걸림부에는, 상기 커버 본체를 걸어서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가 삽입되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지부는, 상기 크레이들에 장착되는 과정의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양측면의 각각을 가이드하는 2개의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이들.
  7. 전자 기기 커넥터와 그 전자 기기 커넥터를 덮는 커넥터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와,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가 장착되는 크레이들
    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로서,
    상기 크레이들은,
    상기 전자 기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크레이들 커넥터를 갖고,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상기 크레이들에 대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의 장착 경로를 차폐하는 제1 위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전자 기기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상기 커넥터 커버를 걸어서 수용하면서, 상기 장착 경로로부터 퇴피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KR1020177011039A 2014-12-27 2014-12-27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KR101891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4721 WO2016103523A1 (ja) 2014-12-27 2014-12-27 クレードル、及び、携帯型電子機器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574A true KR20170065574A (ko) 2017-06-13
KR101891043B1 KR101891043B1 (ko) 2018-08-22

Family

ID=5614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1039A KR101891043B1 (ko) 2014-12-27 2014-12-27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411547B2 (ko)
KR (1) KR101891043B1 (ko)
TW (1) TWI592790B (ko)
WO (1) WO2016103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589B2 (en) 2014-09-23 2020-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ceiving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93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충전기
JP2004215330A (ja) * 2002-12-27 2004-07-29 Brother Ind Ltd 充電装置
JP2005006149A (ja) * 2003-06-13 2005-01-06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の充電端子保護構造
JP2006049944A (ja) 2004-07-30 2006-02-16 Key Tranding Co Ltd 携帯端末およびクレイドル
JP2009289523A (ja) 2008-05-28 2009-12-10 Panasonic Corp ドッキングコネクタ保護カバーを有するクレードル対応の携帯用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893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팩 충전기
JP2004215330A (ja) * 2002-12-27 2004-07-29 Brother Ind Ltd 充電装置
JP2005006149A (ja) * 2003-06-13 2005-01-06 Nec Saitama Ltd 携帯電話機の充電端子保護構造
JP2006049944A (ja) 2004-07-30 2006-02-16 Key Tranding Co Ltd 携帯端末およびクレイドル
JP2009289523A (ja) 2008-05-28 2009-12-10 Panasonic Corp ドッキングコネクタ保護カバーを有するクレードル対応の携帯用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6103523A1 (ja) 2017-04-27
WO2016103523A1 (ja) 2016-06-30
JP6411547B2 (ja) 2018-10-24
TWI592790B (zh) 2017-07-21
TW201629676A (zh) 2016-08-16
KR101891043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6843B (zh) 連接器及連接器組合體
CN110161635B (zh) 光收发器
TW200728887A (en)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JP2010225402A (ja) 電子機器の蓋開閉装置
KR20180016643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US858202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torage case and lid which is openable/closable and lockable with storage case
KR101479054B1 (ko) 커넥터
KR101891043B1 (ko) 크레이들, 및 휴대형 전자 기기 세트
JP4042717B2 (ja) アクセサリーシュ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並びにアクセサリー
TW201628281A (zh) 具有鎖扣與解鎖機構的連接器
JP2013175379A (ja) 電子機器の蓋開閉機構
KR100630914B1 (ko)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장치
US933757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jumper element assembled thereon
JP2011090881A (ja) 電線カバーの装着構造
CN107710520B (zh) 电线盖以及带电线盖的连接器
JP6678408B2 (ja) 光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プラグ側光コネクタ
TWI729998B (zh) 使用於數位裝置之防水外殼及其方法
EP2262118B1 (en) A holder for a mobile phone with an inclined socket
JP2015145905A (ja) スライド開閉蓋の開閉検出構造
JP6548384B2 (ja) 電子機器
US20100188805A1 (en) Cover releasing mechanisms
JP2012238419A (ja) コンセント
US10989988B2 (en) Lid guide mechanism and imaging device
US8779289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lid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US20060146179A1 (en) Adapter device and video camer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