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414A -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 Google Patents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414A
KR20170064414A KR1020150170216A KR20150170216A KR20170064414A KR 20170064414 A KR20170064414 A KR 20170064414A KR 1020150170216 A KR1020150170216 A KR 1020150170216A KR 20150170216 A KR20150170216 A KR 20150170216A KR 20170064414 A KR20170064414 A KR 20170064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gital signage
interaction
information
displ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우
김범호
이정수
남도원
문성원
윤기송
정연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70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414A/ko
Publication of KR2017006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7User reque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50/00Market activiti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or related to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 Y04S50/14Marketing, i.e. market research and analysis, surveying, promotions, advertising, buyer profiling, customer management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중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 제어부들; 및 상기 개별 제어부들 사이의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개별 제어부들로 인터랙션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MULTIPLE DIVISION DIGITAL SIGNAGE APPARATUS AND USER INTERA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사이니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을 구비하는 디지털사이니지 장치의 인터랙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사이니지(digital signage)는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트레이닝 효과 및 고객 경험을 유도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툴로, 공항이나 호텔, 병완 등 공공장소에서 방송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특정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 장치이다. 디지털사이니지는 기존 상업용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D)에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나 관리 플랫폼까지 종합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사이니지 디스플레이 대형화에 따라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개수가 늘어나고 있으나, 시스템 한두대에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직렬방식으로 연결하므로, 디스플레이 크기와 상관 없이 서비스하는 컨텐츠의 해상도에는 한계가 있다.
고해상도의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여러 대의 시스템을 이용하고 각각의 시스템이 허용하는 최대 해상도를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이 경우 여러 대의 시스템들간의 컨텐츠 동기화가 반드시 필요하고, 특히 사용자 인터랙션 지원이 어렵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2014-0064250호는 이동 단말의 웹브라우저로 접속 가능한 웹사이트를 통해 디지털사이니지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침묵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되는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대의 시스템이 다중 연결된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랙션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대화면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의해 컨텐츠가 화면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동 혹은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 제어부들; 및 상기 개별 제어부들 사이의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개별 제어부들로 인터랙션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마스터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인터랙션 정보는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제1 정보,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재생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를 유지하는 제2 정보,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지만 재생하지는 아니하는 제3 정보 및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재생하는 제4 정보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별 제어부들은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상기 컨텐츠에 관한 이동방향, 회전각도 및 컨텐츠 재생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의 이동, 회전 및 확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방향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들에 상응하는 상기 개별 제어부들이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은, 각각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개별 제어부들로부터 사용자 인터랙션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별 제어부들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개별 제어부들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러 대의 시스템이 다중 연결된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이동 및 회전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및 다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된 대화면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의해 컨텐츠가 화면 사이에서 끊임없이 이동 혹은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인터랙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111~119), 개별 제어부들(121~129) 및 마스터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개별 제어부들(121~129)은 각각 디스플레이들(111~119) 각각을 제어한다.
마스터 제어부(130)는 개별 제어부들(121~129) 사이의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개별 제어부들(121~129)로 인터랙션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인터랙션 정보는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는 제1 정보(nothing), 상기 컨텐츠에 상응하는 재생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를 유지하는 제2 정보(tracking),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지만 재생하지는 아니하는 제3 정보(decoding) 및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재생하는 제4 정보(rendering) 중 하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개별 제어부들은 상기 마스터 제어부로 상기 컨텐츠에 관한 이동방향, 회전각도 및 컨텐츠 재생 크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터랙션은 상기 컨텐츠의 이동, 회전 및 확대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마스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방향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들에 상응하는 상기 개별 제어부들이 상기 컨텐츠를 디코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들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컨텐츠를 이동/확대/회전하는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제공이 가능하다.
시스템간의 컨텐츠 동기화는 전체 시스템을 컨트롤하는 마스터 제어부(130)에서 담당한다. 이 경우, 동영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에 1개 이상이 존재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UHD급 이상의 컨텐츠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구동하면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지원하면 실시간 재생 혹은 실시간 인터랙션을 지원할 수 없다.
실시간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모든 컨텐츠는 모든 시스템(디스플레이 및 개별 제어부)이 공유한다. 즉, 컨텐츠의 위치가 5번에 있는 경우에도 주위 모든 시스템은 해당 컨텐츠를 가지고 있다.
-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하면(5번 디스플레이), 주위 8방향 디스플레이에 연결된 각각의 개별 제어부는 해당 컨텐츠를 함께 디코딩한다. 실제 5번 시스템은 컨텐츠를 디코딩하고 화면에 재생(렌더링)하지만, 다른 시스템들은 5번 시스템이 재생하는 시간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만 한다. 단, 위치로 이동만 하더라도 재생에 필요한 정보들은 실제 디코딩하여 정보를 유지한다.
- 사용자가 인터랙션을 통해 컨텐츠를 움직이면, 해당 컨텐츠가 현재 디스플레이에서 재생되지 않더라도 움직이는 방향에 있는 시스템은 디코딩을 시작한다. 다만, 재생을 위한 디코딩을 수행하더라도 화면에 재생하지는 않는다.
- 컨텐츠가 두 개 이상의 디스플레이에 겹치는 경우, 컨텐츠가 위치하는 모든 시스템에서 디코딩을 수행하고, 마스터 제어부(130)에서 전달되는 화면 위치에 따라 해당 영역만 재생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인터랙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제어부(130)의 컨텐츠 동기화에 의해 사용자 인터랙션이 제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재생/이동/확대/회전을 선택하면 해당 개별 제어부(120)는 마스터 제어부(130)에 선택된 컨텐츠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컨텐츠 정보는 해당 시스템의 위치나 컨텐츠명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에 대한 이동방형, 회전각도 및 컨텐츠 재생크기 등의 인터랙션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마스터 제어부(130)는 개별 제어부(120)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스템별 인터랙션 및 컨텐츠 정보를 계산한다. 인터랙션 정보의 결과는 nothing, tracking, decoding, rendering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nothing은 해당 시스템은 아무런 작업을 안한다는 의미일 수 있고, tracking은 사용자 인터랙션에 실시간으로 대응하기 위해 선택된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일치하는 위치를 계속 유지한다는 의미일 수 있고, decoding은 실제로 컨텐츠를 디코딩하지만 재생하지는 않는다는 의미일 수 있고, rendering은 디코딩뿐만 아니라 재생까지 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 인터랙션에 의해 변경된 컨텐츠의 위치 정보 및 재생 크기 등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 제어부는 마스터 제어부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대화면 디지털사이니지 시스템은 이동/회전/확대와 같은 사용자 인터랙션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가 한대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연결되었기 때문에 서비스할 수 있는 컨텐츠의 화질에 제한이 있을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개별 제어부를 구비하여 독립적인 클라이언트 사이니지 시스템으로 동작하도록 하고, 개별 시스템이 제공할 수 있는 최대한의 컨텐츠 화질을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하면서 마스터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은, 각각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중 하나에 상응하는 개별 제어부들로부터 사용자 인터랙션에 상응하는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S31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은, 상기 컨텐츠 정보에 상응하는 인터랙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개별 제어부들로 제공한다(S320).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의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은, 상기 개별 제어부들의 제어에 상응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들이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33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시광 무선통신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11~119: 디스플레이
121~129: 개별제어부
130: 마스터 제어부

Claims (1)

  1. 컨텐츠를 표시하는 복수개의 디스플레이들;
    각각 상기 디스플레이들 각각을 제어하는 개별 제어부들; 및
    상기 개별 제어부들 사이의 컨텐츠 동기화를 수행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개별 제어부들로 인터랙션 및 컨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마스터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20150170216A 2015-12-01 2015-12-01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KR20170064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216A KR20170064414A (ko) 2015-12-01 2015-12-01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216A KR20170064414A (ko) 2015-12-01 2015-12-01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414A true KR20170064414A (ko) 2017-06-09

Family

ID=59220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216A KR20170064414A (ko) 2015-12-01 2015-12-01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41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889A (ko) 2017-10-30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간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15857A (ko) 2018-04-04 2019-10-14 강정민 무진열 상품 판매 시스템
KR20190123374A (ko) 2018-04-12 2019-11-01 윤제희 구매자 감정 분석 시스템
WO2020122358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889A (ko) 2017-10-30 2019-05-0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시간 동기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90115857A (ko) 2018-04-04 2019-10-14 강정민 무진열 상품 판매 시스템
KR20190123374A (ko) 2018-04-12 2019-11-01 윤제희 구매자 감정 분석 시스템
WO2020122358A1 (ko) * 2018-12-11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71266A (ko) * 2018-12-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이니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176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s into sub-image portions for output to a plurality of displays such as a network video wall
CN102208171B (zh) 一种便携式高清视频播放器上的局部细节播放方法
JP5930433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方法
KR20170064414A (ko) 다분할 디지털사이니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랙션 방법
CN102568441A (zh) 一种分屏式智能广告平台的实现方法
US20180357033A1 (en) Virtual video environment display systems
US201602491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viewing experience
CN104954848A (zh) 智能终端的显示图形用户界面的控制方法及装置
JP6375724B2 (ja) 映像配信装置、映像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映像再生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03596B1 (ko) 멀티비전을 위한 영상 처리 시스템
KR20160100705A (ko) 화면분할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973985B1 (ko) 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위한 분산 병렬 처리 방식의 영상 렌더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13413B1 (ko) 안드로이드 기반 uhd 매트릭스 영상 배열 장치
CN110928513A (zh) 一种超大分辨率合成指挥应用系统
JP2020503760A (ja) リアルタイムレンダリング効率を改善させた映像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CN104837046A (zh) 多媒体文件的处理方法和装置
CN104135686A (zh) 一种拼接墙信号的分享方法及用户终端
KR20150111428A (ko)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2017264B (zh) 虚拟演播厅的显示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06095368A (zh) 显示信息的发布方法、装置及多窗口同步显示方法、装置
CN109696873B (zh) 一种ktv包厢及其光影音控制方法
JP2021530922A (ja) 再生装置の動作を変更するリモコン信号の検出に応答した置換メディアコンテンツ再生の変更
US10534571B2 (en) Object-based presentation system
KR101815971B1 (ko) 다면 영상 플레이어 운영 방법 및 다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6603988A (zh) 一种多屏全景显控方法及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