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190A -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 Google Patents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190A
KR20170064190A KR1020150169601A KR20150169601A KR20170064190A KR 20170064190 A KR20170064190 A KR 20170064190A KR 1020150169601 A KR1020150169601 A KR 1020150169601A KR 20150169601 A KR20150169601 A KR 20150169601A KR 20170064190 A KR20170064190 A KR 20170064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toilet
floor
disabl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록
Original Assignee
이경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록 filed Critical 이경록
Priority to KR102015016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4190A/ko
Publication of KR20170064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2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propelled by the patient or disabled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의 바닥부분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서 휠체어를 변기에 끼운 후 바닥을 내리면 자연스럽게 변기에 앉도록 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wheelchair with defe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기존의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의 바닥부분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서 휠체어를 변기에 끼운 후 바닥을 내리면 자연스럽게 변기에 앉도록 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들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기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낀다. 그래서 장애인용의 공간이 넓은 화장실이 구비되고 있지만, 이 또한 다리에 힘이 없어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에게는 휠체어에서 벗어난 다는 행동 자체가 부담이 되어 제대로 활용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편의시설로 장애인 화장실이 제공되고 있지만, 별다른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명을 하게 되었다.
종래의 제시되고 있는 장애인전용 화장실에서의 불편함과 장애인 스스로 이동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의 바닥부분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서 휠체어를 변기에 끼운 후 바닥을 내리면 자연스럽게 변기에 앉도록 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구성요소를 나누어서 설명해본다. 우선 기존 휠체어의 구조와 동일하지만, 의자의 바닥부분을 변형 한 발명이다. 바닥부분을 팔 받침부로 연결되어 있는 가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를 구성함으로써 발생 되는 위험할 수 있는 점을 바닥 부가 팔 받침부에 걸려서 고정되어 끝까지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여 예방하였고, 휠체어에 앉아서 바지 등의 하의만 내린 후, 팔 받침 부에 있는 가드레일에 연결된 레버로의 조절로 가드레일을 따라 바닥 부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기존의 장애인 전용 화장실은 넓은 공간에 휠체어를 타고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변기 옆에 안전 바를 구비하여 휠체어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설을 제공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안전 바의 사용을 없애고,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화장실도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시한다.
우선 휠체어를 후진하여 변기에 삽입한 뒤, 휠체어의 바닥이 슬라이드 개폐되는 특징으로 휠체어에 앉은 채로 바지만을 내림으로써 용변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로써 휠체어에서 별도의 이동 없이도 쉽게 변기에 착석할 수 있게 되며, 용변을 본 후에도 바닥을 끌어 올리면 다시 휠체어의 모습으로 돌아오므로 외관상으로도 부담 없는 사용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의 바닥부분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서 휠체어를 변기에 끼운 후 바닥을 내리면 자연스럽게 변기에 앉도록 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휠체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를 타는 장애인들은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기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낀다. 그래서 장애인용의 공간이 넓은 화장실이 구비되고 있지만, 이 또한 다리에 힘이 없어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들에게는 휠체어에서 벗어난 다는 행동 자체가 부담이 되어 제대로 활용 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미 편의시설로 장애인 화장실이 제공되고 있지만, 별다른 편의를 제공하지 못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명을 하게 되었다.
종래의 제시되고 있는 장애인전용 화장실에서의 불편함과 장애인 스스로 이동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휠체어에 구비된 의자의 바닥부분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변형하여서 휠체어를 변기에 끼운 후 바닥을 내리면 자연스럽게 변기에 앉도록 되어 용변을 볼 수 있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구성요소를 나누어서 설명해본다. 우선 기존 휠체어의 구조와 동일하지만, 의자의 바닥부분을 변형 한 발명이다. 바닥부분을 팔 받침부로 연결되어 있는 가드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를 구성함으로써 발생 되는 위험할 수 있는 점을 바닥 부가 팔 받침부에 걸려서 고정되어 끝까지 밀려 내려가지 않도록 하여 예방하였고, 휠체어에 앉아서 바지 등의 하의만 내린 후, 팔 받침 부에 있는 가드레일에 연결된 레버로의 조절로 가드레일을 따라 바닥 부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기존의 장애인 전용 화장실은 넓은 공간에 휠체어를 타고 들어 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변기 옆에 안전 바를 구비하여 휠체어에서 일어나는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시설을 제공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안전 바의 사용을 없애고,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화장실도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를 제시한다.
우선 휠체어를 후진하여 변기에 삽입한 뒤, 휠체어의 바닥이 슬라이드 개폐되는 특징으로 휠체어에 앉은 채로 바지만을 내림으로써 용변을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로써 휠체어에서 별도의 이동 없이도 쉽게 변기에 착석할 수 있게 되며, 용변을 본 후에도 바닥을 끌어 올리면 다시 휠체어의 모습으로 돌아오므로 외관상으로도 부담 없는 사용이 구현되는 효과가 있다.
1: 휠체어
10: 의자부
20: 손잡이부

Claims (1)

  1. 본 발명은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휠체어(1)에 구비된 슬라이드 되는 의자부(10); 상기 의자부(10)가 걸리 수 있도록한 손잡이부(20)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KR1020150169601A 2015-12-01 2015-12-01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KR20170064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01A KR20170064190A (ko) 2015-12-01 2015-12-01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601A KR20170064190A (ko) 2015-12-01 2015-12-01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190A true KR20170064190A (ko) 2017-06-09

Family

ID=5922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601A KR20170064190A (ko) 2015-12-01 2015-12-01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419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684B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1067983B1 (ko) 거동불편자의 목욕과 이동을 돕기 위한 목욕의자
US9597251B2 (en) Sit-to-stand and walking assistive mobility aid
JP6014497B2 (ja) 調度品(位置定め可能な椅子)
US20190192374A1 (en) Hybrid Mobility and Transfer Assistance Device
US6418571B1 (en) Chair with toilet sink
KR20120007213A (ko) 좌판 슬라이딩 구조
US20200054176A1 (en) Bathing platform for a bathtub
KR20170064190A (ko) 용변기능을 갖는 휠체어
US20180085266A1 (en) Assist Chair
KR101317032B1 (ko) 좌변기용 변좌
EP2664253A1 (en) A table, cabinet or similar item of furniture
GB2399282A (en) Sliding and tilting chair for transferring person to bed
JP3164159U (ja) 歩行補助器
US20210404188A1 (en) Stair cage
KR20170011902A (ko) 원터치 스프링탄성판 접이 목욕의자
JP4432096B2 (ja) キャビネット
JP3209185U (ja) 介護用歩行訓練機
EP3142623A1 (en) Sit-to-stand and walking assistive mobility aid
JP2001353036A (ja) 腰かけ部分が上下動できる移動自在な回転座椅子。
FI113617B (fi) Saunan apurakenne
JP2005334299A (ja) 歯科用治療椅子
WO2015186093A1 (en) Seating element
KR20230014180A (ko) 구멍뚫린 휠체어
JP3195015U (ja) 多機能健康器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