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211A -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 Google Patents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211A
KR20170061211A KR1020150165303A KR20150165303A KR20170061211A KR 20170061211 A KR20170061211 A KR 20170061211A KR 1020150165303 A KR1020150165303 A KR 1020150165303A KR 20150165303 A KR20150165303 A KR 20150165303A KR 20170061211 A KR20170061211 A KR 2017006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eight
measuring
illuminanc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Priority to KR1020150165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1211A/ko
Publication of KR2017006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9/00Counting of objects in a stack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for counting by weig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62Over or under weigh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3/00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 G01G3/12Weigh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astically-deformable members, e.g. spring balances wherein the weighing element is in the form of a solid body stressed by pressure or tension during weig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1/00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 G06M1/27Design features of general application for representing the result of count in the form of electric signals, e.g. by sensing markings on the counte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계수장치는, 다수의 적층된 필름형태의 피계수물이 놓이고,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 상기 중량측정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 및 상기 중량측정부에서 측정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에서 측정된 조도를 전송받아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Film counter and counting film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중량만으로 필름의 개수를 세던 것보다 조도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높고, 필름의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수기란, 물건의 개수를 세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다양한 방식의 계수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계수기의 계수 방법은 계수 대상에 따라 다양한데, 지폐와 같이 얇은 막이 다수가 적층되어 있는 피계수물의 경우 피계수물을 한 장씩 넘기는 장치를 설치하여 지폐의 개수를 세는 방식, 단위 중량이 같은 다수의 동일한 제품을 계수할 경우 총 중량을 재서 단위 중량으로 나눠 개수를 산출하는 방식, 겹쳐지지 않은 피계수물이 일정 공간에 있을 경우 영상을 입력받아 픽셀의 개수를 카운트하거나, 영상처리를 이용해 각 물체별로 라벨링하여 개수를 산출하는 방식과 같이 피계수물의 종류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계수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방식 중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중량을 이용한 방식인데, 이러한 중량을 이용한 방식은 그 정확도 면에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중량을 이용한 계수 방식의 취약점이란, 생산되는 제품이 완전하게 같지 않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중량이 완전히 같이 않으니 다수의 제품을 측정한 중량이 각각 다르고, 측정하는 제품이 늘어날수록 이 오차는 점점 커지기 때문에 계수기가 개수측정대상물의 개수를 잘못 측정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특히, 개수측정대상물이 다수의 필름일 경우, 하나의 큰 원단을 재단하여 필름을 제작하게 되는데, 원단에는 접착제가 부착된 부분과 아닌 부분이 있어 재단되는 필름의 위치에 따라 중량이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계수측정기준을 중량 뿐 아니라 다른 기준을 추가하여 계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접착제의 유무에 따라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계수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종래 중량을 이용한 계수기에 관해서는 일본공개특허 제1999-148854호("중량 오차가 있는 물품의 계수 방법, 및 그 물품의 계수 장치", 1999.06.02.)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1999-148854호("중량 오차가 있는 물품의 계수 방법, 및 그 물품의 계수 장치", 1999.06.02.)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필름을 계수하는데 있어 정확도를 높이고, 필름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필름 계수장치는, 다수의 적층된 필름형태의 피계수물이 놓이고,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00),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200) 및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조도를 전송받아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량측정부(1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이 놓이는 검사대(120),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표시부(131), 오류여부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132), 오류알림램프(133)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20) 일면에 설치되는 표시부(130) 및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어, 상기 검사대(12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도측정부(20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10) 및 상기 검사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감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광부(210) 및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검사대(120)에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발광부(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계수부(30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와 연결되는 본체(310), 상기 본체(310)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중량을 측정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가 한계 개수에 초과될 때 경고를 출력하는 경보수단(320),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숫자 패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30),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중량변화를 검출하는 인디케이터(34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전송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전송된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총중량, 단위중량 및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계수장치를 이용하여 적층된 필름의 계수를 측정하는 필름 계수방법은,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피계수물의 단위중량 및 단위감소조도를 측정하는 기준측정단계(S1),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계수하고자 하는 다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단계(S2),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단계(S3) 및 상기 중량측정단계(S2)에서 측정된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단위중량으로 나눠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하고,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측정된 조도를 단위감소조도와 비교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한 후, 두 값을 비교해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확정하는 계수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도측정단계(S3)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다수 지점에 빛을 통과시켜 각각의 지점에서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수단계(S4)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다수 지점에서 측정된 각각의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오류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을 계수하는데 있어서 중량 및 조도, 두 가지의 측정기준을 이용하여 필름을 계수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의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위치에 빛을 조사하고, 각각의 위치에 감소되는 조도의 정도를 비교하여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계수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중량측정부의 상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계수장치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향 표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표시된 상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도면에 표시된 하측을 하측으로 정의하고 도면에 표시된 상측과 하측을 통틀어 상하방향으로 정의하며, 도면에 표시된 좌측을 좌측으로 정의하고 도면에 표시된 우측을 우측으로 정의하고 도면에 표시된 좌측과 우측을 통틀어 좌우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 및 조도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높고, 필름의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름계수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름계수장치는, 중량측정부(100), 조도측정부(200) 및 계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중량측정부(100)는 다수의 적층된 필름형태의 피계수물이 놓이고, 놓여진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검사대(120), 표시부(130) 및 로드셀을 포함하여 이루진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외곽을 이루는 구성으로, 상기 검사대(120), 표시부(130) 및 로드셀(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검사대(120)는 상기 몸체(11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이 놓이는 구성이다. 상기 검사대(120)는 상기 피계수물과 면접하는 면에 빛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발광부(210) 때문으로, 후술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표시부(131), 오류여부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132), 오류알림램프(133)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20) 일면에 설치된다.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된 값을 표시하고, 측정된 값을 기반으로 오류를 판별하는 역할이다. 상기 오류표시부(132)에서 표시하는 오류는 상기 중량측정부(100) 자체의 오류로, 정상적인 중량측정을 하지 못할 경우에 오류 메시지를 표시하며, 이를 위해 상기 오류표시부(132)에 연결되고, 자체적으로 오류를 판단할 수 있는 검사부가 별도로 설치된다.
상기 로드셀(load cell)은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어, 상기 검사대(12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상기 로드셀은 하중 센서라 하기도하며, 상기 검사대(120)에 상기 피계수물이 놓이면 상기 로드셀이 압축되거나 늘어나게 되어 변형이 생기는데 이 변형량을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여 무게를 숫자로 나타내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로드셀은 일반적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중량에 따라 서로 다른 정도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 후 이를 측정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조도측정부(20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이 적층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발광부(210) 및 조도감지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21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상기 발광부(210)가 위치하는 곳은 정확하게 상기 검사대(120)의 하부로, 상기 검사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통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이다. 상기 발광부(210)는 결과적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발광부(210)의 위치는 상기 피계수물의 하부가 아닌 상부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피계수물을 향해, 즉 상기 검사대(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검사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이 감소되는 조도를 측정한다. 좀 더 상세하게,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하기 전 빛의 조도와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를 비교하여 빛의 조도가 감소한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검사대(120)에 별도로 연장된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사대(120)의 상부에 위치한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계수장치의 일실시예 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측정 장소(R)에 상기 필름 계수장치가 설치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측정 장소(R)의 천장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검사대(120)에는 필름 형상의 상기 피계수물이 놓이게 된다. 상기 발광부(210)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하부에서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데, 상기 발광부(210)에서 조사하는 빛의 조도를 입력값이라 하고, 상기 조도감지부(220)에서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를 출력값이라 한다. 빛은 매질을 통과하면서 산란 및 반사를 통해 빛의 세기가 감소하기 때문에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은 상기 피계수물의 두께와 투과성에 따라 세기가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피계수물은 필름으로, 서로 같은 종류의 필름 다수가 적층되어 있으므로, 투과성은 선형적으로 감소할 것이고, 서로 같은 종류의 필름이기 때문에 필름 한 장을 통과할 때 감소하는 조도 정도는 일정할 것이다. 따라서 입력값 대비 출력값의 감소 정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상기 필름이 적층된 개수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210)와 조도감지부(220)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 설치될 수 있다. 단, 상기 피계수물이 편광필름일 경우, 한쪽 방향에서만 빛을 통과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발광부(210)에서 조사되는 빛이 편광필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편광필름의 방향을 조절하거나 상기 발광부(210)의 위치를 변동시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10) 및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검사대(120)에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중량측정부의 상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검사대(120)를 상부에서 바라본 것으로, 상기 발광부(210)가 상기 검사대(120)의 하부의 정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인 상하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발광부(210)가 상기 검사대(120)의 하부를 상하 좌우 움직이는 것은, 상기 검사대(120)의 상부에 놓이는 필름형상의 상기 피계수물 외면의 서로 다른 위치, 좀 더 상세하게, 상기 검사대(12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다수 지점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계수작업을 진행할 경우, 필름형상의 다수의 피계수물 사이에 시트지나 종이와 같이, 필름이 아닌 다른 물체가 끼워지게 될 수 있다. 만약 끼워진 이 다른 물체가 상기 필름과 같은 사이즈면, 상기 발광부(210)가 상기 검사대(120)에 놓인 상기 피계수물 외면 어느 부분에 빛을 조사하더라도 같은 조도값이 출력되겠지만, 조도값이 중량측정부에서 측정된 필름의 계수와 다를 수 있다. 만약 끼워진 이 다른 물체가 상기 필름과 다른 사이즈라고 한다면, 상기 발광부(210)가 빛을 조사하는 위치에 따라 조도값이 달라질 수 있으나, 상기 발광부(210)가 한 위치에만 빛을 조사한다고 하면 다른 물체가 끼워져 있는 상기 피계수물을 정상이라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발광부(120)가 상기 검사대(210) 하부의 상하 좌우를 이동하며 상기 피계수물의 서로 다른 위치에 빛을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1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는 빛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발광부(12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조도감지부(220)가 이동된다.
상기 계수부(30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조도를 전송받아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구성으로, 상기 계수부(300)는 본체(310), 경보수단(320), 디스플레이부(330), 인디케이터(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31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와 연결된다. 상기 본체(31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와 연결되게 구성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출력된 중량값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출력된 조도값을 전송 받는다.
상기 경보수단(320)은 상기 본체(310)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중량을 측정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가 한계 개수에 초과될 때 경고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수단(320)은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중량값을 미리 측정되거나 입력된 단위중량으로 나눈 값으로 구한 상기 피계수물 개수 값의 상한선을 알리거나, 미리 정해진 중량을 초과했을 경우 경보를 알리는 수단으로, 음향 및 빛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보수단(320)이 사용자에게 경보를 알리는 것에 관한 예를 들면, 상기 피계수물의 포장수량이 상기 계수부(300)에 미리 설정된 포장수량과 일치할 경우 파란 불빛 및 알림 음이 발생하고, 이 경우에만 후술할 라벨 프린터(label printer)에서 중량 라벨이 발행되어 상기 피계수물의 포장지에 라벨을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숫자 패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경우 후술할 상기 제어부(350)에서 연산하는 피계수물의 불량여부 및 피계수물의 개수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중량측정부(100)를 통해 측정되는 중량의 상한선을 조정 가능하며, 이를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는 숫자 패드가 포함되어, 사용자가 중량의 상한선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숫자 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와 일체형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330)는 터치스크린이 된다.
상기 인디케이터(Indicator, 34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중량변화를 검출한다. 상기 로드셀을 사용하는 중량계는, 전기적 신호로 중량을 측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이물질이나 사람의 피부가 상기 검사대(120)에 닿으면, 전기적 신호가 변하게 되어 오류가 일어나고, 이에 따라 중량이 잘못 측정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340)는 상기 검사대(120)에 상기 피계수물이 놓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전기적 신호의 변동 여부를 측정하여, 일정 시간 내에 전류의 변동 폭이 안정범위 내에 포함될 경우 측정되는 중량의 결과 값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출력하고, 일정 시간 내에 전류의 변동 폭이 안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측정되는 중량의 결과 값의 신뢰도가 낮다는 것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잴 때에는 상기 검사대(120)의 상부에는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아야 하고, 사용자의 피부나 기타 물건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전송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전송된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총중량, 단위중량 및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한다. 즉,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계수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미리 정해진 단위중량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총중량을 나눠 개수를 구하고,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감소된 조도를 바탕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계수한 값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면 결과 값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0)는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상기 피계수물의 서로 다른 지점의 조도 감소정도가 일치하지 않으면 불량판정, 일치하면 적합판정을 내린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350)는 논리연산제어장치(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논리연산제어장치는 각종 릴레이, 타이머, 카운터 등의 기능을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해 통합한 것으로, 산술연산, 논리연산, 함수연산, 조절연산, 순서조작 및 데이터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을 내부에 저장하고, 제어 알고리즘의 명령을 프로그램화 할 수 있는 디지털식 전자제어 장치를 말한다. 상기 논리연산제어장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입출력을 통해 기계나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에 제어 내용의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하고 복잡한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기 논리연산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필름 계수장치는 종래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졌던 수작업들을 하나로 통합하고 작업 환경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아 장치의 설비 가동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제어부(350)는 특정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인 마이크로컨트롤러(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하여 상기의 산술연산, 논리연산, 함수연산, 조절연산, 순서조작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계수부(300)는 별도의 라벨 프린터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라벨 프린터는 상기 중량측정부(100) 및 조도측정부(200)에서 측정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가 일치할 경우 중량 라벨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포장지에 부착되는 방법으로 수작업으로 라벨을 부착하는 작업에 비해 소요시간이 감소되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벨 프린터는 설계조건에 따라 상기 중량측정부(100)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상기 표시부(130)에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상기 검사대(120)에 높이는 상기 피계수물의 품명, 단가 등과 같이 라벨에 프린트되는 각종 정보가 표시되는 별도의 표시부와 상기 몸체(110) 내부에 상기 라벨 프린터를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설정된 제어장치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필름 계수장치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필름계수장치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 계수장치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측정단계(S1), 중량측정단계(S2), 조도측정단계(S3) 및 계수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측정단계(S1)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상기 피계수물의 단위중량 및 단위감소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단위중량은 측정하고자 하는 피계수물의 개당 중량을 말하며, 단위감소조도란 필름과 같이 빛이 투과하는 피계수물일 경우 빛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할 때 상기 피계수물 장당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수치를 말한다. 상기 기준측정단계(S1)는 측정 후 단위중량과 단위감소조도를 결정하지만, 측정하고자하는 피계수물의 단위중량 및 단위감소조도를 미리 알고 있다면, 상기 기준측정단계(S1)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중량측정단계(S2)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계수하고자 하는 다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중량측정단계(S2)에서 측정된 총 중량을 상기 기준측정단계(S1) 또는 미리 결정된 단위중량으로 나눠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는 상기 계수단계(S4)를 설명할 때 후술한다.
상기 조도측정단계(S3)는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하며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단계이다. 상기 조도측정단계(S3)를 수행할 때, 상기 피계수물의 외면, 즉,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지점에 빛을 통과시켜 각각의 지점에서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한다. 이는 상기 피계수물에 불량품이나 기타 이물질이 함께 적층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기 발광부(210)가 이동하는 것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며, 서로 다른 지점에서 측정된 빛의 감소 정도가 다르면 후술할 상기 계수단계(S4)에서 상기 피계수물을 오류판정하여 불량 또는 재작업 대상으로 분류한다.
상기 계수단계(S4)는 상기 중량측정단계(S2)에서 측정된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단위중량으로 나눠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하고,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측정된 조도를 단위감소조도와 비교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한 후, 두 값을 비교해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확정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동일한 피계수물의 서로 다른 지점의 조도 감소 값의 일치여부에 따라 오류판정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계수단계(S4)는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판단하는 상기 중량측정단계(S2) 및 조도의 감소정도를 기준으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판단하는 상기 조도측정단계(S3) 두 단계를 통해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판단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서로 다른 부분으로 빛을 조사하여 불량 여부 또는 이물질의 포함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계수 방법일 수 있다.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상기 피계수물의 서로 다른 부분에 빛을 조사하는 것은 상기 발광부(210)가 상기 검사대(120)의 하부에서 움직이는 것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중량측정부 110 : 몸체
120 : 검사대 130 : 표시부
131 : 중량표시부 132 : 오류표시부
133 : 오류알림램프
200 : 조도측정부 210 : 발광부
220 : 조도감지부
300 : 계수부 310 : 본체
320 : 경보수단 330 : 디스플레이부
340 : 인디케이터 350 : 제어부
S1 : 기준측정단계
S2 : 중량측정단계
S3 : 조도측정단계
S4 : 계수단계

Claims (7)

  1. 다수의 적층된 필름형태의 피계수물이 놓이고,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00);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에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고, 조사된 빛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함에 따라 감소되는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부(200); 및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측정된 조도를 전송받아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계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측정부(1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이 놓이는 검사대(120),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표시하는 중량표시부(131), 오류여부를 표시하는 오류표시부(132), 오류알림램프(133)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20) 일면에 설치되는 표시부(130) 및
    상기 몸체(110)에 내장되어, 상기 검사대(120)에 놓이는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값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측정부(200)는,
    상기 몸체(1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10) 및
    상기 검사대(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감지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210) 및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검사대(120)에 미리 정해진 기준점을 기준으로 상하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조도감지부(220)는 상기 발광부(210)의 이동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300)는,
    상기 중량측정부(100)와 연결되는 본체(310),
    상기 본체(310)의 외부 측면에 부착되어, 중량을 측정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가 한계 개수에 초과될 때 경고를 출력하는 경보수단(320),
    상기 본체(310)의 전면에 설치되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숫자 패드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에 따라 선택적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30),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드셀로부터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중량측정부(100)의 중량변화를 검출하는 인디케이터(340),
    상기 본체(31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중량측정부(100)에서 전송된 중량과, 상기 조도측정부(200)에서 전송된 조도를 기초로 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총중량, 단위중량 및 피계수물의 개수를 계수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중량 계수 장치를 이용하여 적층된 필름의 계수를 측정하는 필름 계수방법으로,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미리 정해진 개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상기 피계수물의 단위중량 및 단위감소조도를 측정하는 기준측정단계(S1);
    상기 중량측정부(100)에 계수하고자 하는 다수의 피계수물을 올려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단계(S2);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단계(S3); 및
    상기 중량측정단계(S2)에서 측정된 상기 피계수물의 중량을 단위중량으로 나눠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하고, 상기 조도측정단계(S3)에서 측정된 조도를 단위감소조도와 비교하여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구한 후, 두 값을 비교해서 상기 피계수물의 개수를 확정하는 계수단계(S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측정단계(S3)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다수 지점에 빛을 통과시켜 각각의 지점에서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계수단계(S4)는, 상기 피계수물의 적층 방향 최외곽 양면 중 다수 지점에서 측정된 각각의 상기 피계수물을 통과한 빛의 조도가 감소되는 정도가 동일하지 않으면 오류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계수방법.
KR1020150165303A 2015-11-25 2015-11-25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KR20170061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03A KR20170061211A (ko) 2015-11-25 2015-11-25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303A KR20170061211A (ko) 2015-11-25 2015-11-25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211A true KR20170061211A (ko) 2017-06-05

Family

ID=5922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303A KR20170061211A (ko) 2015-11-25 2015-11-25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12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48B1 (ko) 2018-01-19 2019-03-12 주식회사 디월드 편광시트 계수장치 및 편광시트 계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448B1 (ko) 2018-01-19 2019-03-12 주식회사 디월드 편광시트 계수장치 및 편광시트 계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71731A3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igh scale perimeter monitoring for scanner-scales
TWI558995B (zh) 光穿透率量測設備
US8155894B2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EP2261645A1 (en) X-ray inspection device
JP6920988B2 (ja) 検査装置
JP2013072814A (ja) 放射線検査装置
JP4855128B2 (ja) 物品検査装置
JP5898472B2 (ja) 物品検査装置
KR101606490B1 (ko) Emi 저항 및 통전 검사 장치
KR20170061211A (ko) 필름 계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계수방법
JP2018029948A (ja) 医療機器用の表示装置
JP5639374B2 (ja) 物品検査装置および物品検査システム
JP2021167825A (ja) 擬似不良品を用いて動作確認される検査装置
JP4397209B2 (ja) 検査装置
US20220242676A1 (en) Test object and diagnosis system and goods inspection device using such object
JP3189176U (ja) 検査装置
JP6581789B2 (ja) 物品検査装置
KR20080073111A (ko) 터치보드 장애 표시 장치 및 방법
JP2010071790A (ja) 検査装置
JP2017012963A (ja) 物品検査装置
JP2014163913A (ja) 放射能検査装置
JP7126302B1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38260B2 (ja) 物品検査装置
CN211100220U (zh) 一种防ng品遗失混入良品的装置
US20110279265A1 (en) System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an operational parameter of a biological safety cab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