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1109A -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1109A
KR20170061109A KR1020167026923A KR20167026923A KR20170061109A KR 20170061109 A KR20170061109 A KR 20170061109A KR 1020167026923 A KR1020167026923 A KR 1020167026923A KR 20167026923 A KR20167026923 A KR 20167026923A KR 20170061109 A KR20170061109 A KR 2017006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strength
control device
determinin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161B1 (ko
Inventor
얀루 장
데구오 멩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6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1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biosensors, e.g. heat sensor for presence detection, EEG sensors or any limb activity sensors worn by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4Touch pad or touch panel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according to sign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스마트 가구 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719315.6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10월29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스마트 가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 가구 기기)는 대다수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리모컨으로 동일한 공간 환경에서의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이 편리하다.
하나의 리모컨으로 동일한 공간 환경에서의 복수개의 전자기기를 제어할 경우,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로 인해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해결하도록, 우선 리모컨과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를 바인딩한 후, 그 다음 상기 기기에 대한 제어를 진행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면, 우선 현재 바인딩된 기기의 바인딩을 해제사켜야 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리모컨과 전자기기에 대한 바인딩 과정이 상대적으로 복잡하고,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리모컨과 전자기기에서 동시에 조작을 진행해야 하며, 더욱이 때로는 제3자 기기의 지원 또한 필요하기에 조작 관련 사용자경험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였고, 상기 기술적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orientation)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수신하는 신호 강도 지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강도 검출 모듈;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 및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한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강도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서브 모듈; 및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orientation)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기 위한 자세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에 의해 획득한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3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는,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속성 획득 모듈; 및
상기 속성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기 위한 강도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강도 검출 모듈은,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기 위한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에 의해 획득한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강도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근거하여,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며,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는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실시 환경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c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다른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d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또 다른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의 모식도이다. 상기 실시 환경은 제어기기(110)와 실행기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기(110)는 예를 들어, 리모컨과 같은 무선 신호를 통해 다른 하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특수기기일 수 있고; 또는 제어기기(110)는 또한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기기, 전자책 리더 또는 스마트 착용 가능 기기(스마트 워치, 스마트 팔찌 등) 등과 같은 제어 기능을 겸비한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실행기기(120)는 제어기기가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장면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110)는 하나의 리모컨일 수 있고, 실행기기(120)는 예를 들어, 스마트TV, 셋톱 박스, 에어컨 및 정화기 등등과 같은 모든 유형의 스마트 가전기기일 수 있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환경의 실행기기(120)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한다.
단계202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단계203에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3a는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환경의 실행기기(120)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고, RSSI에 근거하여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는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RSSI 값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기기와 제어기기는 블루투스를 통해 인스트럭션의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고, 대응되게,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이다. 제어기기가 블루투스 신호를 통해 실행기기에 제어 인스트럭션을 송신하기 이전에, 우선 실행기기와 블루투스 연결을 확립한다.
선택적으로, 실행기기와 제어기기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LAN) 신호 등과 같은 기타 유형의 무선 신호를 통해 인터랙션을 진행할 수 있다.
단계302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제어기기 송신 신호의 출력이 불변한 상황에서,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실행기기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높고, 반대로,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실행기기가 수신하는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낮다. 다만 실행기기가 수신하는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고, 즉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울 때에야 만이 실행기기는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인스트럭션을 처리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어기기를 실행기기에 가까이 접근하여 제어 인스트럭션을 송신함으로써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정확도를 개선하고, 사용자의 오작동을 해결하도록, 또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는 조건의 전제하에, 기타 관련 조건을 결합시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처리를 트리거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현 형태에 있어서, 도 3b를 참조하면, 단계302a 내지 302c를 포함할 수 있는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302a에서,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단계302b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한다.
단계302c에서,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기기는 동시에 복수개의 실행기기를 바인딩할 수 있고, 2개의 실행기기의 거리가 가깝다면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예를 들어,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가 WLAN신호임)를 모두 수신할 수 있고, 또한 수신된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모두 충분히 높다면 상기 2개의 실행기기는 모두 상기 무선 신호 중의 제어 인스트럭션에 응답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단 하나의 기기에 대한 제어만을 원하므로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기기가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은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 이외에, 또한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한 기타 각각의 기기에서 송신한, 상기 각각의 기기가 수신한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한 신호의 강도를 획득하고, 또한 실행기기가 수신한 상기 신호의 신호 강도가 모든 기타 각각의 기기가 수신한 신호의 신호 강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으며, 크다면, 상기 제어기기가 상기 실행기기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상기 실행기기는 상기 무선 신호 중의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또한 후속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도 3c를 참조하면, 단계302d와 단계302e를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302d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orientation)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한다.
단계302e에서,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 강도 이외에, 제어기기의 자세를 결합시켜 제어기기에 의해 송신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응답의 근거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기 내부에 자세 센서를 내장하고,제어기기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며, 제어기기가 제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할 경우, 현재의 자세를 무선 신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실행기기가 수신한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큰 것을 검출하고, 또한 제어기기의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할 경우, 상기 제어기기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목적지기기가 바로 상기 실행기기임을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실행기기는 무선 신호 중의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또한 후속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도 3d를 참조하면, 단계302f와 단계302g를 포함할 수 있는 또 다른 제어 인스트럭션의 획득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단계302f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302g에서,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부분적인 실행기기의 사용은 기후 환경과 관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선풍기는 통상적으로 여름철에만 사용하고, 에어컨은 통상적으로 여름철과 겨울철에만 사용하며, 히터와 배스 히터는 통상적으로 겨울철에만 사용한다. 사용자가 실행기기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계절에, 상기 피 제어 기기를 조작한다면, 사용자의 오작동으로 인한 가능성이 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실행기기가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였을 경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충분히 높은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 이외에, 또한 현재의 환경(예를 들어, 계절)과 기설정된 환경(예를 들어, 실행기기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계절)이 동일한지 여부도 검출해야 하고, 현재 환경과 기설정된 환경이 상이하다면, 무선 신호 중의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또한 후속적인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무선 신호의 신호 품질이 충분히 높고, 또한 현재의 환경(예를 들어, 계절)과 기설정된 환경이 동일할 경우, 사용자에게 현재 처한 환경에서는 상기 실행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음을 알릴 수 있도록, 실행기기는 또한 예를 들어, 음향광학 알림 또는 음성 알림 등과 같은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형태에 있어서, 실행기기는 또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할 수도 있다.
실제 응용과정에 있어서, 사용자는 제어기기 중의 특정 제어 버튼을 오터치할 수 있고, 이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가 아주 가깝다면, 실행기기에 대한 오작동이 발생하게 된다. 사용자가 특정 제어 버튼을 오터치하는 과정이 통상적으로 짧기에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높다고 결정한 전제하에, 오동작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인스트럭션의 활성화에 대해 하나의 시간 제한을 설정하고, 제어기기가 실행기기에 충분히 접근하고, 동시에 사용자가 하나의 제어 버튼을 일정한 기간동안 누를 경우에야 만이 실행기기는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몇가지 구현 형태에 관한 각각의 응답 조건은,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부분 또는 전부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높고,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며, 상기 실행기기가 현재 처한 환경과 상기 기설정된 환경이 상이하고, 또한 상기 실행기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각각의 기타 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의 최대값일 경우에 만이 실행기기가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단계303에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선택적으로, 한가지 가능한 구현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실행기기와 제어기기를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할 경우, 제어기기를 실행기기에 접근시키고, 또한 특정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기기의 바인딩과 바인딩 해제 효과에 도달할 수 있어, 기기에 대한 바인딩 또는 바인딩 해제 동작 단계를 간소화시킨다.
선택적으로, 본 실시예의 단계는 또한 바인딩과 바인딩 해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부팅, 종료 및 기타 제어 등등과 같은 제어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한 일반 제어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제어기기가 리모컨이고, 실행기기가 셋톱 박스라고 하면, 사용자가 리모컨과 셋톱 박스를 바인딩/바인딩을 해제하려고 한다면, 우선 리모컨과 셋톱 박스 사이의 블루투스 연결을 확립하고, 또한 리모컨을 셋톱 박스에 접근시키고 또한 바인딩/바인딩 해제 버튼을 누르기 할 수 있으며, 이때 리모컨은 셋톱 박스에 바인딩/바인딩 해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송신하고, 셋톱 박스가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블루투스 신호의 RSSI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검출하였다면, 리모컨과 바인딩하고,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비 바인딩 해제(Non-unbinding)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후속적으로 수신한다면, 대응되는 실행을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오동작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셋톱 박스는 또한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바인딩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신호의 시간을 검출할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수신하는 상기 블루투스 신호의 시간이 2S를 초과할 경우 리모컨과 바인딩한다.
이외에, 상기 예시에 있어서, 리모컨은 또한 WLAN 형태를 통해 셋톱 박스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제어 가능한 기기와의 연결을 진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은 동시에 셋톱 박스 및 스마트TV와 WLAN 연결을 확립하고, 리모컨이 송신하는 WLAN 신호는 동시에 셋톱 박스 및 스마트TV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상황에서, 셋톱 박스와 스마트TV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가깝고, 사용자가 리모컨을 셋톱 박스에 접근시키면, 스마트TV는 수신한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WLAN 신호의 RSSI값 또한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높을 수도 있으며, 이때, 사용자가 셋톱 박스와 리모컨을 바인딩/바인딩 해제하려고 하면, 리모컨이 바인딩/바인딩 해제를 포함하는 WLAN 신호를 송신할 경우, 스마트TV 또한 리모컨과 바인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셋톱 박스와 스마트TV는 각자가 수신한 WLAN 신호의 RSSI값을 서로 송신하여, 셋톱 박스가 수신한 WLAN 신호의 RSSI값이 스마트TV가 수신한 WLAN 신호의 RSSI값보다 큰 것을 검출하게 되면, 리모컨과 바인딩하고, 스마트TV가 수신한 WLAN 신호의 RSSI값이 셋톱 박스가 수신한 WLAN 신호의 RSSI값보다 작은 것을 검출하게 되면, 바인딩 동작을 진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어기기가 리모컨이고, 실행기기가 셋톱 박스라고 하면, 다른 실제의 응용에 있어서, 자체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도록 리모컨에 자세 센서가 더 설정되어 있다. 블루투스 또는 WLAN 등 무선 신호를 통해 셋톱 박스에 바인딩/바인딩 해제 인스트럭션을 송신할 경우, 상기 무선 신호에 실시간의 자세 정보를 더 포함한다. 셋톱 박스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신호의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한 후,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각도 및 리모컨의 현재 자세에 근거하여 상기 리모컨이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으며, 만약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면, 바인딩/바인딩 해제 동작을 진행한다. 즉 사용자가 셋톱 박스를 제어하려고 할 시, 리모컨을 셋톱 박스에 접근시키는 이외에, 리모컨이 예정된 제어 영역을 가리키도록 해야 한다.
또 다른 실제 응용에 있어서, 리모컨과 셋톱 박스 사이에 WLAN 연결을 확립하고, 제어기기가 리모컨이고, 실행기기가 스마트 에어컨이라면, 사용자가 리모컨과 셋톱 박스에 대한 바인딩/바인딩 해제를 진행하려고 할 때, 우선 리모컨과 셋톱 박스 사이의 무선(블루투스 또는 WLAN) 연결을 확립하고, 리모컨을 스마트 에어컨에 가까이 하며, 또한 바인딩/바인딩 해제를 누르기하고, 이때, 리모컨은 스마트 에어컨에 바인딩/바인딩 해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며, 스마트 에어컨은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신호의 RSSI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큰 것을 검출한 후, 현재 계절이 스마트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계절(봄 또는 가을)인지 여부를 검출하고, 현재 계절이 여름 또는 겨울이라면, 리모컨과 바인딩을 하고, 현재 계절이 봄 또는 가을이라면, 바인딩하지 않으며, 동시에 사용자에 현재는 스마트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는 계절임을 경고하고, 바인딩/바인딩 해제의 확인 여부를 경고하며, 사용자가 리모컨 중의 바인딩/바인딩 해제를 재차 누를 경우 다시 바인딩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또한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각각의 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최대값인지 여부,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현재 처한 환경이 상기 실행기기의 사용 환경에 매칭되는지 여부 등과 같이 기타 조건을 결합시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오작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동작제어 성능을 개선시킨다.
도 4는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환경의 실행기기(120)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401에서, 기기 식별자,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송신하는 무선 신호에 포함될 수 있거나 제어 인스트럭션과 구분하여 개별적으로 실행기기에 송신될 수도 있다.
상이한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전력이 상이할 수 있고, 사용자가 복수개의 제어기기를 보유할 수 있으며, 실행기기가 동일한 기설정된 강도만으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획득 여부를 판정하고, 하나의 제어기기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다면, 사용자는 제어기기를 실행기기에 더욱 가까이 접근시켜야 만이 가능하며, 반대로, 하나의 제어기기의 신호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높다면, 사용자는 더욱 먼 거리에서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 상이한 제어기기의 제어 거리를 통일적으로 하기 위해,, 제어기기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예를 들면 기기 식별자 또는 송신 전력과 같은 제어기기의 속성정보에 근거하여 하나의 기설정된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기는 제어기기의 기기 식별자에 근거하여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조회할 수 있고, 상기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강도를 결정하며, 또는 실행기기는 무선 신호에 포함된 송신 전력을 바로 판독할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강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실행기기가 셋톱 박스이고, 제어기기가 리모컨이라면, 셋톱 박스가 리모컨의 바인딩/바인딩 해제 동작을 수신할 시, 리모컨과의 거리는 5㎝이다. 셋톱 박스에 상이한 송신 전력에 대응되는 강도를 기설정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송신 전력에 대응되는 강도는 상기 송신 전력에서 송신한 무선신호가 신호 소스에서 5㎝ 거리에 위치한 신호 강도일 수 있다. 주파수가 동일하거나 근접한 2개의 무선 신호를 동일한 거리에 전송할 시, 신호 강도의 감쇠 곡선 또한 근접하고, 즉 송신 전력이 클수록 동일한 거리에 전송한 후의 신호 강도 또한 높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셋톱 박스가 하나의 리모컨에서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시 무선 신호에 포함하는 상기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추출하고, 또한 사전 저장한, 상기 전송 전력에 대응되는 강도를 조회하며, 조회된 강도를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셋톱 박스는 또한 상이한 송신 전력에 대응되는 강도를 저장하지 않고, 무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획득한 후, 송신 전력과 예정 거리에 근거하여 하나의 기설정된 강도를 산출할 수도 있다.
단계402에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고, RSSI에 근거하여 신호 강도를 획득한다.
단계403에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한다.
단계404에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한다.
단계402 내지 단계404의 구현 과정은 도 3a에 대응되는 실시예 중의 단계301 내지 단계303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또한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각각의 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최대값인지 여부,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현재 처한 환경이 상기 실행기기의 사용 환경에 매칭되는지 여부 등과 같이 기타 조건을 결합시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오작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동작제어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방법은 제어기기의 기기 식별자 또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강도를 결정하고, 상이한 제어기기의 제어 거리를 통일적으로 하며, 조작 관련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후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실행하기 위한 장치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실시예에서 명시되지 않은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예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 도 3a 또는 도 4 중의 임의의 도면에서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 중의 실행기기(120)의 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장치는 강도 검출 모듈(501),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 및 처리 모듈(503)을 포함할 수 있다.
강도 검출 모듈(501)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은, 강도 검출 모듈(501)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처리 모듈(503)은,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에 의해 획득한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도 6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 도 3a 또는 도 4 중의 임의의 도면에서 도시한 전자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전자기기 제어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 환경 중의 실행기기(120)의 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 제어 장치는 강도 검출 모듈(501),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 및 처리 모듈(503)을 포함할 수 있다.
강도 검출 모듈(501)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은 강도 검출 모듈(501)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처리 모듈(503)은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에 근거하여 획득한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 제어 장치는 강도 획득 모듈(504)을 더 포함하고,
강도 획득 모듈(504)은,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은, 비교 서브 모듈(502a) 및 제1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b)을 포함하며,
비교 서브 모듈(502a)은, 강도 검출 모듈(501)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도록 구성되며,
제1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b)은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은 자세 획득 서브 모듈(502c) 및 제2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d)을 포함하고,
자세 획득 서브 모듈(502c)은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2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d)은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502)은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502e) 및 제3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f)을 포함한다.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502e)은, 강도 검출 모듈(501)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3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502f)은,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502e)에 의해 획득한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503)은,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자기기 제어 장치는 속성 획득 모듈(505) 및 강도 결정 모듈(506)을 더 포함한다.
속성 획득 모듈(505)은,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제어기기의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강도 결정 모듈(506)은, 속성 획득 모듈(505)에 의해 획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강도 검출 모듈(501)은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501a) 및 신호 강도 획득 서브 모듈(501b)을 포함한다.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501a)은,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신호 강도 획득 서브 모듈(501b)은, 상기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에 의해 획득한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상기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 장치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장치는 또한 예를 들어 지속적으로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을 초과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수신한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가 각각의 기기가 수신한 상기 무선 신호의 신호 강도 중의 최대값인지 여부,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실행기기가 현재 처한 환경이 상기 실행기기의 사용 환경에 매칭되는지 여부 등과 같이 기타 조건을 결합시켜 제어 인스트럭션에 대한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오작동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동작제어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시한 장치는 제어기기의 기기 식별자 또는 송신 전력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강도를 결정하고, 상이한 제어기기의 제어 거리를 통일하며, 조작 관련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장치가 전자기기를 제어할 시, 다만 상기 각각의 기능 모듈의 구분에 한해서만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실제 응용에 있어서, 실제 수요에 근거하여 상이한 기능 모듈에 의해 상기 기능 할당을 완성하며, 즉 기기의 내용 구조를 상이한 기능 모듈로 구분하여 상기에서 설명하는 전부 또는 부분 기능을 완성하도록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장치에 관련하여, 여기서 각각의 모듈이 동작을 실행하는 구체적인 형태는 상기 방법의 관련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를 더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며,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것은,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것은,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한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한 전자기기의 제어용 장치(7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700)는 휴대폰, 컴퓨터, 디지털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태블릿기기, 의료기기, 휘트니스기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등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장치(700)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 메모리(704), 전원 컴포넌트(7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 오디오 컴포넌트(7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712), 센서 컴포넌트(714) 및 통신 컴포넌트(7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한 장치(7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7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인터랙션가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7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와 프로세싱 컴포넌트(702) 사이의 인터랙션가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04)는 장치(700)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700)에서 작동하기 위한 그 어느 하나의 응용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 연락인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컴포넌트(706)는 장치(700)의 각종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컴포넌트(7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장치(7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는 장치(7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컴포넌트(7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7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촬영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일 경우,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렌즈 시스템이거나 초점 거리와 광학 줌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바, 장치(7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인식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메모리(7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716)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7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7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되,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버튼, 음량버튼, 작동버튼과 잠금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센서 컴포넌트(7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7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714)는 장치(700)의 온/오프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위치, 예를 들어, 상기 컴포넌트는 장치(700)의 모니터와 키패드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컴포넌트(714)는 장치(700) 또는 장치(700)의 한 컴포넌트의 위치변화, 사용자와 장치(700)의 접촉여부, 장치(700) 방향위치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7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714)는 아무런 물리접촉이 없을 경우, 주변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근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컴포넌트(714)는CMOS 또는 CCD 영상센서와 같은 광 센서를 더 포함하여 영상응용에 사용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714)는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716)는 장치(700)와 기타 기기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모드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7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716)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7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주파수 인식(RFID) 기술, 적외선 통신규격(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700)는 상기 전자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전자기기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장치(700)의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7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저장 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이 장치(7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시, 장치(700)로 하여금 도 2, 도 3a 또는 도 4 중의 임의의 도면에 도시된 전자기기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개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개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안에 의하면,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에 대한 검출을 통해,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고,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처리하는 조건 중의 하나로 하고,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가 특정값보다 높고, 즉 실행기기와 제어기기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깝다면, 제어기기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다만 제어기기와 실행기기 사이의 거리를 장악하기만 하면 선택적으로 지정된 하나의 실행기기를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조작을 간소화하고, 사용자경험을 향상시킨다.

Claims (17)

  1. 전자기기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방법.
  9. 전자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기 위한 강도 검출 모듈;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 및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한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기 위한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기타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강도 획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기기와 상기 제어기기 사이의 신호 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비교 서브 모듈; 및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가 가장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을 포함하는 제어기기의 현재 자세를 획득하기 위한 자세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제어기기가 가리키는 방향이 기설정된 제어 영역에 위치한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 획득 모듈은,
    상기 강도 검출 모듈에 의해 검출된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현재의 환경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환경 정보 획득 서브 모듈에 의해 획득한 환경 정보가 지시하는 환경이 기설정된 환경과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기 위한 제3 인스트럭션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와 바인딩하거나 바인딩을 해제하기 위한 것인, 전자기기 제어 장치.
  14. 청구항 9에 있어서,
    기기 식별자, 및 상기 기설정된 강도와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제어기기의 속성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속성 획득 모듈;
    상기 속성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한 속성 정보에 대응되는 강도를 상기 기설정된 강도로 결정하기 위한 강도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강도 검출 모듈은,
    상기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 지시(RSSI)를 획득하기 위한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 및
    상기 지시 정보 획득 서브 모듈에 의해 획득한 RSSI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 강도를 획득하기 위한 신호 강도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는 블루투스 신호 강도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17. 전자기기 제어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기기와의 신호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신호 강도가 기설정된 강도보다 크다고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기기에서 송신하는 제어 인스트럭션을 획득하며,
    상기 제어 인스트럭션에 근거하여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전자기기 제어 장치.
KR1020167026923A 2015-10-29 2015-12-30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8141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19315.6A CN105608861B (zh) 2015-10-29 2015-10-29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201510719315.6 2015-10-29
PCT/CN2015/099859 WO2017071093A1 (zh) 2015-10-29 2015-12-30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109A true KR20170061109A (ko) 2017-06-02
KR101814161B1 KR101814161B1 (ko) 2018-01-02

Family

ID=55988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923A KR101814161B1 (ko) 2015-10-29 2015-12-30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126420A1 (ko)
EP (1) EP3163885B1 (ko)
JP (1) JP6434982B2 (ko)
KR (1) KR101814161B1 (ko)
CN (1) CN105608861B (ko)
MX (1) MX2016010420A (ko)
RU (1) RU2658813C2 (ko)
WO (1) WO20170710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706A1 (ko) * 2017-11-13 2019-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55978B2 (en) * 2014-09-25 2018-08-2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identify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398488B1 (ko) * 2015-06-26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에 대한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CN105610905A (zh) * 2015-12-18 2016-05-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遥控器解绑定方法、装置及系统
CN106210275A (zh) * 2016-06-28 2016-12-07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多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6211325B (zh) * 2016-08-31 2024-04-02 杭州鸿雁电器有限公司 用于寻找室内电子设备的方法和装置
CN106385352A (zh) * 2016-10-20 2017-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绑定方法及装置
CN108171946B (zh) * 2016-12-07 2020-05-22 欧姆龙株式会社 无线开关
CN107131489A (zh) * 2017-05-16 2017-09-05 欧普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墙面智能开关、遥控器及配对绑定系统
CN108089464A (zh) * 2017-11-02 2018-05-29 捷开通讯(深圳)有限公司 控制智能坐便器的方法、装置及存储装置
CN110021156A (zh) * 2018-01-10 2019-07-16 金宝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遥控系统以及遥控方法
CN110136424B (zh) * 2019-04-16 2021-09-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设备控制的方法及设备
US11782593B1 (en) 2019-06-09 2023-10-10 Advanced Electronic Design, Inc. Wireless personal protec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CN110749047B (zh) * 2019-10-31 2021-11-0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终端的控制方法、装置、终端、空调器的控制方法及装置
CN110784379B (zh) * 2019-11-01 2021-01-01 北京云迹科技有限公司 物联模块测试方法、中间设备、终端设备和测试系统
CN110867064A (zh) * 2019-12-13 2020-03-06 苏州华芯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器及保护系统
CN111343058B (zh) * 2020-02-07 2022-02-0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控制设备及存储介质
CN111338221B (zh) * 2020-02-21 2023-07-25 珠海荣邦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多设备的自适应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4208216A (zh) * 2020-07-15 2022-03-18 谷歌有限责任公司 使用射频检测无接触手势
CN113805487B (zh) * 2020-07-23 2022-09-23 荣耀终端有限公司 控制指令的生成方法、装置、终端设备及可读存储介质
TWI775137B (zh) * 2020-09-01 2022-08-2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積體電路及用於紅外線接收器之指令比對方法
CN114584412A (zh) * 2020-11-30 2022-06-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获取设备控制权的方法与通信系统
CN112637648B (zh) * 2020-12-22 2022-12-13 广东辰奕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机投屏方法
CN113504749B (zh) * 2021-06-25 2022-11-22 上海闻泰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uwb的设备控制方法和装置、控制设备、存储介质
CN114726381B (zh) * 2022-04-12 2023-04-07 湖南华耘电子有限公司 一种遥控器误触识别智能检测系统及方法
EP4266709A1 (de) * 2022-04-21 2023-10-25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system, haushaltsgerät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aushaltsgeräte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6193A (ja) * 2002-09-27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装置
US8421602B2 (en) * 2006-09-13 2013-04-16 Savant Systems, Llc Remote control unit for a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EP2613301B1 (en) * 2006-09-14 2017-03-01 Crown Equi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remotely controlling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JP2010016620A (ja) * 2008-07-03 2010-01-21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無線通信装置、移動体通信端末、無線通信制御方法、及び無線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2511275A (ja) * 2008-12-04 2012-05-1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装置を選択及び制御する方法
CN104270547B (zh) * 2009-11-30 2018-02-02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方法、通信装置及位置检测方法
EP2355563A1 (en) * 2010-02-10 2011-08-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Method for automatic pairing to a wireless network
US20130000526A1 (en) * 2010-03-12 2013-01-03 Mathieson Thomas R Material wrapper and work platform
US10044871B2 (en) * 2011-04-29 2018-08-07 Crestron Electronics, Inc. Conference system including automated equipment setup
JP5804630B2 (ja) * 2011-08-04 2015-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サーバ、およびこれらの動作方法
JP2013165388A (ja) * 2012-02-10 2013-08-22 Panasonic Corp 携帯機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通信装置
US20130330084A1 (en) * 2012-04-12 2013-12-12 O2Micr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US20140027030A1 (en) * 2012-07-30 2014-01-30 Andreas Frantzen Adhesive bonding for a pneumatic tire
JP5747880B2 (ja) * 2012-08-29 2015-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家電機器の遠隔制御装置及び家電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14110517A (ja) * 2012-11-30 2014-06-12 Toshiba Corp リモコン管理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3178912B (zh) * 2013-03-15 2015-11-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无线信号强度提醒的方法及终端
US9349282B2 (en) * 2013-03-15 2016-05-24 Aliphcom Proximity sensing device control architecture and data communication protocol
US20140355389A1 (en) * 2013-05-29 2014-12-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device communication
US20150002308A1 (en) * 2013-06-28 2015-01-01 Broadcom Corporation Device Relativity Architecture
JP2015019244A (ja) * 2013-07-11 2015-01-29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端末およびその遠隔制御対象決定方法
US20160316338A1 (en) * 2013-12-10 2016-10-27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Control Method and Device
US20150167995A1 (en) * 2013-12-12 2015-06-18 Google Inc. Safe sandbox mode for a home device
CN103914973B (zh) * 2013-12-31 2017-06-30 海尔集团公司 利用云服务器进行红外学习的方法及系统
CN105830130B (zh) * 2014-06-13 2019-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被控设备的方法和控制设备
CN104155938B (zh) * 2014-07-21 2018-01-0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家居设备管理方法及系统
CN104574899B (zh) * 2014-12-15 2019-08-2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方法及其终端
CN104575539B (zh) * 2014-12-29 2017-11-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音乐播放控制方法及装置
CN104714412B (zh) * 2014-12-30 2017-11-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对家用电器进行管理的方法、系统和移动终端
CN104748314A (zh) * 2015-03-31 2015-07-0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4914834B (zh) * 2015-05-18 2018-02-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家用电器的控制方法、家用电器的控制装置和终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93706A1 (ko) * 2017-11-13 2019-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그 제어 방법,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63885A1 (en) 2017-05-03
RU2658813C2 (ru) 2018-06-22
KR101814161B1 (ko) 2018-01-02
JP2017539102A (ja) 2017-12-28
RU2016133158A (ru) 2018-02-16
US20170126420A1 (en) 2017-05-04
CN105608861A (zh) 2016-05-25
MX2016010420A (es) 2017-12-07
JP6434982B2 (ja) 2018-12-05
EP3163885B1 (en) 2023-03-15
CN105608861B (zh) 2019-08-30
WO2017071093A1 (zh)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161B1 (ko) 전자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36318B1 (ko) 스마트 기기의 조작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EP3136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US20170344192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live videos
RU261946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состояния сетевого канала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17007532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US20170019265A1 (en) Method, terminal and server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WO2017008398A1 (zh) 智能设备控制方法和装置
WO2017071077A1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EP3128774A1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 for accessing network
KR101942082B1 (ko) 스마트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244045B (zh) 控制视频画面呈现的方法及装置
CN105528151A (zh) 亮度调整方法及装置
EP3076745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
EP3322227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wireless connection,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O2017008400A1 (zh) 控制智能设备的方法及装置
CN105516586A (zh) 图片拍摄方法、装置及系统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KR20180081638A (ko)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아이콘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7502438A (ja) 説明情報の表示方法、説明情報の表示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7008394A1 (zh) 一种下载控制程序的方法及装置
US9865161B2 (en) Method, remote controller and electrical applicance for releasing a binding of a remote controller
CN107948876B (zh) 控制音箱设备的方法、装置及介质
CN106922005B (zh) 一种接入无线接入点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180146496A1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device,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