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921A -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921A
KR20170060921A KR1020150165683A KR20150165683A KR20170060921A KR 20170060921 A KR20170060921 A KR 20170060921A KR 1020150165683 A KR1020150165683 A KR 1020150165683A KR 20150165683 A KR20150165683 A KR 20150165683A KR 20170060921 A KR20170060921 A KR 20170060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ousing
hole
fastening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9817B1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5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8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한 물리량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이다.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고정부인 패널(70)에 형성된 통공(72)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부(12)가 구비된 하우징(10)이 회전베이스(20)와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0)과 회전베이스(20) 내부에는 소자(16')가 실장된 기판(15)이 있고, 상기 커넥터부(12)의 터미널(16)이 상기 기판(15)에 일단부가 실장된다. 상기 패널(70)에 외측시일(48)이 밀착된 상태로 밀착홀더(40)가 설치되고, 상기 밀착홀더(40)의 통로관통부(46)를 관통하여 회전베이스(20)의 장착걸이(30)가 상기 패널(70)의 통공(72)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통공(72)에서 상기 장착걸이(30)가 관통하는 것을 허용하는 관통부(74)는 상기 밀착홀더(40)에 구비되는 통과부안착부(60)가 위치된다. 상기 장착걸이(30)가 패널(70)의 통공(72)에 걸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밀착홀더(40)가 패널(70)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외측시일(48)이 압착된 상태로 밀착홀더(40)가 패널(70)과 회전베이스(20) 사이에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체결구 없이 감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외측시일(48)이 패널(7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지 않아 밀봉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며, 하우징(10)의 커넥터부(12)가 하우징(10)의 상면 영역 내에 위치하여 소형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감지장치{Sen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널에 장착되어 특정한 물리량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제품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을 센서 또는 감지장치라 한다. 상기 감지장치는 온도, 압력, 습도 등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여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감지장치는 최근에 사물인터넷과 관련해서 매우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을 측정하는 감지장치의 경우에는 측정을 위한 공간으로 외란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밀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물리량의 측정을 위한 소자가 설치되는 공간 또한 외란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감지장치를 원하는 위치에 장착하는 것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체결구를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공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여 감지장치를 장착하는 경우에 밀봉을 위한 시일이 있으면, 체결구의 장착과정에서 시일의 밀봉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설정되지 않게 되어 감지장치의 감지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감지장치는 특정한 위치에 장착되고 감지된 물리량을 제어부로 전달해야 하므로 외부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부는 주변 부품과의 간섭이 없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2-98146 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744963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감지장치를 고정부에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회전시켜 장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지장치에서 주변과의 밀봉을 위한 시일이 고정부에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지장치의 장착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에 장착되는 감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물리량의 측정을 위한 소자가 실장된 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위치되어 상기 소자 측과 연통되는 감지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의 통공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장착걸이가 구비되는 회전베이스와,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외측시일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베이스의 감지통로가 관통하는 통로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베이스의 장착걸이가 상기 통공가장자리에 걸어졌을 때 상기 외측시일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베이스와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밀착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직립벽이 형성되고, 상기 직립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의 평면과 평행하게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된다.
상기 하우징의 상면 선단 양측에는 각각 제1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벽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제2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와 이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영역 내에 위치된다.
상기 통로관통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밀착홀더의 내면에는 내측시일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홀더의 외면에는 외측시일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된다.
상기 회전베이스에서 상기 감지통로가 형성된 외면에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원심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홀더의 바닥판에는 상기 통로관통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탄성변형슬롯이 형성됨에 의해 체결브릿지가 만들어지고 상기 체결브릿지에 상기 체결돌기가 안착되는 체결홈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브릿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되어 상기 체결홈에 안착된다.
상기 고정부의 상기 통공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걸이가 통과하도록 통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과부에는 상기 밀착홀더의 통공관통부에 형성된 통과부안착부가 위치되고 상기 통과부안착부 내부의 장착걸이공간에 상기 장착걸이가 위치하였다가 이동하여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밀착홀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측벽의 내면에는 일단부에 체결턱이 형성된 이동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제1홀더장착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베이스가 상기 밀착홀더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밀착홀더의 측벽 사이에는 걸이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감지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감지장치는 고정부에 밀착홀더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하우징과 함께 회전베이스를 상기 밀착홀더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고정부에 형성된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지장치를 고정부에 장착함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구가 사용되지 않아도 되므로 장착작업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감지장치에서는 외부와의 밀봉을 위한 외측시일이 고정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베이스가 회전하여 고정부에 형성된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므로 밀착홀더의 외측시일이 고정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밀착되므로 밀봉이 전체적으로 일정하게 되어 감지장치의 측정 성능이 정확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측정된 물리량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부와 이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가 회전베이스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감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최소화되는 효과도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회전베이스에 하우징을 일체로 결합하고 하우징에 회전베이스의 회전을 위한 손잡이를 두었으므로 회전베이스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전체적으로 감지장치의 크기가 소형화되는 효과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감지장치를 고정부에 장착하기 전에는 상기 밀착홀더를 회전베이스에 유동되지 않도록 장착시켜 두므로 감지장치의 보관과 운반이 보다 편리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베이스를 상부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회전베이스를 하부에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밀착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밀착홀더를 하부에서 보인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의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고정부인 패널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회전베이스가 밀착홀더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패널에 위치된 상태를 보인 조립설명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회전베이스의 장착걸이가 패널의 통공 가장자리에 걸어진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례의 감지장치는 하우징(10)이 일부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15) 등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 상면의 일측 단부에는 직립벽(11)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립벽(11)의 일측 외면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커넥터부(12)가 있다.
상기 커넥터부(12)는 본 발명의 장치를 외부와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부(12)에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됨에 의해 감지신호값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부(12)에는 선단으로 개방되게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결합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12)는 상기 하우징(10)을 평면도로 볼 때, 선단이 하우징(10)의 상면 중간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영역의 절반 정도를 차지한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부(12)에 결합되더라도 상대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부(12)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영역을 벗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결합공간(14)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기판(15)에 실장된 터미널(16)의 일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터미널(16)은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16)은 일단부가 상기 기판(15)에 실장되고 타단부가 상기 커넥터부(12)의 결합공간(14)에 위치한다. 상기 기판(15)에는 특정한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소자(16')가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모서리 양측에는 제1손잡이(1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손잡이(17)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일단 양측에 각각 하나씩 2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1손잡이(17)는 판형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상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부(14)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1손잡이(17)가 상대 커넥터의 일부를 가려서 설치 위치를 안내하고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손잡이(17)가 구비된 반대쪽 단부에 있는 상기 직립벽(11) 상단 양측에는 제2손잡이(18)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손잡이(18)는 상기 제1손잡이(17)와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손잡이(17,18)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하우징(10)과 함께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베이스(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받는 부분이다. 손잡이(17,18)를 잡고 힘을 주기 위해서는 동시에 한쌍의 제1손잡이(17) 또는 제2손잡이(18)를 잡아야 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리브(19)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리브(19)는 상기 하우징(10)과 아래에서 설명될 회전베이스(20)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회전베이스(20)에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19)가 결합슬릿(28)에 안착되면 하우징(10)이 회전베이스(20)에 정확하게 안착되고, 이 상태에서 융착 등을 통해 하우징(10)과 회전베이스(20)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베이스(20)는 도 2에서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회전베이스(20)가 반드시 원판형상일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감지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가장자리가 원형으로 되는 것이 좋다.
상기 회전베이스(20)에는 감지통로(22)가 만들어진다. 상기 감지통로(22)는 상기 기판(15)에 실장된 소자(16')가 특정한 물리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외부의 특정한 위치의 환경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통로(22)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일측 표면 중앙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지통로(22)의 일측단부에는 감지입구(23)가 개방되어 있다. 상기 감지입구(23)는 특정한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의 환경이 감지통로(22)의 내부로 전달되는 부분이다. 상기 감지통로(22)에서 상기 감지입구(23)의 반대쪽에는 연통부(24)가 있다. 상기 연통부(24)의 내측에는 상기 기판(15)에 실장된 소자(16')가 위치된다. 상기 연통부(24)를 둘러서는 밀착구(26)가 구비되어 상기 밀착구(26)가 상기 기판(15)에 실장된 소자(16')를 둘러싸고 선단이 기판(15)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구(26)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회전베이스(20)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베이스(20)의 타측 표면에는 보강리브(27)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27)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이 가장자리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형으로 형성된 보강리브(27)의 내측에도 격자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27)의 일측에 상기 하우징(10)의 결합리브(19)가 삽입되는 결합슬릿(28)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외면에는 장착걸이(30)가 있다. 상기 장착걸이(30)는 2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하도록 돌출된다. 상기 장착걸이(30)는 상기 감지통로(22)의 근처에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장착걸이(30)는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70)의 통공(72)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외면에는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의 쌍이 다수 곳에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군데에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의 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는 상기 제2홀더장착돌기(33)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다.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있다. 상기 틈새에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턱(54)이 안착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0)에는 체결돌기(35)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5)는 아래에서 설명될 밀착홀더(40)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즉, 회전베이스(20)가 패널(70)에 상기 장착걸이(30)가 걸어진 상태에서 동시에 밀착홀더(40)에 장착되도록 회전베이스(20)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35)는 상기 회전베이스(20)중에서 상기 감지통로(22)가 형성되어 있는 쪽의 외면에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35)는 2개가 회전베이스의 중심에서 원심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돌출된다.
밀착홀더(40)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밀착홀더(40)는 상기 회전베이스(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70)에 밀착된다. 상기 밀착홀더(40)는 대략 납작한 원통형상이다. 상기 밀착홀더(40)는 대략 원판상의 바닥판(41)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측벽(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판(41)과 측벽(42)에 의해 상기 밀착홀더(4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4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44)에는 상기 회전베이스(20)가 안착된다.
상기 바닥판(41)의 중앙에는 통로관통부(46)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감지통로(22)가 관통하게 된다. 상기 바닥판(41)에는 내측시일(47)과 외측시일(48)이 설치된다. 상기 내측시일(47)과 외측시일(48)은 상기 밀착홀더(40)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된다. 상기 내측시일(47)과 외측시일(48)은 상기 밀착구(26)와 같이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내측시일(47)은 상기 바닥판(41)에서 상기 내부공간(44)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베이스(20)에 밀착되고, 상기 외측시일(48)은 상기 바닥판(41)에서 상기 밀착홀더(40)의 외면에 위치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70)에 밀착된다. 상기 내측시일(47)과 외측시일(48)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밀착홀더(40)에 상기 내측시일(47)과 외측시일(48)이 일체로 만들어 질 때, 서로 연결되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벽(42)의 일부를 제거하여서는 걸이레버(50)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레버(50)는 상기 측벽(42)과 같은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3개의 걸이레버(50)가 있다. 상기 걸이레버(50)의 선단에는 상기 내부공간(44)을 향해 돌출되게 걸이턱(5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레버(50)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가장자리를 걸어서 회전베이스(20)가 밀착홀더(40)의 내부공간(44)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상기 측벽(42)의 내면을 따라서는 이동채널(51)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51)은 상기 걸이레버(50)에 의해 분리된 측벽(42)의 영역에 하나씩 형성된다. 상기 이동채널(51)의 시작지점에는 채널입구(52)가 형성된다. 상기 채널입구(52)는 상기 측벽(42)의 두께를 얇게 만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가 이동채널(51)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이동채널(51)의 내측에는 체결턱(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54)을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가 타고 넘어서 걸어지면 회전베이스(20)가 상기 밀착홀더(40)에 대해서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는 감지장치가 패널(70)에 장착된 상태이다.
상기 바닥판(41)에는 탄성변형슬롯(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변형슬롯(56)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고, 상기 통로관통부(46)를 중간에 두고 바닥판(41)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슬롯(56)이 상기 바닥판(41)에 형성됨에 의해 상기 탄성변형슬롯(56)과 통로통과부(46)의 사이에는 체결브릿지(58)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릿지(58)는 상기 탄성변형슬롯(56)의 존재에 의해 탄성변형슬롯(56)쪽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체결돌기(3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체결브릿지(58)가 탄성변형슬롯(56)쪽으로 밀리도록 탄성변형된다.
상기 체결브릿지(58)의 중간부에는 양측의 체결브릿지(58)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체결홈(58')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홈(58')에는 상기 체결돌기(35)가 안착되어 상기 회전베이스(20)가 밀착홀더(4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통로관통부(46)의 가장자리 일부 구간을 따라서는 통과부안착부(60)가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통과부안착부(60)는 상기 통로관통부(46)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있다. 상기 통과부안착부(60)의 내면에는 장착걸이공간(62)이 있다. 상기 장착걸이공간(62)에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장착걸이(30)가 위치된다. 상기 장착걸이(30)와 통과부안착부(60)는 도 7에 도시된 패널(70)의 통과부(74)를 관통하고, 상기 장착걸이(30)는 회전되어 패널(70)의 통공(72)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상기 통과부안착부(60)의 일측에는 스톱퍼(64)가 있다. 상기 스톱퍼(64)는 상기 회전베이스(20)의 회전방향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감지장치가 장착되는 고정부인 패널(7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널(70)은 예를 들면 자동차 도어의 패널이 될 수 있다. 상기 패널(70)에는 통공(72)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72)의 양단에는 통과부(74)가 형성된다. 상기 통과부(74)는 원형이 상기 통공(72)의 양단 가장자리에서 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통과부(74)를 장착걸이(30)가 통과해서 패널(70)의 반대쪽 표면의 통공(72)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감지장치가 패널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과 회전베이스(20)는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된 상태로 상기 밀착홀더(40)와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결합리브(19)가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결합슬릿(28)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10)과 회전베이스(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기판(15)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15)에 일단부가 실장된 터미널(16)은 상기 커넥터부(12)의 결합공간(14)에 타단부가 위치된다. 상기 기판(15)에는 감지를 위한 소자(16')가 실장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하우징(10)과 회전베이스(20)는 일체로 되고,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판(15)등을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커버가 상기 하우징(10)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과 일체로 된 회전베이스(20)는 상기 밀착홀더(40)와 가조립된 상태로 조립라인에 제공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0)가 상기 밀착홀더(40)와 결합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외면을 둘러서 형성된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가 동시에 상기 밀착홀더(40)의 채널입구(52)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밀착홀더(40)의 걸이레버(50)가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0)를 상기 밀착홀더(40)의 내부공간(44)으로 밀어 넣게 되면, 상기 걸이레버(50)가 탄성변형되어 외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걸이턱(50')이 상기 회전베이스(20)의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레버(5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상기 이동채널(51)의 채널입구(52) 내측으로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가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체결돌기(35)는 상기 체결브릿지(58)의 일측단에 밀착되어 있다. 즉, 상기 체결브릿지(58)를 약간 탄성변형시키면서 체결돌기(35)가 체결브릿지(58)의 일측단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회전베이스(20)에 대해 상기 밀착홀더(40)가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한다. 물론, 상기 걸이레버(50)에 의해 상기 회전베이스(20)가 상기 밀착홀더(40)에서 빠지는 것도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베이스(20)가 밀착홀더(4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밀착홀더(40)를 상기 패널(70)의 표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감지통로(22)가 상기 패널(70)의 통공(72)를 관통하게 한다. 특히, 상기 통과부(74)를 통해 상기 통과부안착부(60)가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측시일(48)은 상기 패널(70)의 표면에 밀착되어 밀봉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외측시일(48)이 상기 패널(70)의 표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즉 상기 밀착홀더(40)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손잡이(17,18)를 조작하여, 도 8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하우징(10), 즉 회전베이스(20)를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베이스(20)는 상기 체결돌기(35)가 상기 체결브릿지(58)를 계속해서 더 탄성변형시키도록 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베이스(20)의 회전은 상기 제1 및 제2 홀더장착돌기(32,33)가 상기 이동채널(51)을 따라 이동하게 하고,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가 상기 이동채널(51)의 체결턱(54)을 타고 넘어서 상기 체결턱(54)이 상기 제1홀더장착돌기(32)와 제2홀더장착돌기(33)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회전베이스(20)와 상기 밀착홀더(40)는 서로 체결되어 상대 운동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5)는 상기 체결브릿지(58)의 체결홈(58')에 안착되고, 상기 체결브릿지(58)의 탄성변형상태를 완전히 또는 일부 복원된다.
한편, 상기 회전베이스(2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회전베이스(20)의 장착걸이(30)는 도 8의 상태에서 도 9의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장착걸이(30)는 상기 패널(70)의 통과부(74)에 위치하고 있다가, 상기 회전베이스(20)를 상기 패널(70)쪽으로 밀면서 회전시키면 상기 통공(72)의 통과부(74)에서 빠져나와 상기 통공(72)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장착걸이(30)가 상기 통공(72)의 가장자리에 걸어지게 되면 상기 밀착홀더(40)의 외측시일(48)이 패널(70)에 밀착되고, 상기 회전베이스(20)를 포함하는 감지장치가 패널(7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감지입구(23)에 주어지는 물리량이 감지통로(22)를 통해 상기 기판(15)에 실장된 소자(16')에 전달되어 해당되는 물리량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감지입구(23)의 압력을 상기 소자(16')가 감지하게 된다. 이 감지된 값은 커넥터부(12)에 결합된 상태 커넥터를 통해 외부로 전달된다.
참고로, 상기 감지장치를 패널(70)에서 분리할 때는 도 9의 상태에서 도 8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 즉, 상기 이동채널(51)의 체결턱(54)을 제1홀더장착돌기(32)가 타고 넘을 수 있고, 상기 체결돌기(35)가 상기 체결브릿지(58)의 체결홈(58')을 빠져나올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회전베이스(20)가 회전하여 장착걸이(30)가 상기 통공(72)의 통과부(74)를 통해 빠지면서 감지장치가 패널(70)에서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1: 직립벽
12: 커넥터부 14: 결합공간
15: 기판 16: 터미널
16': 소자 17: 제1손잡이
18: 제2손잡이 19: 결합리브
20: 회전베이스 22: 감지통로
23: 감지입구 24: 연통부
26: 밀착구 27: 보강리브
28: 결합슬릿 30: 장착걸이
32: 제1홀더장착돌기 33: 제2홀더장착돌기
35: 체결돌기 40: 밀착홀더
41: 바닥판 42: 측벽
44: 내부공간 46: 통로관통부
47: 내측시일 48: 외측시일
50: 걸이레버 50': 걸이턱
51: 이동채널 52: 채널입구
54: 체결턱 56: 탄성변형슬롯
58: 체결브릿지 58': 체결홈
60: 통과부안착부 62: 장착걸이공간
64: 스톱퍼 70: 패널
72: 통공 74: 통과부

Claims (8)

  1. 통공이 형성된 고정부에 장착되는 감지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여 물리량의 측정을 위한 소자가 실장된 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을 관통하여 위치되어 상기 소자 측과 연통되는 감지통로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의 통공에 대해 회전되어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장착걸이가 구비되는 회전베이스와,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외측시일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베이스의 감지통로가 관통하는 통로관통부를 구비하여 상기 회전베이스의 장착걸이가 상기 통공가장자리에 걸어졌을 때 상기 외측시일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회전베이스와 고정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밀착홀더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는 직립벽이 형성되고, 상기 직립벽에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우징의 평면과 평행하게 상기 커넥터부가 연장되는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 선단 양측에는 각각 제1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직립벽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제2손잡이가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부의 선단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간부분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부와 이에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 영역 내에 위치되는 감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관통부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밀착홀더의 내면에는 내측시일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에 밀착되고 상기 밀착홀더의 외면에는 외측시일이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밀착되는 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에서 상기 감지통로가 형성된 외면에는 상기 회전베이스의 원심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홀더의 바닥판에는 상기 통로관통부를 중심에 두고 양측에 탄성변형슬롯이 형성됨에 의해 체결브릿지가 만들어지고 상기 체결브릿지에 상기 체결돌기가 안착되는 체결홈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체결브릿지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되어 상기 체결홈에 안착되는 감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통공의 양단에는 상기 장착걸이가 통과하도록 통과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통과부에는 상기 밀착홀더의 통공관통부에 형성된 통과부안착부가 위치되고 상기 통과부안착부 내부의 장착걸이공간에 상기 장착걸이가 위치하였다가 이동하여 상기 통공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홀더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측벽의 내면에는 일단부에 체결턱이 형성된 이동채널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베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이동채널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체결턱에 걸어지는 제1홀더장착돌기가 구비되는 감지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베이스가 상기 밀착홀더에서 빠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밀착홀더의 측벽 사이에는 걸이레버가 구비되어 상기 회전베이스의 가장자리에 걸어지는 감지장치.
KR1020150165683A 2015-11-25 2015-11-25 감지장치 KR102499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83A KR102499817B1 (ko) 2015-11-25 2015-11-25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683A KR102499817B1 (ko) 2015-11-25 2015-11-25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921A true KR20170060921A (ko) 2017-06-02
KR102499817B1 KR102499817B1 (ko) 2023-02-15

Family

ID=5922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683A KR102499817B1 (ko) 2015-11-25 2015-11-25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8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24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102191489B1 (ko) * 2020-06-25 2020-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WO2021261888A1 (ko) * 2020-06-25 2021-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963B1 (ko) 1999-12-15 2007-08-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 슬리브를 포함하는 진동 픽업
US20100044809A1 (en) * 2008-08-21 2010-02-25 S3C, Inc. Sensor Device Packaging And Method
JP2010519524A (ja) * 2007-02-23 2010-06-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事故センサ
US20120000291A1 (en) * 2008-09-22 2012-01-05 Robert Bosch Gmbh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in an opening in a wall
KR20120061468A (ko) * 2010-12-03 2012-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포지션 센서
KR20120098146A (ko) 2011-02-28 2012-09-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격감지장치
KR20130079418A (ko) * 2010-04-30 2013-07-1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의 차벽에 있는 구멍에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방법 및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963B1 (ko) 1999-12-15 2007-08-02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압력 슬리브를 포함하는 진동 픽업
JP2010519524A (ja) * 2007-02-23 2010-06-03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事故センサ
US20100044809A1 (en) * 2008-08-21 2010-02-25 S3C, Inc. Sensor Device Packaging And Method
US20120000291A1 (en) * 2008-09-22 2012-01-05 Robert Bosch Gmbh Fixing device and method for fixing in an opening in a wall
KR20130079418A (ko) * 2010-04-30 2013-07-1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차량의 차벽에 있는 구멍에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방법 및 고정장치
KR20120061468A (ko) * 2010-12-03 2012-06-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로터리 포지션 센서
KR20120098146A (ko) 2011-02-28 2012-09-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격감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1824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102191489B1 (ko) * 2020-06-25 2020-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WO2021261885A1 (ko) * 2020-06-25 2021-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WO2021261888A1 (ko) * 2020-06-25 2021-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식 에어백 센서 설치용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817B1 (ko) 202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0910B1 (ko) 감지장치
US6995316B1 (en) Overmolded wire sealing assembly
KR20170060921A (ko) 감지장치
US8210037B2 (en) Sensor module with a housing which may be mounted on a wall
JP6838477B2 (ja) 樹脂成形品
KR20110121706A (ko) 회전 위치 센서
JP6093323B2 (ja) 物理量測定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516370A (ja) 筐体
JP6127009B2 (ja) 物理量測定装置
US10942079B2 (en) Rectangular snap fit pressure sensor unit
US4221940A (en) Sensor
KR101503030B1 (ko) 센서 교체가 용이한 워터 센서 프로브
US11199427B2 (en) Enclosure assembly and metering apparatus comprising same
KR20210152570A (ko) 폐쇄 디바이스
US20170328746A1 (en) Sensor assembly
JP2022500671A (ja) 車両の内部の温度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KR20160114835A (ko) 압력센서
CN108780698B (zh) 电容器杯和用于紧固电容器杯的装置
US10906735B2 (en) Container with fill state transmitter
KR102547361B1 (ko) 슬라이딩 개폐구조 전류센서
JP7256537B2 (ja) 回転式電子部品
KR101969460B1 (ko) 센서장치
JP6701851B2 (ja) 油圧センサ
KR102002286B1 (ko) 센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