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286B1 - 센서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286B1
KR102002286B1 KR1020170092474A KR20170092474A KR102002286B1 KR 102002286 B1 KR102002286 B1 KR 102002286B1 KR 1020170092474 A KR1020170092474 A KR 1020170092474A KR 20170092474 A KR20170092474 A KR 20170092474A KR 102002286 B1 KR102002286 B1 KR 102002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using
cover
jaw
sen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134A (ko
Inventor
박예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2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features for protecting electronic components against vibration and moisture, e.g. potting, holders for relatively larg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장치이다. 센싱장치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센싱소자가 위치되는 내부공간(12)이 있다. 상기 내부공간(12)은 커버(3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에는 레그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레그통공(22)의 내부에는 걸림턱(24)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4)에 인접하여서는 가걸림턱(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에는 상기 레그통공(22)을 관통하는 체결레그(38)가 쌍으로 다수개가 있다. 상기 체결레그(38)의 쌍에서 상기 체결턱(40)은 상기 하우징(10)에서 길이가 가장 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30)가 하우징(10)에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장치{Sensor apparatus}
본 발명은 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센싱소자가 들어 있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온도, 압력, 습도, 조도 등 다양한 물리량에 대한 측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들 물리량을 측정하려면 센서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있는 센싱소자로 그 물리량이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센싱소자를 보호하고 있는 하우징과 커버가 확실하게 결합되어 센싱경로에 대한 외란침입이 확실하게 방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센서장치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커버가 차폐하도록 하고 내부공간에 센싱소자 등이 설치되고, 상기 센싱소자가 있는 내부공간으로 원하는 외부 공간의 환경이 센싱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는 조립과정에서 하우징에 정확하게 체결되어야 센싱소자로 외란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자동화된 조립공정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가조립되지 않은 상태로 이송되다가 탈락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커버가 하우징에 체결되기 전에 안착된 상태가 정확하지 않으면, 커버를 하우징에 체결하는 장비의 조립동작에서 커버가 파손되거나 불완전하게 체결되면서 시일의 기밀과 수밀 상태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하우징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므로, 사출성형 후에 휨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하우징의 구조상 휨발생방향으로 체결레그의 체결턱이 돌출되어 있으면 하우징의 휨에 의해 체결턱이 걸림턱에 제대로 결합되지 않게 되고, 이와 같은 상황은 시일에 의한 수밀과 기밀에 불량이 발생하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633275 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10-2013-0106090 호 일본 공개 특허 제 2009-026629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센서장치에서 하우징 내부의 기밀과 수밀상태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우징과 커버의 체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장치의 조립과정에서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하거나 안착상태가 불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멍은 센싱소자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시일안착단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레그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레그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상기 체결레그의 선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턱은 상기 하우징에서 길이가 가장 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레그는 상기 커버의 커버본체 양측에 다수 개씩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그의 쌍의 체결턱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센싱경로를 가지는 입구후드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외부시일이 설치되어 상기 센싱경로와 연통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시일안착단에 안착되는 내부시일이 구비된다.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가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그의 체결턱과 상기 걸림턱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체결리브와 체결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채널에 상기 체결리브가 안착되어 체결턱과 걸림턱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채널은 상기 체결턱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리브는 상기 걸림턱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센싱소자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돌출되고 하우징을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브라켓과,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레그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레그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상기 체결레그의 선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턱은 상기 하우징 양측의 장착브라켓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에 체결된다.
상기 체결레그는 상기 커버의 커버본체 양측에 다수 개씩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그의 쌍의 체결턱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가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그의 체결턱과 상기 걸림턱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체결리브와 체결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채널에 상기 체결리브가 안착되어 체결턱과 걸림턱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서 길이가 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커버의 체결턱이 돌출되도록 하여 하우징의 걸림턱에 커버의 체결레그가 결합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휨 발생이 최소인 방향으로 커버의 체결레그가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하였으므로,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보다 정확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커버와 하우징의 체결을 위한 체결레그의 체결턱과 걸림턱의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채널과 체결리브를 두었으므로, 커버와 하우징의 체결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커버와 하우징 사이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게 유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가걸림턱을 두어서 하우징과 커버가 완전결합되기 전에 상기 가걸림턱에 커버의 체결턱이 걸어져 있도록 하여 하우징에 커버가 일정한 영역 내에 가결합되어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과 커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커버가 하우징에 보다 정확하게 체결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커버가 하우징에 가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센서장치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2)이 만들어진다. 상기 내부공간(12)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센싱소자가 위치된다. 상기 센싱소자는 예를 들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센서장치를 특정 위치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장착브라켓(14)이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은 상기 하우징(10)에 일체로 된 것으로 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4)을 관통하여서는 체결구공(16)이 있다. 상기 체결구공(16)을 예를 들면 볼트형상의 체결구가 관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커넥터부(18)가 있다. 상기 커넥터부(18)는 센서장치와 외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18)에 상대 커넥터가 결합됨에 의해 외부와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넥터부(18)의 내부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있어 상대 커넥터와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하우징(10)에서 상기 내부공간(12)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시일안착단(20)이 있다. 상기 시일안착단(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시일(46)의 일부가 안착된다. 상기 시일안착단(20)에 내부시일(46)이 안착됨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12)으로 외란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상기 내부공간(12)과 장착브라켓(14)의 사이에 레그통공(22)이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통공(22)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그통공(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의 체결레그(38)가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레그통공(22)의 내부 일측에는 각각 걸림턱(24)이 있다. 상기 걸림턱(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그(38)의 체결턱(40)이 걸어져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24)에는 체결리브(26)가 소정의 폭만큼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리브(26)의 폭방향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가 긴 방향, 즉 본 실시례에서는 양측의 장착브라켓(14)을 연결하는 방향이다.
상기 레그통공(22)에는 가걸림턱(28)이 각각 있다. 상기 가걸림턱(28)은 상기 걸림턱(24)보다는 상기 레그통공(22)의 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상기 가걸림턱(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30)가 하우징(10)에 완전 체결되기 전에 가조립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걸림턱(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레그(38)가 삽입되는 경로 상에서 상기 걸림턱(24)에 인접한 조금 전의 위치에 있다.
커버(3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정 영역과 상기 내부공간(12)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버(30)도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30)는 도 2에 그 형상이 잘 도시되어 있는데, 커버본체(32)가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본체(32)는 최소한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장착브라켓(14)과 커넥터부(18)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차폐한다.
상기 커버본체(32)의 외면으로 돌출되게 입구후드(3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후드(34)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입구후드(34)의 내부에는 상기 내부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센싱경로(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센싱경로(36)를 통해 소정 위치의 물리량이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센싱소자로 전달된다.
상기 커버본체(32)의 양측면에는 체결레그(38)들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일측에 2개씩 총 4개의 체결레그(38)들이 있다. 상기 체결레그(38)는 상기 커버본체(32)에 직교하게 되어 있고, 선단에는 체결턱(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40)의 돌출방향은 상기 하우징(10)의 길이가 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이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턱(40)이 하우징(10)의 길이가 긴 방향에 대해 직교하게 하는 것은 상기 하우징(10)에 발생하는 휨에 의한 영향을 가장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하우징(10)의 휨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방향을 향해 체결턱(40)이 돌출되어 있으면, 하우징(10) 측, 다시 말해 상기 걸림턱(24)과의 접촉 면적이 하우징(10)의 휨에 의해 설계치보다 줄어들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체결턱(40)이 돌출되는 방향을 하우징(10)의 길이가 가장 긴쪽 방향과 직교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길이가 가장 긴 방향이라 함은 상기 장착브라켓(14)을 서로 연결한 직선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이다.
상기 체결레그(38)들은 상기 커버본체(32)의 일측 측면에 한 쌍씩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다수 개의 체결레그(40) 쌍들이 커버본체(32)에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쌍의 체결레그(38)의 체결턱(4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체결턱(40)에는 상기 걸림턱(24)과 마주보는 면에 체결채널(4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채널(42)에는 상기 체결리브(26)가 안착되어 상기 체결턱(40)이 걸림턱(24)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상기 체결리브(26)와 상기 체결채널(42)은 그 형성 위치를 서로 바꿀 수도 있다.
상기 커버본체(32)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외부시일(44)이 있다. 상기 외부시일(44)은 상기 커버본체(32)를 형성하는 형틀 내에 미리 위치시켜서 인서트사출로 상기 커버본체(3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외부시일(44)은 상기 입구후드(34)의 센싱경로(36)와 연통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시일(44)에 의해 주변으로부터 상기 센싱경로(36)로 외란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센싱경로(36)를 통해 센싱소자로 정확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본체(32)의 내면에는 내부시일(46)이 있다. 도시된 도면들에서는 상기 내부시일(46)의 형상이 일부만 나와 있다. 상기 내부시일(46)은 상기 시일안착단(20)에 안착되는 부분과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로까지 연장되는 부분이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내부공간(12)의 내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일부 보인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센싱장치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과 커버(30)는 합성수지재질이고 사출성형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버(30)에는 또한 상기 외부시일(44)과 내부시일(46)이 설치된 상태로 조립공정에 제공된다.
도 2에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0)이 이송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에 센싱소자가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2)을 차폐하도록 상기 커버(30)가 공급한다.
상기 커버(30)가 공급되어 상기 내부공간(12)을 차폐하도록 설치될 때, 상기 커버(30)의 체결레그(38)가 상기 하우징(10)의 레그통공(22)으로 삽입된다. 상기 레그통공(22)으로 삽입된 상기 체결레그(38)는 상기 가걸림턱(28)에 상기 체결레그(38)의 걸림턱(24)이 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가걸림턱(28)에 상기 체결레그(38)의 걸림턱(24)이 걸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하우징(1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웬만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가걸림턱(28)에 상기 체결레그(38)의 걸림턱(24)이 모두 걸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커버(30)의 내부시일(46)중 상기 시일안착단(20)에 대응되는 부분이 정확하게 상기 시일안착단(20)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다음의 공정, 즉 상기 커버본체(32)에 힘을 가해 상기 커버(40)가 상기 하우징(10)과 체결되도록 하는 작업에서 체결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0)이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40)에 힘을 가해서 상기 커버(40)의 체결레그(38)에 있는 체결턱(40)이 상기 걸림턱(24)에 걸어지게 되면, 커버(30)가 하우징(10)에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턱(40)들이 모두 상기 가걸림턱(28)을 통과한 위치에 있다가 상기 걸림턱(24)과 체결하게 된다. 이는 상기 체결턱(40)들이 가조립 상태에서 있는 위치가 각각의 걸림턱(24)에 인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모든 체결턱(40)들이 각각의 걸림턱(24)에 정확하게 결합될 확률이 크게 높아지면서, 조립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체결턱(40)의 돌출 방향이 상기 하우징(10)에서 휨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방향이므로, 체결턱(40)과 걸림턱(24)이 결합되는 것이 설계된 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체결턱(40)과 걸림턱(24)에 상기 체결채널(42)과 체결리브(26)가 서로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체결턱(40)이 상기 걸림턱(24)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하우징(10)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의 센싱장치는 상기 입구후드(34)가 있는 부분이 위치되는 공간이 상기 외부시일(32)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장착브라켓(14)의 체결구공(16)을 체결구가 관통하여 센싱장치가 특정한 위치에 장착되면, 상기 외부시일(32)은 해당 특정 위치의 소정 영역에 밀착되어 위치되고 주변과 상기 센싱경로(36)의 부분은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싱경로(36)가 위치되는 공간에서의 물리량, 본 실시례의 경우는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센싱경로(36)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공간(12)에 있는 센싱소자에 전달된 환경을 통해 원하는 물리량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센싱장치의 커넥터부(18)에는 상대 커넥터가 결합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레그(38)의 체결턱(40)과 하우징(10)의 걸림턱(24)이 서로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채널(42)과 체결리브(26)의 구성이 있으나, 이 구성은 독립적으로 있어야 하는 구성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걸림턱(28)이 있음으로 해서, 커버(30)를 가조립 상태로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성도 설계조건에 따라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을 사용하게 되면 커버(30)와 하우징(10)의 결합을 견고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체결레그(38)가 커버본체(32)의 양측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 체결레그(38)는 커버본체(32)의 양측에 각각 다수개의 쌍이 형성될 수 있다.
10: 하우징 12: 내부공간
14: 장착브라켓 16: 체결구공
18: 커넥터부 20: 시일안착단
22: 레그통공 24: 걸림턱
26: 체결리브 30: 커버
32: 커버본체 34: 입구후드
36: 센싱경로 38: 체결레그
40: 체결턱 42: 체결채널
44: 외부시일 46: 내부시일

Claims (11)

  1. 센싱소자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가장자리를 둘러서 시일안착단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레그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레그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상기 체결레그의 선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턱은 상기 하우징에서 길이가 가장 긴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는 센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그는 상기 커버의 커버본체 양측에 다수 개씩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그의 쌍의 체결턱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센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센싱경로를 가지는 입구후드가 형성되는 센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외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외부시일이 설치되어 상기 센싱경로와 연통되는 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며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시일안착단에 안착되는 내부시일이 구비되는 센싱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가걸림턱이 형성되는 센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그의 체결턱과 상기 걸림턱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체결리브와 체결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채널에 상기 체결리브가 안착되어 체결턱과 걸림턱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센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채널은 상기 체결턱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리브는 상기 걸림턱에 형성되는 센싱장치.
  8. 센싱소자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싱소자에서 센싱된 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돌출되고 하우징을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브라켓과,
    상기 내부공간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체결레그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레그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에 걸어지는 체결턱이 상기 체결레그의 선단에 구비되는데, 상기 체결턱은 상기 하우징 양측의 장착브라켓을 연결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턱에 체결되는 센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그는 상기 커버의 커버본체 양측에 다수 개씩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레그의 쌍의 체결턱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는 센싱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통공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턱에 인접하여 가걸림턱이 형성되는 센싱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그의 체결턱과 상기 걸림턱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체결리브와 체결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채널에 상기 체결리브가 안착되어 체결턱과 걸림턱의 체결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센싱장치.
KR1020170092474A 2017-07-21 2017-07-21 센서장치 KR102002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74A KR102002286B1 (ko) 2017-07-21 2017-07-21 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474A KR102002286B1 (ko) 2017-07-21 2017-07-21 센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34A KR20190010134A (ko) 2019-01-30
KR102002286B1 true KR102002286B1 (ko) 2019-07-23

Family

ID=6527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474A KR102002286B1 (ko) 2017-07-21 2017-07-21 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2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1292A (ja) * 2011-11-22 2013-07-04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及び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1412B2 (ja) 2007-07-20 2012-10-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90005295U (ko) * 2007-11-28 2009-06-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수용 커넥터
KR20130106090A (ko) 2012-03-19 201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2277840B1 (ko) * 2015-03-25 2021-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101633275B1 (ko) 2015-05-29 2016-07-08 함찬규 Dc/dc 컨버터와 데이터통신모듈을 내장하는 포터블 충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1292A (ja) * 2011-11-22 2013-07-04 Oki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及び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34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0006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ntrol device
US8066518B2 (en) Waterproof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of waterproof connector and mounting method of waterproof connector
US8854036B2 (en) Current detecting apparatus
US20160261077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TWI674398B (zh) 物理量測定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8001225A (ja) 金属プレート付き樹脂成形品
JP2010078586A (ja) 電流検出装置の組付け構造
US20190363466A1 (en) Circuit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device
JP7500571B2 (ja) 車両の内部の温度を測定するための装置
KR102002286B1 (ko) 센서장치
CN114008865B (zh) 连接器装置
KR102277840B1 (ko) 압력센서
US20180331525A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TWI663388B (zh) 物理量測定裝置
KR101969460B1 (ko) 센서장치
US20220013958A1 (en) Connector
CN111952761B (zh) 连接器装置
US20210226508A1 (en) Assembly with a plug connector installable orthogonally to the installation direction
KR102376123B1 (ko) 센서 구성 요소, 센서 구성 요소를 위한 사전 조립 장치, 및 센서 구성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US20140291012A1 (en) Electronic Device
KR20120098146A (ko) 충격감지장치
KR20190051791A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352637B1 (ko) 검사 겸용 먼지방지덮개
US7314381B2 (en) Electric component having connector attached to case via seal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