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4835A - 압력센서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4835A
KR20160114835A KR1020150041219A KR20150041219A KR20160114835A KR 20160114835 A KR20160114835 A KR 20160114835A KR 1020150041219 A KR1020150041219 A KR 1020150041219A KR 20150041219 A KR20150041219 A KR 20150041219A KR 20160114835 A KR20160114835 A KR 20160114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housing
pressure sensor
main body
housing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840B1 (ko
Inventor
윤현석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41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84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4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4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0007Fluidic connecting means
    • G01L19/0038Fluidic connecting means being part of the hou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 G01L19/142Multiple part housings
    • G01L19/143Two part hou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9/00Measuring steady of quasi-steady pressure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pressure-sensitive elements; Transmitting or indicating the displacement of mechanical pressure-sensitive elements, used to measure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골격을 하우징본체(12)가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감지소자(62)가 실장된 기판(60)이 설치된다. 상기 감지소자(62)와 원하는 공간과를 연통시키기 위해 유체유로(16)가 있다. 상기 유체유로(16)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4)과 외부, 즉 원하는 공간을 연통시키는데, 상기 유체유로(16)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상기 하우징본체(12)에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은 서로 일체로 된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외면과 상기 압력센서가 설치되는 고정부의 사이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유체유로(16)와 상기 감지소자(62) 사이의 누설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센서의 부품수가 최소화되고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의 망실이 방지되며 외부가스켓(40)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압력센서{Pressure sensor}
본 발명은 압력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부에 장착되어 고정부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압력변화를 검출하는 압력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에서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들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을 압력의 변화로 검출하여 필요한 동작을 취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압력센서가 있다. 이는 운전자 및 동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자동차에 발생된 충격을 압력변화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감지소자까지 연결되는 유체유로가 있다. 이 유체유로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됨이 없이 감지소자까지 잘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탄성재질의 가스켓이나 시일 등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압력센서에서는 유체유로의 입구측과 출구측에 누설방지를 위한 구성이 각각 별개로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늘어나고, 특히 압력센서의 외면에 설치되는 누설방지를 위한 구성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양면테이프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데, 외력에 의해 부착상태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압력센서가 자동차에 장착되었을 때, 압력센서의 외면에 있는 누설방지를 위한 구성이 약간의 반발력을 발생시키게 되어 압력센서의 장착상태가 불완전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968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66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센서에서 사용되는 외부가스켓과 내부가스켓을 하우징에 일체로 만들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가스켓이 패널의 표면에 안착될 때 반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원하는 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원하는 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를 구비하며 하우징본체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본체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안착되는 기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원하는 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에 하우징본체를 인서트사출하여 만들어져 상기 원하는 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검지소자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검지소자로 전달되는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외부가스켓과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가스켓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가스켓은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자동차의 고정부 표면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내측경사면을 구비한다.
상기 외부가스켓에는 상기 하우징본체를 관통하여 관통바아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바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공간 내면에 있는 걸이편홈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바아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편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가스켓과 내부가스켓은 연결바아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내부가스켓의 일단부에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에서 상기 연결바아가 연장되어 상기 외부가스켓과 연결된다.
상기 내부가스켓은 상기 유체유로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유체유로의 출구보다 더 연장되어 상기 감지소자의 일측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의 일측 표면중 상기 장착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눌림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눌림리브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체결구가 체결될 때 눌러져 압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외부가스켓과 내부가스켓이 서로 일체로 또한 하우징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므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조립과정에서 외부가스켓이나 내부가스켓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작불량율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외부가스켓의 내측경사면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안착되어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외부가스켓이 자동차의 고정부에 안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면서 반발력을 만들지 않게 되어 압력센서의 설치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되어 압력센서에 의한 데이터 획득이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내부가스켓이 없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에 외부가스켓이 없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내부가스켓과 외부가스켓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성을 정면에서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골격을 하우징본체(12)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본체(12)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만들어지고, 상기 내부공간(14)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일측으로 개방된다. 상기 개방된 내부공간(14)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58)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내부공간(14)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유체유로(16)가 형성된다. 상기 유체유로(16)는 상기 내부공간(14)에서는 원통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유체유로(16)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외면에는 입구후드(17)가 있다. 상기 입구후드(17)는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일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유체유로(16)의 입구(18)가 있다. 상기 입구(18)를 통해 유체가 상기 유체유로(16)로 전달되어 압력변화를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2)가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체유로(16)의 출구(20)는 상기 내부공간(14)에 있다. 상기 출구(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2)가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12)에는 상기 내부공간(14)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공(2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가스켓(40)의 관통바아(46) 또는 연결바아(56)가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외면중 상기 입구후드(17)의 주변을 둘러서는 외부가스켓홈(24)이 형성된다. 상기 외부가스켓홈(24)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표면보다 약간 낮은 홈으로 형성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외부가스켓(40)이 인서트사출에 의해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상기 관통공(22)의 주위에 걸이편홈(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홈(26)은 상기 내부공간(14)의 표면에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편홈(26)에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편(48)이 위치된다. 상기 걸이편홈(26)은 본 실시례에서는 원형으로 만들어지는데, 이는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각형모양 등이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홈(26)외에도 내부가스켓홈(28)이 상기 내부공간(14)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홈(28)은 상기 유체유로(16)의 주변을 둘러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홈(28)의 내부로 개방되는 관통공(22)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바아(56)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장착편(30)이 있다. 상기 장착편(30)은 하우징(10)을 자동차의 고정부, 예를 들면 패널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장착편(30)을 관통하여서는 장착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편(30)에서 상기 패널에 안착되는 부분의 반대쪽 표면에는 상기 장착공(32)을 둘러서 눌림리브(34)가 있다. 상기 눌림리브(34)는 횡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되어 하우징(10)의 장착을 위한 체결구에 의해 눌러진다. 상기 눌림리브(34)는 횡단면에서 볼 때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만들어진다. 상기 눌림리브(34)는 체결구, 예를 들면 볼트의 머리부나 너트에 의해 눌러지면서 어느 정도 압착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에서 상기 장착편(30)이 돌출되는 방향과 직각이 되게 커넥터부(3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36)에는 상대 커넥터(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어 전원이나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부(36)의 내부에는 단자(38)가 있다. 상기 단자(38)의 일단부는 상기 커넥터부(36)의 내부에 있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60)에 실장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외면에는 외부가스켓(40)이 있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상기 외부가스켓홈(24)에 위치된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가스켓(50)과 일체이고, 상기 하우징본체(12)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일체로 만들어진다. 물론, 상기 외부가스켓(40)의 재질은 상기 하우징본체(12)의 재질과 다른 재질로서, 상기 외부가스켓(40)이나 내부가스켓(50)은 상대적으로 탄성이 좋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상기 입구후드(17)의 주변을 둘러 위치되어 상기 유체유로(16)에서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부인 패널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의 압력이 누설되지 않고 상기 입구(18)를 통해 유체유로(16)로 유체의 압력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의 횡단면은 직각삼각형 모양으로 된다. 즉, 폐곡선으로 되어 있는 외부가스켓(40)에서 폐곡선의 내측을 구성하는 면은 내측경사면(42)이 되어 횡단면을 구성하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된다. 그리고, 폐곡선의 외측을 구성하는 면은 외측면(44)으로 상기 하우징본체(12)의 표면에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의 형상의 특성상 주고 상기 내측경사면(42)이 고정부인 패널의 표면에 안착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의 폭이 좁아지는데, 상기 내측경사면(42)의 경사 때문에 고정부인 패널에는 상기 내측경사면(42)이 닿게 되어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외부가스켓(40)의 구조 특성상, 상기 외부가스켓(40)은 고정부에 장착되었을 때, 반발력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누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외부가스켓(40)에는 관통바아(46)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바아(46)는 상기 관통공(22)에 위치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관통바아(46)의 선단에는 걸이편(4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48)은 상기 걸이편홈(26)에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편(48)은 상기 관통바아(46)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걸이편(48)이 빠져 나갈 수 없다. 이와 같이, 상기 걸이편(48)이 하우징본체(12)의 내측에 걸어짐에 의해 외부가스켓(40)이 하우징본체(12)에서 분리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관통바아(46)와 걸이편(48)은 다수개가 구비된다.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유체유로(16)를 둘러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체유로(16)의 출구(20)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외부가스켓(40)과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유체유로(16)와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소자(62) 사이의 압력누설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유체유로(16)를 감싸는 형상이므로,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의 내부에는 상기 유체유로(16)가 위치되는 통공(5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의 선단은 상기 유체유로(16)의 출구(20)보다는 약간 더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은 상기 외부가스켓(40)과 연결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부가스켓(50)의 일단부 양측에 일체로 연결편(54)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54)과 외부가스켓(40)을 연결바아(56)가 연결한다. 물론, 상기 연결편(54) 없이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직접 연결바아(56)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편(54)은 상기 내부가스켓홈(28)내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가스켓(50)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리브(57)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보강리브(57)가 4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2)의 내부공간(14)은 커버(58)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커버(58)가 상기 내부공간(14)의 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12)에 설치된다. 상기 커버(58)가 상기 하우징본체(12)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것은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융착을 통해 커버(58)가 하우징본체(12)에 장착되거나, 압입되는 구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공간(14)에는 기판(6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60)은 인쇄회로기판으로서 상기 단자(38)가 실장되고, 또한 감지소자(62)가 실장된다. 상기 감지소자(62)는 압력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감지소자(62)는 상기 기판(60)에 실장된 상태에서 일측 표면이 상기 내부가스켓(50)의 선단에 밀착되어 감지소자(62)의 감지부분이 상기 유체유로(16)와 연통되고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력센서가 제작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압력센서는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하는 하우징본체(12)를 사출성형한 후에, 상기 하우징본체(12)를 다시 금형 내에 넣어 인서트사출을 통해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을 상기 하우징본체(12)에 일체로 성형하게 된다.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을 하우징본체(12)에 일체로 성형하면서, 상기 걸이편(48)이 걸이편홈(26)에 있고, 상기 연결바아(56)에 의해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서로 연결됨에 의해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하우징본체(1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하우징본체(12)에 일체로 만들어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14)에 감지소자(62)가 실장된 기판(60)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58)로 상기 내부공간(14)을 외부와 차폐하게 된다.
조립이 완성된 압력센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장착편(30)이 체결구에 의해 자동차의 고정부인 패널에 고정됨에 의해 고정부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편(30)의 장착공(32)을 관통하여 체결구가 고정부에 체결되면, 상기 눌림리브(34)가 상기 체결구에 의해 눌러져 약간 뭉개지면서 확실하게 장착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하우징(10)의 입구후드(17)가 압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공간 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외부가스켓(40)이 상기 공간과 외부 사이가 연통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외부가스켓(40)은 그 내측경사면(42)이 패널에 접촉됨에 의해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가스켓(40)은 자동차의 고정부에 얹어져서 밀착되므로 상기 하우징본체(12)로 반발력을 작용하지 않게 된다.
상기 압력센서의 커넥터부(36)는 자동차의 제어부와 연결된 상대 커넥터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부(36)에 상대 커넥터가 장착되어 압력센서가 제어부와 연결된 상태가 되면, 상기 압력센서는 압력변화의 감지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압력센서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외부의 충격이 자동차에 해당되는 부분에 작용하면 상기 유체유로(16)와 연통된 공간의 압력이 변하면서, 상기 압력변화가 상기 유체유로(16)를 통해 상기 감지소자(62)로 전달되어 감지된다. 상기 감지소자(62)를 통해 감지된 압력변화는 상기 상대 커넥터를 통해 제어부로 전달되어 이후의 동작을 위해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압력센서에서는 상기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일체로 되고, 또한 이들 외부가스켓(40)과 내부가스켓(50)이 하우징본체(12)에 일체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외부가스켓(40)이나 내부가스켓(50)을 누락시킨 상태로 압력센서를 조립할 염려가 없고,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편(30)의 눌림리브(34)는 체결구에 의해 약간 압착되도록 되어 있어, 상기 체결구와 장착편(30)의 사이에 별도의 부품을 둘 필요가 없게 되면서, 압력센서가 자동차의 고정부에 보다 긴밀하게 결합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장착편(30)을 없애고 대신에 양면테이프 또는 물리적 구조를 사용하여 하우징(10)을 자동차의 고정부에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58)는 상기 하우징(10)을 구성하는 요소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58)를 상기 하우징본체(12)에 몰드힌지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가스켓(40)의 외측면(44)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하우징본체(12)의 표면과 직교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본체(12)의 표면과 상기 외측면(44) 사이가 예각을 이루어도록 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2: 하우징본체
14: 내부공간 16: 유체유로
17: 입구후드 18: 입구
20: 출구 22: 관통공
24: 외부가스켓홈 26: 걸이편홈
28: 내부가스켓홈 30: 장착편
32: 장착공 34: 눌림리브
36: 커넥터부 38: 단자
40: 외부가스켓 42: 내측경사면
44: 외측면 46: 관통바아
48: 걸이편 50: 내부가스켓
52: 통공 54: 연결편
56: 연결바아 57: 보강리브
58: 커버 60: 기판
62: 감지소자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과 원하는 공간을 연통하여 상기 원하는 공간의 압력변화를 전하는 유체유로를 구비하며 하우징본체가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본체에 구비되어 하우징의 내외부 사이의 신호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 내에 안착되는 기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원하는 공간의 압력변화를 상기 유체유로를 통해 전달받아 검출하는 검지소자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외면에 하우징본체를 인서트사출하여 만들어져 상기 원하는 공간에서의 압력누설을 방지하는 외부가스켓과,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공간에서 상기 검지소자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어 상기 검지소자로 전달되는 압력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외부가스켓과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가스켓을 포함하는 압력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스켓은 폐곡선을 이루는 것으로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자동차의 고정부 표면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내측경사면을 구비하는 압력센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스켓에는 상기 하우징본체를 관통하여 관통바아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관통바아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본체의 내부공간 내면에 있는 걸이편홈에 안착되고 상기 관통바아의 외면보다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이편이 구비되는 압력센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가스켓과 내부가스켓은 연결바아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내부가스켓의 일단부에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에서 상기 연결바아가 연장되어 상기 외부가스켓과 연결되는 압력센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가스켓은 상기 유체유로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유체유로의 출구보다 더 연장되어 상기 감지소자의 일측 표면에 밀착되는 압력센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의 양측에는 장착공이 형성된 장착편이 구비되는데, 상기 커넥터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압력센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편의 일측 표면중 상기 장착공의 주변을 둘러서는 눌림리브가 형성되는데, 상기 눌림리브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어 체결구가 체결될 때 눌러져 압착되는 압력센서.
KR1020150041219A 2015-03-25 2015-03-25 압력센서 KR10227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19A KR102277840B1 (ko) 2015-03-25 2015-03-25 압력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1219A KR102277840B1 (ko) 2015-03-25 2015-03-25 압력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4835A true KR20160114835A (ko) 2016-10-06
KR102277840B1 KR102277840B1 (ko) 2021-07-16

Family

ID=5716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219A KR102277840B1 (ko) 2015-03-25 2015-03-25 압력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8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290A (ko) 2016-11-16 2018-05-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20190010134A (ko) * 2017-07-21 2019-0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81A (ko) 2003-07-18 2005-01-25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압력센서
KR20140001680U (ko) * 2012-09-13 2014-03-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의 가스켓 장착장치
US20140137656A1 (en) * 2011-07-20 2014-05-22 Robert Bosch Gmbh Sensor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20140126602A (ko) 2013-04-23 2014-10-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681A (ko) 2003-07-18 2005-01-25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압력센서
US20140137656A1 (en) * 2011-07-20 2014-05-22 Robert Bosch Gmbh Sensor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20140001680U (ko) * 2012-09-13 2014-03-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의 가스켓 장착장치
KR20140126602A (ko) 2013-04-23 2014-10-3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290A (ko) 2016-11-16 2018-05-2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압력센서
KR20190010134A (ko) * 2017-07-21 2019-0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센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840B1 (ko)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8449B1 (en) Apparatus for snap fit mounting a crash sensor
JP6367475B2 (ja) 衝突圧力センサの乾燥側取付けのための装置
US7819004B2 (en) Vehicle sensor
US8210037B2 (en) Sensor module with a housing which may be mounted on a wall
CN104870963B (zh) 压力传感器组件以及用于装配压力传感器组件的方法
TWI674398B (zh) 物理量測定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60114835A (ko) 압력센서
US8074523B2 (en) Air pressure sensor with means for hook fastening
CN109937616B (zh) 乘员保护控制装置
JPH11148880A (ja) 圧力発信器
US8915130B1 (en) Battery-replaceable tire pressure sensor
KR20170042109A (ko) 감지장치
KR101483769B1 (ko) 압력센서
KR102543502B1 (ko) 압력센서
KR102444190B1 (ko) 레벨센서
KR102046526B1 (ko) 압력센서
KR101899840B1 (ko) 센서장치
KR101969460B1 (ko) 센서장치
KR102002286B1 (ko) 센서장치
CN112703379A (zh) 用于测量车辆内室中的温度的装置
KR20120098146A (ko) 충격감지장치
KR102590859B1 (ko) 압력센서
US11674853B2 (en) System, comprising a metallic body and a sensor device having an optimized antenna unit
EP2857229A1 (en) Battery-replacable tire pressure sensor
JP5784389B2 (ja) 異物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