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0623A -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 Google Patents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0623A
KR20170060623A KR1020150164217A KR20150164217A KR20170060623A KR 20170060623 A KR20170060623 A KR 20170060623A KR 1020150164217 A KR1020150164217 A KR 1020150164217A KR 20150164217 A KR20150164217 A KR 20150164217A KR 20170060623 A KR20170060623 A KR 2017006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sensor
horizontal member
ring
damping re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복
김진영
박한영
김준희
한종간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0623A/ko
Publication of KR2017006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parameters of the vehicle itself, e.g. tyre models
    • B60W40/13Load or weight
    • B60W2040/1392Natural frequency of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센서에 댐핑 저감 장치로 사용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하는 센서 홀딩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Sensor holding devices, including reducing the damping ring}
본 발명은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와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진동 센서 홀딩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부품들은 모양이나 재질에 따라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갖게 된다. 이들 부품들은 고유진동수 대역의 진동에서 더 큰 진동을 하게 되고, 이는 자동차의 떨림이나 소음을 유발한다. 특히 자동차 부품들의 고유진동수 대역이 같다면, 자동차의 운행시나 제동 시 고유진동수 대역의 진동이 증폭되어 더 큰 차량의 떨림과 소음을 유발한다.
자동차 부품간의 고유진동수 대역을 다르게 하기 위해서는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차 부품들의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여 서로 다른 고유진동수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종래부터 분석대상의 고유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진동센서가 사용되어 왔다. 고유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잘 감지할 수 있어야 하고 동시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정확하게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종래의 진동센서 고정 장치 중 하나는 실린더 로드의 일단에 장착되는 진동센서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공압실린더의 실린더 로드에 작용하는 공압에 의해 진동센서를 진동구조물의 측정위치에 압착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진동센서고정구가 진동센서를 정확하게 홀딩하기가 어렵고 진동센서가 자체 진동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동을 감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센서 홀딩 장치 중 하나는 센서를 측정 제품에 밀착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는 고정용 스프링의 탄성으로 센서와 부품 사이에 밀착되는 구조가 핵심인데,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측정용 부품의 고유진동수의 감쇄 효과가 발생하게 되면 측정결과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고, 실제 측정 부품의 고유진동수를 분석하여 크랙의 유무를 판별하게 될 경우 측정 결과의 왜곡 현상은 큰 문제로 작용할 수 있어 양불 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4839호 (2006.04.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3362호 (2014.05.01)
본 발명은 센서를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센서의 자체 진동을 감소시키며 측정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센서 홀딩 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댐핑을 저감하여 측정 결과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센서 홀딩 장치를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센서 홀딩 장치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홀더는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상기 완충부재를 개재하여 상기 센서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감지대상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 팁, 상기 센서 팁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 상기 댐핑 저감용링, 상기 센서 팁 및 상기 가속도계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가 상기 감지 대상과 접촉할 때 상기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거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하 운동이 가능한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제2수평부재 및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수평부재와 제2수평부재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변화시키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수평부재 및 상기 제2수평부재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의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제2수평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봉 및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가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기 제1수평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감지 대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기 제1수평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안정적으로 홀딩하여 센서의 자체 진동을 감소시키며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홀더에 단턱을 가지는 관통공을 형성하면 단턱이 형성되는 부분에 센서를 안착시킬 수 있으면서 통공을 통해 전원선, 신호선 등을 센서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거치부를 구비하면 검사 대상의 진동을 측정할 때 센서가 검사 대상과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홀더거치부를 제1수평부재와 제2수평부재를 나란하게 배치하고 제1수평부재와 제2수평부재 사이에 탄성부를 개재하도록 하여 구성하면 센서 홀딩 장치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검사 대상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센서를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편평한 형상을 가진 검사 대상의 진동 측정에 유리하다.
탄성부를 지지봉과 스프링으로 구성하면 지지봉이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제2수평부재의 상하운동을 가이드하므로 센서가 검사 대상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홀더거치부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하면 작업 전에는 센서 홀딩 장치를 유휴 공간에 두었다가 작업시에 작업 공간으로 자동으로 보낼 수 있고 감지 대상을 작업위치에 로딩 또는 언로딩 하기 편리하다.
실린더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면 센서가 감지 대상과 접촉할 때 제1수평부재의 휨을 방지하여 센서가 감지 대상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하여 댐핑을 최소화해 측정 결과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홀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홀더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홀더의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9는 도 5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또다른 측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센서 홀딩 장치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센서 홀딩 장치(100)는 홀더(1) 및 완충부재(2)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홀딩 장치(100)는 센서(10)를 홀딩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10)는 감지 대상(20 ; 도 4 참조)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20)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10)로서 예를 들면 가속도센서(10)가 이에 해당한다. 한편 감지 대상(20)은 진동하는 대상으로서 자동차의 브레이크 디스크나 라이닝이 이에 해당한다.
상기 홀더(1)에는 상기 홀더(1)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10)의 외측을 감싸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센서(10)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2)가 결합된다.
완충부재(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센서(10)가 감지 대상(20)의 진동을 감지할 때 감지 대상(20)의 진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외부에서 전달되는 진동의 영향으로 상기 센서(10)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1)는 상기 감지 대상(20)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400), 상기 댐핑 저감용 링(400)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 팁(410), 상기 센서 팁(410)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420), 상기 댐핑 저감용 링(400), 상기 센서 팁(410) 및 상기 가속도계(420)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430) 및 상기 홀더 케이스(430)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440)를 포함한다.
상기 댐핑 저감용 링(40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센서(10)가 감지 대상(20)의 진동을 감지할 때 댐핑효과를 최소화하여 측정결과의 왜곡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 홀딩 장치(100)는 감지 대상(20)이 자석에 붙는 물질인 경우 자력을 이용하여 감지 대상(20)에 직접 부착시키거나. 후술하는 홀더거치부(3)를 이용하여 감지 대상(20)에 접촉시켜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1)는 길이방향으로 단턱(12)을 가지는 통공(11)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1)는 양 측이 개방된 원통형이고 내부에 센서(10)가 안착되어 결합하기 위한 단턱(12)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1)의 개방된 일측으로는 센서(10)가 결합되고 개방된 다른측에는 센서(10)에 연결되는 전원선(미도시)이 통과한다.
한편 상기 홀더(1)에는, 상기 센서(10)의 출력신호 포트가 센서(10)의 외주에 위치하는 경우 신호선을 연결하기 위한 홀(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는 상기 홀더(1)의 일측 방향의 홀을 통해 상기 단턱(12)에 결합된다. 상기 완충부재(2)는 링 형태의 부재로서, 외측은 상기 홀더(1)의 내측에 접촉하여 결합되고 내측에는 상기 센서(10)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10)를 상기 홀더(1)에 결합시키면 상기 센서(10)는 완충부재(2)를 개재하여 상기 홀더(1)의 단턱(12)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2)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고체로서,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지 대상(20)에 센서(10)를 더 안정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서 상기 센서 홀딩 장치(100)는 홀더거치부(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거치부(3)는 홀더(1)에 연결되고 센서(10)가 감지 대상(20)과 접촉할 때 홀더(1)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즉 홀더거치부(3)는 상기 센서(10)가 감지 대상(20)과 접촉하여 감지 대상(20)의 진동을 감지하는 동안 계속해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센서(10)는 감지된 진동을 시간에 따른 전압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거치부(3)를 이용하면 감지 대상(20)이 자석에 붙는 물질이 아닌 경우에도 센서(10)를 감지 대상(20)에 안정적으로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홀더거치부(3)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홀더거치부(3)는 제1수평부재(31)와, 제2수평부재(32) 및 탄성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수평부재(31)는,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제1수평부재(31)의 상하 운동은 실린더 또는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수평부재(31)의 일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구멍을 통해 탄성부(33)를 구성하는 지지봉(331)의 일단이 결합된다. 상기 지지봉(331)은 상기 제1수평부재(31)의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수평부재(32)는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홀더(1)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탄성부(33)를 개재하여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결합된다.
상기 제2수평부재(32)의 일측에는 홀더(1)를 결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이 구멍으로부터 제2수평부재(32)의 외측으로 슬릿(321)이 형성된다. 슬릿은 홀더(1)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고 볼트(322)의 결합에 의해 슬릿(321)을 이루는 간격을 좁힐 수 있어 홀더(1)를 견고하게 고정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수평부재(32)에 구멍을 복수로 형성하고 2개 이상의 홀더(1)를 결합시켜 2개 이상의 센서(10)를 이용하여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수평부재(32)의 다른 일측에는 탄성부(33)를 구성하는 지지봉(331)의 다른 일단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수평부재(31)의 외측으로 슬릿(3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323)은 지지봉(331)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게 하고 볼트(324)의 결합에 의해 슬릿(323)을 이루는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지지봉(331)을 견고하게 고 정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33)는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상기 제2수평부재(32)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제2수평부재(32)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변화시킨다.
상기 탄성부(33)는 지지봉(331)과 스프링(3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봉(331)은 일단이 상기 제2수평부재(32)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31)의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봉(331)의 다른 일단을 제1수평부재(31)의 구멍보다 크게 하거나 이 구멍보다 큰 와셔(333)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봉(331)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시키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332)은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상기 제2수평부재(32)가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331)이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탄성부(33)의 세부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332)은 제1수평부재(32)와 제2수평부재(33)가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서 양측에 형성된 구멍의 자리에 위치한다. 지지봉(331)은 제1수평부재(32)의 구멍에 삽입되어 스프링(332)을 통과하고 제2수평부재(32)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지지봉(331) 일단은 제2수평부재(32)에 볼트 및 너트, 납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고 지지봉(331)의 다른 일단은 제1수평부재(31)상에 배치되는 와셔(333)에 볼트 및 너트, 납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함으로써 제1수평부재(31)의 구멍에는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스프링(332)은 제1수평부재(31) 또는 제2수평부재(32)와 직접 결합되지 않는다. 스프링(332)이 제1수평부재(31) 또는 제2수평부재(32)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에는 감지 대상(20)의 진동이 스프링(332), 제1수평부재(31) 및 제2수평부재(32) 전체에 전달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지지봉(331)과 스프링(332)으로 구성된 탄성부(33)는 감지 대상(20)의 미세한 진동에 반응함으로써 감지 대상(20)의 진동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봉(331)은 제2수평부재(32)가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므로 센서(10)가 감지대상(20)과 정확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봉(331)의 일단은 제2수평부재(32)의 구멍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다른 일단은 상기 제1수평부재(31)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332)의 양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31)와 상기 제2수평부재(3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홀더거치부(3)는, 상기 제1수평부재(31)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더(34)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34)에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35)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35)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서(10)가 상기 감지 대상(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거치부(3)를 구성하면 작업 전에는 센서 홀딩 장치(100)를 [0065] 유휴 공간에 두었다가 작업시에 작업공간으로 자동으로 보낼 수 있고 감지 대상(20)을 작업위치에 로딩 또는 언로딩 하기 편리하다.
한편 홀더거치부(3)는 상기 제1수평부재(31)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34)의 작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36)는 제1수직부재(361), 제2수직부재(362) 및 하나의 수평부재(363)를 포함한다.
제2수직부재(362)는 수평부재(363)를 개재하여 제1수평부재(31)에 결합되고 제1수직부재(361)는 제2수직부재(36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부(36) 전체가 제1수평부재(31)와 함께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2수직부재(362)가 실린더(34)의 몸체를 따라 움직이면서 실린더(34)의 작동을 가이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36)와 제1수평부재(31)가 별도로 구성되어 결합하는 것을 예시로 나타내었지만, 가이드부(36)와 제1수평부재(3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4)(또는 실린더거치대(37))에 결합되는 보조가이드(38)를 더 구비하여 가이드부(36)를 가이드하는 2중 가이드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홀딩 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홀딩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면에는 상기 센서 홀딩 장치(100)를 구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20)의 고유진동수 측정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20)를 디스크거치대(200)에 올려 놓은 후 홀더거치부(3)를 이동시켜 센서(10)가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상면과 대향하는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실린더(34)의 로드를 하방으로 작동시켜 디스크거치대(200)에 고정된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상면에 센서(10)를 접촉시킨다.
이 때 실린더(34) 로드에 결합된 제1수평부재(31)와 함께 탄성부(33)와 제2수평부재(32)가 이동하게 되고, 제2수평부재(32)에 결합된 홀더(1)가 이동되어 센서(10)가 감지 대상(20)과 접촉한다.
다음으로 임팩트해머(300)의 타격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20)가 진동하는 경우에는 센서(10)가 부착된 홀더(1)에 진동이 전해진다. 홀더(1)에 전해진 진동은 제2수평부재(32)에 다시 전해지고, 탄성부(33)의 탄성에 의해 제2수평부재(32)가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약하면 제2수평부재(32)의 진동에 의해 이에 결합된 홀더(1)의 센서(10)가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10)가 브레이크 디스크(20)에 접촉하는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때 완충부재(2)는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진동에 의해 센서(10) 자체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센서(10)는 브레이크 디스크(20)의 진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 측정값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브레이크 디스크(20)의 고유진동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센서 홀딩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위의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센서(10)가 감지 대상(20)의 하부에 접촉되는 구성이다.
도 5와 도 9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서는, 센서(10)가 감지 대상(20)의 하부와 접촉하기 위하여, 센서 홀딩장치(100)의 제1수평부재(31)와 제2수평부재(32) 및 탄성부(33)가 역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홀더거치부(3)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수동으로 제1수평부재(31)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검사 대상에 센서(10)를 접촉시키는 형태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는 위치제어 가능한 구동요소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홀더거치부(3)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위치제어 가능한 구동요소를 이용하여 제1수평부재(31)를 작업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검사 대상에 센서(10)를 접촉시키는 형태이다.
이와 같이 센서 홀딩 장치의 구동요소들은 환경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홀더
11 : 통공 12 : 단턱 13 : 홀
2 : 완충부재
3 : 홀더거치부
31 : 제1수평부재 32 : 제2수평부재 33 : 탄성부
34 : 실린더 35 : 베이스부 36 : 가이드부
37 : 실린더거치대 38 : 보조가이드
321, 323 : 슬릿 322, 324 : 볼트
331 : 지지봉 332 : 스프링 333 : 와셔
361 : 제1수직부재 362 : 제2수직부재 363 : 수평부재
10 : 센서
20 : 감지 대상, 브레이크 디스크
100 : 센서 홀딩 장치
200 : 디스크거치대
300 : 임팩트해머
400 : 댐핑 저감용 링 410 : 센서 팁 420 : 가속도계
430 : 홀더 케이스 440 : 홀더 커버

Claims (12)

  1.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센서 홀딩 장치.
  2.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감지 대상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 팁;
    상기 센서 팁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
    상기 댐핑 저감용 링, 상기 센서 팁 및 상기 가속도계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는 센서 홀딩 장치.
  3.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감지 대상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팁;
    상기 센서 팁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
    상기 댐핑 저감용 링, 상기 센서 팁 및 상기 가속도계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내주면과 상기 단턱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센서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거치부를 포함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4.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감지 대상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팁;
    상기 센서 팁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
    상기 댐핑 저감용 링, 상기 센서 팁 및 상기 가속도계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내주면과 상기 단턱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센서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하 운동이 가능한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제2수평부재 및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수평부재와 제2수평부재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변화시키는 탄성부
    를 포함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5. 감지 대상과 접촉하여 상기 감지 대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센서를 홀딩하는 장치로서,
    길이방향으로 단턱을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가 장착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감지 대상과 밀착되는 댐핑 저감용 링;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하면에 위치하는 센서팁;
    상기 센서 팁의 하면에 위치하는 가속도계;
    상기 댐핑 저감용 링, 상기 센서 팁 및 상기 가속도계를 내부에 실장하는 홀더 케이스; 및
    상기 홀더 케이스의 하면에 결합되는 홀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의 내주면과 상기 단턱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의 외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센서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 및
    상기 홀더에 연결되고 상기 홀더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홀더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하 운동이 가능한 제1수평부재,
    상기 제1수평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홀더에 결합되는 제2수평부재 및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 수평부재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수평부재와 제2수평부재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변화시키는 탄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제1수평부재를 통과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다른 일단이 상기 제2수평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봉,
    상기 제1수평부재와 상기 제2수평부재가 마주보는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스프링,
    상기 제1수평부재를 통과한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봉의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6. 제2항에서,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은,
    상기 센서와 측정 부품 사이에 위치하고, 링의 두께는 5.89mm 내지 6.05mm, 상기 링의 두께를 제외한 상기 댐핑 저감용 링의 지름은 21.2mm 내지 21.5mm로 한정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센서 팁은,
    높이를 3mm 내지 9mm로 한정하는 댐핑 저장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8. 제2항에서,
    상기 가속도계는,
    높이는 20mm 내지 24mm, 내경은 12mm 내지 15mm로 한정하는 댐핑 저장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9. 제2항에서,
    상기 홀더 케이스는,
    상기 가속도계와 대응되는 부분부터 상기 단턱까지의 높이는 16.0mm 내지 20.0mm, 두께는 48.0mm 내지 52.0mm이며, 전체 높이는 78.0mm 내지 82.0mm이고, 상기 단턱부터 상기 홀더 커버와 대응되는 부분까지의 두께는 37.0mm 내지 40.0mm로 한정하는 댐핑 저장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10. 제3항에서,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기 제1수평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11. 제3항에서,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센서가 상기 감지 대상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홀더거치부는,
    상기 제1수평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작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KR1020150164217A 2015-11-23 2015-11-23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KR20170060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17A KR20170060623A (ko) 2015-11-23 2015-11-23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217A KR20170060623A (ko) 2015-11-23 2015-11-23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23A true KR20170060623A (ko) 2017-06-02

Family

ID=5922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217A KR20170060623A (ko) 2015-11-23 2015-11-23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062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7B1 (ko) * 2019-07-10 2021-01-20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음향 공진 비파괴 검사장치의 검출센서 조립 구조
KR20220142871A (ko) * 2021-04-15 2022-10-24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고정용 홀더
KR102482926B1 (ko) * 2021-07-23 2023-01-0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댐핑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스위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277B1 (ko) * 2019-07-10 2021-01-20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음향 공진 비파괴 검사장치의 검출센서 조립 구조
KR20220142871A (ko) * 2021-04-15 2022-10-24 에이아이시스템즈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 고정용 홀더
KR102482926B1 (ko) * 2021-07-23 2023-01-02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댐핑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1268B2 (en) Feeler for workpieces being machined
KR20170060623A (ko) 댐핑 저감용 링을 포함한 센서 홀딩 장치
KR101393362B1 (ko) 센서 홀딩 장치
KR101393363B1 (ko) 고유진동수 분석시스템
JP2018020434A (ja) 取扱装置、および取扱装置を監視する方法
KR20210104075A (ko) 상태 모니터링을 이용하는 핀 리프팅 장치
KR100915247B1 (ko) 음향방출센서용 위치조정장치
KR101430249B1 (ko) 탐촉자 고정장치
JP6333896B2 (ja) 加振器
KR100722225B1 (ko) 검사장치
KR101682012B1 (ko) 브레이크 디스크 액슬 어셈블리에서의 브레이크 디스크 검사장치
JPH08201159A (ja) 振動センサ取付装置
KR101443823B1 (ko) 유압 실린더 로드의 스트로크 측정 장치
US20080255698A1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Several Devices
KR100622109B1 (ko) 브레이크패드의 조립 상태 검사장치
KR101784888B1 (ko) 진동 검출장치
JP4802311B2 (ja) 回転体の静的バランス測定装置
CN107389545B (zh) 用于检测对象的定心装置
CN107356216B (zh) 可动自定位自动测量机构
JPH10138070A (ja) シリンダ式ワーク押付け固定装置
KR102205277B1 (ko) 음향 공진 비파괴 검사장치의 검출센서 조립 구조
KR100574839B1 (ko) 진동센서 자동 고정장치 및 진동구조물의 진단장치
KR102426592B1 (ko) 초음파 탐촉자 교정장치
CN216284621U (zh) 一种里氏硬度计恒力吸附辅助设备
KR200467193Y1 (ko) 접촉형 진동센서 스트로크 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